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류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류왕은 618년 영양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즉위 후 당나라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조공과 외교 사절을 교환하며 도교와 불교를 수용했으나, 당나라가 동돌궐을 격파하고 고구려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긴장 관계가 조성되었다. 영류왕은 당나라의 침략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축조하고, 신라와도 대립했다. 642년,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살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하면서 영류왕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왕 - 강서대묘
강서대묘는 널방에 사신도 등 벽화가 그려진 원형 분구 형태의 고구려 고분으로, 화강암 널방과 모줄임천장 구조, 철선묘법의 사신도 벽화가 특징이며 7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영양왕 - 온달
온달은 고구려의 평민 출신 장군으로, 평강공주와의 혼인 후 뛰어난 무예와 용맹을 떨쳐 이름을 알렸으며, 신라에게 빼앗긴 땅을 되찾기 위한 전투에서 전사한 인물이다. - 642년 사망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 642년 사망 - 사택왕후
사택왕후는 백제 무왕의 왕비로, 미륵사지 석탑 금제사리봉안기에 사택적덕의 딸로 기록되어 있으며 미륵사 창건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녀의 이름과 선화공주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 7세기 한국의 군주 -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진평왕의 딸로 태어나 화백회의에서 추대되어 즉위하여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와의 외교 강화,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축조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백제와 고구려의 침략, 비담의 난을 겪고 승하하였으며, 뛰어난 통찰력과 예지력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 7세기 한국의 군주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영류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제27대 고구려 국왕 |
휘 | 건무(Geonmu) · 성(Seong) |
시호 | 영류(Yeongnyu) |
재위 기간 | 618년 9월 ~ 642년 10월 (음력) |
이름 | 영류왕(Yeongnyu-wang) |
로마자 표기 | Yeongnyu-wang |
한글 | 영류왕 |
한자 | 榮留王 |
가타카나 | 욘뉴완 |
별칭 | 무양왕(Muyang-wang) |
생애 | |
출생 | 미상 (580년대경) |
사망 | 642년 10월 (음력) 평양성 |
능묘 | 미상 |
가족 관계 | |
부친 | 평원왕 |
모친 | 미상 |
형제자매 | 영양왕, 대양왕, 평강공주 |
배우자 | 미상 |
자녀 | 태자 환권, 고복덕, 무영공주, 숙영공주 |
종교 | |
종교 | 불교 |
기타 | |
전임자 | 영양왕 |
후임자 | 보장왕 |
2. 즉위 배경
618년 음력 9월, 영양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2] 같은 해 중국 대륙에서는 수가 멸망하고 당이 건국되었다. 당 고조는 각지의 군벌을 제거하며 내부 통일에 힘쓰는 한편,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제의했다. 고구려는 당의 화친 제의를 수용하여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 영류왕은 《수서》에 내호아가 이끈 4만 수군 정예병을 결사대 500명으로 전멸시켰다고 기록될 정도로 뛰어난 전쟁 영웅이었으나, 즉위 후에는 대당 온건책을 펼쳐 군사적 업적이 묻혔다. 영류왕은 26대 영양왕의 이복동생이자 25대 평원왕의 아들이었다.[2]
영류왕 대 고구려는 당나라와 신라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3. 대외 관계
당나라 건국 초기에는 서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사신을 교환하고 포로를 교환하기도 했다.[2] 624년에는 당나라가 도교를 전파했고, 고구려는 불교와 도교를 연구하기 위해 학자들을 파견했다.[2]
그러나 당나라가 강성해지면서 양국 관계는 긴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631년 당나라는 고구려의 전승 기념비를 파괴하고, 고구려는 연개소문의 감독 하에 천리장성을 축조하여 방어 태세를 강화했다.[1][2]
한편, 고구려는 신라와도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분쟁을 벌였다. 629년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에게 낭비성을 빼앗기기도 했고,[3] 638년에는 칠중성을 공격했으나 알천에게 패배하기도 했다.
3. 1. 당나라와의 관계
영류왕의 온건한 대외 정책은 당나라와의 관계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고구려와 당은 고수전쟁 당시 잡혀갔던 양국의 포로들을 교환하고 도교를 수입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교류하였다.[2]
624년 당나라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영류왕을 상주국 요동군공 고구려왕(上柱國遼東郡公高句麗王)으로 책봉하였다.[5]
626년 이건성을 죽이고 아버지 고조를 압박하여 황제 자리를 빼앗은 당 태종은 즉위하자마자 주변 국가를 압박하며 영토 확장을 가속화했다. 이에 고구려를 비롯한 백제, 신라 등 주변 국가들은 당나라에 대한 경계를 강화했다. 한편, 당나라와 화친하는 과정에서 백제와 신라가 당나라에 "고구려가 당나라로 가는 길을 막는다"고 말하자, 당나라는 고구려에 백제 및 신라와 화친하라고 종용하였다. 영류왕은 당 태종의 요구를 수용하여 백제, 신라와 화친하였다.
고구려가 신라와의 전쟁에서 고전하고 있을 때, 당나라는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왕태자를 장안에 입조시키라고 요구했다. 이에 고구려 조정은 강경파와 온건파로 나뉘어 치열하게 논쟁했다. 강경파는 왕태자를 장안에 보내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온건파는 왕태자를 장안으로 보내 당나라와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류왕은 결국 온건파의 손을 들어주어 640년 왕태자 고환권을 장안에 보냈고, 당 태종에게 서신을 보내 왕태자를 당나라 국학에 입학시켜 줄 것을 요청하였다.
641년 당 태종은 왕태자의 방문에 답하기 위해 직방낭중 진대덕을 고구려에 보내겠다는 서신을 보냈는데, 이 문제로 강경파와 온건파는 다시 대립했다. 진대덕은 고구려에 들어와 요수에서 평양성까지 고구려의 지리를 자세히 관찰하고 각 성에 배치된 군사력까지 면밀하게 조사하였다. 당나라에 귀국한 진대덕은 당 태종에게 고구려를 공격하라고 건의하였다.
618년, 영류왕이 즉위한 해에 중국에서는 당나라가 건국되었다. 고구려는 고구려-수나라 전쟁에서 회복 중이었고, 새 당나라 황제는 아직 내부 통일을 완료하지 못했다. 양측 모두 새로운 적대 행위를 할 상황이 아니었기에, 고구려와 당나라는 사신을 교환했고, 당나라의 요청에 따라 622년 포로 교환을 실시했다.[2] 이때 당나라로 송환된 포로는 1만 명에 달하였고, 당나라 고조는 매우 기뻐하였다.
624년, 당나라는 공식적으로 도교를 고구려 궁정에 전파했고, 고구려는 이듬해 학자들을 파견하여 도교와 불교를 연구하게 했다.[2] 625년에는 당나라에 사절을 보내어 불교, 도교의 교법을 배우고 싶다고 청하여 허락받았다.
그러나 당나라가 강해지면서 631년, 수나라를 상대로 거둔 고구려의 승리를 기념하는 비석(경관)을 파괴하기 위해 소규모 군대를 파견했다.[6] 이에 고구려는 연개소문의 감독 하에 631년부터 착공하여 15년에 걸쳐 서쪽 국경에 천리장성 방어벽을 축조했다.[2][1]
3. 2. 신라와의 관계
629년 김유신이 고구려의 낭비성을 함락시켰다.[3] 고구려는 여러 차례 반격했으나 당나라의 침입을 우려하여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638년 영류왕은 군사를 동원해 신라 북쪽 변경의 요지인 칠중성을 공격했으나 신라 장수 알천에게 패배해 퇴각했다.
고구려는 신라와 계속 전투를 벌여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려 했다.
4. 국내 정책
영류왕은 고구려-수나라 전쟁 이후 약화된 왕권을 강화하고 귀족 세력을 견제하고자 했다. 당나라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도교를 받아들이고, 불교와 함께 장려하여 사상적 기반을 다지려 했다.[2]
그러나 연개소문을 비롯한 군사 귀족들의 권력이 커지면서 왕권 강화는 한계에 부딪혔다. 천리장성 축조 과정에서 연개소문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자, 영류왕은 그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오히려 642년 연개소문의 정변으로 살해당했다.[4][2]
4. 1. 천리장성 축조
631년, 고구려는 당나라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연개소문의 감독 하에 부여성(길림성 장춘시 농안현)에서 동남쪽 발해만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기 시작했다.[2][1] 이는 631년부터 15년에 걸쳐 완성된 대규모 방어 시설이었다.당시 고구려는 고구려-수나라 전쟁의 피해를 회복하고 있었고, 618년에 건국된 당나라는 아직 내부 통일을 완수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양국은 서로 적대 행위를 할 여력이 없어 622년에는 포로 교환을 실시하기도 했다.[2] 624년에는 당나라가 도교를 고구려에 전파했고, 고구려는 이듬해 학자들을 보내 도교와 불교를 연구하게 했다.[2]
그러나 당나라가 강성해지면서 양국 관계는 점차 긴장되기 시작했다. 631년, 당나라는 수나라를 상대로 한 고구려의 승전을 기념하는 비석을 파괴하기 위해 소규모 군대를 파견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구려는 천리장성 축조를 통해 국방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한편, 고구려는 신라에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신라와도 계속해서 전투를 벌였다. 629년에는 신라의 김유신이 고구려의 남비산성을 함락시키기도 했다.[3]
4. 2. 왕권 강화 노력과 한계
영류왕과 일부 관리들은 당시 왕권을 위협할 정도로 권력이 커지고 있던 연개소문을 비롯한 강력한 군사 지휘관들을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4] 그러나 이 음모는 결국 연개소문에게 발각되었고,[4] 그는 즉시 평양으로 가서 영류왕을 포함한 음모자들을 처단했다. 영류왕은 642년에 죽었다.[2] 연개소문은 영류왕의 조카인 보장을 왕위에 앉혔다.[1][2]5. 정변과 죽음
642년 연개소문은 조정 신하들을 대거 초청하여 열병식을 열고, 이들을 모두 참살하였다. 그 후 군사를 이끌고 왕궁으로 쳐들어가 영류왕을 살해하고, 그의 목과 사지를 저자거리에 매달았다.[4] 영류왕은 642년에 죽었다.[2]
연개소문은 영류왕의 조카인 보장왕을 왕위에 앉혔다.[1][2]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영류왕기에는 매장지와 시호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구당서』·『삼국사기』에는 당나라 태종이 영류왕의 죽음을 듣고 장안에서 장례를 치르고, 사자를 보내 왕의 넋을 위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6. 기타
연개소문은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살해하고 그의 조카 보장왕을 왕위에 앉혔다.[6] 일본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영류왕에게는 고복덕이라는 서자가 있었다고 한다.[1]
6. 1. 왕자 고환권
640년 당나라가 고창국을 복속시키자, 영류왕은 세자 환권을 당나라에 파견하여 국학 입학을 요청하였다. 이는 실질적인 인질을 보내는 형태로 긴장 완화에 힘쓴 것이었다.[6] 그러나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살해하면서,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고환권의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고환권은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이름만 등장한다.6. 2. 서자 고복덕
高福徳|고복덕일본어은 영류왕의 서자로, 일본서기와 신찬성씨록에 등장한다.[1] 일본 내 고마씨(高麗氏) 일부와 코마씨(狛氏), 다카쿠라노씨(高倉氏)는 고복덕을 시조로 받든다.[1]7. 가계
高建武|고건무중국어는 평원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알려져 있지 않다.[1] 高建武|고건무중국어의 할아버지는 양원왕이다.[1] 왕비와 자녀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8. 영류왕이 등장하는 작품
9. 연표
연도 | 간지 | 주요 사건 |
---|---|---|
618년 | 무인 | 당나라 건국, 당나라에 조공 및 화친 |
619년 | 기묘 | |
620년 | 경진 | |
621년 | 신사 | |
622년 | 임오 |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 당시 포로 교환 |
623년 | 계미 | |
624년 | 갑신 | 당나라 역법 요청, 당나라에서 영류왕 책봉, 고구려에 도사 파견 및 『노자 도덕경』 강의 |
625년 | 을유 | 당나라에 사절 파견, 불교, 도교 교법 학습 요청 |
626년 | 병술 | |
627년 | 정해 | |
628년 | 무자 | |
629년 | 기축 | |
630년 | 경인 | 당나라, 동돌궐 격파 |
631년 | 신묘 | 당나라, 고구려에 경관 파괴 요구, 천리장성 축조 시작 |
632년 | 임진 | |
633년 | 계사 | |
634년 | 갑오 | |
635년 | 을미 | |
636년 | 병신 | |
637년 | 정유 | |
638년 | 무술 | |
639년 | 기해 | |
640년 | 경자 | 당나라, 고창국 복속, 세자 환권을 당나라에 파견, 진대덕이 고구려 방문 |
641년 | 신축 | |
642년 | 임인 | 연개소문의 쿠데타로 사망 |
참조
[1]
웹사이트
영류왕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6-10-06
[2]
웹사이트
King Yeongnyu
http://world.kbs.co.[...]
KBS World
2016-10-06
[3]
웹사이트
낭비성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4]
웹사이트
영류왕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5]
문서
遼東郡王
旧唐書, 新唐書
[6]
서적
"京観"から仏寺へ―隋唐時期の戦場遺体の処理と救済―
吉川弘文館
2016
[7]
인용
[8]
서적
삼국유사
[9]
웹사이트
형인 영양왕의 출생연도가 559년 무렵으로 추정되고, 아버지 평원왕이 뒤늦게 얻은 아들임과 동시에 동생인 대양왕의 존재를 감안하면 영류왕의 출생연도를 580년대 초반에 태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