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발칸 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발칸 제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고대 언어들을 지칭하며, 분류 및 하위 분류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일리리아어군, 메사피아어, 다키아·트라키아어파, 미시아어, 파이오니아어, 알바니아조어 등이 있으며, 그리스어, 프리기아어, 고대 마케도니아어 역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알바니아어는 일리리아어의 후손으로 여겨지나, 트라키아어 또는 다키아모에시아어파의 후손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고대 발칸 언어들은 언어적 혁신과 어휘적 원형을 공유하며,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발칸 제어 - 프리기아어
프리기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사멸된 언어로, 그리스어와 가장 밀접하며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와도 일부 특징을 공유하고, 기원전 8세기부터 서기 3세기까지 고프리기아어와 신프리기아어로 나뉘어 사용되었다. - 고대 발칸 제어 - 일리리아어
일리리아어는 고전 자료에 인용된 단어들을 통해 알려진 인도유럽어족의 고대 언어로, 자료 부족으로 인해 정확한 계통 분류는 불확실하지만 알바니아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 인도유럽어족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 인도유럽어족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고대 발칸 제어 | |
---|---|
개요 | |
유형 | 고대 언어 그룹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사용 지역 | 발칸 반도 |
사용 시기 | 기원전 |
비고 | 여러 개의 사멸된 언어와 단편적인 자료로 구성됨 |
언어 목록 | |
주요 언어 | 알바니아어 (일부 학설) 고대 마케도니아어 달마티아어 다키아어 일리리아어 리부르니아어 메사피아어 미시아어 파이오니아어 프리지아어 트라키아어 |
특징 | |
자료 부족 | 대부분 단편적인 비문이나 지명, 인명 등으로만 남아 있어 정확한 계통 분류가 어려움 |
언어 간 연관성 | 일부 언어는 서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증거 부족으로 확정하기 어려움 |
현대 언어 영향 | 알바니아어가 고대 발칸 언어의 후손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논쟁의 여지가 있음 |
논쟁 및 가설 | |
계통 분류 논쟁 | 고대 발칸 언어들의 정확한 계통 및 상호 관계에 대한 다양한 가설 존재 |
알바니아어 기원 논쟁 | 알바니아어가 다키아어, 일리리아어, 트라키아어 중 어떤 언어에서 유래했는지에 대한 논쟁 지속 |
참고 문헌 | |
참고 서적 | Fortson IV, Benjamin W. (2011).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2nd ed.). Wiley-Blackwell. Villar, Francisco (1996). *Los Indoeuropeos y los Orígenes de Europa*. Madrid: Gredos. |
웹사이트 | Indo-European Languages: Balkan Group: Albanian |
2. 분류
인도유럽조어에서 기원한 고대 발칸 언어는 여러 갈래로 분화되었으며, 크게 미분류 언어와 그리스프리기아어파로 나눌 수 있다.
- '''미분류'''
- 일리리아어군, 메사피아어, 다키아어, 트라키아어, 미시아어, 파이오니아어, 알바니아조어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 언어 간의 관계는 자료 부족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3]
최근 연구에서는 고대 발칸 언어를 언어 연합으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 외에, 공유된 인도유럽어 특징과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의 영향을 받은 어휘를 바탕으로 별개의 "발칸어군"을 제안하기도 한다.[27] 이 "발칸어군"은 아르메니아어, 그리스-프리지아어군, 일리리아어 (= 알바니아어 + 메사피아어)의 세 분기로 구성된다.[28]
2. 1.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조어에서 파생된 고대 발칸 지역의 언어들은 여러 갈래로 나뉜다.[33]- '''미분류'''
- 일리리아어군(고유명사학적 지역)
- 일리리아어(남동부 달마티아어)
- 중부 달마티아어
- 리부르니아어
- 메사피아어
- (?) 다키아·트라키아어파[34]
- 트라키아어
- (?) 다키아모에시아어파[35][36]
- 다키아어, 모에시아어, 게타이어[37]
- 미시아어
- 파이오니아어
- 알바니아조어[38][39][40](일리리아어군 또는 다키아트라키아어군의 일부이거나, 다른 미분류된 고대 발칸 제어 중 하나의 후손이라고 주장됨)
- (?) '''그리스프리기아어파'''[41]
- 그리스어파
- (?) 고대 마케도니아어[42][43]
- 그리스조어
- 고대 그리스어[33]
- (?) 프리기아어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파생된 고대 발칸 언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6]
- '알바니아어군', '일리리아어', '일리리아 복합체', '서부 고대 발칸', 또는 '아드리아해 인도유럽어'[7]
- 알바니아어
- 메사피아어
- (?) 일리리아어 (인명 지역)
- 일리리아 본토 (또는 남동 달마티아)[8]
- 중앙 달마티아 (또는 달마티아-판노니아)[8]
- (?) 리부르니아어[8]
- (?) 다코-트라키아어 ('다코-트라코-모에시아 복합체')[9]
- 트라키아어
- (?) 다코-모에시아어[10][11]
- 다키아어, 모에시아어, 게타이어[12]
- (?) 미시아어
- (?) 파에오니아어
- 그레코-프리지아어[13]
- 헬레니
- (?) 고대 마케도니아어[14][15]
- 그리스어
- 고대 그리스어 (특히 북부 방언)[6]
- 현대 그리스어
- 프리지아어 (? 아르메노-프리지아어 (프리지아어와 아르메니아어의 공통 조상)[16]
일리리아어는 자료 부족으로 인해 다른 인도유럽어 및 고대 발칸 언어와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연구가 진행 중이다. 켄툼어군 또는 사템어군 특성도 불분명하다. 일리리아어에 대한 정보는 고전 자료의 단어, 인명, 민족명, 지명, 수역명 등에서 얻을 수 있다.[17]
메사피아어는 이탈리아 반도에서 사용되었지만 고대 발칸 언어 지역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메사피아어와 일리리아어를 묶는 이론은 1세기 동안 제기되었지만, 증거 부족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이 이론은 고전 자료, 고고학, 지명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메사피아 물질 문화와 일리리아 물질 문화의 유사성, 일부 메사피아 인명의 일리리아어 유사 표현 등이 근거이다.[18]
일리리아어를 베네토어 및 리부르니아어와 묶는 것도 제안되었으나, 현재는 일리리아어가 이들과 상당히 다르다는 것이 중론이다.[19] 그러나 언어적 관련성은 배제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연구 중이다.
일리리아어를 다키아어, 트라키아어와 함께 트라코-일리리아어 분파로 묶거나,[20] 미시아어를 선호하여 다코-트라키아어 그룹에서 제외하는 가설도 있다.[21] 트라키아어의 분류 자체도 논쟁의 대상이다.
파에오니아어의 위치는 불분명하다.[22] 일부 언어학자들은 일리리아어 또는 트라키아어와 분리된 페오니아 지역을 인정하지 않는다. 반면, 프리기아어는 그리스어와 가장 가까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3]
고대 마케도니아어의 분류와 그리스어와의 관계도 연구 중이다. 마케도니아어는 도리스 그리스어의 변형이거나, 그리스어와 함께 헬레니크어군이라는 어족으로 묶이는 자매 언어일 수 있다.[24][25][26]
올란더(Olander)가 편집한 ''인도유럽어족(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의 "알바니아어(Albanian)"과 "아르메니아어(Armenian)" 챕터를 기반으로 한 고대 발칸 인도유럽어 분기는 다음과 같다.
"고대 발칸어"는 관습적으로 언어 연합으로 이해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공유된 인도유럽어 형태론적, 어휘적, 음성학적 혁신과 공통적인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으로부터의 공유된 어휘적 원형을 기반으로 한 별개의 "발칸어군" 인도유럽어 분기를 제안한다.[27] 발칸어군 하위 그룹은 현대 및 잘 증명된 고대 언어의 세 가지 분기, 즉 아르메니아어, 그리스-프리지아어군 (= 그리스어 + 프리지아어) 및 일리리아어 (= 알바니아어 + 메사피아어)로 구성된다. 일부 학자들은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가 독점적으로 공유하는 혁신은 후자 두 분기 사이의 더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며, 따라서 "그리스-알바니아어군" 분기로 통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28]
공유된 혁신에는 1인칭 단수 중동 수동 종결 ''*-mai''와 ''*ai̯ĝ-'' '염소', ''dʰeh1s-'' '신'과 같은 어휘적 혁신이 포함된다.[29] "염소"에 대한 단어는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 사이에서 독점적으로 공유되는 비(非) 인도유럽어 기원의 놀라운 공통 원형이다. 이 단어는 발토-슬라브어군과 인도-이란어군 사이에서 공유되는 원형의 비(非) IE 기층이 차용했던 제3의 출처로부터 차용했던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 언어로부터 이 언어들이 공통으로 사용했던 사전 단계에서 차용되었을 수 있다. 이는 오래된 문화적 단어로 간주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서로 다른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 언어로 천천히 전달되었고, 그 다음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로 구성된 "발칸어군"과 흑해 북쪽에 있는 발토-슬라브어군과 인도-이란어군으로 구성된 그룹 간의 인도유럽어 후기 언어적 및 지리적 분리를 반영하여 두 그룹의 인도유럽어 화자들이 독립적으로 채택했다.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에서 PIE 후기에 공통적인 진화와 의미론적 변화를 겪은 주목할 만한 PIE 어근은 PIE ''*mel-i(t)-'' '꿀'이며, 알바니아어 ''bletë'', 아르메니아어 ''mełu'', 그리스어 ''μέλισσα'', '벌'이 파생되었다.[30] 그러나 아르메니아어 용어는 PIE ''*médʰu'' '벌꿀술'의 영향으로 ''-u-''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그리스-알바니아어군 단어로부터 아르메니아어를 분리시키는 아르메니아어 혁신이다. 알바니아어와 그리스어 사이에서만 공유되는 농업 용어의 혁신적인 창조는 농업에 적응하기 위해 의미 변화를 통해 비(非) 농업 PIE 어근에서 형성되었다. 알바니아어와 그리스어에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마지막 공통 IE 조상에게만 확실하게 추적할 수 있으며, 원시 인도유럽어로까지 투영될 수 없다.[31]
3. 하위 분류 가설
일리리아어군은 인도유럽어족으로 여겨지는 언어 집단이지만,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나 (일리리아어군에서 분화되었을 수도 있는) 다른 고대 발칸 언어들과의 관계는 자료 부족으로 알기 어렵다. 일리리아어군 언어들은 종종 켄툼어로 취급되지만[44] 사템화의 단서도 보이기 때문에 확실한 것은 아니다.
메사피아어를 일리리아어와 하나로 묶는 가설은 거의 백 년 전에 제기되었지만 증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이 가설은 고전 문헌과 고고학 및 고유명사학적 증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메사피아인의 물질문화는 일리리아인의 물질문화와 몇 가지 유사한 점이 있다. 어떤 메사피아어 인명들은 그에 가깝게 대응하는 일리리아어 인명이 있다.[44]
이탈리아 동북부에서 쓰였던 베네티어와 리부르니아에서 쓰였던 리부르니어를 일리리아어와 묶는 가설도 제안된 바 있다. 현재 학계는 일리리아어가 베네티어나 리부르니어와 상당히 달랐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지만,[45] 언어학적으로 가까운 관계였다는 가설은 아직 기각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
또다른 가설에 따르면 일리리아어는 다키아어 및 트라키아어와 함께 트라키아일리리아어파를 이루며,[46] 그와 대립하는 가설은 일리리아어를 다키아트라키아어파에서 배제하고 대신 미시아어를 포함시킨다.[47] 트라키아어의 분류 자체도 논란과 불확실성이 큰 문제이다.
파이오니아어의 위치도 분명하지 않다.[48] 파이오니아어 연구로 밝혀진 것은 많지 않으며, 어떤 언어학자들은 일리리아어나 트라키아어 지역과 구분되는 파이오니아어 지역을 인정하지 않는다. 한편 프리기아어는 그리스어와 가까운 친척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49]
고대 마케도니아어의 분류와 그리스어와의 관계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고대 마케도니아어는 도리스 그리스어의 한 변이형이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두 언어가 지역적 언어동조대를 통해서만 서로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50]
3. 1. 알바니아어와의 관계
오늘날 언어학자들은 알바니아어가 그리스어가 아닌 발칸 지역의 고대 인도유럽어 중 하나에서 나왔다고 생각한다.[40] 언어학적인 근거뿐 아니라 역사적·지리적 근거를 고려할 때 알바니아어가 고전 고대에 현재의 알바니아와 거의 같은 지역(일리리아)에서 쓰인 일리리아어의 후손이라는 견해가 널리 퍼져 있다. 다른 가설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는 일리리아어보다 먼 동쪽에서 쓰였던 트라키아어나 다키아모에시아어파의 후손이라고 한다. 이 언어들에 관해 알려진 사실은 이러한 가설들을 증명하기에도 반박하기에도 부족한 실정이다.[51]3. 2. 기타 가설
일리리아어와 메사피아어를 하나로 묶는 가설은 거의 백 년 전에 제기되었지만 증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이 가설은 고전 문헌과 고고학 및 고유명사학적 증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메사피아인의 물질문화는 일리리아인의 물질문화와 몇 가지 유사한 점이 있으며, 어떤 메사피아어 인명들은 그에 가깝게 대응하는 일리리아어 인명이 있다.[44]이탈리아 동북부에서 쓰였던 베네티어와 리부르니아에서 쓰였던 리부르니어를 일리리아어와 묶는 가설도 제안되었다. 현재 학계는 일리리아어가 베네티어나 리부르니어와 상당히 달랐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지만,[45] 언어학적으로 가까운 관계였다는 가설은 아직 기각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
또 다른 가설에 따르면 일리리아어는 다키아어 및 트라키아어와 함께 트라키아일리리아어파를 이루며,[46] 그와 대립하는 가설은 일리리아어를 다키아트라키아어파에서 배제하고 대신 미시아어를 포함시킨다.[47] 트라키아어의 분류 자체도 논란과 불확실성이 큰 문제이다.
파이오니아어의 위치도 분명하지 않다.[48] 파이오니아어 연구로 밝혀진 것은 많지 않으며, 어떤 언어학자들은 일리리아어나 트라키아어 지역과 구분되는 파이오니아어 지역을 인정하지 않는다. 한편 프리기아어는 그리스어와 가까운 친척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49]
고대 마케도니아어의 분류와 그리스어와의 관계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고대 마케도니아어는 도리스 그리스어의 한 변이형이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두 언어가 지역적 언어동조대를 통해서만 서로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50]
4. 발칸 인도유럽어
고대 발칸 언어 지역은 인도유럽조어에서 파생된 여러 언어들이 얽혀 있는 지역이다.[33] 이 지역에는 여러 언어군이 존재하는데, 크게 미분류된 언어들과 그리스프리기아어파로 나눌 수 있다.
미분류된 언어에는 일리리아어군, 메사피아어, 다키아·트라키아어파, 미시아어, 파이오니아어, 알바니아조어 등이 있다.[33] 일리리아어군은 자료 부족으로 인해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44] 메사피아어는 일리리아어와 함께 묶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증명되지 않았다.[44] 베네티어와 리부르니어를 일리리아어와 묶는 가설도 연구 중이다.[45] 다키아어와 트라키아어는 트라키아일리리아어파를 이룬다는 가설[46]과 미시아어를 포함하는 다키아트라키아어파에서 일리리아어가 배제된다는 가설[47]이 대립한다. 파이오니아어의 위치[48], 고대 마케도니아어와 그리스어와의 관계[50]도 논쟁 중이다. 알바니아어는 일리리아어, 트라키아어, 다키아모에시아어파 중 하나의 후손이라는 가설이 있으나, 증명되거나 반박되지 않았다.[51]
그리스프리기아어파에는 그리스어파와 프리기아어가 속한다.[41] 프리기아어는 그리스어와 가까운 친척이었을 가능성이 높다.[49]
최근 연구에서는 공유된 인도유럽어 형태론적, 어휘적, 음성학적 혁신과 공통적인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으로부터 공유된 어휘적 원형을 기반으로 한 별개의 "발칸어군" 인도유럽어 분기가 제안된다.[27] 이 발칸어군 하위 그룹은 아르메니아어, 그리스-프리지아어군, 일리리아어 (= 알바니아어 + 메사피아어)로 구성된다.
4. 1. 그리스-알바니아어군 가설
일부 학자들은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가 독점적으로 공유하는 혁신은 두 언어 분파 사이의 더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며, 따라서 "그리스-알바니아어군" 분기로 통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28]공유된 혁신에는 1인칭 단수 중동 수동 종결 ''*-mai''와 ''*ai̯ĝ-'' '염소', ''dʰeh1s-'' '신'과 같은 어휘적 혁신이 포함된다.[29] "염소"에 대한 단어는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 사이에서 독점적으로 공유되는 비(非) 인도유럽어 기원의 놀라운 공통 원형이다. 이 단어는 발토-슬라브어군과 인도-이란어군 사이에서 공유되는 원형의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 언어가 차용했던 제3의 출처로부터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언어들이 공통으로 사용했던 이전 단계에서 차용되었을 수 있으며, 오래된 문화적 단어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비(非) 인도유럽어 기층 언어로 천천히 전달되었고, 그 다음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로 구성된 "발칸어군"과 흑해 북쪽에 있는 발토-슬라브어군과 인도-이란어군으로 구성된 그룹 간의 인도유럽어 후기 언어적 및 지리적 분리를 반영하여 두 그룹의 인도유럽어 화자들이 독립적으로 채택했다.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에서 인도유럽조어(PIE) 후기에 공통적인 진화와 의미론적 변화를 겪은 주목할 만한 PIE 어근은 PIE ''*mel-i(t)-'' '꿀'이며, 여기서 알바니아어 ''bletë'', 아르메니아어 ''mełu'', 그리스어 ''μέλισσα'' ('벌')가 파생되었다.[30] 그러나 아르메니아어 용어는 PIE ''*médʰu'' '벌꿀술'의 영향으로 ''-u-''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그리스-알바니아어군 단어로부터 아르메니아어를 분리시키는 아르메니아어의 혁신이다. 알바니아어와 그리스어 사이에서만 공유되는 농업 용어의 혁신적인 창조는 농업에 적응하기 위해 의미 변화를 통해 비(非) 농업 PIE 어근에서 형성되었다. 알바니아어와 그리스어에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그들의 마지막 공통 인도유럽어 조상에게만 확실하게 추적할 수 있으며, 원시 인도유럽어로까지 소급될 수는 없다.[31]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7-12-18
[7]
간행물
[8]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1
[9]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rakite i technijat ezik
https://books.googl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1977
[12]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Wiley-Blackwell
[13]
서적
Bilingualism in Ancient Society: Language Contact and the Written Tex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4]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Routledge
[15]
서적
Balkan Sprachbund Morpho-Syntactic Features
Springer
[16]
웹사이트
The Problem of the Mushki
http://rbedrosian.co[...]
2011-08-25
[17]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7-05-24
[18]
서적
Messapisch
https://books.google[...]
Dr Ludwig Reichert Verlag
[19]
문서
The Illyrians
[20]
문서
"Pre-Slavic and Pre-Romance Place-Names in Southeast Europe."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racology'
Sofia, Bulgarian Institute of Thracology – Europa Antiqua Foundation –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1]
문서
Raporturile dintre limbile dacă, tracă şi frigiană
"Studii Clasice" Journal
[22]
웹사이트
Paeonia
https://www.britanni[...]
2020-05-03
[23]
문서
"Le Phrygien"
CNRS Editions
[24]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4-01-29
[25]
백과사전
"[Ancient] Macedonian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H. W. Wilson Company
2001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웹인용
Indo-European Languages: Balkan Group: Albanian
http://www.utexas.ed[...]
Linguistics Research Center of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2-09-08
[33]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7-12-18
[34]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서적
Trakite i technijat ezik
https://books.googl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1977
[37]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Wiley-Blackwell
[38]
서적
A Concise Historical Grammar of the Albanian Language: Reconstruction of Proto-Albanian
https://books.google[...]
Brill
2000
[39]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Albanian for Students of Indo European
http://mudrac.ffzg.u[...]
[40]
서적
[41]
서적
Bilingualism in Ancient Society: Language Contact and the Written Tex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2]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Routledge
[43]
서적
Balkan Sprachbund Morpho-Syntactic Features
Springer
[44]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7-05-24
[45]
서적
The Illyrians
[46]
간행물
Pre-Slavic and Pre-Romance Place-Names in Southeast Europe
2002
[47]
간행물
Raporturile dintre limbile dacă, tracă şi frigiană
[48]
웹인용
Paeonia ! historical region
https://www.britanni[...]
2020-05-03
[49]
문서
Le Phrygien
CNRS Editions
[50]
백과사전
'[Ancient] Macedonian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