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다크는 크림반도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은 불분명하나 7세기 기록이 존재하며, 알란족, 비잔틴 제국, 하자르, 몽골, 제노바,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흑해 무역과 실크로드 무역의 요충지로 번영을 누렸으나, 14세기 초 쇠퇴하기 시작하여 1365년 제노바에 점령되었다. 1475년 오스만 제국에 넘어가면서 군사적, 상업적 중요성을 잃었고,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쇠퇴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이 가장 많으며, 우크라이나인과 크림 타타르족도 상당수 거주한다. 비잔틴 시대에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제노바 시대에는 라틴 가톨릭 교구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해수욕장 - 오데사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오데사 주의 행정 중심지로, 1794년 건설되어 자유항으로 발전하며 러시아 제국 내 무역 중심지로 성장, 지중해풍 건축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격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우크라이나의 해수욕장 - 케르치
케르치는 기원전 7세기에 건설된 크림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교통,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러시아의 해수욕장 - 소치
소치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의 도시로, 고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2014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며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하여 관광, 경제,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러시아의 해수욕장 - 나홋카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항구 도시인 나홋카는 1859년 러시아 함선에 의해 발견되어 명명되었고, 소련 시대 항구 건설과 함께 도시로 발전했으며, 자유경제지역 지정 폐지 후 경제 다각화를 추구하고, 과거 강제 수용소가 운영되기도 했던 복잡한 역사를 지닌 곳이다. - 크림반도의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크림반도의 도시 - 케르치
케르치는 기원전 7세기에 건설된 크림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교통,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수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수다크 |
원어 명칭 | Судак Sudaq Σουγδαία |
이전 명칭 | Soldaia (1475년까지) Sougdeia Sidagios |
시장 | 블라디미르 세로프 |
지리 | |
면적 | 15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50 미터 |
기후 | 온난 습윤 기후 (Cfa) |
인구 | |
총 인구 (2014년) | 16,492명 |
인구 밀도 | 1,086.6 명/제곱킬로미터 |
행정 | |
국가 | 우크라이나 (러시아에 점령됨) |
자치 공화국 (법적) | 크림 자치 공화국 |
라이온 (법적) | 페오도시야 라이온 |
연방 주체 (사실상) | 크림 공화국 (러시아) |
자치구 (사실상) | 수다크 자치구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모스크바 시간 (MSK) |
우편 번호 | 98000 — 98015 |
지역 번호 | +7-36566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위치 | |
![]() | |
![]() |
2. 역사
수다크의 건립 시기와 상황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7세기에 작성된 라벤나의 지리서에 처음 등장[1]하지만, 지역 전승에 따르면 212년에 도시가 세워졌다고 한다. 고고학적 증거는 로마 제국 시대에 도시가 건립되었음을 보여준다. 알란족이 건립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그리스어 자료에서 도시 이름인 "수그다이아"(Sougdaia)는 "순수한, 거룩한"을 뜻하는 형용사 "수그다"(sugda)와 관련이 있거나, 오세트어 "수그데드"/"소그다드"(sugded/sogdad)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
초기 중세 시대 수다크는 비잔틴 제국의 느슨한 통제 아래 있었다.[2] 6세기에 해안 근처에서 상당한 건설 활동이 있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1] 비잔틴의 영향으로 기독교화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산하 주교 관할 구역이 되었고,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그리스어 사용 인구가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지역은 알란족이 지배했다. 9세기 사도 안드레아 성인전에는 "상 수그다이아"가 지치아와 킴메리안 보스포루스 사이, "알란족의 땅"에 있다고 언급되었으며,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성인전 작가는 이베리아 공국과 크림 고트족 사이의 "수그도이" 부족을 언급하는데, 역사가 프랜시스 드보르니크는 이들을 알란족으로 본다.[1]
8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의 기간은 불분명하지만, 수그다이아의 운명이 급격히 쇠퇴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고고학적 증거는 6세기 건축물이 8/9세기에 버려졌음을 보여주고, 이후 러시아 전설(위작일 가능성)은 도시가 같은 시기에 루스족 수장 브라블린에게 점령되었다고 주장한다. 비잔틴 통제는 약화되었고, 이후 도시는 하자르 종주권 아래 놓였다가 11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2][1] 10세기 초 지역 관할 구역은 대주교로 승격되었다.[2]
11세기에서 14세기는 수다크의 번영기였다. 항구, 내륙, 성채 지역에서 활발한 재건 활동이 이루어졌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이를 뒷받침한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흑해 무역의 종착지로서 실크로드 무역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14세기 아랍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이 항구를 알렉산드리아의 항구와 비교하기도 했다.[1] 13세기 연대기 작가 이븐 알 아시르는 이곳을 "키프자크의 도시"라고 묘사하며, "(그들의) 물질적 소유가 흘러나오는 곳이다. 하자르 해에 위치해 있으며, 배들이 옷을 싣고 이곳에 온다. 키프자크인들은 그들에게서 옷을 사고 노예를 팔며, 부르타스 모피, 비버, 다람쥐 등을 거래한다..."라고 기록했다.[3]
11세기 중반까지 수다이야는 비잔틴 제국의 통치를 되찾았는데, 이는 아마도 1016년 하자르의 군벌 게오르기우스 툴이 패배한 이후일 것이다. 1059년의 비문에는 레오 알리에테스, "케르손과 수다이야의 ''스트라테고스''"가 언급되어 있다.[2][1] 그러나 11세기 말에는 도시가 쿠만족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이는 1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1222년경 셀주크 투르크가 도시를 포위했고, 1223년과 1238년에는 몽골 제국의 약탈이 있었다. 1249년경에는 이 도시는 몽골 황금 호르드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상당한 자치권을 유지했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그리스인, 알란족, 몽골인, 아르메니아인, 라틴족, 유대인을 포함한 인구가 8,300명이었다.[2][4]
타타르족의 지배하에서 도시는 유력자들과 주변 18개 마을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리스 자료에서는 비잔틴 칭호 ''세바스토스''로, 라틴 자료에서는 ''프로티''("첫 번째 사람들")로 언급되었다.[2] 11세기 후반 풀로이와 통합된 ''수고도풀로이'' 교구는 1275년에서 1282년 사이 대교구로 격상되었다.[2]
13세기 후반 베네치아와 제노바 상업 식민지가 크림반도에 설립되면서 도시의 번영이 증가했지만, 두 경쟁 도시 간의 분쟁에 휘말렸다.[2] 14세기 초, 도시는 제노바의 식민지 타나와 카페에 의해 가려졌다. 1330년경 이 지역을 방문한 프란체스코 발두치 페골로티는 도시를 언급하지 않았다.[1] 타타르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 거주자들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많은 이들이 도시를 떠났다.[2]
1365년 7월 19일, 카페에서 온 제노바인들이 도시를 점령하여 제노바의 무역 식민지가 되었다. 제노바인들은 도시를 재건하고 성채를 건설했으며, 추방된 그리스인들이 돌아오도록 유도했다.[2]
오스만 제국은 1475년 ''Soldaia''(수다크)와 다른 제노바 식민지, 테오도로 공국을 장악했다.[1] 수다크는 오스만 제국의 행정 단위인 카딜릭의 중심지였지만, 크림 칸국이 장악할 때까지 군사적, 상업적 중요성을 잃었다.[1]
1771년 표트르 루먄체프의 군대에 점령되었고,[2] 1783년 크림 반도와 함께 러시아 제국에 귀속되었다.[2] 불안정으로 인해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으며, 파벨 포템킨은 1778년 크림 반도에서 기독교인들을 추방하라고 명령했다.[2] 마을은 작은 마을로 변했고, 1805년 인구는 33명이었다.[2] 1804년 러시아 최초의 포도 재배 학교가 문을 열었다.[3]
2. 1. 고대와 초기 중세
수다크의 건립 시기와 상황은 불확실하다. 최초의 기록은 7세기 (라벤나의 지리서)[1]이지만, 이후 지역 전승에서는 212년에 도시가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고고학적 증거는 로마 제국 시대에 도시가 건립되었음을 보여준다. 알란족이 건립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그리스어 자료에서 도시 이름인 "수그다이아"(Sougdaia)는 "순수한, 거룩한"을 뜻하는 형용사 "수그다"(sugda)와 관련이 있거나, 오세트어 "수그데드"/"소그다드"(sugded/sogdad)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
초기 중세 시대에 이 도시는 다른 지역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비잔틴 제국의 느슨한 통제하에 있었다.[2] 고고학적 유물은 6세기에 해안 근처에서 상당한 건설 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1] 비잔틴의 영향으로 기독교화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산하 주교 관할 구역이 되었고,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그리스어 사용 인구가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지역은 알란족이 지배했다. 9세기 사도 안드레아 성인전에는 "상 수그다이아"가 지치아와 킴메리안 보스포루스 사이, "알란족의 땅"에 있다고 언급되었으며,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성인전 작가는 이베리아 공국과 크림 고트족 사이의 "수그도이" 부족을 언급하는데, 역사가 프랜시스 드보르니크는 이들을 알란족으로 본다.[1]
8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의 기간은 불분명하지만, 증거는 수그다이아의 운명이 급격히 쇠퇴했음을 시사한다. 고고학적 증거는 6세기 건축물이 8/9세기에 버려졌음을 보여주고, 이후 러시아 전설(위작일 가능성)은 도시가 같은 시기에 루스족 수장 브라블린에게 점령되었다고 주장한다. 비잔틴 통제는 약화되었고, 이후 도시는 하자르 종주권 아래에 놓였으며, 이는 11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2][1] 10세기 초 지역 관할 구역은 대주교로 승격되었다.[2]
2. 2. 중세
11세기에서 14세기는 수다크의 번영기였다. 항구, 내륙, 성채 지역에서 활발한 재건 활동이 이루어졌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이를 뒷받침한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흑해 무역의 종착지로서 실크로드 무역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14세기 아랍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이 항구를 알렉산드리아의 항구와 비교하기도 했다.[1] 13세기 연대기 작가 이븐 알 아시르는 이곳을 "키프자크의 도시"라고 묘사하며, "(그들의) 물질적 소유가 흘러나오는 곳이다. 하자르 해에 위치해 있으며, 배들이 옷을 싣고 이곳에 온다. 키프자크인들은 그들에게서 옷을 사고 노예를 팔며, 부르타스 모피, 비버, 다람쥐 등을 거래한다..."라고 기록했다.[3]11세기 중반까지 수다이야는 비잔틴 제국의 통치를 되찾았는데, 이는 아마도 1016년 하자르의 군벌 게오르기우스 툴이 패배한 이후일 것이다. 1059년의 비문에는 레오 알리에테스, "케르손과 수다이야의 ''스트라테고스''"가 언급되어 있다.[2][1] 그러나 11세기 말에는 도시가 쿠만족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이는 1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1222년경에는 셀주크 투르크가 도시를 포위했고, 이어서 1223년과 1238년에는 몽골 제국의 파괴적인 약탈이 있었다. 1249년경에는 이 도시는 몽골 황금 호르드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상당한 자치권을 유지했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그리스인, 알란족, 몽골인, 아르메니아인, 라틴족, 유대인을 포함한 인구가 8,300명이었다.[2][4]
타타르족의 지배하에서, 이 도시는 도시의 유력자들과 주변 18개 마을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리스 자료에서는 비잔틴 칭호 ''세바스토스''로 언급되었고, 라틴 자료에서는 라틴화된 그리스어 용어 ''프로티''("첫 번째 사람들")를 사용했다.[2] 11세기 후반에 풀로이와 통합된 이후 ''수고도풀로이''로 알려진 지역 교구는 1275년에서 1282년 사이 어느 시점에 대교구의 지위로 격상되었다.[2]
13세기 후반에 베네치아와 제노바 상업 식민지가 크림반도에 설립되면서 도시의 번영이 증가했지만, 동시에 이 지역은 두 경쟁 도시 간의 끊임없는 분쟁에 휘말렸다.[2] 14세기 초, 이 도시는 제노바의 식민지 타나와 카페에 의해 가려졌다. 1330년경에 이 지역을 방문한 피렌체 상인 프란체스코 발두치 페골로티는 이 도시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1] 비슷한 시기에 타타르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 거주자들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떠나야 했다.[2]
결과적으로 1365년 7월 19일, 카페에서 온 제노바인들이 도시를 점령했고, 이는 제노바의 무역 식민지가 되었다. 제노바인들은 도시를 재건하고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성채를 건설했으며, 추방된 많은 그리스인들이 돌아오도록 유도했다.[2]
2. 3. 오스만 제국과 근대
오스만 제국은 1475년 ''Soldaia''(수다크)와 다른 모든 제노바 식민지, 그리고 테오도로 공국을 장악했다.[1] 수다크는 오스만 제국의 가장 작은 행정 단위인 카딜릭의 전략적 중심지였지만, 크림 칸국이 장악할 때까지 군사적, 상업적 중요성을 많이 잃었다.[1]1771년, 수다크는 표트르 루먄체프의 군대에 점령되었다.[2] 1783년, 크림 반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러시아 제국에 완전히 귀속되었다.[2] 이 시기의 불안정으로 인해 대규모 이주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파벨 포템킨은 1778년 크림 반도에서 기독교인들을 추방하라고 명령하기도 했다.[2] 마을은 빠르게 작은 마을로 변했고, 18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수다크에는 단 33명의 주민이 있었다.[2]
1804년, 그곳에 러시아 최초의 포도 재배 학교가 문을 열었다.[3]
3. 인구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수다크의 인구는 29,448명이었다. 인구의 절반 이상이 러시아인이었다. 러시아인 외에도, 도시에는 상당수의 우크라이나인과 크림 타타르족이 거주하며, 이들을 합하면 인구의 35%를 차지한다. 소수 민족으로는 벨라루스인, 아르메니아인, 타타르족, 폴란드인 등이 있다.[5]
민족 | 비율(%) |
---|---|
러시아인 | 59.23 |
우크라이나인 | 17.57 |
크림 타타르족 | 17.42 |
벨라루스인 | 1.31 |
타타르족 | 0.97 |
아르메니아인 | 0.47 |
몰도바인 | 0.14 |
폴란드인 | 0.12 |
아제르바이잔인 | 0.12 |
4. 종교
비잔틴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의 교구가 설립되었으나, 언제 설립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787년에 처음으로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 교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비잔틴 제국 황제 레오 6세(886년~912년)가 편집한 ''주교 관구 목록''에 따르면 35위를 차지했다. 10세기에는 대주교구로 승격되었다. 11세기 말에 인근의 풀로이 교구와 합병된 후, '수고도풀로이'로 알려졌다. 1275/82년에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역대 주교는 다음과 같다.
- 성 스테파노, 787년
- 콘스탄티누스, 997년
러시아 정교회 수로쉬 교구 참조. 수로쉬는 도시의 옛 이름으로, 러시아 정교회의 주교 관구였으며, 명목상 영국과 아일랜드의 러시아 정교회 교구로 이전되었다.
제노바 통치 하에 1390년 솔다이아의 라틴 가톨릭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주교는 다음과 같다.
- 보니파키우스 (1393년 8월 19일 – ? 사망)
- 존 그린로, O.F.M. (1400년 9월 18일 – ?)
- 루도비코, O.P. (? – 1427년 12월 15일)
- 아고스티노 디 카파, O.P. (1432년 7월 23일 – ? 사망)
- 조반니 디 페라, O.P. (1456년 7월 9일 – ? 사망)
- 레오나르도 위스바흐, O.P. (1480년 10월 6일 – ? 사망)
1475년 오스만 제국의 크림 반도 정복 이후, 1500년경 폐지되었다.
5. 인물
참조
[1]
encyclopedia
Sougdaia
Oxford University Press
[2]
encyclopedia
Sougdaia
http://www.ehw.gr/l.[...]
2017-06-24
[3]
서적
Central Asian Monuments
https://books.google[...]
[4]
문서
Members of the Polo family and other Venetian merchants having resided in the town since the 12th century.
[5]
웹사이트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міст
https://datatowe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