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극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극률은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비율로 정의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공극률은 이상 유동, 지구과학, 건설 분야에서 물질 내 빈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암석이나 퇴적물의 물이나 탄화수소 함유량 추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극률은 공극비와의 관계를 통해 상호 변환이 가능하며, 입도 분포, 수리 전도도, 암석 및 토양 유형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갖는다. 섬유 및 재료 과학에서도 공극률은 중요한 특성으로, 주조 공극률과 같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나타낸다. 공극률은 직접법, 광학적 방법, 전산 단층 촬영, 함침법, 수은 압입법, 기체 팽창법 등 다양한 측정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지질학 - 대수층
    대수층은 지하수를 함유하는 투수성이 높은 지질층으로, 강수나 지표수의 침투를 통해 충전되며, 피압대수층과 비피압대수층으로 구분되는 중요한 담수 자원이지만, 과도한 개발 및 오염으로 고갈 문제가 심각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수리지질학 - 수문지질학
    수문지질학은 지하수의 흐름을 다루는 지구과학 분야로, 다르시 법칙과 같은 수학적 관계를 통해 설명되며, 대수층 시험을 통해 대수층 시스템의 미래 행동을 예측하고 지하수 오염 문제 해결 및 지하수 공학의 새로운 동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대수층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 대수층 - 지하수 오염
    지하수 오염은 유해 물질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다양한 오염 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한다.
  • 토질역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 토질역학 - 점토
    점토는 2~5µm 이하의 미세한 토양 입자로, 층상 규산염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르고, 가소성과 소성능력, 흡착성, 이온 교환 능력을 활용하여 건축,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특정 점토는 토목 공사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공극률
개요
종류물질
성질다공성
정의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의 부피 비율
기호Φ, n
단위무차원
범위0-1
설명
특징다공성 물질의 특징을 나타내는 지표
토양, 암석, 세라믹, 금속, 생체 조직 등 다양한 물질에 적용 가능
적용 분야토양학: 토양의 수분 보유력, 통기성 평가
지질학: 암석의 석유, 가스 저장 능력 평가
재료공학: 세라믹, 금속의 강도, 투과성 조절
생체공학: 생체 조직의 약물 전달, 세포 성장 환경 조성
측정 방법기체 투과법
수은 압입법
이미지 분석법
계산공극률 = (전체 부피 - 고체 부피) / 전체 부피 = 공극 부피 / 전체 부피
추가 설명액상률(수분율)과 기상율(공기율)의 합으로, 토양의 입자 밀도와 전용적 밀도로부터 계산함

2. 정의 및 용어

공극률은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비율로 정의된다. 한국에서는 주로 '공극률'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일본 자료에서는 여러 용어가 사용된다. 『과학 대사전』[10] 및 『물리학 사전』[11]에서는 일반적인 다공질 고체에 대해서는 '다공도', 분체에 대해서는 '공극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JIS에서는 다공질 고체를 중심으로 '기공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토양에 관해서는 '공극률' 외에도 '간극률'이나 '간극비'가 사용된다.[10][12]

JIS 용어집에서의 포로시티의 동의어
용어대상
기공률소결체[14][15], 세라믹스[16], 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코크스[18], 박막[19], 그 외[20]
공극률금속 미립자[21], 박막[24], 그 외[22][23]
공공률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박막[24]
간극률토양[25]
공극률암석(저류암)[26]
다공도박막[19], 그 외[27]
다공률박막[19], 도금면[28]
보이드율기액 2상 유동[29], 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공극은 연결 유무에 따라 유효 공극(개방 공극)과 비효율적 공극(폐쇄 공극)으로 구분된다. 단순히 기공률이라고 할 때는 모든 기공의 체적을 고려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기공을 통한 액체의 침투나 기체 분자의 흡착을 문제로 삼는 경우에는, 물질 표면에 개구된 기공(공극)만을 세는 '개방 기공률'[30]이나 '유효 공극률'[26][33] 등의 양도 사용된다. 분체에서는 입자 간의 공간을 '공간율'(void fraction영어)로 나타내며, 입자 내의 세공을 포함한 공극률(porosity영어)과 구분한다.[31]

직물에서는 공극률을 공기 흐름에 대한 투영 면적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있다.[32]

2. 1. 공극비와 공극률의 관계

공극비 e와 공극률 n은 다음 식을 통해 서로 변환할 수 있다.[1]

:n=\frac{e}{1+e}\times 100(\%)

3.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극률

공극률은 다양한 학문 및 산업 분야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개념이다.

일본에서는 공극률을 나타내는 용어가 통일되지 않아, 분야에 따라 다른 용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공질 고체에는 '다공도', 분체에는 '공극률', JIS에서는 '기공률'이 주로 사용된다. 토양과 관련해서는 '공극률', '간극률', '간극비' 등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포로시티'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10][11][12][13]

다음 표는 JIS 용어집에서 포로시티의 동의어를 정리한 것이다.

JIS 용어집에서의 포로시티의 동의어
용어대상
기공률소결체[14][15], 세라믹스[16], 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코크스[18], 박막[19], 그 외[20]
공극률금속 미립자[21], 박막[24], 그 외[22][23]
공공률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박막[24]
간극률토양[25]
공극률암석 (저류암)[26]
다공도박막[19], 그 외[27]
다공률박막[19], 도금면[28]
보이드율기액 2상 유동[29], 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일반적으로 기공률은 모든 기공의 체적을 고려하지만, 액체의 침투나 기체 분자의 흡착과 관련해서는 물질 표면에 열려 있는 기공만을 고려하는 '개방 기공률'[30]이나 '유효 공극률'[26][33]이 사용되기도 한다. 분체에서는 입자 간 공간을 '공간율'(void fraction영어)로 나타내며, 입자 내 세공을 포함하는 공극률(porosity영어)과 구분한다.[31]

직물에서는 공극률을 공기 흐름에 대한 투영 면적으로 정의하기도 한다.[32]

3. 1. 이상 유동에서의 공극률 (보이드율)

기체-액체 이상 유동에서 공극률(보이드율)은 유동 채널 부피에서 기체 상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채널의 단면적에서 기체 상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된다.[2]

공극률은 일반적으로 유동 채널의 위치에 따라 다르며 (이상 유동 패턴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동하므로, 보통 시간 평균값을 사용한다. 분리된 (즉, 균질하지 않은) 유동에서 공극률은 기체 및 액체 상의 체적 유량과 두 상의 속도 비율(이를 ''슬립비''라고 함)과 관련이 있다. 기액 이상 유동에서는 유로 체적에서 기상 체적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유로 단면적에서 기상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이드율'''이라고 한다.[29] 보이드율은 유로 내 위치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며 (이상 유동의 흐름 패턴에 의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하므로 시간 평균값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상이 분리된 흐름(불균일 흐름)에서는 보이드율은 기상 및 액상의 체적 유량, 그리고 양상의 속도비(미끄럼비)에 영향을 받는다.

3. 2. 지구과학 및 건설 분야에서의 공극률

지질학, 수문지질학, 토양학, 건축 과학에서 공극률은 암석이나 퇴적물과 같은 다공성 물질 내 빈 공간의 비율을 의미하며, 이 빈 공간에는 공기나 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극률은 다음 비율로 정의된다.[3]

:\phi = \frac{V_\mathrm{V}}{V_\mathrm{T}}

여기서 ''V''V는 빈 공간(예: 유체)의 부피이고, ''V''T는 고체 및 빈 공간을 모두 포함한 전체 부피이다. 공극률을 나타내는 기호로는 \phin이 사용된다.

공극률은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화강암과 같은 치밀한 암석에서는 0.005 미만, 이탄점토에서는 0.5 이상으로 나타난다.

암석 또는 퇴적층의 공극률은 물이나 탄화수소의 최대 함유량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퇴적물의 공극률은 매몰 속도, 매몰 깊이, 공생 유체의 성분, 상부 퇴적물의 성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Athy(1930)는 공극률과 깊이 사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감소하는 지수 함수식으로 제시하였다.[3]

:\phi(z) = \phi_0 e^{-kz}\,

여기서, \phi(z)는 주어진 깊이(z) (m)에서의 공극률, \phi_0는 토양 표면에서의 초기 공극률, k는 압밀 계수(m−1)이다.

공극률은 겉보기 밀도(\rho_{\text{bulk}}), 포화 유체 밀도(\rho_{\text{fluid}}), 입자 밀도(\rho_{\text{particl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도 있다.

:\phi = \frac{\rho_{\text{particle}} - \rho_{\text{bulk}}}{\rho_{\text{particle}} - \rho_{\text{fluid}}}

빈 공간이 공기로 채워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식을 사용할 수 있다.

:\phi = 1-\frac{\rho_{\text{bulk}}}{\rho_{\text{particle}}}

일반적으로 평균 입자 밀도는 약 2.65 g/cm3 (실리카, 규질 퇴적물 또는 골재) 또는 2.70 g/cm3 (방해석, 탄산염 퇴적물 또는 골재)으로 간주되지만, 입자의 암석학을 검토하여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3. 2. 1. 공극률과 수리 전도도

공극률은 수리 전도도(투수 계수)에 비례할 수 있다. 두 개의 유사한 모래 대수층의 경우, 공극률이 더 높은 대수층이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리 전도도를 갖지만, 이 관계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다. 주요 요인은 공극률과 수리 전도도 사이에 직접적인 비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기공 목의 반경과 수리 전도도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공 목 반경과 기공 부피 사이에도 비례 관계가 있는 경향이 있다. 기공 목 반경과 공극률 사이에 비례 관계가 존재하면 공극률과 수리 전도도 사이에 비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입자 크기 또는 분류가 감소함에 따라 기공 목 반경과 공극률 간의 비례 관계가 무너지기 시작하고, 따라서 공극률과 수리 전도도 사이의 비례 관계도 무너진다. 예를 들어, 점토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수리 전도도(작은 기공 목 반경 때문)를 갖지만 매우 높은 공극률(점토 광물의 구조적 특성 때문)을 갖는데, 이는 점토가 부피당 많은 양의 물을 담을 수 있지만 물을 빠르게 방출하지 않으므로 낮은 수리 전도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10][12][33]

3. 2. 2. 입도 분포와 공극률

입도 분포가 양호한(입자가 대략 한 가지 크기인) 물질은 입도 분포가 불량한 물질(작은 입자가 큰 입자 사이의 틈을 채우는 경우)보다 높은 공극률을 갖는다. 작은 입자가 큰 입자 사이의 공극을 채우기 때문이다. 이는 전체 물질 부피의 작은 부분에 불과하더라도, 작은 입자가 공극을 효과적으로 채워 공극률과 수리전도도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10][12][33]

3. 2. 3. 암석 및 토양의 공극률

암석이나 퇴적물 등 입자 사이의 빈 공간(void영어)은 물이나 공기가 침투하기 때문에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질학, 수문지질학, 토양학, 건축과학에서는 이러한 물질에서 공극 체적의 비율을 '''공극률'''[10][12](또는 '''간극률'''[33])이라고 부른다.

고결암(사암, 셰일, 화강암, 석회암 등)은 충적 퇴적물보다 복잡한 이중 공극률(dual porosity영어)을 가질 수 있다. 이 물질들의 공극률은 연결 공극률(connected porosity영어)과 고립 공극률(unconnected porosity영어)로 나뉜다. 연결 공극률은 암석에 액체나 기체가 침투하는 양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고립 공극은 그렇지 않다.

공극률은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비율이며, 암석의 종류, 공극의 분포, 교결(en영어), 속성 작용, 압밀 등에 영향을 받는다. 입자 간 공간의 체적비는 입자의 충전 방법에만 영향을 받으므로, 공극률은 입자의 평균 직경에 의존하지 않는다.

암석의 나이나 매몰 깊이가 증가하면 공극률은 감소한다. 신생대 사암은 일반적으로 캄브리아기 사암보다 공극률이 높지만, 매몰 깊이나 열적 이력 등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다.

표토는 입경이 작아질수록 공극률이 증가한다. 입자가 고운 표토일수록 토양 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받아 입단구조를 형성하지만, 입단구조는 토양 입자의 접착 때문에 압밀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사질토의 가비중은 보통 1.5g/cm3~1.7g/cm3이며, 이는 공극률 0.43~0.36에 해당한다. 점토 토양에서는 가비중 1.1g/cm3~1.3g/cm3, 공극률 0.58~0.51이 일반적이다. 점토가 "무거운" 것은 공극률이 낮아서가 아니라 함수율이 높기 때문이며, "무거움"은 경작 도구로 점토질 토양을 갈아엎는 데 필요한 힘이 사질토보다 크다는 것을 뜻한다.

하층토에서는 중력에 의한 압밀 때문에 공극률이 표토보다 낮다. 생물교란이 발달한 표토(biomantle) 아래의 분급이 좋지 않은 쇄설물에서는 공극률이 0.20 정도이다. 토양 생성 과정에서 입단 형성 작용을 받지 않는 깊이의 입경이 작은 물질은 대체로 이와 비슷한 공극률을 갖는다.

토양의 공극률은 복잡하다. 기존 모델은 공극률을 공간적으로 균일하다고 간주하지만, 토양의 불규칙한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근사적인 결과만 얻을 수 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을 모델에 포함시키기 어렵다. 프랙탈, 기포 이론, 갈라진 틈 이론, 부울 입자화 과정(en), 구충전 등 더 복잡한 모델도 많이 제안되었다. 관련 개념으로 공극 구조 분석(:en:Pore space in soil)이 있다.

3. 3. 공극률의 유형 (지질학적 관점)

암석 또는 퇴적물과 같은 다공성 매질에서, 1차 공극률은 암석 또는 퇴적물이 생성될 때 형성된 원래의 공극을 의미한다. 반면 2차 공극률은 암석 생성 이후에 화학적 용탈이나 균열 생성과 같은 과정을 통해 발생한 공극을 말한다.[3]

  • 1차 공극률: 암석 또는 비제한 충적 퇴적물에서 주된 또는 원래의 공극 시스템이다.

  • 2차 공극률: 암석에서 발생하는 후속 또는 별도의 공극 시스템으로, 암석의 전체 공극률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많다. 광물의 화학적 용탈 또는 균열 시스템의 생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1차 공극률을 대체하거나 공존할 수 있다.

  • 균열 공극률: 균열 시스템 또는 단층과 관련된 공극률이다. 1차 공극률이 파괴되거나(예: 매몰 깊이) 일반적으로 저류암으로 간주되지 않는 암석 유형(예: 화성 관입 또는 변성 퇴적암)에 2차 공극률을 생성하여 탄화수소 저류암이 아닌 암석을 탄화수소 저류암으로 만들 수 있다.

  • 공동 공극률: 큰 특징(예: 거대 화석)이 탄산염암에서 용해되어 큰 구멍, 공동 또는 심지어 동굴을 남김으로써 생성된 2차 공극률이다.

  • 유효 공극률 (개방 공극률): 유체 흐름이 실제로 발생하는 총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며, 현수선 및 막힌 공극을 포함하고 닫힌 공극(또는 연결되지 않은 공동)은 제외한다.[4] 지하수 및 석유 흐름뿐만 아니라 용질 수송에도 매우 중요하다.

  • 비효율적 공극률 (폐쇄 공극률): 유체 또는 가스가 존재하지만 유체 흐름이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없는 총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며, 닫힌 공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극률의 형태를 이해하는 것은 지하수 및 석유 흐름에 매우 중요하다.

  • 이중 공극률: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겹치는 저류층이 있다는 개념을 나타낸다. 균열 암반 대수층에서 암석 덩어리와 균열은 종종 겹치지만 별개의 두 개의 물체로 시뮬레이션된다.

  • 공극 크기에 따른 분류 (IUPAC 기준):

공극 종류직경
거대 공극률50 nm 초과
중간 공극률2 nm ~ 50 nm
미세 공극률2 nm 미만


4. 섬유 및 재료 과학에서의 공극률

바람이 "인식하는" 구멍과 고체의 비율을 의미하며, 공기역학적 공극률은 구멍의 수축 정도에 따라 시각적 공극률보다 작다.

주조 공극률은 용융 금속 온도에서 오염 물질의 가스화, 용융 금속 응고 시 발생하는 수축, 예상치 못한 또는 제어되지 않은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로 인해 나타난다.[10]

공극률은 다이캐스팅 제조에 내재되어 있지만, 압력 무결성이 중요한 특성인 경우 부품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극률은 상호 연결된 미세 공극률, 접힘, 개재물에서 부품 표면에 보이는 매크로 공극률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극률의 최종 결과는 부품이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게 하는 주조 벽을 통한 누출 경로의 생성이다. 공극률은 또한 도장 과정에서 가스 방출, 도금 산의 침출 및 가공 압착 금속 부품의 공구 떨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직물에서는 공극률을 공기 흐름에 대한 투영 면적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있다.[32]

공극률에 대한 일본어 번역어는 통일되어 있지 않아, 분야에 따라 다양한 용어가 사용된다. 『과학 대사전』(마루젠) 및 『물리학 사전』(배풍관)에서는, 일반적인 다공질 고체에 대해서는 '''다공도''', 입자가 집적된 분체에 대해서는 '''공극률'''의 번역어를 사용하고 있다. 일본 산업 규격에서는 다공질 고체를 중심으로 '''기공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외에도 아래 표와 같은 예가 있다.

JIS 용어집에서의 포로시티의 동의어
용어대상
기공률소결체,[14][15] 세라믹스,[16] 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코크스,[18] 박막,[19] 그 외[20]
공극률금속 미립자,[21] 박막,[24] 그 외[22][23]
공공률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박막[24]
간극률토양[25]
공극률암석 (저류암)[26]
다공도박막,[19] 그 외[27]
다공률박막,[19] 도금면[28]
보이드율기액 2상 유동,[29] 금속 기반 복합 재료[17]



단순히 기공률이라고 할 때는 모든 기공의 체적을 고려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기공을 통한 액체의 침투나 기체 분자의 흡착을 문제로 삼는 경우에는, 물질 표면에 개구된 기공(공극)만을 세는 '''개방 기공률'''[30]이나 '''유효 공극률'''[26][33] 등의 양도 사용된다. 분체에서는 입자 간의 공간을 '''공간율'''(void fraction|보이드율영어)로 나타내며, 입자 내의 세공을 포함한 공극률(porosity|포로시티영어)과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31]

5. 공극률 측정 방법

다음은 공극률을 측정하는 여러 방법들이다:


  • '''직접법''': 다공성 시료의 전체 부피와 공극을 제외한 골격 물질의 부피를 측정한다. 공극 부피는 전체 부피에서 골격 물질 부피를 뺀 값이다.[6]

  • '''광학적 방법''': 현미경으로 시료 단면을 관찰하여 물질 면적과 공극 면적을 비교한다. 무작위 구조의 다공성 매질에서는 면적 공극률과 부피 공극률이 같다.[43] 예를 들어, 박편을 이용한 탄산염 입자와 공극의 색상 대비를 통해 공극률을 측정할 수 있다. 플라이스토세 사구암 (바하마, 산살바도르 섬)의 경우, 눈금 막대 500 μm를 기준으로 공극률을 측정한다.

  • '''전산 단층 촬영법''': 산업용 CT 스캔을 사용하여 공극을 포함한 외부 및 내부 형상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결함 분석을 수행한다.

  • '''함침법''':[6] 다공성 시료를 진공 상태에서 공극을 우선적으로 적시는 액체에 담근다.
  • '''수분 포화법''': 공극 부피는 물의 총 부피에서 침지 후 남은 물의 부피를 뺀 값이다.
  • '''수분 증발법''': 공극 부피는 (포화된 시료의 무게 - 건조된 시료의 무게) / 물의 밀도이다.

  • '''수은 침투 기공 측정법''': 수은을 미세 공극에 침투시키기 위해 외부 압력을 가한다. 압력에 따른 침투량을 측정하여 공극 크기 분포와 공극 부피를 계산한다.[42] (독성 문제와 수은이 여러 금속 및 합금과 아말감을 형성하는 경향 때문에, 비수은 침투 기술이 개발되었다.)

  • '''기체 팽창법''':[43][36] 알려진 전체 부피의 시료를 알려진 부피의 용기에 넣고, 진공에 가까운 다른 용기와 연결한다. 밸브를 열어 압력이 균일해질 때까지 기체를 이동시킨 후, 이상 기체 법칙을 사용하여 공극 부피를 계산한다.

::V_V = V_T-V_a-V_b {P_2 \over {P_2-P_1}}

::여기서,

::''V''V는 공극의 유효 부피,

::''V''T는 시료의 전체 부피,

::''V''a는 시료가 포함된 용기의 부피,

::''V''b는 진공된 용기의 부피,

::''P''1은 ''V''a 및 ''V''V의 초기 압력,

::''P''2는 전체 시스템에 존재하는 최종 압력이다.

::공극률은

::\phi = \frac{V_V}{V_T}

::이 방법은 기체가 공극과 외부 부피 사이에서 통신한다고 가정하며, 닫힌 공동이 없어야 한다.

  • '''열기공 측정법 및 냉동 기공 측정법''': 깁스-톰슨 효과에 의해 액체의 작은 결정은 벌크 액체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다. 다공성 물질에 액체를 흡수시켜 얼린 후, 용융 온도를 통해 공극 크기 분포를 파악한다. 시차 주사 열량계(DSC 열기공 측정법),[7] 핵 자기 공명(NMR 냉동 기공 측정법),[8] 중성자 산란(ND 냉동 기공 측정법)[9] 등을 사용한다.

참조

[1] 논문 Analysis of Flow in Porous Media using Combined Pressurized-Free surface Network Begel House Inc. 2021
[2]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eat and Mass Transfer CRC Press 1997
[3] 논문 Density, porosity and compactation of sedimentary rocks 1930
[4] 웹사이트 Effective and Ineffective Porosity / Total and Effective Porosity Explained http://www.epgeology[...]
[5] 웹사이트 How to Fix Die Casting Porosity? https://www.godfreyw[...]
[6] 서적 Porous Media. Fluid Transport and Pore Structure Academic Press 1992
[7] 논문 A new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e size and the shape of pores: The Thermoporometry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1977
[8] 논문 Nuclear Magnetic Resonance Cryoporometry http://kar.kent.ac.u[...] 2008
[9] 논문 Neutron Diffraction Cryoporometry – a measurement technique for studying mesoporous materials and the phases of contained liquids and their crystalline forms http://kar.kent.ac.u[...] 2008
[10] 서적 科学大事典 丸善 2005
[11] 서적 物理学辞典(三訂版) 培風館 2005
[12] 서적 土の物理学:土質工学の基礎 森北出版 1979
[13] 표준 圧力容器の構造に関する共通用語
[14] 표준 ポーラス金属用語
[15] 표준 粉末や(冶)金用語
[16] 표준 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関連用語
[17] 표준 金属基複合材料用語
[18] 표준 石炭利用技術用語
[19] 표준 ドライプロセス表面処理用語
[20] 표준 耐火物用語
[21] 표준 金属超微粒子用語
[22] 표준 断熱用語
[23] 표준 情報及びドキュメンテーション-用語
[24] 표준 膜用語
[25] 표준 地盤工学用語
[26] 표준 鉱山用語
[27] 표준 分析化学用語(基礎部門)
[28] 표준 電気めっき及び関連処理用語
[29] 표준 原子力用語
[30] 표준 焼結金属材料−密度, 含油率及び開放気孔率試験方法
[31] 서적 入門 粒子・粉体工学 日刊工業新聞社 2002
[32] 논문 空隙率による織物の層別:長繊維織物について https://doi.org/10.4[...] 2016-05-21
[33] 서적 岩石学辞典 朝倉書店 2005
[34] 논문 Density, porosity and compactation of sedimentary rocks 1930
[35]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porous solids 1994
[36] 서적 粉体の基礎物性 日刊工業新聞社
[37] 서적 配位空間の化学: 最新技術と応用 シーエムシー
[38] 간행물 JIS A 1509-3:2014 セラミックタイル試験方法-第3部:吸水率, 見掛け気孔率及びかさ密度の測定方法
[39] 간행물 JIS M 8719:1990 鉄鉱石ペレット-体積測定方法
[40] 간행물 JIS M 8717:1993 鉄鉱石-密度試験方法
[41] 간행물 JIS M 8716:1990 鉄鉱石ペレット-見掛密度及び気孔率の算出方法
[42] 간행물 JIS R 1655:2003 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の水銀圧入法による成形体気孔径分布試験方法
[43] 서적 Porous Media, Fluid Transport and Pore Structure Academic Press
[44] 학술지 A new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e size and the shape of pores: The Thermoporometry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45] 학술지 Nuclear Magnetic Resonance Cryoporometry
[46] 학술지 Neutron Diffraction Cryoporometry -- a measurement technique for studying mesoporous materials and the phases of contained liquids and their crystalline for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