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 김씨는 소가야를 건국한 김말로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김말로는 김수로왕과 함께 구지봉에서 탄생한 여섯 동자 중 막내로, 고성(固城)을 본관으로 삼았다. 고성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과거 고자미동국 또는 고사포국이었으며 신라 시대에 고성군으로 개칭되었다. 고성 김씨는 정랑공파, 판서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주요 인물로는 김윤화, 김빈길, 김경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고성 김씨 정보 | |
| 성씨 | 고성 김씨 |
| 한자 표기 | 固城金氏 |
| 관향 | 경상남도 고성군 |
| 시조 | 김말로(金末露) |
| 집성촌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금월리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월량리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덕림리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덕정리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슬항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만수리 |
| 인물 | 김빈길 |
| 년도 | 2000 |
| 인구 | 11,888명 |
| 순위 | 278 |
| 나라 | 한국 |
2. 연원
고성 김씨(固城金氏)의 시조는 6가야국 중 소가야를 건국한 김말로이다. 김말로는 김수로왕과 함께 구지봉에서 탄강한 여섯 동자 중 막내로 금란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김씨 성을 갖게 되었고, 도읍지가 지금의 경상남도 고성이므로 본관을 고성으로 정하였다고 한다. 소가야는 460여 년간 지속되어 오다가 502년 소가야 제9대 이형왕 29년에 신라에 항복하여 해도군영자치를 설치하고 스스로 총통이 되어 4대에 걸쳐 해도군영자치를 하였으나, 656년(무열왕 3)에 신라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고성(固城)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변한의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또는 고사포국(古史浦國)이었다. 737년(신라 효성왕)에 신라에 흡수되어 고자군(古自郡)으로 불리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고성군(固城郡)으로 바뀌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고주(固州)로 확장되었고 후에 철성부(鐵城府)로 승격되었다가, 1018년(현종 9) 고성현으로 강등되었다. 1266년(세조 3) 지주사(知州事)로 승격되었으며, 공민왕 때 현령을 파견한 후 지속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진주목 고성현의 토성으로 이(李)·채(蔡)·박(朴)·김(金)·남(南) 5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 경상남도 고성군이 되었다.
고성 김씨는 크게 정랑공파, 판서공파, 연파공파, 초당공파, 소경공파, 상지공파로 분파된다. 각 분파의 파조는 다음과 같다.
3. 본관
4. 분파
파명 파조 정랑공파(正郞公派) 김원량(金原亮) 판서공파(判書公派) 김희량(金希亮) 연파공파(蓮派公派) 김문량(金文亮) 초당공파(草堂公派) 김인길(金仁吉) 소경공파(少卿公派) 김성겸(金成謙) 상지공파(相之公派) 김형겸(金亨謙)
4. 1. 분파도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9세 | 10세 | 11세 | 12세 | 13세 | 14세 | 15세 |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
| 말로왕(末露王) | 대아왕(大阿王) | 미추왕(味鄒王) | 소간왕(小干王) | 아도왕(阿島王) | 화노왕(叱駑王) | 차아왕(車阿王) | 달나왕(達拏王) | 이형왕(而衡王) | 김천보(金天寶) | 김의쟁(金義凈) | 김제원(金濟元) | 김형수(金亨秀) | 김현(金弦) | 김라형(金羅衡) | 김정권(金貞權) | 김양(金陽) | 김이철(金爾鐵) | 김승철(金承哲) | 김종달(金宗達) | 김규(金圭) | 김화보(金華保) | 김택경(金澤瓊) | 김호준(金豪俊) | 김치연(金侈連) | 김춘원(金春元) | 김지겸(金之鎌) | 김윤경(金允卿) | 김남정(金南正) | 김규(金糾) |
| 김주(金輳) | |||||||||||||||||||||||||||||
| 김수(金隨) | |||||||||||||||||||||||||||||
| 27세 | |||||||||||||||||||||||||||||
| 김성겸(金成謙) 소경공파(少卿公派) | |||||||||||||||||||||||||||||
| 김형겸(金亨謙) 상지공파(相之公派) | |||||||||||||||||||||||||||||
| 27세 | |||||||||||||||||||||||||||||
| 김미(金彌) | |||||||||||||||||||||||||||||
| 28세 | |||||||||||||||||||||||||||||
| 김빈길(金贇吉) | |||||||||||||||||||||||||||||
| 29세 | |||||||||||||||||||||||||||||
| 김원량(金原亮) 정랑공파(正郞公派) | |||||||||||||||||||||||||||||
| 김희량(金希亮) 판서공파(判書公派) | |||||||||||||||||||||||||||||
| 김문량(金文亮) 연파공파(蓮派公派) | |||||||||||||||||||||||||||||
| 28세 | |||||||||||||||||||||||||||||
| 김인길(金仁吉) 초당공파(草堂公派) | |||||||||||||||||||||||||||||
| 27세 | |||||||||||||||||||||||||||||
| 김필(金弼) |
5. 항렬자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
| ○석(錫), ○진(鎭) | 원(源), ○수(洙) | 상(相), ○식(植) | 병(炳), 성(性) | ○희(熹), ○규(奎) | 선(善), 경(庚) | ○구(求), ○수(洙) | 영(榮), 동(東) | ○찬(燦), ○환(煥) | 중(重), 재(在) | ○용(鎔), ○호(鎬) | 홍(洪), 영(永) | ○식(植), ○근(根) | ○현(炫), ○경(炅) | ○재(載), ○배(培) | ○석(錫), ○종(鍾) |
6. 주요 인물
- 김윤화(金潤華): 고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삼중대광, 금자광록대부에 올랐다. 추밀원 지주사로 고령백(固寧伯)에 봉해졌다.
- 김빈길(金贇吉): 호는 죽강(竹崗)이며, 삼도수군도절제사를 지내고 낙안읍성을 축성하여 왜구를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다. 시호는 양혜(襄惠)이다.[1]
- 김경현(金慶賢): 이시애가 반란을 일으키자 좌대장 어유소의 종사관으로 공을 세워 함길도 순무중군을 역임하고 가선대부에 올랐다.[1]
- 김우추(金遇秋): 임진왜란 때 왜적을 크게 무찔러 수문장에 오른 월촌(月村) 김사홍(金仕弘)과 숙종 때 평해군수를 거쳐 순천부사를 지냈다.[1]
- 김봉섭(金鳳燮): 한말에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국운을 한탄하며 오대산에 은둔하였다.[1]
- 김중오(金重五): 보통학교를 설립하여 민족정신을 고취시키다가 한일합방이 되자 격분함을 이기지 못해 애사(哀死)하였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