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양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국양왕은 고구려의 제18대 국왕으로, 고국원왕의 아들이자 소수림왕의 동생이며 광개토대왕의 아버지이다. 384년에 즉위하여 392년에 사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과 현도를 점령했으나 다시 빼앗겼다. 백제와 전쟁을 벌여 390년에는 도압성을 빼앗기는 등 열세에 놓였으나, 신라와 우호 조약을 맺고 불교를 장려하며 국사(國社)를 세우는 등 내치를 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91년 사망 - 적료
적료는 오호십육국시대 정령족 출신 군벌로, 후연에 복속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위를 건국하고 위천왕을 칭하며 황하 유역에서 세력을 확장, 동진과 후연에 대항했다. - 391년 사망 - 이집트의 마카리오스
이집트의 마카리우스는 4세기 이집트 스케티스 사막에서 금욕적인 삶과 영적 가르침으로 유명한 기독교 수도자이자 성인으로, 성 대 마카리우스 수도원 설립을 통해 수도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술과 가르침은 후대 기독교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고국원왕 - 소수림왕
고국원왕의 아들인 소수림왕은 즉위 후 불교 수용, 태학 설립, 율령 반포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전진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 백제와의 공방전과 거란의 침입에 대응하였다. - 고국원왕 - 평양 전투 (371년)
평양 전투 (371년)는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사건이며, 소수림왕 대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국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고구려의 불교도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고구려의 불교도 - 영류왕
영류왕은 고구려의 27대 왕으로 당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 연개소문의 쿠데타로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왕이다.
고국양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국양 |
한자 표기 | 故國壤 |
로마자 표기 | Gogugyang |
즉위 | 384년 11월 |
사망 | 391년 5월 |
출생 이름 | 고이련/이속/어지지 |
출생 지 | 국내성 |
사망 장소 | 국내성 |
매장지 | 고국양원 |
왕조 | 고구려 |
왕가 | 고씨 |
신분 | |
작위 | 태왕 |
계승 순서 | 고구려 왕 |
선임자 | 소수림왕 |
후임자 | 광개토대왕 |
배우자 | 구야 부인 |
자녀 | 담덕 |
부친 | 고국원왕 |
기타 정보 | |
직업 | 왕 |
종교 | 불교 |
2. 생애
384년 소수림왕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고국원왕의 둘째 아들로 왕위에 올랐다.[8] 385년 여름 군사 4만으로 후연(後燕)을 공격하여 요동과 현도군을 점령하였으나 그 해 겨울 다시 빼앗겼다.[9] 백제와도 치열하게 전쟁을 벌였는데, 386년 백제를 공격하였으나[10] 389년과 390년에는 오히려 백제의 침입을 받기도 했다.[11][12] 392년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신라와 우호관계를 맺고 실성을 인질로 받기도 했으며,[13][14] 교서를 내려 불교를 장려하고, 백성을 위해 토지의 신에게 제를 올리는 국사를 세우고 종묘를 수리하였다.[15] 이 해에 왕이 서거하니 고국양에 장사지냈다.[16][17]
2. 1. 즉위 전
고국양왕은 고국원왕의 아들이자 소수림왕의 동생이며, 광개토대왕의 아버지이다.[2] 고국원왕은 백제 근구수의 평양성 공격으로 사망하였다.[2]2. 2. 즉위와 대외 관계
384년 소수림왕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고국원왕의 둘째 아들로 왕위에 올랐다.[8] 385년 여름, 군사 4만 명으로 후연(後燕)을 공격하여 요동 및 현도군을 점령하였으나, 그 해 겨울 다시 빼앗겼다.[9] 이 기간 동안 중국의 유주·기주에서 유민이 대량으로 고구려 내로 유입되었지만, 고구려가 요동·현도를 잃었을 때 이들 유민도 다시 후연 영토로 돌아갔다.백제와도 치열하게 전쟁을 벌였다. 386년 백제를 공격하였으나[10] 389년과 390년에는 오히려 백제의 침입을 받기도 했다.[11][12] 390년에는 도압성(황해북도중화군)을 함락당하는 등 열세에 놓였다.
386년에는 훗날 광개토대왕이 되는 태자 고담덕이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고담덕은 십 대 때부터 아버지의 전쟁터에서 군무를 수행했다고 전해진다.
392년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신라와 우호관계를 맺고 실성을 인질로 받기도 했으며,[13][14] 또한 교서를 내려 불교를 장려하는 한편, 백성을 위해 토지의 신에게 제를 올리는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를 수리하였다.[15]
2. 3. 내치
384년 소수림왕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고국원왕의 둘째 아들로 왕위에 올랐다.[8] 교서를 내려 불교를 장려하는 한편, 백성을 위해 토지의 신에게 제를 올리는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를 수리하였다.[15] 국가 차원에서 유교와 불교를 공식적으로 채택하도록 하였으며, 국사(國寺)를 건립하고 사당을 보수했다.[4] 특히 사직단(社稷壇)의 사당은 중국식 의례를 도입하여 건설되었으며, 토지신과 물의 신을 모시는 사당은 백성들이 종교적 신앙을 갖도록 장려하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전해진다.[5]2. 4. 죽음
고국양왕은 392년, 재위 9년 만에 서거하였다. 시호는 고국양(故國壤)으로, 고국양에 매장되었다.[16][17]3. 가족 관계
4. 연호
고국양왕은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5. 기타
고국양왕은 여러 대중 매체에서 등장한다.
5. 1.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Samguk sagi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2016-02-01
[2]
웹사이트
King Gogukyang
https://web.archiv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2-01
[3]
서적
Samguk sagi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2016-02-01
[4]
서적
Koguryŏ =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Tongbuga Yŏksa Chaedan
2007
[5]
서적
Seoul : a field guide to history
Dolbegae Publishers
2007
[6]
문서
광개토왕릉비 기록과 삼국사기 기록의 차이에 대한 설명
[7]
문서
삼국사기 기년에 따른 광개토태왕 즉위 기간 설명
[8]
서적
삼국사기
1145
[9]
서적
삼국사기
1145
[10]
서적
삼국사기
1145
[11]
서적
삼국사기
1145
[12]
서적
삼국사기
1145
[13]
서적
삼국사기
1145
[14]
문서
광개토왕릉비와 삼국사기 기록의 차이에 대한 해석
[15]
서적
삼국사기
1145
[16]
서적
삼국사기
1145
[17]
문서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된 고국양왕 사망 연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