맨위로가기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는 여러 국제 및 지역 인권 기구에서 인정하고 보호받는 권리이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을 시작으로 국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규약,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등 다양한 국제 협약에서 노동, 사회 보장, 건강, 교육, 문화생활 참여 등 광범위한 권리를 보장한다. 또한, 아프리카 인권 및 인민권 헌장, 유럽 사회헌장 등 지역 인권 기구에서도 관련 권리를 보호하며, 유엔 경제사회문화권 위원회와 림부르크 원칙, 마스트리흐트 지침과 같은 2차 법률 소스를 통해 규범적 정의를 제공한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많은 국가의 헌법이 이러한 권리를 인정하고 있으며, 시민 사회는 권리 옹호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교육은 이러한 권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러 인권 조약에서 보장하며, 시민 사회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권리 - 여성의 권리
    여성의 권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에서 여성이 누리는 광범위한 권리와 자유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성차별과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권리 - 장애인 인권
    장애인 인권은 장애인이 차별 없이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누리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미국의 민권 운동 영향을 받은 장애인 권리 운동을 통해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국제연합과 여러 국가에서 관련 법률 제정 및 정책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접근성, 차별 금지, 자기결정권, 교육 및 고용 기회, 학대 및 방치로부터의 보호 등이 주요 쟁점이다.
  • 정치와 정부 사이드바 - 여성의 권리
    여성의 권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에서 여성이 누리는 광범위한 권리와 자유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성차별과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정치와 정부 사이드바 - 장애인 인권
    장애인 인권은 장애인이 차별 없이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누리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미국의 민권 운동 영향을 받은 장애인 권리 운동을 통해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국제연합과 여러 국가에서 관련 법률 제정 및 정책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접근성, 차별 금지, 자기결정권, 교육 및 고용 기회, 학대 및 방치로부터의 보호 등이 주요 쟁점이다.
  • 권리 - 기본권
    기본권은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해 헌법 등에 의해 보장되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보편성, 고유성, 항구성, 불가침성, 자연권성을 특징으로 하고,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로운 쟁점과 과제가 존재한다.
  • 권리 - 정보의 자유
    정보의 자유는 정부 및 민간 기관의 정보 접근을 보장하는 권리이며, 소비자의 정보 선택, 부패 방지, 정부의 투명성 및 책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며, 디지털 격차, 개인 정보 보호 등과 연관된다.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지도
기본 정보
분류인권
유형사회권, 경제권, 문화권
포함노동권
사회 보장권
적절한 생활 수준에 대한 권리
교육권
문화권
관련 법률
국제 법률세계 인권 선언 제22-27조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참고 자료
관련 주제시민권 및 정치권
개발권
집단권
노동권
세계 인권 선언
보건권
사회 정의
사회적 배제
물에 대한 권리
추가 정보
참고인권

2. 국제 및 지역 인권 기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는 여러 국제 및 지역 인권 문서에서 인정되고 보호받고 있다.[3]


2. 1. 국제 인권 기구

1948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인권선언(UDHR)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가장 중요한 원천 중 하나이다. 세계인권선언은 제22조에서 사회보장권, 제23조에서 노동권, 제24조에서 휴식권, 제25조에서 최저생활수준권, 제26조에서 교육권, 제27조에서 과학 및 문화 향유권을 인정한다.[29]

국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규약(ICESCR)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주요 국제법적 근거이다. 이 규약은 제6조 및 제7조에서 노동권과 정당하고 양호한 근로조건을, 제8조에서 노동조합 가입 및 집단 노동 행위의 권리를, 제9조에서 사회보장권, 제10조에서 어머니와 아동을 포함한 가족 보호권, 제11조에서 식량권과 주거권을 포함한 최저생활수준권, 제12조에서 건강권, 제13조에서 교육권, 그리고 제15조에서 문화생활 참여권과 과학 및 문화 향유권을 인정하고 보호한다. ICESCR과 동시에 채택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은 제22조의 노동조합 가입권, 제27조의 소수민족의 문화, 종교 및 언어 사용권을 포함하여 여러 핵심적인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고 보호한다.[29]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은 아동과 관련하여 ICESCR에서 인정하는 많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고 보호한다. 여기에는 제24조의 건강권, 제25조의 사회보장권, 제27조의 최저생활수준권, 제28조의 교육권, 그리고 제32조의 경제적 착취( 아동노동 참조)로부터의 보호권이 포함된다.[29]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 협약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와 관련하여 인종 또는 민족적 기원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한다. 모든 형태의 여성에 대한 차별 철폐 협약은 여성에게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보장한다. 국제노동기구(ILO)의 ILO 협약은 다양한 노동 관련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보호한다.[30] 약 195개국이 과학과 과학적 자유, 과학자의 권리, 연구 대상의 권리, 그리고 모든 사람의 과학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재확인하는 과학에 관한 권고에서 공통의 세계적 기준에 합의했다.[31]

2. 2. 지역 인권 기구

아프리카 인권 및 인민권 헌장은 제15조에서 일할 권리, 제16조에서 건강할 권리, 제17조에서 교육받을 권리를 보호한다. 유럽 사회헌장은 제1조부터 제10조까지 일할 권리, 양호한 근로 조건, 노동조합에 가입할 권리 및 집단 노동 행동을 할 권리 등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보호하며, 제11조에서는 건강할 권리, 제12조부터 제14조까지는 의료 지원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에 대한 권리를 포함한 사회 보장권을 보호한다. 특히 취약 계층에 대한 보호는 제15조, 제16조, 제17조 및 제19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제31조에서는 주거할 권리를 보호한다. 살바도르 의정서는 미주 인권 시스템 내에서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보호한다.[4]

3. 이차법률원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대한 다양한 2차 법적 자료들이 존재하며, 이는 이러한 권리들의 규범적 정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이러한 2차 법률 자료에는 유엔 경제사회문화권 위원회, 림뷔르흐 원칙, 마스트리흐트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침해에 관한 지침, 유엔 특별보고관 등이 있다.

3. 1. 유엔 경제, 사회, 문화 권익 위원회

유엔 경제사회문화권 위원회는 국제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규약(ICESCR)의 이행을 감독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위원회는 핵심적인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의 규범적 정의를 개발하고, ICESCR 당사국의 역할을 해석하며, ICESCR 권리의 보호 및 침해를 감시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위원회는 '일반 의견' 형태의 지침 성격의 발표문을 발표하며, 다른 인권 조약 기구들 또한 경제적, 사회, 문화적 권리와 관련된 의견을 발표할 수 있다.[30]

3. 2. 림부르크 원칙과 마스트리히트 지침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중요한 2차 법률 소스로는 1987년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이행을 위한 림부르크 원칙과 1997년 마스트리히트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침해에 관한 지침이 있다. 림부르크 원칙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침해를 확립하기 위한 해석적 도구로서 여러 국가의 법 체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마스트리히트 지침은 림부르크 원칙을 기반으로 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침해에 해당하는 행위와 누락(하지 않음)의 법적 의미를 식별한다.[32]

3. 3. 유엔 특별보고관

유엔 특별보고관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규범적 발전에 영향을 미쳐왔다. 인권위원회와 그 하위 위원회에 의해 임명된 주요 보고관으로는 경제, 사회, 문화 권리의 실현에 관한 특별보고관, 적절한 주택권에 관한 특별보고관, 교육권에 관한 특별보고관, 여성에 대한 폭력에 관한 특별보고관 등이 있다.[33]

4. 국가적 책임

국제인권기구와 지역 인권 규범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는 법적 구속력을 갖는다. 회원국은 이러한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며, 이행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 국가 의무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국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규약(ICESCR)을 통해 확립되었으며,[7] 국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규약 선택 의정서는 비엔나 선언과 행동 강령에 따라 추가로 확립되었다.[13]

4. 1. ICESCR 당사국의 의무

국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규약(ICESCR) 당사국은 ICESR 권리 이행을 위한 "점진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가의 경제 상황으로 인해 즉각적인 이행이 불가능할 수 있지만, 적극적인 조치의 연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당사국은 ICESCR에 명시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진정한 노력을 보여야 한다. 점진적 조치에 대한 증명 책임은 당사국에 있다고 간주된다.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와 관련한 차별 금지는 즉각적인 효력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당사국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평등한 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 정책 및 관행을 폐지하고 공공 생활에서의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모든 당사국은 국가의 경제 상황이나 자원 부족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위한 최소한의 생계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당사국은 또한 이용 가능한 자원에 공정하게 접근하고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자원 배분 방법에 대한 정부의 결정은 면밀히 조사되어야 한다. 입법 조치만으로는 ICESCR 준수를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당사국은 행정적, 재정적, 교육적 및 사회적 조치를 취하는 것 외에도 사법적 구제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14]

5. 감시, 관찰, 시행 및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정부간 기구와 비정부 기구(NGO)는 지난 50년 동안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지속적으로 무시해 왔다. 모든 인권은 "동일하고, 나눌 수 없고, 상호 연관되고, 상호의존적"이라고 하지만,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대한 감시, 집행 및 이행 프레임워크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대한 것보다 덜 발달되어 있다. 국제적 집행 메커니즘은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가장 강하고, 그들의 위반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비해 더 심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초점을 맞춘 국제 NGO가 거의 없고 국가적 또는 국제적 차원에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옹호할 지식과 경험을 가진 변호사도 거의 없다.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는 국가 헌법에서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비해 덜 보호받는다.[41]

5. 1. 국제적 감시 및 시행 메커니즘 강화 노력

2008년 유엔 총회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를 채택하여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 위원회가 규약에 따른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 개인으로부터 통보를 받고 검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였다.[41] 이 의정서는 2013년 5월 5일부터 시행되었다.

2017년 각국은 과학 및 과학 연구자에 관한 권고에서 국제 공통 규격을 위해 유네스코 총회에서 4년 이행 보고서를 채택하기로 합의하고, 유네스코 집행위원회가 국가위원회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갖기로 합의하였다.[42]

6. 국가 헌법과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많은 국가의 헌법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남아프리카 헌법재판소는 이러한 의무에 따른 주장을 심리했다(그루트붐 및 트리트먼트 액션 캠페인 사건 참조). 인도 헌법은 경제적, 사회적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인도 대법원은 이러한 권리들이 비록 열거되지 않았지만 생명권으로부터 나온다고 해석했다.

헌법재판소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대한 헌법적 인정을 판결하게 되면, 소위 선출직 기관의 책임이라는 민주적 사슬을 붕괴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역효과로 여겨져 왔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글로벌 사우스의 문헌이 매우 다른 사법적 대응을 추적하고 있다.[35]

동정적인 비평가들은 사회 경제적 권리가 전반적인 인간 발전을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무시할 수 있는' 요소라고 주장한다.[36] 현대 복지 국가는 탈상품화, 일반 복지 및 권리가 아닌 공공선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는 사회 경제적 권리의 사법적 검토에 의존하지 않고 주로 사회민주당노동조합 동원을 통해 구축된 비교적 강력한 복지 노력을 고수한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회와 노동조합 구조와 같은 주요 정치 분야는 소수 집단에게 반응이 없을 수 있다. 소송을 통해 얻은 이득은 비록 미미할지라도 그것들로부터 이익을 얻는 사람들에게는 가치가 있을 수 있다.[37]

시민사회운동은 헌법을 제정하고 사회 경제적 권리를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대안 기관, 규범, 관행을 발전시켰다. 아이슬란드, 볼리비아, 에콰도르에서 최근 헌법 제정 실험의 참가자들은 모두 참여 예산이나 기술적으로 개선된 직접 민주주의와 같은 새로운 제도적 합의, 특히 생태학적 책임과 공유지에 관한 규범과 함께 경제적 사회적 권리를 연계했다. 아일랜드에서는 'Right2Water'와 'Repeal the 8th' 캠페인과 같은 사회 운동이 어떻게 고도로 네트워크화된 개인과 공동체가 전통적인 기관과 함께 그리고 외부로 동원하고 집단 행동을 하며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증진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38]

7. 교육: 인권의 한 부분

교육은 여러 국제 조약에서 인권으로 보장하고 있다.[43] 주요 조약은 다음과 같다.


  • 교육차별철폐협약(1960년, CADE)[19]
  •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1966년, ICESCR)[20]
  •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1979년, CEDAW)[21]
  •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1989년, CRC)[22]


교육받을 권리는 개인을 교육 프레임워크의 중심에 둔다.[43] 국가는 교육 및 교육 제도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법적 책임을 지며, 이는 자국민 및 비시민 교육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된 규범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43] 이러한 기준은 개인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가 해야 할 일과 피해야 할 일을 규정한다.[43]

7. 1. 인권으로서의 교육의 특징


  • 교육은 특권이나 정치적 또는 자선적인 변덕의 대상이 아닌 인권이다. 따라서 정부는 의무적으로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43][18]
  • 모든 사람은 차별 없이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여기에는 아동, 청소년, 청년, 성인노인이 포함된다.[43][18]
  • 교육은 국가의 주요 우선 순위이다. 교육에 대한 권리를 보장해야 할 의무는 무시될 수 없다.[43][18]
  • 교육은 다른 모든 인권을 보장하는 데 중요하다. 교육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시민적, 정치적 차원을 가진다.[43][18]

7. 2. 교육권의 주요 측면


  • 교육의 목표
  • 교육 제도의 비차별 및 평등
  • 무상 의무 교육인 보편적 초등 교육
  • 직업 교육을 포함한 중등 교육 수준에서 이용 가능하고 접근 가능하며 무상인 교육
  • (수용력에 따라) 고등 교육 수준에서 이용 가능하고 무상인 교육
  • 초등 교육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기초 교육
  • 모든 수준에서 교육 제도 유지
  • 장학금 제도 제공
  • 교사의 훈련, 지위 및 근무 조건
  • 교육의 자유 (부모가 자녀를 그들의 종교적 및 도덕적 신념에 따라 교육받도록 하는 자유)[18]

교육은 승수적 권리로서

  • 개인 및 단체가 사립학교를 설립할 자유
  • 인프라 및 인권 교육에 관한 최소 기준 설정을 포함한 양질의 교육
  • 안전하고 비폭력적인 학습 환경
  • 적절한 자원 배분
  • 모든 교육 수준에서 학문의 자유
  • 교육과정의 설정 및 내용
  • 투명하고 책임 있는 교육 제도[18]

8. 시민사회의 역할과 권리 옹호

ESCR-Net과 같은 네트워킹 그룹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의 이상을 증진하고 인권 이니셔티브의 승리를 기념하며, 효과적인 사례, 주도적인 활동, 실무 그룹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자료로 만들고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인권 옹호 단체들은 규칙, 규정 및 이행 계획을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으며, 고소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소식은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23] 주택 권리 및 퇴거 센터(COHRE)는 코소보에 주택 및 재산국(Housing and Property Directorate)(HPD/HPCC) 설립을 지원했다.[24]

9. 권리론

카렐 바삭의 3대 인권 이론에 따르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는 2세대 권리로, 언론의 자유,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투표권 등 시민적·정치적 권리는 1세대 권리로 간주된다.[46] 부정적 권리와 긍정적 권리의 이론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긍정적인 권리로 간주한다. 사회적 권리는 "인간의 복지에 필수적인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킬 권리"이다.[47] 사회적 권리의 예로는 의료 권리 및 양질의 근로 조건에 대한 권리가 있다.[47]

10. 대한민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대한민국 헌법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ICESCR을 비롯한 주요 국제 인권 조약의 당사국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정당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강화를 주요 정책 목표로 삼고 있다. 대한민국 시민사회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옹호를 위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2020-09-26
[2] 웹사이트 Women's Economic Rights https://ourworldinda[...] 2020-03-05
[3]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 웹사이트 Recommendation on 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ers http://portal.unesco[...] 2019-06-25
[6]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8] 서적 The Future of Economic and Social Rights (Globalization and Human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Social Rights Jurisprudence, Emerging Trends in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Constitutional Law Meets Comparative Politics: Socio-economic Rights and Political Real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The Efficacy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in Ireland Brill
[12] 서적 Contesting Economic and Social Rights in Ireland: Constitution, State and Society, 1848–2016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3] 간행물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14]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5]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ext https://www.unicef.o[...] 2022-02-28
[16]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7] 웹사이트 Records of the 39th UNESCO General Conference, Resolutions, at 39 C/resolution 85 https://unesdoc.unes[...] UNESCO 2019-06-06
[18] 서적 Right to education handbook https://unesdoc.unes[...] UNESCO
[19] 웹사이트 UNESCO Conven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Education https://www.equalrig[...] 2022-03-01
[20] 웹사이트 Refworld |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https://www.refworld[...] 2022-03-01
[2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https://treaties.un.[...] 2022-03-01
[22] 웹사이트 OHCHR |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https://www.ohchr.or[...] 2022-03-01
[23] 간행물 Campaign for the Rat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CESCR-Justice NOW! Ratify to protect all Human Rights ESCR-Net Newsletter 2009-12
[24] 서적 Regularizing Property Rights in Kosovo and Elsewhere
[25] 간행물 Human Rights: A Thirty-Year Struggle: the Sustained Efforts to give Force of law to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NESCO 1977-11
[26] 학술지 The Case for Social Rights https://papers.ssrn.[...] 2010-04-12
[2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www.un.org 2020-09-26
[28] 웹사이트 Women's Economic Rights Our World in Data 2020-03-05
[29]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0]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1] 웹사이트 Recommendation on 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ers portal.unesco.org 2019-06-25
[32]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3]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4] 서적 The Future of Economic and Social Rights (Globalization and Human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Social Rights Jurisprudence, Emerging Trends in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논문 Constitutional Law Meets Comparative Politics: Socio-economic Rights and Political Real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37] 논문 The Efficacy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in Ireland Brill
[38] 서적 Contesting Economic and Social Rights in Ireland: Constitution, State and Society, 1848–2016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간행물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Part II paragraph 75
[40]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1] 서적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legal resource gu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2] 웹사이트 Records of the 39th UNESCO General Conference, Resolutions https://www.unesco.o[...] UNESCO 2019-06-06
[43] 기타 # 라이선스 정보
[44] 간행물 Campaign for the Rat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CESCR-Justice NOW! Ratify to protect all Human Rights ESCR-Net Newsletter 2009-12
[45] 서적 Regularizing Property Rights in Kosovo and Elsewhere
[46] 논문 Human Rights: A Thirty-Year Struggle: the Sustained Efforts to give Force of law to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1977-11
[47] 논문 #추가정보 필요 The Case for Social Rights 2010-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