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 (무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무술)은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에서 형성된 태권도 유파를 의미한다. 1940년대 초반부터 여러 무술가들이 가라테, 쿵푸 등을 수련하며 도장을 설립했고, 이들이 '관'으로 불리게 되었다. 1960년대 정부 주도로 대한태권도협회가 설립되어 관들을 통합하는 과정이 진행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9개의 주요 관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국기원 태권도 스타일로 통일되었지만, 일부 관은 독자적인 스타일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관으로는 송무관, 청도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한무관, 오도관, 강덕원, 정도관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권도 단체 - 국기원
    국기원은 태권도의 발전과 세계화를 목표로 설립된 대한민국 특수법인으로, 기술 개발 및 연구, 교육 사업, 지도자 양성, 시범단 운영, 국제 교류, 행사 개최, 태권도인 복지 향상 등을 주요 사업으로 수행하며 태권도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태권도 단체 - 송무관
  • 한국의 무술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한국의 무술 - 궁도
    궁도는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과녁을 맞히는 한국의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이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고려와 조선 시대 무과 시험에 포함되었고, 현재는 대한궁도협회를 중심으로 전국 활터에서 계승되고 있다.
관 (무술)
무술 정보
종류무술 단체 또는 스타일
기원한국
창시 시기1940년대 ~ 1960년대
주요 인물황기 (무덕관)
최홍희 (오도관)
노병직 (송무관)
이원국 (청도관)
엄운규 (한무관)
김순배 (정도관)
박철희 (강덕원)
설명
설명한국 무술, 특히 태권도 발전에 기여한 초기 무술 학교 또는 스타일 그룹
각 관은 고유한 철학과 기술을 가지고 있었음
역사
배경일제강점기 이후, 다양한 무술이 혼재하던 시기에 형성
해방 후 한국 무술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의 일환
주요 사건관들의 통합 논의 (1950년대)
대한태권도협회 창립 (1961년)
태권도의 국제적인 확산
주요 관
관 이름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창무관
강덕원
정도관
한무관
오도관
창시자이원국 (청도관)
노병직 (송무관)
황기 (무덕관)
김순배 (정도관)
엄운규 (한무관)
최홍희 (오도관)
박철희 (강덕원)
영향
영향현대 태권도의 기술 체계 및 정신적 기반 형성에 기여
한국 무술의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
같이 보기
같이 보기태권도
대한태권도협회

2. 태권도 9관

"9개의 관(九個館)"이라는 용어는 한국 전쟁 종전 이후 활동한 5개의 본관(송무관, 청도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과 이후 이들로부터 파생된 4개의 주요 부속관(한무관, 오도관, 강덕원, 정도관)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전쟁 이후, 본관 출신 수련생들이 자신들만의 도장을 열면서 1960년까지 관의 수가 40여 개로 늘어났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대한태권도협회(KTA)가 설립되어 관의 통합을 추진했다. 1974년까지 KTA는 여러 유파들을 9개의 주요 관으로 통합하는 데 성공했으며, 1978년에는 이 9개 관이 국기원 스타일의 태권도와 승단 심사를 따르기로 합의하는 통일 선언을 이끌어냈다. 이 과정을 통해 현대 태권도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 통합 과정에서 일부 유파는 독자적인 노선을 걷기도 하여, 오늘날에도 원래의 무술 스타일을 유지하며 수련하는 분파들이 존재한다.

2. 1. 5대 본관 (五大本館)

1940년대 중후반, 정부 수립 및 한국 전쟁 이전에 설립되어 초기 태권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5개의 주요 무술 도장을 '5대 본관'이라고 부른다.

  • 송무관: 1944년 3월 20일 노병직이 개성에서 창설한 최초의 관 중 하나이다. 노병직은 일본에서 가라테의 창시자 중 한 명인 기친 후나코시에게 청도관의 창시자 이원국과 함께 가라테를 배웠다.
  • 청도관: 1944년 9월 이원국이 서울에 설립한 두 번째 관이다. 이원국은 서울에서 택견을 수련했으며, 일본에서는 쇼토칸 가라테를, 중국 허난과 상하이에서는 쿵후 등을 익혔다.[1]
  • 무덕관: 1945년 황기가 '화수도'(花水道)를 가르치기 시작하며 설립했다. 황기는 만주에서 택견, 태극권, 그리고 일부 쿵푸를 수련했다. 초기에는 화수도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1946년 이후 대중에게 더 친숙한 일본 가라테의 영향을 받은 당수도를 교과 과정에 통합하면서 점차 세를 넓혔다. 1953년부터 1960년까지 무덕관은 한국 최대의 무술 단체로 성장하여, 당시 한국 무술 인구의 약 75%가 당수도 무덕관 소속일 정도였다. 1957년, 황기는 무예도보통지에 기록된 한국 전통 무술 수박(手搏)을 발굴하고 연구하여 '수박도'(手搏道)를 창시했다. 1960년에는 한국 수박도 협회를 창립하여 정부에 전통 무술 단체로 공식 등록했으며, 이듬해에는 국제적으로도 알려지기 시작했다.[2]
  • 지도관: 1946년 3월 3일 전상섭이 '조선 연무관 공수도 클럽'으로 설립했다. 조선 연무관은 본래 30년 이상 역사를 가진 유도 학교였으나, 전상섭이 이곳에서 공수도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는 일본에서 기친 후나코시에게 쇼토칸 가라테를 배웠다. 전상섭은 YMCA 권법부의 창시자인 윤병인과 깊은 교류를 나누며 함께 수련하고 만주 등지를 다니기도 하여 형제처럼 지냈다고 전해진다. 한국 전쟁 중 전상섭이 실종되자, 남은 제자들이 관의 이름을 '지도관'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전상섭의 제자들은 만주에서 전법(拳法)을 수련한 윤쾌병 사범을 초대 관장으로 추대했다.[3]
  • 창무관: 1946년 윤병인이 서울 YMCA에서 '권법부'를 창설하며 시작되었다. 윤병인은 어린 시절 만주에서 중국 쿵푸(권법)를 수련했으며, 니혼 대학 유학 시절에는 슈도칸 가라테의 창시자 도야마 간켄에게 가라테를 배웠다.[4] 초기 창무관은 다른 관들과 달리 중국 권법, 특히 팔극권의 영향을 받은 '팔기권'을 중심으로 수련했다.[5] 한국 전쟁 중 윤병인 역시 행방불명되었고, 그의 수제자 이남석이 그 뒤를 이어 관의 이름을 '창무관'으로 바꾸고 맥을 이었다. 현재 국기원 10단 심사위원 중 한 명인 김순배 대사범이 창무관 출신이다.

2. 2. 4대 부속관 (四大附屬館)

한국 전쟁 이후, 5개의 본관 소속 수련생들이 자신들만의 유파를 개관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부속관'이라고 부른다. 이 중 대표적인 4개의 관은 다음과 같다.

  • 한무관: 1954년 8월, 윤여병이 지독관(윤무관)에서 파생하여 설립했다.[6]
  • 오도관: 1955년, 최홍희가 설립했다. 최홍희는 청도관의 명예 관장이기도 했으며, 오도관의 주요 사범으로는 남태희한차교가 있었다.
  • 강덕원: 1956년, 박철희와 홍종표가 창무관(권법부)에서 파생하여 설립했다.
  • 정도관: 1956년, 이영우(2006년 8월 사망)가 청도관에서 파생하여 설립했다.

3. 태권도 통합 과정

한국 전쟁 종전 이후, 기존의 5개 원조 관 외에 새로운 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5개 원조 관 출신 수련생들이 자신들의 도장을 열면서 '부속 관'들이 늘어났고, 1960년에는 한국 내 태권도 관의 수가 40여 개에 달했다.[6]

이렇게 관이 늘어나자, 한국 전쟁 직후 대한민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여러 관을 통합하고 기술 체계를 통일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태권도협회(KTA)가 설립되었다. 대한태권도협회는 꾸준한 통합 노력을 기울여 1974년에는 40여 개의 관을 9개의 주요 관으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1978년, 대한태권도협회는 나머지 9개 관 대표들과 함께 통일 선언을 조율했다. 이 선언을 통해 모든 관은 국기원 스타일의 태권도를 수련하고 국기원의 승단 심사 체계를 따르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통합 과정 중 많은 관들이 분열되었고, 일부는 오늘날까지도 독자적인 노선을 유지하며 원래의 무술 스타일을 계속 수련하고 있다.

9개 관으로 통합되기 전후로 활동했던 주요 부속 관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한무관( 한무관한국어 ) - 1954년 8월, 윤여병이 윤무관(지독관)에서 분리하여 설립했다.[6]
  • 오도관( 오도관한국어 ) - 1955년, 최홍희가 설립했으며, 그는 청도관의 명예 관장이기도 했다. 주요 사범으로는 남태희한차교가 있었다.
  • 강덕원( 강덕원한국어 ) - 1956년, 박철희와 홍종표가 권법부(창무관)에서 분리하여 설립했다.
  • 정도관( 정도관한국어 ) - 1956년, 이영우(2006년 8월 사망)가 청도관에서 분리하여 설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Lee, Won Kyuk. ''Accademia Italiana Tang Su Do'' http://www.tangsudo.[...] 2007-03-11
[2]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Moo Duk Kwan. ''World Moo Duk Kwan Official Web Site'' https://web.archive.[...] 2008-05-31
[3] 웹사이트 Jidokwan history http://www.taekwondo[...] 2013-05-30
[4] 웹사이트 Grandmaster Yoon Byung-In Story https://web.archive.[...] 2012-02-06
[5] 웹사이트 history view of taekwondo http://www.tkdbible.[...] 2014-01-16
[6] 웹사이트 https://www.worldhan[...] 2024-08-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