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규슈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슈 방언은 규슈 지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을 통칭하며, 호니치 방언, 히치쿠 방언, 사쓰구 방언으로 크게 분류된다. 호니치 방언은 후쿠오카현 동부, 오이타현, 미야자키현(남서부 제외)에서 사용되며, 히치쿠 방언은 후쿠오카현 남부,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에서 사용된다. 사쓰구 방언은 가고시마현(아마미 제도 제외)과 미야자키현 남서부에서 사용된다. 각 지역별로 세부 방언이 존재하며, 섬 지역에서는 특색 있는 방언이 나타난다.

규슈 방언은 서일본 방언과 문법적 특징을 공유하며, 모음의 무성음화, 모음 탈락에 따른 비음화, 옛 연모음의 변화 등의 발음 특징을 보인다. 또한, 지역에 따라 악센트가 다르며, 고령층에서는 옛 발음이 남아있기도 하다. 문법적으로는 단정 조동사 'じゃ'・'や', 부정 조동사 'ん'을 사용하며, 'おる'을 활용하여 동작의 상태를 나타낸다. 형용사의 종지형 어미가 'か'가 되는 특징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슈 방언 - 쓰시마 방언
    쓰시마 방언은 쓰시마섬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규슈 방언과 유사하면서 호니치 방언의 특징도 일부 보이며, 쓰쓰 지역 방언은 차이를 보이고, 한국어의 영향은 미미하며 독특한 억양과 문법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 규슈 방언 - 미야자키 방언
    미야자키 방언은 미야자키현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휴가 방언, 모로카타 방언, 히가시모로 방언으로 나뉘며, 연모음 융합, 특이한 조동사 및 종조사, 고유 어휘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규슈 방언
개요
유형일본어 방언
사용 지역규슈 지방
하위 방언
북부 규슈 방언후쿠오카 방언
사가 방언
나가사키 방언
오이타 방언
남부 규슈 방언구마모토 방언
미야자키 방언
가고시마 방언
음운적 특징
모음'이'와 '에'의 통합 (/i, e/ 병합)
/e/ → /i/)
/o/ → /ɯ/)
장음장모음의 단모음화
촉음/k, t, p/)
음편동사의 이음편)
경어존경어)
문법적 특징
조사'요' (~yo)
'바이' (~bai)
'토' (~to)
종조사'겐' (~gen)
'타이' (~tai)
'사' (~sa)
동사'오루' (있다)
'쿠루' (주다)
어휘적 특징
단어'바텐' (그러나)
'나카' (당신)
'다루이' (힘들다)
'메자라시' (드물다)
관련 항목
관련 항목하카타벤
구마모토벤
가고시마벤
류큐어

2. 분류

규슈 방언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쓰시마, 고토 열도, 오스미 제도 등의 낙도에서는 각 섬마다 특징적인 방언이 사용된다.

규슈 방언은 서일본 방언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며, 규슈 방언을 서일본 방언의 하위 구분으로 보는 경우도 많다.

2. 1. 호니치 방언

호니치 방언은 후쿠오카현 동부(기타큐슈 지방, 지쿠호 지방), 오이타현, 미야자키현(남서부 제외)의 방언으로, 세토 내해 건너의 주고쿠 방언이나 시코쿠 방언과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호니치 방언은 료호 방언과 휴가 방언으로 나뉜다.

2. 1. 1. 료호 방언

료호 방언은 후쿠오카현 동부(기타큐슈 지방, 지쿠호 지방),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남서부 제외)의 방언으로, 세토 내해를 사이에 둔 주고쿠 방언이나 시코쿠 방언과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 료호 방언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 후쿠오카현 부젠 방언
  • ** 기타큐슈벤
  • ** 치쿠호벤(히치쿠 방언과도 일부 공통됨)
  • 오이타 방언
  • ** 히타벤(히치쿠 방언과도 일부 공통됨)
  • 휴가 방언

2. 1. 2. 휴가 방언

미야자키현 남서부를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세토 내해를 사이에 둔 주고쿠 방언이나 시코쿠 방언과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1]

2. 2. 히치쿠 방언

히치쿠 방언은 후쿠오카현 서부(후쿠오카 지방, 지쿠고 지방),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의 방언으로, 일반적으로 큐슈 사투리로 알려진 특징을 많이 가진다. 히치쿠 방언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방언들이 있다.

  • 지쿠젠 방언
  • 지쿠고 방언
  • 사가 방언
  • 나가사키 방언
  • 고토 열도 방언
  • 이키 방언
  • 쓰시마 방언
  • 구마모토 방언

2. 2. 1. 지쿠젠 방언

지쿠젠 방언은 히치쿠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아래와 같은 하위 방언들을 포함한다.

  • 하카타벤
  • ** 후쿠오카벤(후쿠오카시 후쿠오카 지역에서 사용된다)
  • 무나카타벤

2. 2. 2. 지쿠고 방언

히치쿠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후쿠오카현 서부(후쿠오카 지방, 지쿠고 지방)에서 사용된다. 지쿠고벤, 야나가와벤, 오무타벤 등이 이에 속한다.

2. 2. 3. 사가 방언

사가현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히치쿠 방언에 속한다.

2. 2. 4. 나가사키 방언

나가사키 방언은 히치쿠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의 방언과 함께 일반적으로 큐슈 사투리로 알려진 특징을 많이 가진다. 사세보벤, 고토 열도 방언, 이키 방언, 쓰시마 방언 등이 나가사키 방언에 속한다.

2. 2. 5. 고토 열도 방언

규슈 방언의 하위 방언 중 하나이다.

2. 2. 6. 이키 방언

이키 방언

2. 2. 7. 쓰시마 방언

이키벤과 공통되는 특징이 있다.

2. 2. 8. 구마모토 방언

구마모토 방언은 구마모토현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히치쿠 방언에 속한다. 구마, 아마쿠사, 아시키타 지역에서는 사쓰구 방언과도 일부 공통점을 보인다.[1]

2. 3. 사쓰구 방언

가고시마현(아마미 제도 제외)과 미야자키현 남서부 모로카타 지방의 방언은 폐음절이 발달하는 등 특징이 있다.[1] 쓰시마, 고토, 오스미 제도 등 섬 지역에서는 각 섬마다 특징적인 방언이 사용된다.

2. 3. 1. 사쓰구 제 방언


  • * 사쓰구 제방언
  • * 모로카타 방언
  • * 타네가섬 방언
  • * 낙도 방언

2. 3. 2. 낙도 방언

2. 3. 3. 다네가시마 방언

사쓰구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된다.

2. 3. 4. 모로카타 방언

모로카타 방언은 가고시마현(아마미 제도 제외)과 미야자키현 남서부의 모로카타 지방의 방언으로, 폐음절이 발달하는 등 특이하다.[1]

3. 발음


  • 모음의 무성음화가 잘 일어난다.[4] 또 ''이누''(犬, 개)를 ''인''(いん)이라 하거나 ''아키가''(秋が, 가을이)를 ''악가''(あっが)라 하는 등 모음 탈락에 따른 발음화, 촉음화가 잘 일어난다.[4]
  • 옛날의 연모음 'ou, oo, eu'(합음)이 'uː'로 바뀌어 있다. 예로는 ''오오카미''(狼, 늑대)를 ''우-카미''(うーかみ)라 하는 것과 ''쿄-''(今日, 오늘)를 ''큐-''(きゅー)라 하는 것 따위가 있다. 이들은 공통어에서 'oː'로 발음된다.[4]
  • 악센트는 크게 북동부의 도쿄식 악센트, 남서부의 2형식 악센트, 그 중간의 무악센트로 나뉜다. 후쿠오카현 지쿠젠, 부젠에서 오이타현에 걸친 지역에서는 도쿄식 악센트를 사용한다. 나가사키현 중남부, 사가현 남서부, 구마모토현 서부, 가고시마현 대부분에서는 이형식 악센트를 사용하며 그 둘 사이에 끼인 나가사키현 고토 열도, 나가사키현 북부, 사가현 북부, 후쿠오카현 치쿠고, 구마모토현 동부, 미야자키현 대부분에서는 무악센트를 사용한다. 한편 미야자키현 고바야시시-미야코노조시-가고시마현 소오시-시부시시의 일부에 남북으로 좁고 길게 걸쳐진 지역에서는 1형식 악센트가 사용된다.
  • 세・제(せ・ぜ)가 셰・졔(しぇ・じぇ)로, 에(え)가 예(いぇ)로 발음되거나 합요음 콰・과(くゎ・ぐゎ)가 남아있는 등 고음(古音)이 고령층을 중심으로 남아있다.[4]
  •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ぢ와 じ, ず와 づ를 구별한다(요츠가나의 구별).[4]
  •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ガ행 비탁음이 나타나지 않는다.[4]
  • 종종 에(エ)가 이(イ)가 되거나, 오(オ)가 우(ウ)가 되는 협모음화가 일어난다.
  • エイ를 [ei]라 발음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先生)을 ''센세-''(センセー)가 아니라 ''센세이''(センセイ)라고 한다.[1]

4. 문법


  • 단정 조동사 'じゃ・や', 부정 조동사 'ん', 'おる(있다)', 'よる'와 'とる・ちょる'의 상 구별, 형용사와 ワ행 5단 동사의 연용형 우음변 등은 서일본 방언과 공통된다.
  • 동사의 하2단 활용이 있는 것 말고도 일부에는 상2단 활용도 있다.
  • 상황 가능을 가능 동사 또는 미연형+'るる・らるる', 능력 가능을 연용형+'きる・ゆる・がなる' 등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 예: この魚は食べられん(이 물고기는 (상했기 때문에) 먹을 수 없어), この魚は食べきらん(이 물고기는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 아니기 때문에) 먹을 수 없어)
  • 표준어에서 연용형+'ている'라 하는 것을, 습관이나 현재 이동・변화하고 있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에 연용형+'よる'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에 연용형+'とる/ちょる'로 구분하여 말한다(상의 구별).
  • 예: 電車が来よる(전철이 다가오고 있다), 電車が来とる/来ちょる(이미 전철이 도착했다)
  • 예: 雨が降りよる(지금 비가 내리고 있다), 雨が降っとる/降っちょる(아까까지 비가 내리고 있었다)
  • 호니치 방언을 제외하고 형용사종지형연체형 어미가 'か'가 될 적이 많다(カ 어미).
  • 예: すごか(굉장하다)
  • 후쿠오카현 동부와 오이타현을 제외하고 준체 조사로 'と'를 사용한다.
  • 예: 何ばしよるとですか(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さい'나 'さん' 등이 사용된다.
  • 원인이나 이유의 접속 조사로는 'けに・けん・けー・きー・き'를 후쿠오카, 오이타, 사가, 구마모토현에서 사용하며, 'から・かい'를 미야자키현과 가고시마현 다네가섬야쿠섬에서 사용한다. 또한 가고시마현(사쓰구 방언)에서 'で'를 사용하고 나가사키현의 일부 등지에서는 'せん(しぇん)・せに・せーに' 따위를 사용한다.
  • 5단 동사의 연용형 음편은 위의 ワ행 5단이 ウ음편이 되며, マ행 5단과 バ행 5단도 ウ음편이 된다. 한편 サ행 5단은 イ음편을 취한다.
  • 예: のーだ・ぬーだ(마셨다), だいた・でーた・じゃーた(냈다)

참조

[1] 서적 日本の方言 講談社 1968
[2] 서적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40福岡県のことば 明治書院 1997
[3] 서적 講座方言学 9 ―九州地方の方言―
[4] 서적 日本の方言 講談社 1968
[5] 서적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40福岡県のことば 明治書院 1997
[6] 서적 講座方言学 9 ―九州地方の方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