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수림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수림왕은 고구려의 제17대 왕으로, 고국원왕의 아들이다. 371년 백제의 공격으로 부왕이 사망하자 즉위하여, 국력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372년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설립하여 유교 교육을 장려했으며,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통치 체제를 정비했다. 대외적으로는 백제와 대립하고 거란의 침략을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으며, 384년에 사망하여 동생 고국양왕이 왕위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국원왕 - 평양 전투 (371년)
    평양 전투 (371년)는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사건이며, 소수림왕 대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국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고국원왕 - 고국양왕
    고국양왕은 고구려 제18대 국왕으로,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과 현도를 점령했으나 백제와의 전쟁에서 열세에 놓였고, 신라와 우호 조약을 맺었으며 불교를 장려했다.
  • 384년 사망 - 근구수왕
    근구수왕은 백제의 제14대 왕으로, 고구려 공격에 참여하고 중국, 왜와 우호 관계를 맺었으며, 흙비와 가뭄으로 백성을 구휼하다가 아들 침류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384년 사망 - 교황 다마소 1세
    다마소 1세는 366년부터 384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재임하며 아리우스주의에 맞서 교회를 수호하고 불가타 성경 번역을 지원했으며, 교황의 권위를 강화했다.
  • 고구려의 불교도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고구려의 불교도 - 영류왕
    영류왕은 고구려의 27대 왕으로 당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 연개소문의 쿠데타로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왕이다.
소수림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태왕
재위 기간371년 11월 16일 ~ 384년 11월
즉위371년 11월 16일
이전 통치자고국원왕
다음 통치자고국양왕
고구부
왕호소해주류태왕, 해미류태왕
시호소수림태왕
아버지고국원왕
직업
왕조고구려
종교불교
생애
출생지국내성
사망384년 11월
사망 장소국내성
매장지소수림원
왕세자
임명355년 1월
해임371년 10월 23일
이전 왕세자사유
다음 왕세자담덕

2. 생애

고국원왕의 아들로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355년(고국원왕 24년) 1월 태자에 책봉되었다.[13] 371년(고국원왕 40년) 10월,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아버지 고국원왕이 전사하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2]

소수림왕은 전연에 크게 패하고, 백제와의 전쟁에서 왕을 잃는 등 군사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즉위하여 국력 회복에 힘썼다. 372년 전진의 승려들을 통해 불교를 받아들였고,[5] 태학을 설립하고,[6]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는 등[1] 문교 정책을 추진했다.

374년, 375년, 376년에는 백제를 공격했고, 378년에는 거란의 공격을 받았다.[9] 384년 사망하여 국내성 인근의 소수림에 묻혔다.[10]

2. 1. 탄생과 즉위

고국원왕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신체가 장대하고, 웅대한 지략이 있었다고 한다.[13] 355년(고국원왕 24년) 1월 태자에 책봉되었다.[13]

371년(고국원왕 40년) 10월,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부왕인 고국원왕이 전사하자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소수림왕은 고국원왕의 장자이자 계승자로, 아버지를 보좌하여 국가를 통치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후연미천왕의 무덤을 파헤치는 수모를 겪으면서 심각하게 약화되었었다.[2]

2. 2. 치세

371년 아버지 고국원왕백제 근초고왕평양성 공격으로 사망하면서 왕위에 올랐다.[3] 소수림왕은 전연에 크게 패하고, 백제와의 전쟁에서 왕을 잃는 등 군사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즉위하여 국력 회복에 힘썼다.

372년 전진의 승려들을 통해 불교를 받아들였다.[5]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의 왕이 불상과 경문을 가지고 승려 순도를 보냈고,[6] 2년 후에는 고구려 출신 승려 아도가 들어왔다. 왕은 이들을 위해 절을 세웠다.[7]

372년에는 유교 교육 기관인 태학을 설립하고,[6]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는 등[1] 문교 정책을 추진했다.

374년, 375년, 376년에는 백제를 공격했고, 378년에는 거란의 공격을 받았다.[9] 384년 사망하여 국내성 인근의 소수림에 묻혔다.[10]

2. 2. 1. 불교 수용

372년(소수림왕 2년) 6월, 전진의 왕 부견이 사신과 함께 승려 순도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 고구려에 처음 불교가 전래되었으며,[14] 374년에는 아도가 들어와 불도를 전하였다.

소수림왕은 375년 초문사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물게 하였으며, 이불란사를 창건하여 아도를 머물게 하는 등[14]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하는 정책을 펼쳤고, 불교를 호국사상으로 삼았다.

2. 2. 2. 태학 설립과 율령 반포

372년 귀족 자제들의 유학 교육 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설립하여[15] 유교적 정치이념에 충실하고 중앙집권적 정치 제도에 적합한 관리를 양성하였다.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16] 국가 통치와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한 규범을 갖추었다. 이 율령은 형법과 지역 관습을 포함한 제도화된 법 시스템이었다(율령|律令한국어).[1] 다만, 이 율령의 내용은 전혀 전해지지 않아 불분명하며, 종래의 고구려 관습법을 성문화한 것에 그쳤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소수림왕의 체제 정비는 광개토대왕 시대 고구려 전성기의 기반이 되었다.[1]

2. 2. 3. 대외 관계

371년 아버지 고국원왕백제 근초고왕평양성 공격으로 사망하면서 왕위에 오른 소수림왕은 이후 백제와 지속적으로 충돌하였다.[3] 375년(소수림왕 4년)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빼앗았으며,[17] 376년(소수림왕 5년) 음력 11월에는 백제의 3만 대군을 물리치고 북변(北邊)을 역습하였다.[18]

377년(소수림왕 6년) 백제 근구수왕이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을 재차 침공해 왔지만 막아내었고, 11월에 보복으로 백제를 정벌하였다.[19] (→여·제 전쟁) 378년(소수림왕 7년) 극심한 가뭄 속에서 거란의 침략을 받아 8개 부락을 빼앗기기도 했다.[20]

전연에 대패하고 백제와의 전쟁에서 왕을 잃는 등 군사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즉위한 소수림왕은 국력 회복에 힘썼다. 372년 전진부견이 보낸 승려 순도를 받아들였고, 375년 초문사를 창건하여 절을 세웠으며, 이후 고구려에 온 승려 아도를 위해 이불란사를 창건했다. 《삼국사기》는 이 절들의 창건을 한국 불교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372년 태학을 세워 유교 교육을 추진했고, 373년 율령을 반포하여 문교 정책에 힘썼다. 377년 전진에 조공하는 등 중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2. 3. 사망

384년(소수림왕 13년) 11월에 사망하였다. 후사가 없이 서거하여 아우인 이련(고국양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소수림(小獸林)에 묻혔으며 능묘에서 시호 소수림이 유래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고국원왕
어머니미상
왕후미상
동생고국양왕
할아버지미천왕
할머니주씨


4. 연표

소수림왕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11년12년13년14년
서력371년372년373년374년375년376년377년378년379년380년381년382년383년384년
단기2704년2705년2706년2707년2708년2709년2710년2711년2712년2713년2714년2715년2716년2717년
간지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기묘경진신사임오계미갑신


5. 대중 문화 속 소수림왕


  • 肖獸林王중국어을 다룬 작품은 다음과 같다.
  • * 2007년 MBC TV 드라마 《태왕사신기》에서 전성환이 연기했다.
  • * 2010년~2011년 KBS TV 드라마 《근초고왕》에서 진성과 정윤석이 연기했다.
  • * 김진명의 소설 《고구려》에서 소수림왕이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2016-02-01
[2] 웹사이트 King Gogukwon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2-01
[3]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2005
[4] 서적 World Monarchies and Dynasties Routledge 2015
[5] 서적 Korea - A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16-02-01
[6] 서적 The land of scholars :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Homa & Sekey books 2016-02-01
[7] 서적 Buddhism : a history https://books.google[...] Jain Pub. 2016-02-01
[8] 웹사이트 Koguryeo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2016-02-01
[9] 서적 Pre-modern East Asia: to 1800 :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oughton Mifflin 2006
[10] 뉴스 Of tombs and posthumous names http://mengnews.join[...] 2015-07-09
[11] 문서 삼국사기
[12] 문서 해동고승전
[13] 문서 삼국사기 권 제18, 고구려본기 제6, 고국원왕
[14] 서적 삼국사기
[15] 서적 삼국사기
[16] 서적 삼국사기
[17] 서적 삼국사기
[18] 서적 삼국사기
[19] 서적 삼국사기
[20] 서적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