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 하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고리 하인스는 미국의 탭 댄서, 배우, 가수, 안무가였다. 1946년 뉴욕에서 태어난 그는 3세부터 탭 댄스를 시작하여 8세에 형 모리스 하인스와 함께 'The Hines Kids'로 활동했다. 1964년 브로드웨이 데뷔 이후, 영화 《코튼 클럽》, 《백야》, 《사랑을 기다리며》 등에 출연하며 배우로서도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1989년에는 PBS 스페셜 '그레고리 하인스의 탭 댄스 인 아메리카'를 제작하고 진행했으며, 1992년 뮤지컬 《젤리의 마지막 잼》으로 토니상을 수상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어린이 애니메이션 '리틀 빌'에서 빅 빌의 목소리를 연기하며 2003년 데이타임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03년 간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탭 댄스 보급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남자 무용가 - 데니스 데이
데니스 데이는 미국의 배우로, 미키 마우스 클럽의 마우스케터로 활동했으며, 2018년 실종 후 2019년 유해가 발견되었고 전 수리공이 기소되었다. - 미국의 남자 무용가 - 도니 오즈먼드
도니 오즈먼드는 1970년대 틴 아이돌로 인기를 얻은 미국의 가수, 배우, 텔레비전 사회자, 무용가, 작가, 자동차 경주 선수이며, 오즈먼드 형제들 중 한 명으로 "Dancing with the Stars" 최고령 우승, 라스베이거스 공연, 뮤지컬 배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다. - 간암으로 죽은 사람 - 김영한 (1957년)
김영한은 1982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 대검찰청 공안1과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1부장, 대구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강력부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며,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박근혜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대구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다. - 간암으로 죽은 사람 - 유완희
유완희는 1901년에 출생하여 1964년에 사망한 언론인이자 시인으로, ≪경성일보≫ 등 여러 언론사에서 기자로 활동하며 문학 작품을 발표하고 일제강점기에는 반일 활동으로 투옥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언론인과 교편을 겸했다. - 뉴욕 출신 가수 - 해리 벨라폰테
해리 벨라폰테는 "데이-오 (바나나 보트 송)"으로 유명한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사회 운동가로, 칼립소 앨범 성공과 더불어 흑인 민권 운동 참여, 에미상, 토니상, 그래미상 수상 등 예술과 사회 공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뉴욕 출신 가수 - 토니 베넷
앤서니 도미닉 베네데토라는 본명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가수 토니 베넷은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와 같은 대표곡을 통해 스탠더드 팝을 고수하며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았고, 레이디 가가와의 협업 등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며 화가로도 활동했다.
그레고리 하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그레고리 올리버 하인스 |
출생일 | 1946년 2월 14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시 |
사망일 | 2003년 8월 9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안장지 | 세인트 볼로디미르 우크라이나 묘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크빌 |
국적 | 미국 |
민족 | 아프리카계 미국인 |
직업 | 댄서 배우 안무가 가수 성우 |
활동 기간 | 1948년–2003년 |
가족 | |
형제 | 모리스 하인스 |
결혼과 관계 | |
배우자 | 퍼트리샤 파넬라 (1968년 결혼, 1972년 이혼) 파멜라 코슬로 (1981년 결혼, 2000년 이혼) |
파트너 | 네그리타 제이드 (2000년–2003년) |
자녀 | 2명 |
수상 | |
수상 내역 | NAACP 이미지 어워드 (1988년) 토니상 (1992년) 데이타임 에미상 (1999년) |
2. 생애
그레고리 하인스는 1946년 2월 14일 뉴욕시에서 태어나[2] 어린 시절부터 형 모리스와 함께 탭댄스를 시작했다.[2][1] 형제는 '하인스 키즈'(The Hines Kids)로 활동했으며, 이후 아버지가 드러머로 합류하면서 '하인스, 하인스 앤 대드'(Hines, Hines & Dad)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갔다.[2][3][1]
1964년 뮤지컬 《The Girls in Pink Tights》로 브로드웨이에 데뷔했고,[1] 1970년대 잠시 탭 댄스를 중단했다가 1978년 뮤지컬 《Eubie!》로 복귀하여 토니상 후보에 올랐다.[1] 1992년에는 뮤지컬 《Jelly's Last Jam》으로 토니상을 수상했다.[1] 배우로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코튼 클럽》(1984)과 주연 영화 《탭》(1989) 등 여러 작품에 출연했다.[1] 그는 2003년 8월 9일, 57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탭 댄스 보급에 기여했다.[1]
2. 1. 초기 생애
하인스는 1946년 2월 14일, 뉴욕시에서 댄서이자 음악가, 배우였던 앨마 이올라 (로리스)와 모리스 로버트 하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는 뉴욕의 워싱턴 하이츠에서 태어났으며,[1] 할렘의 슈가힐 지역에서 자랐다.[2]그는 두 살 때 탭댄스를 시작했고,[2] 세 살 때부터는 저명한 안무가이자 탭 댄스 마스터인 헨리 르탕에게 사사받았다.[1] 다섯 살 때부터 준프로페셔널 댄서로 활동했으며,[2] 여덟 살에는 형 모리스와 함께 'The Hines Kids'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했다.[1] 형제는 헨리 르탕에게 함께 배우며 공연했고,[2] 같은 공연장에서 공연할 때는 하워드 심스나 니콜라스 형제와 같은 베테랑 탭 댄서들에게 직접 배우기도 했다.[1] 'The Hines Kids'는 캐브 캘러웨이와 함께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공연장에서 공연하기도 했으며,[1] 나중에는 '하인스 형제'(Hines Brothers)로 알려졌다.
1963년에는 아버지 모리스 하인스 시니어가 드러머로 합류하면서 그룹 이름을 '하인스, 하인스 앤 대드'(Hines, Hines & Dad)로 바꾸어 활동을 이어갔다.[2][3]
2. 2. 탭 댄스 경력
그레고리 하인스는 3세 때부터 유명 안무가이자 탭 댄스 거장인 헨리 레탄에게 춤을 배웠고, 8세 때부터 형 모리스 하인스와 함께 '하인스 키즈'(The Hines Kids)라는 이름으로 공연을 시작했다. 이후 아버지 모리스 하인스 시니어가 드러머로 합류하면서 '하인스, 하인스 & 대드'(Hines, Hines & Dad)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1964년에는 뮤지컬 《The Girls in Pink Tights》로 브로드웨이 무대에 데뷔했다.1970년대 초 잠시 탭 댄스를 그만두었으나, 약 5년 후인 1978년 형과 함께 뮤지컬 《Eubie!》에 출연하며 복귀했고, 이 작품으로 토니상 후보에 올랐다. 1992년에는 사비온 글로버와 함께 출연한 뮤지컬 《Jelly's Last Jam》으로 토니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하인스는 탭 스텝, 사운드, 리듬을 즉흥적으로 만드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의 즉흥 연주는 마치 드럼 연주자의 솔로처럼 리듬을 자유자재로 만들어냈고, 전개되는 소리에 맞춰 탭 스텝 구절을 즉흥적으로 구사했다. 편안한 스타일의 댄서였던 그는 주로 헐렁한 바지와 몸에 맞는 셔츠를 입었다.[4] 그는 흑인 리듬 탭의 뿌리와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리듬 탭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탭 역사학자 샐리 소머는 "그는 의도적으로 템포를 무너뜨리고, 마치 바닥에 자갈을 던지듯 탭을 쏟아냈다. 그 순간 그는 탭을 재즈와 뉴 뮤직, 포스트모던 댄스의 최신 자유 형식 실험과 일치시켰다"라고 평가했다.[5]
하인스는 경력 내내 미국에서 탭 댄스를 알리고 지지하는 데 힘썼다. 그는 1989년 5월 전국 탭 댄스 데이 제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으며, 이 날은 현재 미국 40개 도시와 다른 8개국에서 기념되고 있다. 그는 맨해튼 탭 이사회, 재즈 탭 앙상블, 그리고 아메리칸 탭 댄스 재단(이전 명칭: 아메리칸 탭 댄스 오케스트라)의 멤버로 활동하며 탭 댄스 발전에 기여했다.
1984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코튼 클럽》에 출연했으며, 1989년에는 영화 《탭》에서 주연을 맡아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샌드맨 심스, 지미 슬라이드, 버니 브릭스 등 전설적인 탭 댄서들과 함께 연기했다. 같은 해 PBS 스페셜 ''그레고리 하인스의 탭 댄스 인 아메리카''를 직접 제작하고 진행했으며, 이 프로그램에는 사비온 글로버, 버니 브릭스 등 여러 탭 댄서들이 출연했다.[6][7]
1990년, 하인스는 자신의 우상이자 영화 《탭》에서 함께 출연했던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를 병문안했다. 당시 데이비스는 식도암 투병으로 말을 할 수 없는 상태였다. 데이비스가 세상을 떠난 후, 하인스는 그의 장례식에서 데이비스가 자신에게 마치 농구공을 건네주는 듯한 제스처를 했으며, 자신이 그것을 받았다고 말했다. 하인스는 데이비스가 자신을 후계자로 인정해 준 것에 대해 큰 영광으로 생각했다고 밝혔다.[8]
그는 가르침을 통해 사비온 글로버, 다이앤 워커, 테드 레비, 제인 골드버그 등 여러 탭 댄서에게 영향을 주었다.[5] 1988년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는 "나의 노래, 나의 연기, 나의 사랑, 내가 부모가 되는 것까지도" 자신의 춤에서 영향을 받는다고 말하며 탭 댄스가 삶의 중심임을 강조했다.[5] 그는 2003년 8월 9일 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탭 댄스 보급에 힘썼다.
2. 3. 연기 및 음악 경력
하인스는 1954년 형 모리스 하인스와 함께 브로드웨이 뮤지컬 《분홍색 타이츠를 입은 소녀》로 데뷔했다. 이후 《유비!》(1979), 《코민 업타운》(1980), 《소피스티케이티드 레이디스》(1981)로 토니상 후보에 올랐다. 1992년에는 《젤리의 마지막 잼》으로 토니상과 드라마 데스크 상을 수상했으며, 《유비!》로는 극장계 상을 받았다.1975년부터 1976년까지는 로스앤젤레스 베니스를 기반으로 한 록 밴드 Severance에서 리드 싱어이자 뮤지션으로 활동했다. 이 밴드는 Honky Hoagies Handy Hangout(4H 클럽)이라는 클럽의 하우스 밴드 중 하나였으며, 1976년 Largo Records를 통해 동명의 데뷔 앨범을 발매했다.
영화 데뷔는 1981년 멜 브룩스 감독의 영화 ''세계사, 제1부''였다. 원래 이 역할은 리처드 프라이어가 맡기로 했으나, 촬영 직전 심각한 화상을 입어 하인스가 대신하게 되었다. 당시 함께 출연한 매들린 칸이 브룩스 감독에게 하인스를 추천했다고 전해진다.[12][13] 같은 해 공포 영화 ''울펜''에도 출연했다.
1980년대 중반은 배우로서 전성기였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코튼 클럽''(1984)에서는 형 모리스와 함께 니콜라스 형제를 연상시키는 1930년대 탭 댄스 듀오를 연기했다.[14] 1985년에는 ''백야''에서 미하일 바리시니코프와, 1986년에는 버디 경찰 영화 ''러닝 스케어드''에서 빌리 크리스탈과 호흡을 맞췄다. 1989년 영화 ''탭''에서는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등 전설적인 탭 댄서들과 함께 주연을 맡았다.
음악 분야에서도 활동을 이어갔다. 1986년 루더 반드로스와 듀엣으로 부른 "There's Nothing Better Than Love"는 ''빌보드'' R&B 차트 1위를 기록했다.[9] 이 성공에 힘입어 1988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데뷔 앨범을 Epic 레코드에서 발매했다. 이 앨범의 싱글 "That Girl Wants to Dance with Me"(반드로스 작곡)는 R&B 차트 6위에 올랐다.[10][11]
1995년에는 흥행에 성공한 영화 ''사랑을 기다리며''에서 휘트니 휴스턴, 로레타 데빈과 함께 출연했고, 이듬해에는 ''프리처스 와이프''에서 휴스턴, 덴젤 워싱턴, 코트니 B. 밴스와 다시 만났다. 텔레비전에서는 1997년 자신의 이름을 건 시트콤 ''그레고리 하인스 쇼''에 출연하여 CBS에서 한 시즌 동안 방영되었으며, 인기 시트콤 ''윌 & 그레이스''에서는 벤 두세트 역으로 고정 출연하기도 했다.
1987년 인터뷰에서 하인스는 종종 백인 배우를 위해 쓰여진 역할을 선호한다고 밝혔는데, 그 이유로 "더 넓은 범위와 역동성"을 들었다. 그는 ''러닝 스케어드''에서 자신의 캐릭터에게 성관계 장면이 포함된 것을 예로 들며, "보통 (영화 속) 흑인 남자는 전혀 성적 매력이 없게 그려지기 때문"이라고 언급하며 당시 할리우드의 인종적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15]
1998년 영화 ''틱 코드''에 출연했으며,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된 니켈로디언의 어린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리틀 빌''에서 빅 빌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이 역할로 2003년 데이타임 에미상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연기상을 사후에 수상했다.
2. 4. 개인사 및 사망
하인스는 패트리샤 파넬라, 파멜라 코슬로와 결혼했으나 두 번 모두 이혼으로 끝났다.[16] 파넬라와의 사이에는 딸 다리아를, 코슬로와의 사이에는 아들 재커리를 두었다.[17] 생애 마지막 3년 동안은 토론토에 거주하는 보디빌더 네그리타 제이드와 약혼한 상태였다.[16] 그는 2003년 8월 9일, 암으로 인해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망 직전까지 탭 댄스 보급에 기여했다.3. 수상 및 업적
하인스는 1995년과 2002년에 토니상 시상식을 공동 진행했다.
2019년 1월 28일, 미국 우정청은 블랙 헤리티지 시리즈의 일환으로 하인스를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했다. 이 우표는 버팔로 시각 및 공연 예술 아카데미에서 열린 기념식과 함께 발행되었다.[21]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1979 | 씨어터 월드 어워드 | 유비! | |
1988 | 이미지 어워드 |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 | 러닝 스케어드 |
1992 | 토니상 | 뮤지컬 부문 남우주연상 | 젤리의 라스트 잼 |
1992 | 드라마 데스크 어워드 | 뮤지컬 부문 남우주연상 | 젤리의 라스트 잼 |
1998 | 플로-버트 어워드 | 뉴욕 전국 탭댄스 데이 기념 위원회 평생 공로상 | |
2002 | 이미지 어워드 | TV 영화, 미니시리즈 또는 드라마 스페셜 부문 남우주연상 | 보쟁글스 |
2003년 | 데이타임 에미상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연기상 | 리틀 빌 |
'''후보'''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1979 | 토니상 | 뮤지컬 부문 남우조연상 | 유비! |
1980 | 토니상 | 뮤지컬 부문 남우주연상 | '코민 업타운'' |
1981 | 토니상 | 뮤지컬 부문 남우주연상 | 소피스티케이티드 레이디스 |
1982년 | 프라임타임 에미상 | 특별 부문 뛰어난 개인 성과상 | 아이 러브 리버티 |
1985년 | 에미상 | 버라이어티 또는 음악 프로그램 개인 연기상 | 모타운 리턴스 투 디 아폴로 |
1989년 | 에미상 | 버라이어티, 음악 또는 코미디 프로그램상 | 그레이트 퍼포먼스: 탭 댄스 인 아메리카 |
1992 | 드라마 데스크 어워드 | 뛰어난 안무상 | 젤리의 라스트 잼 |
1992 | 토니상 | 최고의 안무상 | 젤리의 라스트 잼 |
1995 | 이미지 어워드 |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 | 사랑을 위한 모든 것 |
1998 | 아메리칸 코미디 어워드 | TV 시리즈 최우수 남자 게스트 출연상 | 윌 & 그레이스 |
1998 | 이미지 어워드 | 코미디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 | 그레고리 하인스 쇼 |
2001 | 블랙 릴 어워드 | 네트워크/케이블 부문 남우주연상 | 보쟁글스 |
2001년 | 에미상 |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 | 보쟁글스 |
2001 | 영화 배우 조합상 | TV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 부문 남우연기상 | 보쟁글스 |
2003년 | 에미상 | 어린이 특별 프로그램 부문 뛰어난 연기상 | 더 레드 스니커스 |
2003 | 에미상 | 어린이 특별 프로그램 부문 뛰어난 연출상 | 더 레드 스니커스 |
4. 출연 작품
그레고리 하인스는 영화, 텔레비전,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다. 그의 주요 활동 내역은 각 분야별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4. 1. 영화
1981년, 하인스는 멜 브룩스 감독의 영화 ''세계사, 제1부''에서 요세푸스 역을 맡으며 영화계에 데뷔했다. 이 역할은 본래 코미디언 리처드 프라이어에게 제안되었으나, 프라이어가 촬영 직전 심각한 화상을 입게 되면서 하인스에게 기회가 돌아갔다.[12][13] 당시 함께 출연했던 배우 매들린 칸이 프라이어의 입원 소식을 듣고 브룩스 감독에게 하인스를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13] 같은 해, 그는 공포 영화 ''울펜''에도 출연하여 검시관 휘팅턴 역을 연기했다.1980년대 중반은 하인스가 배우로서 전성기를 누린 시기였다. 그는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코튼 클럽''(1984)에서 주연급인 '샌드맨' 윌리엄스 역을 맡았다. 이 영화에는 그의 형 모리스 하인스도 출연했는데, 두 형제는 전설적인 니콜라스 형제를 연상시키는 1930년대 탭 댄스 듀오를 연기했다.[14] 1985년에는 영화 ''백야''에서 세계적인 발레리노 미하일 바리시니코프와 함께 주연을 맡았고, 1986년에는 빌리 크리스탈과 호흡을 맞춘 버디 경찰 영화 ''러닝 스케어드''에 출연했다. 1989년에는 자신의 우상이기도 했던 전설적인 엔터테이너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와 함께 영화 ''탭''에 출연했으며, 이 작품은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의 마지막 영화 출연작이 되었다.
1990년대에도 하인스는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이브의 파괴''(1991), 대니 드비토 주연의 코미디 영화 ''르네상스 맨''(1994) 등에 참여했다. 특히 1995년에는 휘트니 휴스턴, 안젤라 바셋, 로레타 데빈 등과 함께 출연한 영화 ''사랑을 기다리며''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듬해에는 다시 휘트니 휴스턴과 함께 덴젤 워싱턴, 코트니 B. 밴스 등이 출연한 ''프리쳐스 와이프''(1996)에 출연했다. 이후 ''틱 코드''(1999) 등 다양한 작품에 참여했다.
하인스는 1987년 한 인터뷰에서 종종 백인 배우들을 위해 쓰여진 역할들을 선호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러한 역할들이 "더 넓은 범위와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그는 ''러닝 스케어드''에서 자신의 캐릭터에게 성관계 장면이 포함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당시 할리우드에서 "보통 흑인 남자는 전혀 성적 매력이 없는 것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흑인 배우에게 가해지는 인종적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15]
다음은 그레고리 하인스가 출연한 주요 영화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1 | 세계사, 제1부 | 요세푸스 | 영화 데뷔작 |
1981 | 울펜 | 휘팅턴 | |
1983 | 세기의 거래 | 레이 캐스터낙 | |
1984 | 머펫, 뉴욕을 점령하다 | 롤러스케이터 | |
1984 | 코튼 클럽 | 샌드맨 윌리엄스 | |
1985 | 백야 | 레이먼드 그린우드 | |
1986 | 러닝 스케어드 | 레이 휴즈 형사 | |
1988 | 사이공 | 알바니 퍼킨스 | 원제: Off Limits |
1989 | 탭 | 맥스 워싱턴 | |
1991 | 이브의 파괴 | 짐 맥퀘이드 대령 | 원제: Eve of Destruction |
1991 | 할렘에서의 분노 | '골디' | 원제: A Rage in Harlem |
1991 | 화이트 라이 | 렌 매디슨 주니어 | TV 영화 |
1992 | T 본 앤 위즐 | 'T-본' | TV 영화 |
1994 | 데드 에어 | 마크 재넥 / 짐 셰퍼드 | TV 영화 |
1994 | 르네상스 맨 | 캐스 상사 | |
1994 | 캥거루 코트 | 단편 영화 | |
1995 | 타운의 낯선 사람 | 반스 | TV 영화 |
1995 | 사랑을 기다리며 | 마빈 킹 | 원제: Waiting to Exhale |
1996 | 굿 럭 | 버나드 번 렘리 | |
1996 | 트리거해피 | 줄스 플라밍고 | 원제: Mad Dog Time |
1996 | 프리쳐스 와이프 | 조 해밀턴 | |
1996 | 체로키 키드 | 제데다이아 터너 / 언더테이커 | TV 영화 |
1997 | 지하철 이야기: 언더그라운드에서 온 이야기 | 잭 | TV 영화 (세그먼트 "맨해튼 미라클") |
1999 | 틱 코드 | 타이론 파이크 | |
2000 | 그녀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알 수 있는 것들 | 로버트 | 세그먼트 "레베카에 대한 환상" |
2000 | 누가 애틀랜타의 아이들을 죽였는가? | 론 라슨 | TV 영화 |
2000 | 원스 인 더 라이프 | 러프하우스 | |
2001 | 보쟁글스 | 보쟁글스 | TV 영화 |
2002 | 레드 스니커즈 | 지크 | TV 영화 |
2003 | 더 루트 | ||
2004 | 사랑스러운 그녀, 샐리 | 프레드 | 최종 영화 역할, 사후 개봉 |
4. 2. 텔레비전
-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1979) - 본인
- 세서미 스트리트 (1979–1980) – 본인
- 페어리 테일 극장 ''Faerie Tale Theatre'' (1985, 에피소드 "장화 신은 고양이") – 에드가 역
- 어메이징 스토리 ''Amazing Stories'' (1985, 에피소드 "The Amazing Falsworth")[22] – 팔스워스 역
- 그레고리 하인스의 사이공 (1987, TV 스페셜) – 본인
- 그레고리 하인스의 미국 탭 댄스 (1989, TV 스페셜) – 본인
- 화이트 라이 (1991, TV 영화) – 렌 매디슨 주니어 역
- T 본 앤 위즐 (1992, TV 영화) – 'T-본' 역
- 데드 에어 (1994, TV 영화) – 마크 재넥 / 짐 셰퍼드 역
- 행복하게 살아요: 모든 아이들을 위한 동화 (1995, 에피소드 "미녀와 야수") – 야수 / 코로 왕자 역 (목소리)
- 타운의 낯선 사람 (1995, TV 영화) – 반스 역
- 체로키 키드 (1996, TV 영화) – 제데다이아 터너 / 언더테이커 역
- 지하철 이야기: 언더그라운드에서 온 이야기 (1997, TV 영화) – 잭 역 (세그먼트 "맨해튼 미라클")
- 그레고리 하인스 쇼 (1997–1998) – 벤 스티븐슨 역 (주연)
- 블루스 클루스 (1999, 에피소드 ''블루의 큰 보물찾기'') – 잭 역 (목소리)
- 윌 & 그레이스 ''Will & Grace'' (1999–2000) – 벤 도세트 역 (고정 출연)
- 누가 애틀랜타의 아이들을 죽였는가? (2000, TV 영화) – 론 라슨 역
- 보쟁글스 (2001, TV 영화) – 보쟁글스 역 (주연)
- 레드 스니커즈 (2002, TV 영화) – 지크 역
- 로 앤 오더 ''Law & Order'' (2003, 에피소드 "자살 상자") – 칼 헬퍼트 역
- 집에서 길을 잃다 (2003, TV 영화) – 조던 킹 역
- 리틀 빌 (1999–2004) – 빌 '빅 빌' 역 (목소리, 최종 TV 출연).
하인스는 1997년 자신의 이름을 딴 시트콤 ''그레고리 하인스 쇼''에 주연으로 출연하여 CBS에서 한 시즌 동안 방영되었으며, 인기 시트콤 ''윌 & 그레이스''에서 벤 두세트 역으로 고정 출연했다. 또한 니켈로디언 주니어 채널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리틀 빌''에서 빅 빌의 목소리를 연기했고, 이 역할로 2003년 데이타임 에미상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했다.
4. 3. 뮤지컬
하인스는 1954년 형제와 함께 브로드웨이 데뷔작인 《분홍색 타이츠를 입은 소녀》에 출연했다. 그는 《유비!》(1979), 《코민 업타운》(1980), 《소피스티케이티드 레이디스》(1981)로 토니상 후보에 올랐으며, 《젤리의 마지막 잼》(1992)으로 토니상과 드라마 데스크 상을, 《유비!》로 극장계 상을 수상했다.참조
[1]
뉴스
Hines on Tap
https://www.washingt[...]
1985-02-24
[2]
뉴스
Gregory Hines, obituary
https://www.telegrap[...]
2019-05-29
[3]
웹사이트
Gregory Hines
https://www.biograph[...]
2020-09-23
[4]
서적
Gregory Hin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20-03-31
[5]
웹사이트
Biography of Gregory Hines
https://www.nypl.org[...]
2017-12-21
[6]
뉴스
The Man in the Dancing Shoes
http://www.cigarafic[...]
2012-05-25
[7]
서적
Tap: With Gregory Hines
http://catalog.nypl.[...]
WNET/New York
2013-04-23
[8]
웹사이트
Gregory Hines Interview
http://www.sammydavi[...]
2008-06-09
[9]
Billboard
Luther Vandross Chart History
[10]
Billboard
Gregory Hines Chart History
[11]
웹사이트
Gregory Hines songs Top Songs/Chart Singles Discography @musicvf.com
https://www.musicvf.[...]
2023-12-15
[12]
뉴스
Gregory Hines
https://www.theguard[...]
2020-03-31
[13]
뉴스
The World According to Mel Brooks
https://www.nytimes.[...]
2020-03-31
[14]
뉴스
Coppola's Cotton Club Encore Remakes American Entertainment
https://news.yahoo.c[...]
2019-10-23
[15]
뉴스
Gregory Hines: a dancer hits the screen and gets the girls
https://www.newspape[...]
1986-06-30
[16]
뉴스
Gregory Hines, Versatile Dancer and Actor, Dies at 57
https://www.nytimes.[...]
2020-03-31
[17]
뉴스
Dads in the Limelight
https://www.tampabay[...]
1990-06-17
[18]
뉴스
Tap Dance Idol Gregory Hines, Star of TV, Stage And Screen, Dies
https://books.google[...]
2003-08-25
[19]
뉴스
Pallbearers carry the coffin of Gregory Hines' at the memorial...
https://www.gettyima[...]
2022-01-24
[20]
뉴스
Gregory Hines buried in Oakville City, Ontario
https://www.cbc.ca/a[...]
2013-08-21
[21]
간행물
Gregory Hines As Honoree on New Forever Stamp
https://about.usps.c[...]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19-01-28
[22]
웹사이트
The Amazing Falsworth
https://www.imdb.com[...]
IMDb
1985-11-05
[23]
웹사이트
Black History Month 2024 – Gregory Hines
https://jamesschoolo[...]
James School Of Dance Arts
2024-12-28
[24]
웹인용
Gregory Hines Tap Dancer, Actor, Choreographer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7
[25]
뉴스
'Greatest tap dancer of his generation' dies aged 57
https://www.theguard[...]
2024-04-27
[26]
뉴스
Maurice Hines, Tap-Dancing Star With His Brother, Dies at 80
https://www.nytimes.[...]
2024-04-27
[27]
웹인용
Maurice Hines on the Legacy of the Apollo Theater
https://www.smithson[...]
2024-04-27
[28]
웹인용
Maurice Hines Jr., who went from tap-dancing brother act to Broadway trailblazer, dies at 80
https://www.latimes.[...]
2024-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