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는 청소년들의 천문학, 천체물리학, 우주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과학적 탐구를 장려하기 위해 1996년 M. G. 가브릴로프 박사에 의해 창설되었다. 이론, 실무, 관측 시험으로 구성되며, 각국에서 선발된 학생들이 참가하여 경쟁한다. 대한민국은 2002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아시아 태평양 천문 올림피아드와 국제 천문 및 천체 물리 올림피아드도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는 중등 교육 과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겨루는 대회이며, 각국 대표들이 참가하여 5시간 동안 세 문제를 풀고, 채점 결과에 따라 메달을 수여한다.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는 고등학생 대상 국제 물리 경시대회로, 이론 및 실험 시험으로 구성되며, 참가자 성적에 따라 메달과 장려상이 수여된다.
  • 과학경시대회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는 중등 교육 과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겨루는 대회이며, 각국 대표들이 참가하여 5시간 동안 세 문제를 풀고, 채점 결과에 따라 메달을 수여한다.
  • 과학경시대회 -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는 고등학생 대상 국제 물리 경시대회로, 이론 및 실험 시험으로 구성되며, 참가자 성적에 따라 메달과 장려상이 수여된다.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
상세 정보
역대 개최지

2. 역사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는 1996년 6월 7일 유라시아 천문학회 소속 M. G. 가브릴로프(Dr. M. G. Gavrilov)에 의해 창설되었다.[1] 그는 창설 취지를 공표하고 동시에 본인을 유라시아 천문학회 산하 올림피아드운영위원회(Olympic Coordinating Council) 의장으로 임명하였다.[1] 제1회 대회는 1996년 11월 1~8일에 러시아 북코카서스 지방의 니즈니 아르히즈(Nizhny Arkhyz)에 있는 러시아 과학원 산하 특수 천문대 (Special Astronomy Observatory)에서 열렸다.[1] 그 이후로 매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구소련연방 나라들에서 열려왔다.[1] 한국은 2002년 제7회 대회부터 참가하여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데, 이 대회는 제1회 개최 장소와 같은 곳에서 열렸다.[1]

3. 설립 취지


  • 과학 지식 대중화와 천문학 및 연관 학문들에 대한 과학적 탐구 장려
  • 천문학, 물리학, 항공우주에 대한 청소년들의 호기심 고양
  • 영재 학생 발굴 및 후원
  • 학회, 동아리를 비롯한 다양한 학생 활동 활성화
  • 중, 고등교육에서의 천문학 및 천체 물리 교육 향상
  • 학생들에게 진로 탐색 기회 제공

4. 구성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는 이론 시험, 실무 시험, 관측 시험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개최국의 천문 시설 견학이나 개최지 투어 등도 비중 있게 다뤄진다.

4. 1. 이론 시험

이론 시험은 천문학, 천체 물리학, 우주과학에 대한 5~6개의 이론 문제를 4시간 동안 푸는 라운드이다. 문제 출제 범위는 측성학부터 태양계역학이나 우주론까지 다양하며, 모든 문제는 의장인 가브릴로프 박사가 직접 출제한다.[1]

문제는 원래 러시아어영어로만 출제되며, 각 팀의 단장들이 시험 전날 문제들을 각국 언어로 번역한다. 학생들은 각자 모국어로 답안을 작성하고, 각 팀의 단장들이 답안을 번역하여 함께 채점한다. 채점은 최종 답안뿐만 아니라 풀이 과정을 더 중요하게 고려한다.[1]

이론 시험은 보통 48점 만점이며,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풀이를 제시하면 1~2점 정도의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다.[1]

4. 2. 실무 시험

실제 천문학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는 문제 1~2개를 3~4시간 동안 푸는 라운드이다. 문제에는 주로 사진이나 표, 그래프 등의 데이터가 주어지며, 학생들은 이를 바탕으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물리량을 구하거나 그림 등을 그려야 한다. 문제들은 개최국에서 출제하기 때문에 보통 개최국의 연구 자료에 대한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2009년 제5회 아시아-태평양 천문 올림피아드에서 서울대학교에서 발견한 퀘이사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이론 부문과 마찬가지로 문제들은 원래 러시아어영어로만 출제되며, 각 팀의 단장들이 시험 전날 문제들을 각 언어로 번역한다. 그러나 이론 부문과 달리 답안은 번역되지 않으며, 풀이 과정 상의 숫자, 그림 등만을 바탕으로 채점된다.

20점 만점이며,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풀이를 제시한 경우 1~2점 정도의 추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1]

4. 3. 관측 시험

관측 시험은 야외에서 실제 밤하늘을 맨눈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하여 5~6개의 문제를 푸는 시험이다. 특정 천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 후 그 천체를 가리키는 문제나 황도, 적도 등을 성도 상에 그리는 문제 등이 출제된다. 비가 올 경우에는 실내 시험으로 대체하여 성도를 보고 위도를 맞히는 문제와 같이 종이 상에서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된다.[1]

관측 시험은 20점 만점이며 이론이나 실무 시험과 달리 추가 점수를 획득할 수 없다. 관측 문제는 별과 별자리의 식별, 별의 크기 및 각거리 추정 등으로 구성된다.[1]

5. 참가 자격

참가 자격은 다음과 같다.


  • 각 참가국은 시니어 2명과 주니어 3명을 참가시킬 수 있다.
  • 이전 대회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에서 수상한 경우 정원 외로 참가할 수 있다.
  • 주니어는 이전에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에 참가한 경험이 없는 만 14세 이상 16세 미만의 학생이다.
  • 시니어는 16세 이상 19세 미만의 학생이며, 대회를 참가할 때마다 시니어의 나이 상한은 16세까지 1년씩 줄어든다.
  • 개최국은 개최지에 거주하는 학생 시니어 2명과 주니어 3명으로 구성된 팀을 추가로 참가시킬 수 있다.
  • 한국은 매년 한국천문올림피아드(KAO)를 개최하여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에 출전할 5명을 선발하고 있다.

6. 역대 대회

연도날짜개최지개최국참가국 수
I19969/25~10/2니즈니 아르히즈Nizhnij Arkhyz|니즈니 아르히즈ru, 러시아4
II199710/20~27니즈니 아르히즈Nizhnij Arkhyz|니즈니 아르히즈ru, 러시아4
III19989/26~10/3니즈니 아르히즈Nizhnij Arkhyz|니즈니 아르히즈ru, 러시아5
IV19999/25~10/2나우치니Nauchnyj|나우치니uk, 우크라이나7
V200010/20~27니즈니 아르히즈Nizhnij Arkhyz|니즈니 아르히즈ru, 러시아8
VI20019/26~10/3나우치니Nauchnyj|나우치니uk, 우크라이나7
VII200210/22~29니즈니 아르히즈Nizhnij Arkhyz|니즈니 아르히즈ru, 러시아11
VIII200310/2~8스톡홀름Stockholm|스톡홀름sv, 스웨덴13
IX200410/1~9시메이즈Simeiz|시메이즈uk, 우크라이나18
X200510/25~11/2베이징Beijing|베이징중국어, 중국15
XI200611/10~19뭄바이Bombay|뭄바이영어, 인도16
XII20079/29~10/7시메이즈Simeiz|시메이즈uk, 우크라이나23
XIII200810/13~21트리에스테Trieste|트리에스테it, 이탈리아19
XIV200911/8~16항저우Hangzhou|항저우중국어, 중국17
XV201010/16~24수다크Sudak|수다크uk, 우크라이나19
XVI20119/22~30알마티Alma-Ata|알마티kk, 카자흐스탄19
XVII201210/16~24광주대한민국20
XVIII20139/6~14빌뉴스Vilnius|빌뉴스lt, 리투아니아20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는 9월 22일부터 11월 22일 사이 약 열흘 동안 참가국들이 돌아가며 개최한다. 단, 최소 3년에 한 번씩은 창설국인 러시아우크라이나에서 개최되어야 한다.

7. 아시아 태평양 천문 올림피아드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에 참가하는 단장들은 천문학에 대한 아시아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에 참가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도 국제 천문 경시 대회에 참가할 기회를 주기 위해 새로운 대회를 열기를 희망하였다. 운영 위원회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2005년 4월 25일 자매 대회로서 아시아 태평양 천문 올림피아드를 창설하여 매년 열려왔다.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에 있는 나라들이 참가할 수 있으며, 더 많은 학생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그 해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에 참가하지 않은 시니어 4명, 주니어 4명이 참가할 수 있으며 정원 외 참가는 없다. 시험은 관측, 이론, 실기로 구성된다. 관측 문제는 별과 별자리의 식별, 별의 크기 및 각거리 추정 등으로 구성된다. 이론 문제는 가상적인 사건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실기 문제는 관측 결과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참가국은 동유럽과 아시아가 많으며, 선진국의 참가가 적다. 일본은 2022년 제26회 대회부터 참가하고 있다.[1] 아시아 태평양 대회도 개최되지만, 아직 일본에서는 참가하지 않고 있다.

8. 국제 천문 및 천체 물리 올림피아드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에 참가한 태국, 이란, 인도, 중국, 폴란드의 인솔 대표들이 천문과 천체 물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장려하기 위해 고등학생 대상의 경시대회를 열자는 제안이 시발점이 되어 2007년 11월에 제1회 대회가 열렸다. 국제 천문 올림피아드의 폐쇄적인 운영 (러시아의 학회가 운영하는 것이나 가브릴로프가 모든 이론 문제를 출제하는 것과 같이)에 대한 반발로 국제 조직이 여는 진정한 국제 대회를 만들겠다는 취지를 갖고 창설되었다.

각 팀에서 대학 교육을 받지 않은 20세 미만의 학생 5명을 참가시킨다.

시험은 관측, 이론, 실기로 구성된다. 관측 문제는 별과 별자리의 식별, 별의 크기 및 각거리 추정 등으로 구성된다. 이론 문제는 가상적인 사건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실기 문제는 관측 결과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참가국은 동유럽과 아시아가 많으며, 선진국의 참가가 적다. 일본은 2022년 제26회 대회부터 참가하고 있다.[1] 아시아 태평양 대회도 개최되지만, 아직 일본에서는 참가하지 않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