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원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국원왕은 고구려의 제16대 왕으로, 미천왕의 아들이며 휘는 사유(斯由)이다. 314년에 태자로 책봉되어 331년에 즉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평양성 증축, 신성 및 환도성 축성 등 국방을 강화하고 동진에 사신을 파견하여 전연을 견제했다. 339년 전연의 공격으로 고전하여 조공을 바치고, 342년에는 모용황의 침략으로 왕모와 왕비를 포로로 잡히고 미천왕의 능묘가 훼손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전연에 신하를 자처하며 부왕의 유해와 왕모를 돌려받았고, 전연으로부터 책봉을 받기도 했다. 백제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영토를 상실하기도 했으며, 371년 백제의 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71년 사망 - 모용쇄해
모용쇄해는 토욕혼의 군주 엽연의 장남으로, 371년 엽연 사후 즉위하여 전진에 복속하고 국내 정치 혼란 속에 세자 시련이 섭정을 맡았으며, 재위 25년 만에 42세로 사망한 후 시련이 뒤를 이었다. - 371년 사망 - 탁발식
탁발식은 북위의 초대 황제 탁발규의 아버지이며, 탁발십익건의 적장자로서 태자에 봉해졌으나 부친을 향한 반란을 막다 사망하고 헌명황제로 추존되었다. - 고국원왕 - 소수림왕
고국원왕의 아들인 소수림왕은 즉위 후 불교 수용, 태학 설립, 율령 반포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전진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 백제와의 공방전과 거란의 침입에 대응하였다. - 고국원왕 - 평양 전투 (371년)
평양 전투 (371년)는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사건이며, 소수림왕 대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국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침류왕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384년 백제의 왕이 되었으며, 동진과의 외교를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고,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여 백제에 불교를 처음 전파하고 사찰을 건립했으나,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고국원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제16대 고구려 국왕 |
휘 | 사유(斯由) · 쇠(釗) |
별칭 | 국강상왕(國罡上王) |
시호 | 고국원(故國原) |
능묘 | 고국원(故國原) |
재위 기간 | 331년 2월 – 371년 11월 17일 (음력) |
왕실 | |
성 | 고(高) |
왕조 | 고구려 |
부친 | 미천왕 |
모친 | 왕후 주씨(周氏) |
형제자매 | 고무 |
배우자 | 미상 |
자녀 | 소수림왕, 고국양왕 |
왕세자 | |
재위 기간 | 314년 1월 – 331년 2월 (음력) |
전임자 | 태자 상부 |
후임자 | 태자 구부 |
즉위 | |
즉위일 | 331년 2월 |
사망 | |
사망일 | 371년 11월 16일 |
사망 장소 | 평양성 |
재위 | |
전임자 | 미천왕 |
후임자 | 소수림왕 |
업적 | |
주요 업적 | 환도성 수리 국내성 축조 평양성 증축 |
2. 생애
미천왕과 왕비 주씨(周氏)의 아들로, 언제 태어났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314년 봄 정월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331년 음력 2월에 미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334년에 평양성을 증축하였고, 335년에는 신성을 쌓았으며, 342년에는 환도성과 국내성을 증축하는 등 변경의 방비를 강화하였다. 또한 전연을 견제하기 위해 336년과 343년에 걸쳐 동진에 사신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369년에 2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백제를 공격했지만, 치양(황해남도 배천군)에서 패배했다. 371년 10월에는 반대로 백제의 근초고왕이 병사 3만 명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공해 왔고, 고국원왕은 방어에 힘썼지만, 10월 23일, 유시에 맞아 전사했다.
2. 1. 전연과의 전쟁
339년 전연(前燕)이 쳐들어와 고구려의 신성(新城)에 이르렀다. 고국원왕이 동맹을 청하자 전연은 물러갔다.[9] 이때 맺은 동맹 관계에 따라, 340년 전연에 조회하기도 하였다.[9] 342년 겨울, 모용황은 용성(龍城)으로 천도한 후,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로 쳐들어왔다. 모용황은 왕우가 이끄는 1만 5천의 소수 군대를 평탄한 북쪽 길로 보내고, 자신은 한수와 함께 5만 대군을 이끌고 험난한 남쪽 길을 택해 공격하는 기만전술을 썼다. 하지만 이를 알아채지 못한 고국원왕은 북쪽으로 왕제 무(武)가 이끄는 정병 5만을 파견하고, 자신은 소수의 군대로 남쪽을 지켰다. 결국, 남쪽 전투에서 크게 패한 고구려군 중에서 장군 아불화도가(阿佛和度加)가 전사하고, 환도성(위나암성)이 함락되었으며, 고국원왕은 단신으로 단웅곡(斷熊谷)으로 피신하였다.고국원왕을 추격한 전연군은 모후 주씨(周氏)와 왕비를 포로로 잡았으나, 북쪽 길에서 고국원왕의 동생 무(武)의 군대를 만나 크게 패하여 퇴각하였다. 전연군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 백성 5만 명을 잡아갔을 뿐만 아니라, 고국원왕의 부왕인 미천왕의 왕릉을 파헤쳐 미천왕의 시신까지 가져가는 만행을 저질렀다.
343년 고국원왕은 동생 무(武)를 보내 전연에 신하의 예를 갖추고, 부왕인 미천왕의 시신을 돌려받았으며,[9] 그 해 평양의 동황성(東黃城)으로 거처를 옮겼다.[9] 345년 전연이 모용각(慕容恪, ?~367)을 보내 남소성(南蘇城)이 함락되었으며,[9] 349년에는 전연의 망명자였던 송황(宋晃)을 전연으로 송환하였다.[9]
355년 고국원왕은 전연에 간청하여 모후 주씨(周氏)를 돌려받는 한편, 전연으로부터 정동대장군 영주자사 낙랑공 고구려왕(征東大將軍 營州刺史 樂浪公 高句麗王)에 책봉되었다. 이후 전연은 전진(前秦)의 공격을 받아 쇠퇴하였으며, 370년에 멸망하였다. 이때 고국원왕은 고구려로 도망쳐온 태부 모용평을 체포하여 전진에 송환함으로써, 전진과 우호관계를 수립하였다.[9]
2. 2. 백제와의 전쟁
369년, 고국원왕은 백제가 마한을 정복하러 간 틈을 타 보병과 기병 2만 명을 이끌고 치양성(雉壤城, 현 황해남도 배천군, 구 모로성)으로 진격하였다.[8] 그러나 근초고왕의 말굽을 상하게 한 죄로 고구려로 달아났던 백제인 사기(斯紀)가 다시 백제에 투항하여, 고구려군의 약점을 근초고왕의 태자 근구수에게 알려주었다. 이 정보로 인해 고구려의 주력 부대는 백제군의 집중 공격을 받고 5,000여 명의 피해를 입었으며, 고국원왕은 수곡성(水谷城: 지금의 황해도 신계군)까지 영토를 내주고 말았다.[8]371년, 고국원왕은 복수를 위해 군사를 일으켜 백제를 재침공하였다. 하지만 패하(浿河; 대동강) 강가에 군사를 매복한 근초고왕이 기습 공격을 해오자, 고구려군은 크게 패했다.[8] 기세를 탄 근초고왕은 같은 해 10월에 정예 군사 3만을 이끌고 평양성으로 진격해 왔고, 고구려군은 이를 어렵게 물리쳤으나 고국원왕은 전사하고 말았다.[8]
3. 가족 관계
4. 연표
고국원왕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
서력 | 331년 | 332년 | 333년 | 334년 | 335년 | 336년 | 337년 | 338년 | 339년 | 340년 | 341년 | 342년 | 343년 | 344년 | 345년 |
단기 | 2664년 | 2665년 | 2666년 | 2667년 | 2668년 | 2669년 | 2670년 | 2671년 | 2672년 | 2673년 | 2674년 | 2675년 | 2676년 | 2677년 | 2678년 |
간지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고국원왕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력 | 346년 | 347년 | 348년 | 349년 | 350년 | 351년 | 352년 | 353년 | 354년 | 355년 | 356년 | 357년 | 358년 | 359년 | 360년 |
단기 | 2679년 | 2680년 | 2681년 | 2682년 | 2683년 | 2684년 | 2685년 | 2686년 | 2687년 | 2688년 | 2689년 | 2690년 | 2691년 | 2692년 | 2693년 |
간지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고국원왕 | 31년 | 32년 | 33년 | 34년 | 35년 | 36년 | 37년 | 38년 | 39년 | 40년 | 41년 | ||||
서력 | 361년 | 362년 | 363년 | 364년 | 365년 | 366년 | 367년 | 368년 | 369년 | 370년 | 371년 | ||||
단기 | 2694년 | 2695년 | 2696년 | 2697년 | 2698년 | 2699년 | 2700년 | 2701년 | 2702년 | 2703년 | 2704년 | ||||
간지 | 신유 | 임술 | 계해 |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고국원왕(故國原王, ? ~ 371년, 재위: 331년 ~ 371년)은 미천왕의 아들로, 이름은 사유(斯由) 또는 초(釗)이다. (양서에는 유(劉)로 기록) 314년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331년 1월에 왕위에 올랐다.[8]
- 334년 8월, 평양성을 증축했다.
- 335년 1월, 북쪽에 신성을 쌓았다.
- 339년, 전연의 모용황에게 공격받아 신성이 위협받자 화친을 청했다.
- 340년부터 전연에 조공했다.
- 342년 2월, 환도산성을 수리하고 국내성을 축성했다. 8월에는 평양에서 국내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10월, 모용황의 침공으로 단신으로 피신했고, 왕모 주씨와 왕비가 포로로 잡혔으며, 미천왕의 능묘가 파헤쳐져 유해가 탈취되었다.
- 343년, 왕제를 사신으로 보내 전연에 신하를 맹세하고 보물을 공납하여 부왕의 유해를 되찾았다. 그러나 왕모는 인질로 잡혀 있었다.
- 355년 12월, 전연과 싸워 패배하여 고구려로 망명해 온 후조의 송황을 전연에 돌려보내고 왕모를 돌려받았다. 이때 모용준에게서 <정동장군·영주자사·낙랑공·고구려왕>에 봉해졌으며, 이는 고구려가 중국 왕조로부터 책봉을 받은 최초의 사례이다.
- 전진의 왕맹이 전연을 멸망시켰을 때, 도망쳐 온 연의 모용평을 잡아 전진에 보냈다.
- 369년, 2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백제를 공격했지만, 치양(황해남도 백천군)에서 패배했다.
- 371년 10월, 근초고왕이 이끄는 백제군 3만 명의 공격을 방어하다가 10월 23일, 유시에 맞아 전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고국원왕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6-06-08
[2]
웹사이트
King Gogukwon
https://web.archiv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2-01
[3]
서적
Koguryŏ =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Tongbuga Yŏksa Chaedan
2007
[4]
서적
Samguk Sagi
http://db.history.go[...]
2016-02-01
[5]
서적
Samguk Sagi
http://db.history.go[...]
2016-02-01
[6]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2005
[7]
웹사이트
King Geunchogo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16-06-13
[8]
문서
조선인물사전
[9]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표제어 '고국원왕'
https://web.archive.[...]
2013-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