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노스 문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노스 문명은 신화 속 크레타의 왕 미노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기원전 7000년경부터 크레타 섬에서 발전한 청동기 문명이다. 미노스 문명은 전(前) 궁전 시대, 고(古) 궁전 시대, 신(新) 궁전 시대, 여러 궁전 붕괴 이후 시대로 구분된다. 주요 유적지로는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말리아 등이 있으며, 궁전을 중심으로 농산물 저장, 가공, 재분배가 이루어졌다. 미노스인들은 상업에 종사하며 이집트, 키프로스 등과 교역했으며, 다신교를 믿었다. 예술적으로는 독특한 도자기, 프레스코화, 보석 등이 특징적이며, 1420년경 미케네 문명의 침략으로 쇠퇴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미노스인들은 현대 크레타인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며, 초기 유럽 농부의 조상을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게 문명 - 키클라데스 문명
    키클라데스 문명은 기원전 4000년경 에게해의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번성한 청동기 시대 문명으로, 미노아 문명보다 앞섰으며 순백의 대리석 여성 숭배상으로 유명하지만, 유물 약탈과 위조로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에게 문명 - 트로아스
    트로아스는 오늘날 튀르키예 북서부에 위치한 고대 지역으로, 히타이트 시대에는 'Taruiša' 또는 'Wiluša'로 불렸으며, 고대 그리스,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페르가몬 왕국,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오스만 제국을 거쳤고, 신약성서에 사도 바울의 방문지로 기록되어 한국 학계에서도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크레타의 고대사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크레타의 고대사 - 디도에게 보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는 사도 바울이 제자 디도에게 크레타 교회 장로와 감독자 임명 기준과 이교 및 이단에 대한 경고를 담아 보낸 신약성경으로, 바울 서신으로 분류되나, 내용과 문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바울의 직접 저작이 아니라는 견해와 위경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전통적으로는 바울이 크레타 방문 시 작성했다는 주장과 대필 가능성이 제기되고, "크레타 사람은 항상 거짓말쟁이"라는 인용문은 자기 언급의 역설로 인용된다.
  • 미노스 문명 - 아서 에번스
    아서 에번스는 영국의 고고학자로서 크레타 크노소스 유적을 발굴하여 미노아 문명을 세상에 알렸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애슈몰린 박물관 학예관을 역임했고, 크노소스에서 발굴된 선문자 A와 B 연구에 기여했지만, 선문자 B 해독을 독점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미노스 문명 - 파이스토스 원반
    파이스토스 원반은 기원전 2천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크레타 섬의 점토 원반으로, 양면에 45개의 서로 다른 기호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활판 인쇄의 초기 사례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기원, 용도, 기록 내용이 명확히 해독되지 않은 미스터리이다.
미노스 문명
개요
미노아 크레타 지도
미노아 크레타 지도
주요 유적지크노소스, 파이스토스, 하기아 트리아다, 말리아, 자크로스
시대에게 청동기 시대
존속 기간기원전 년
선행 문명크레타 신석기 시대
후행 문명미케네 그리스
역사
지역크레타, 에게 해 주변 추가 정착지

2. 명칭

'''미노스'''라는 명칭은 신화 속 크레타의 왕 미노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서 에반스가 이 명칭을 널리 사용하였다.[1][2] 카를 횕크가 이전에 제안했던 것을 에반스가 차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미노스'는 현대에 만들어진 용어로, 미노스인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불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2]

고대 이집트인들은 미노스인들을 kftjw|케프티우egy(Keftiu)라고 불렀다.[3][4][5][6] 이것이 외래어인지 미노아어에서 유래된 내생어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3][4][5][6]

3. 역사

에게해키클라데스 제도 중 하나인 테라에서 기원전 2000년경으로 추정되는 큰 분화가 발생했다. 1866년부터 7년에 걸쳐 프랑스인들이 매몰된 도시를 발굴했고, 용암 속에서 장식 무늬가 있는 도자기 조각도 발견되었다. 2년 후, 로도스섬의 이알리소스에서 후기 청동기 시대(미케네 시대)의 분묘가 발견되어 특색 있는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독일인 하인리히 슐리만트로이 발굴 후 1876년에 미케네를 발굴하여, 사자문의 남쪽에 있는 왕족 분묘에서 대량의 금은 세공품을 발견했다.

슐리만의 발굴로 그리스 태고문화 탐구가 활발해졌고, 1900년 영국인 아서 에번스는 크레타의 크노소스 유적 발굴을 시작했다. 에번스는 그리스 본토 및 다른 섬들의 '미케네 문명'보다 더 오래되고 세련된 문화를 발견했고, 에게 세계 연구에 새로운 자극을 주었다. 에번스는 크노소스 출토 유물, 특히 항아리의 형태나 장식 양식 변화를 통해 크레타 청동기 시대의 연대를 구분하고, 크레타 문명에 '미노스 문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노스 문명에는 두 가지 상대 연대기 시스템이 사용된다. 첫 번째는 도자기 양식을 기반으로 초기 미노스 시대(EM), 중기 미노스 시대(MM), 후기 미노스 시대(LM)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화한다. 그리스 고고학자 니콜라오스 플라톤은 궁전 이전 시대, 초기 궁전 시대, 신 궁전 시대, 궁전 이후 시대로 나누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절대 연대기 확립은 어렵다. 고고학자들은 미노스 문명의 시기를 동시대 다른 문명의 시기와 비교하여 날짜를 추정하려 했다. 예를 들어, LM IB 시대의 미노스 유물은 이집트 제18왕조 유적에서 발견되었는데, 이집트 연대기를 통해 날짜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탄소 연대 측정 등 다른 방법의 결과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특히 LM IA 시대 말에 발생한 테라 분화의 연대는 논란의 대상이다. 탄소 연대 측정은 기원전 1600년경으로 추정하지만, 이집트 기록과의 비교는 약 1세기 늦게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2][13][14][15][16]

style="caption-side:bottom" | 미노아 문화의 연대기
연대토기에 의한 연대문화 추이에 의한 구분
기원전 3650년 ~ 3000년EMI전(前) 궁전 시대
기원전 2900년 ~ 2300년EMII
기원전 2300년 ~ 2160년EMIII
기원전 2160년 ~ 1900년MMIA
기원전 1900년 ~ 1800년MMIB고(古) 궁전 시대
(제1 궁전 시대)
기원전 1800년 ~ 1700년MMII
기원전 1700년 ~ 1640년MMIIIA신(新) 궁전 시대
(제2 궁전 시대)
기원전 1640년 ~ 1600년MMIIIB
기원전 1600년 ~ 1480년LMIA
기원전 1480년 ~ 1425년LMIB
기원전 1425년 ~ 1390년LMII여러 궁전 붕괴 이후의 시대
(최종 궁전 시대)
기원전 1390년 ~ 1370년LMIIIA1
기원전 1370년 ~ 1340년LMIIIA2
기원전 1340년 ~ 1190년LMIIIB
기원전 1190년 ~ 1170년LMIIIC
기원전 1100년아(亞) 미노아 문화



크레타 섬에서는 그리스 본토나 키클라데스 제도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문화가 발전했다. 초기 청동기 시대에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문화 단절이 발생했지만, 크레타 섬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없었고, 중기 청동기 시대에 궁전이 건축되기 시작했다. 크레타 섬의 청동기 시대는 전(前) 궁전 시대, 고(古) 궁전(제1 궁전) 시대, 신(新) 궁전(제2 궁전) 시대, 여러 궁전 붕괴 후(최종 궁전) 시대로 구분된다.[166]

미노스 문명의 궁전은 각지에서 모이는 물품을 저장하고 가공하여 재분배하는 시스템의 중심지였다. 말리아나 자크로스에서는 궁전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다만, 자크로스의 경우에는 바다에 면한 지역으로 항만 도시가 형성된 후, 궁전이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구르니아, 코모스, 팔레카스트로에서는 궁전과는 별개의 장소에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기원전 15세기경, 미케네 문명의 침략은 미노스 문명의 쇠퇴를 가져왔다.[4] 크노소스 궁전은 파괴되었고, 선 문자 B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해안 정착지는 버려지고, 사람들은 고지대의 방어 가능한 위치로 이동했다. 미노스 문화는 그리스 암흑기까지 일부 지속되었으며,[44] 카르피는 이러한 피난 유적지 중 하나로, 마지막 미노스 유적지 중 하나이다.

3. 1. 전(前) 궁전 시대 (기원전 3650년 ~ 기원전 1900년)

크레타 섬에서는 그리스 본토나 키클라데스 제도와는 달리, 독자적인 문화가 발전하였다. 초기 청동기 시대에 키클라데스 제도에서는 문화 단절이 나타났지만, 크레타 섬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중기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서는 궁전이 건축되기 시작했다. 크레타 섬의 청동기 시대는 에게 해의 초기, 중기, 후기와 병행하여 전(前) 궁전 시대, 고(古) 궁전(제1 궁전) 시대, 신(新) 궁전(제2 궁전) 시대, 여러 궁전 붕괴 후(최종 궁전, 혹은 크레타의 미케네) 시대로 구분된다.[166] 각 시대는 토기 양식의 변화에 따라 세분화된다.

미노아 문화의 연대기
연대토기에 의한 연대문화 추이에 의한 구분
기원전 3650년 ~ 3000년EMI전(前) 궁전 시대
기원전 2900년 ~ 2300년EMII
기원전 2300년 ~ 2160년EMIII
기원전 2160년 ~ 1900년MMIA



미노아 문화의 연대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으며, 연대를 높게 잡는 학자와 낮게 잡는 학자 사이에 100년 정도의 차이가 있다. 선 문자 A 해독, 궁전 정보 정리, 궁전 주변 도시, 빌라, 성역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167]

전기 궁전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밀토스의 풀누우・코리피 유적이 있다. 이 유적은 EMII기에 속하며, EMII 말기에 소실된 후 다시 정착되지 않아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169] 이 유적은 계획적으로 지어지지 않았고, 작은 방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후 시대의 궁전과 같은 대형 창고로 보이는 건물이 발견되었다. 유적 주변에서는 수많은 돌 절구가 발견되어, 당시 이 유적에서 곡물을 가루로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69]

매장 방식은 공동 묘지에 여러 세대가 함께 매장되는 형태였다. 크레타 중부 메사라 평원에서는 토로스 묘가, 크레타 섬 부근 모크로스 섬에서는 직사각형 시설이 발견되었다. 토로스 묘는 미케네 시대와 달리 지하가 아닌 지상에 만들어졌다. 알하네스의 토로스 C에서는 키클라데스 문화의 석상이 발견되어, 크레타 섬과 에게 해 도서부 간의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170]

기원전 2000년경, 크레타 섬에서는 미노아 문명을 대표하는 궁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궁전들은 계획적으로 건설되었고, 규격화도 이루어졌다. 크노소스, 말리아, 페스토스, 자크로스에서 발견된 궁전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규격화와 구조의 동일성은 특정 인물의 주도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하며, 궁전의 성립으로 미노아 사회는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인다.

3. 2. 고(古) 궁전 시대 (기원전 1900년 ~ 기원전 1700년)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말리아, 자크로스 등지에 궁전이 건설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 궁전들은 물자 저장, 가공, 재분배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크노소스 궁전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MMIB에 속하지만, 이 시기에 궁전이 완성된 것은 아니며, 북서부와 서쪽의 저장고가 먼저 구축된 후, 동쪽 건물이 구축되었다. 서쪽 광장에서는 쿨루레스(Kouloures)라고 불리는 원형 구덩이가 3개 파여져 있었는데, 이것들은 곡물을 지하에 저장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최서부에서는 올리브 오일이나 와인 등이 저장되어 있었으며, 궁전이 구축 초기부터 농산물의 저장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앙 광장 동부에서는 토기 보관이나 방적 작업장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메사라 평원의 페스토스 궁전에서도 비슷한 발전이 보이며, 페스토스에서는 고궁전 시대를 페이즈 1, 페이즈 2, 페이즈 3의 세 단계로 나누는데, 각 페이즈마다 저장고, 가공 장소로서의 성격이 발전했다.

크노소스 궁전의 제사, 행정의 핵심은 궁전 서쪽 날개 동부에서 행해졌으며, 이 중에서도 중요한 장소인 "옥좌의 방"은 과거에는 미케네 시대 (LMII)에 이르러서 구축되었다고 생각되었지만, 그 후의 연구 결과, 이 시대에 구축되었음이 밝혀졌다.[172]

바실리키 양식 토기


카마레스 양식 토기가 등장했으며, 물레 사용으로 도자기 제작 기술이 향상되었다. 이 시기에는 바실리키 양식 토기도 많이 발견되는데, 이 토기는 크레타 동부에 많이 분포하며, 그릇의 외면이 닦여 검은색이나 붉은색 광택의 반점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166]

선 문자 A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고궁전 시대의 궁전은 기원전 1780년에 지진으로 모두 붕괴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 후, 붕괴된 궁전 위에 동일한 계획을 가지고 더욱 규모를 확대한 후에 재건되었다.[172]

3. 3. 신(新) 궁전 시대 (기원전 1700년 ~ 기원전 1425년)

미노스 문명은 최전성기를 맞이하여, 토기 제작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 MMIII기에 접어들면서 카마레스 토기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고, 거북이 등껍질 모양의 파상문이 새겨진 토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토기의 형태도 다양해졌으며, 후기 청동기 시대에 보이는 토기에서 도입된 기술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도 MMIII기의 특징이다.[173]

LMIA기에는 밝은 색 바탕에 어두운 색(적색, 갈색)으로 수평 방향의 소용돌이나 초화를 그리는 방식이 널리 퍼졌다. 초화 문양은 카마레스 토기에도 그려졌지만, LMIA기에는 이와 달리 유연하고 자연주의적인 문양이 많았으며, 이는 프레스코화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175]

LMIB기에는 "궁전 전통"으로서 고도의 예술성을 가진 정제 토기군이 나타난다. 이 토기에는 해양 문양식, 초화 문양식, 추상 문양식, 교호 양식의 4가지 양식이 보인다.[174]

해양 문양이 그려진 토기


고(古) 궁전 시대에 붕괴되었던 크노소스 궁전은 그 위에 더욱 확장되어 다시 세워졌다. 이 재건 과정에서 "옥좌의 방"도 옥좌와 벤치가 만들어졌다고 여겨지지만, 이 옥좌가 만들어진 경위와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도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176]

옥좌의 방, 벽에는 그리폰이 그려져 있다


옥좌 뒤쪽 벽에는 한 쌍의 그리폰이 그려져 있는데, 이들은 여성을 지키는 그림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아, 옥좌에 앉아 종교적, 혹은 세속적인 행위를 한 것이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 "옥좌의 방" 남쪽에는 궁전에서의 신앙 중심지였다고 생각되는 신성한 기둥을 포함한 제사 시설이 구축되어 있었고, 그 안쪽에는 신성한 공물을 보관하는 지하 격납고가 있었다.[176]

이 지하 격납고에서는 도제 뱀을 가진 여신상과 선 문자 A가 새겨진 점토판이 출토되었는데, 이들이 같은 장소에서 출토된 것은 제사와 행정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172]

소 뛰어넘기 의식


신(新) 궁전에서도 중앙 광장이 만들어졌으며, 이 광장에서는 소 뛰어넘기 의식이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다른 의견도 있는데, 서쪽 광장에서 행해진 것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프레스코화와 중앙 광장에서 행해진 것을 그린 프레스코화에서 젊은이의 복장과 머리 모양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이 광장이 운동장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의 아고라와 같은 집회 장소였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77]

미노스 문명의 궁전은 각지에서 모이는 물품을 저장하고 가공하여 재분배하는 시스템의 중심지였다. 말리아나 자크로스에서는 궁전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다만, 자크로스의 경우에는 바다에 면한 지역으로 항만 도시가 형성된 후, 궁전이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구르니아, 코모스, 팔레카스트로에서는 궁전과는 별개의 장소에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특히 팔레카스트로에서는 마을의 규모가 궁전을 상회하며, 가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모스도 항만 도시이며, 궁전과 같은 규모의 마을이 발견되었다.[178]

신 궁전 시대에는 도시와는 별개로 '빌라'라고 불리는 고립 가옥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빌라는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 단독 주택, 혹은 여러 가옥군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은 궁전과 마찬가지로 물품 저장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아르하네스 남쪽의 바시페트로의 빌라에서는 와인, 올리브 오일을 제조하는 유구가 발견되었으며, 이 빌라는 원주를 둘러싼 트인 2층 부분에 발코니가 달린 것이 발굴되어 당시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179]

3. 4. 여러 궁전 붕괴 이후의 시대 (기원전 1425년 ~ 기원전 1170년)

기원전 15세기경, 미케네 문명의 침략은 미노스 문명의 쇠퇴를 가져왔다.[4] 크노소스 궁전은 파괴되었고, 선 문자 B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해안 정착지는 버려지고, 사람들은 고지대의 방어 가능한 위치로 이동했다. 미노스 문화는 그리스 암흑기까지 일부 지속되었으며,[44] 카르피는 이러한 피난 유적지 중 하나로, 마지막 미노스 유적지 중 하나이다.

4. 지리

미노스 문명은 크레타섬을 중심으로 에게해 주변에 정착지를 두었다.[40][41][42] 크레타섬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을 연결하는 해상 무역로에 위치해 있었다.[22][24] 미노아인들은 이집트, 키프로스, 가나안, 레반트 해안, 아나톨리아까지 무역을 했다.[40] 미노아 양식의 프레스코화는 아바리스와 텔 카브리의 엘리트 거주지에서 발견되었다.[40]

키클라데스 제도는 미노아 문화권에 속했고,[44] 카르파토스, 사리아섬, 카소스 섬에도 중기 청동기 시대(MMI-II) 미노아 식민지 또는 미노아 상인들의 정착지가 있었다.[44] 로드스섬, 이알리소스에도 미노아 식민지가 있었다.[46]

기원전 15세기 이집트 테베의 그림은 선물을 들고 있는 미노아인으로 보이는 사람들을 묘사하고 있다. 그들을 "바다 한가운데 섬"에서 온 것으로 묘사하는 비문은 크레테 섬에서 온 선물 상인이나 관리들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4]

카토 자크로스 유적은 만에 있는 현대 해안선에서 100미터 이내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많은 워크샵과 풍부한 유적 자료는 무역을 위한 가능한 ''앙트르포''를 나타낸다.[47]

5. 주요 유적지


  • 크노소스 – 크레타 섬에서 가장 큰[35] 청동기 시대 유적지이다. 아서 에번스가 발굴하였으며, 미노스 문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크노소스의 인구는 기원전 2500년 경에는 1,300명에서 2,000명, 기원전 2000년에는 18,000명, 기원전 1600년에는 20,000명에서 100,000명, 기원전 1360년에는 30,000명으로 추산된다.[36][37]

크노소스 궁전


크노소스의 돌고래 프레스코 벽화


크노소스 궁전 서쪽 정면
크노소스 궁전의 서쪽 정면. 다른 궁전들과 마찬가지로, 중기 미노아 시대에 건설되었지만 존속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개조되었다.


세 개의 커다란 점토 저장 항아리
크노소스의 저장 항아리 (피토이, πίθοι)


크노소스 궁전의 재건


크노소스 궁전의 하수도

  • 파이스토스 – 섬에서 두 번째로 큰[35] 궁전 건물로, 크노소스 발굴 직후 이탈리아 학파에 의해 발굴되었다.
  • 하기아 트리아다 – 파이스토스 근처의 마을이자 행정 중심지로, 가장 많은 수의 선문자 A 점토판이 발견되었다.
  • 코모스 – 파이스토스와 하기아 트리다를 위한 항구 도시로, 궁전 건축을 반영하는 공공 건물이 있다.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코모스는 항만 도시이며, 궁전과 동규모의 마을이 발견되었다.[178]
  • 말리아 – 프랑스 발굴의 대상이었으며, 초기 궁전 시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궁전 중심지이다.
  • 카토 자크로스 – 섬의 동쪽 끝에서 그리스 고고학자들이 발굴한 해안 궁전 유적지로, 고고학 문헌에서는 "자크로"로도 알려져 있다.
  • 갈라타스 – 1990년대 초에 궁전 유적지로 확인되었다.
  • 키도니아(현대 하니아) - 서부 크레테 유일의 궁전 유적지
  • 고우르니아 – 20세기 초에 발굴된 마을 유적지
  • 피르고스 – 크레테 남부의 초기 미노스 유적지
  • 바실리키 – 독특한 도자기의 이름을 부여하는 초기 동부 미노스 유적지
  • 포르누 코르피 – 남부 유적지
  • 프세이라 – 의례 유적이 있는 섬 마을
  • 주크타스 산 – 크노소스 궁전과 관련된 가장 큰 미노스 봉우리 성역[38]
  • 아르칼로코리 – 아르칼로코리 도끼가 발견된 유적지
  • 카르피 – 피난 유적지로, 마지막 미노스 유적지 중 하나
  • 아크로티리 – 테라 분화 유적지 근처의 산토리니 (테라) 섬의 정착지
  • 조민토스 – 이다 산 북쪽 기슭의 산악 도시


Colorful, detailed fresco with people and animals
미노스 회화의 세부 묘사, 아크로티리에서 발견된 ''선박 행렬''
미노스 문명은 크레타 섬을 중심으로 에게 해 주변에 추가 정착지가 있었다. 크레타 섬은 에게 해 남쪽에 위치하며, 유럽, 아프리카, 중동을 연결하는 해상 무역로를 따라 자리 잡고 있다. 지중해와 아프리카 기후대에 걸쳐 있고 다양한 고도의 지형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천연 자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금속이 부족하며, 이는 미노스인들이 국제 무역에 관심을 갖게 된 요인으로 여겨진다. 이 섬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많은 미노스 유적지에서 지진 피해의 흔적이 발견된다. 미노스 유적지의 대부분은 크레타 섬 중부와 동부에 위치하며, 특히 섬의 서쪽, 남쪽에는 거의 없다.[34]

6. 사회와 문화

미노스인들은 상업적인 사람들이었으며, 해외 무역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고, 전성기에는 지중해 대부분 지역에서 국제 무역의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을 가능성이 높다. 미노스 종교는 여성 신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여성들이 의례를 주관했다.[90] 역사가들과 고고학자들은 노골적인 모계 사회에 대해 오랫동안 회의적이었지만, 남성보다 권위 있는 역할에서 여성의 우세는 미노스 사회가 모계 사회였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잘 뒷받침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91][90]

궁전 경제라는 용어는 미노스 연구자들 사이에서 처음 인기를 얻었다.[92] 이 용어는 고대 화폐 이전 문화에서 중앙 정부 또는 종교 기관에 의해 작물 및 기타 상품이 수집되어 인구에게 재분배되는 경제 체제를 의미한다. 모든 미노스 궁전에는 농산물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매우 넓은 공간이 있으며, 그중 일부 잔해는 재해로 묻힌 후 발굴되었다.

미노스 여성의 묘사


미노스 문자의 선형 문자 A가 아직 해독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노스 여성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다양한 예술 형태와 선형 문자 B 점토판에서 얻을 수 있다.[98] 미노스 여성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101] 미노스 사회는 예술 묘사, 의복, 사회적 역할에서 남성과 여성을 분리하는 분열된 사회였다.[101] 예를 들어, 선형 문자 B로 작성된 문서에는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나열되고, 어머니는 딸과 함께 완전히 다른 섹션에 나열되어 있어, 미노스 사회에 성별 분리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98]

예술적으로 여성은 남성과 매우 다르게 묘사되었다. 남성은 종종 어두운 피부로 표현되었지만 여성은 더 밝은 피부로 표현되었다.[99] 미노스 의복의 표현 또한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나타낸다. 미노스 남성은 옷을 거의 입지 않은 채로 묘사되었지만, 여성의 몸은, 특히 나중에는, 더 많이 가려졌다. 여성 의복의 구조가 남성이 입었던 옷을 반영하여 시작되었다는 증거가 있지만, 프레스코 예술은 미노스 시대 동안 여성의 의복이 점점 더 정교하게 발전했음을 보여준다.[100] 여성 의복의 진화 과정에서 여성의 성적 특징, 특히 가슴이 강조되었다.[99] 미노스 시대의 여성 의복은 쇄골이나 가슴 전체를 노출하기도 했다.

아크로티리의 벽화


프레스코 그림은 엘리트 여성, 대중의 여성, 하녀의 세 계층을 묘사한다.[98] 엘리트 여성은 그림에서 하위 계층의 여성보다 두 배나 큰 체구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엘리트 부유한 여성과 사회 내 다른 여성 인구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을 강조하는 방식이었다.[98]

육아는 미노스 사회에서 여성의 주요 역할이었다.[101] 가사 외에 여성의 의무로 확인된 다른 역할은 음식 수집, 음식 준비, 가사 관리였다.[102] 또한 여성은 도자기 및 직물 공예가로서 장인 세계에서 활동했다.[102]

여성은 그림에서 종종 아이들의 양육자로 묘사되었지만 임산부는 프레스코에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대신 임산부는 둥근 바닥이 임신한 배를 나타내는 조각된 항아리 형태로 표현되었다.[98] 미노스 예술 형태는 여성이 출산, 수유 또는 생식을 하는 것을 묘사하지 않는다.[98] 출산은 미노스 사회에서 위험한 과정이었다. 고고학적 자료는 복부 부위에서 발견된 태아 뼈로 식별된 임산부의 뼈를 다수 발견하여 임신과 출산 중 사망이 사회에서 흔한 특징이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98]

아기아 트리다 사르코파구스의 인물들


양털은 섬유의 주요 사용 원료였으며, 아마도 중요한 수출 상품이었을 것이다. 아마에서 얻은 린넨은 덜 일반적이었고, 이집트에서 수입되었거나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실크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약간의 사용은 가능했을 수 있다.[103]

미노아 예술에서 볼 수 있듯이, 미노아 남성은 (가난한 경우) 샅옷을 입거나, 종종 긴 로브 또는 킬트를 입었다. 여성들은 짧은 소매가 달린 긴 드레스와 겹겹이 주름진 치마를 입었다.[104] 남녀 모두 예술 작품에서 작은 허리에 큰 강조점을 두었으며, 종종 불가능한 정도로 과장되었다. 남녀 모두 허리에 다소 두꺼운 벨트나 허리띠를 하고 있는 모습이 자주 묘사된다. 여성은 끈이 없는 맞춤형 보디스를 입을 수도 있었고, 의상 패턴은 대칭적인 기하학적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7. 예술

미노스 예술은 상상력이 풍부한 이미지와 뛰어난 솜씨로 특징지어진다. 신클레어 후드는 "가장 훌륭한 미노아 미술의 본질적인 자질, 즉 고도로 형식화된 관례를 따르면서도 움직임과 생명의 분위기를 창조하는 능력"을 묘사했다.[50] 이는 더 넓은 범위의 에게 미술의 일부를 형성하며, 후기에는 한동안 키클라데스 미술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무와 직물은 부패했으므로 현존하는 미노아 미술의 대부분은 미노아 도자기, 정교하게 조각된 미노아 인장, 풍경을 포함하는 궁전 프레스코 (하지만 대부분 "재구성") , 다양한 재료로 만든 소형 조각품, 보석, 금속 세공품이다.

미노아 미술과 다른 동시대 문화 및 후기 고대 그리스 미술과의 관계는 많은 논의를 거쳐왔다. 크레타가 미케네인에 의해 점령된 후에도 분명히 같은 시대의 미케네 미술과 키클라데스 미술을 지배했지만,[51] 미케네 그리스의 붕괴 이후 그리스 암흑기에는 전통의 일부 측면만이 살아남았다.[52]

아크로티리에서 출토된 ''봄 프레스코'', 기원전 16세기경으로 추정. 현재 그리스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미노아 미술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많은 부분이 다양한 매체에서 나타난다. 황소뛰기는 회화와 여러 유형의 조각에서 나타나며 종교적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소 머리도 테라코타 및 기타 조각 재료에서 인기 있는 주제이다. 개인의 초상으로 보이거나 분명히 왕족인 인물은 없으며, 종교적 인물의 정체성은 종종 불확실하다.[53] 학자들은 그들이 신인지, 성직자인지, 아니면 신봉자인지 확신하지 못한다.[54] 마찬가지로, 채색된 방이 "신사"인지 세속적인지 여부도 불분명하다. 아크로티리의 한 방은 침대 잔해로 보아 침실이거나 신사로 추정된다.[55]

독특한 종류의 해양 동물을 포함한 동물들이 자주 묘사된다. 해양 양식은 MM III 및 LM IA 시대의 채색된 궁전 도자기 유형으로, 용기 전체에 퍼져 있는 문어를 포함한 해양 생물을 묘사하며, 아마도 유사한 프레스코 장면에서 유래했을 것이다.[56] 때때로 이러한 장면은 다른 매체에서도 나타난다. 사냥과 전쟁 장면, 말과 기수는 주로 후기에 나타나며, 아마도 크레타인들이 미케네 시장을 위해, 또는 크레타의 미케네 지배자들을 위해 제작한 작품일 것이다.

미노아 인물은 인간이든 동물이든 생명감과 움직임이 뛰어나지만,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종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고대 이집트 미술과 비교했을 때 더 생생하지만 덜 사실적이다.[57] 다른 고대 문화의 예술과 비교했을 때 여성 인물의 비율이 높지만, 미노아 인이 여신만 있고 신은 없다는 생각은 현재 기각되었다. 대부분의 인간 인물은 옆모습이거나 머리와 다리는 옆모습, 몸통은 정면으로 보이는 이집트적 관례의 변형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미노아 인물은 날씬한 남성 허리와 큰 여성 가슴과 같은 특징을 과장한다.[58]

"선박 행렬" 프레스코, 아크로티리 출토


풍경화는 프레스코와 채색된 항아리에서 발견되며, 때로는 다른 매체에서도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장면을 가장자리로 장식하거나 그 안에 점점이 찍혀 있는 식물로 구성된다. 주요 주제의 주변이 위에서 본 것처럼 배치되는 특정한 시각적 관례가 있지만, 개별 표본은 옆모습으로 표시된다. 이것은 장면 주변에 모든 바위가 표시되고, 꽃이 위에서 아래로 자라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한다.[59] 물고기 및 보트의 일부 장면을 둘러싼 바다 풍경과 아크로티리에서 출토된 ''선박 행렬'' 소형 프레스코에서는 정착지를 포함한 육지가 나타나 일반적인 풍경보다 더 넓은 풍경을 보여준다.[60]

미노아 미술의 가장 크고 훌륭한 컬렉션은 크레타 북부 해안의 크노소스 근처 이라클리온 고고학 박물관("AMH")에 있다.

7. 1. 도자기

크레타 섬 역사 전반에 걸쳐 다양한 양식의 도기 제품과 제작 기술이 관찰된다. 초기 미노스 도기는 나선 무늬, 삼각형 무늬, 곡선, 십자 무늬, 생선 뼈 무늬, 부리 주둥이가 특징이었다.[61] 초기 미노스 시대의 예술적 모티프는 대부분 유사하지만, 섬 전체에서 이러한 기술의 재현 방식에 많은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취향의 변화뿐만 아니라 권력 구조의 변화를 나타낸다.

초기 궁전 시대(EMI, EMII, EMIII)와 초기 청동기 시대, MMIA(중기 청동기 시대 초기)에서 EMI는 피르고스 토기라고 불리는 부분적으로 닦인 장식이 보이는 흑회색 토기, 또는 물병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백색에 붉은 선이 그려진 아이오스 오누프리오스 토기가 대표적이다.[166]

EMII는 A와 B로 더 세분화되어 있는데, A에서는 쿠우마사 토기라고 불리는 아이오스 오누프리오스 토기가 발전한 채문 토기나 각문이 새겨진 회색 토기가 보인다. 반면 B에서는 바실리키 양식(de) 토기가 많이 발견된다. 이 바실리키 토기는 크레타 동부에 많이 분포하며, 그릇의 외면이 닦여 검은색이나 붉은색 광택의 반점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166]

EMIII에서는 검은색 바탕에 흰색으로 문양이 그려져 있는데, 이 특징은 MMIA에도 계승되어 MMIA에서는 붉은색이 여기에 더해졌다.[168]

카마레스 도기


이 시대에는 카마레스 도기라고 불리는 흰색, 크림색, 빨간색, 오렌지색으로 대담하게 추상적인 문양이 그려진 토기가 등장한다. 또한, MMIB기에는 물레가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기술이 상당히 향상되었다. 이러한 높은 기술은 궁전의 성립과 함께 도자 제작이 전문화되면서 생겨난 것으로 여겨진다.[171]

중기 미노스 시대에는 물고기, 오징어, 새, 백합과 같은 자연주의적 디자인이 흔했다. 신 궁전 시대에 이르면 토기 페이즈는 MMIII에서 LMIB로 분류되며, 이 시대에 미노아 문화는 최성기를 맞이한다. MMIII기에 접어들면 카마레스 도기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고, 그 대신 거북이 등껍질 모양의 파상문이 시문된 것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게다가 토기의 형태도 다양한 것이 생겨나기 시작하며, 후기 청동기 시대에 보이는 토기에서 도입된 기술이 생겨나기 시작하는 것도 MMIII의 특징이다.[173]

LMIA기에 접어들면 명색 바탕에 암색(적색, 갈색)으로 수평 방향의 소용돌이나 초화를 그리는 것이 보급되기 시작한다. 초화 문양은 카마레스 토기에도 그려지는 경우가 있었지만, LMIA기는 그것과는 달리 유연하고 자연주의적인 문양이 많으며, 이는 프레스코화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175]

LMIB에 들어가면 새롭게 "궁전 전통"으로서 고도의 예술성을 가진 정제 토기군이 나타난다. 이 토기에는 해양 문양식, 초화 문양식, 추상 문양식, 교호 양식의 4가지 양식이 보인다.[174]

후기 미노스 시대에는 꽃과 동물이 여전히 특징적이었지만 더 다양한 형태가 존재했다. 그러나 후기 고대 그리스 도자기 그림과는 대조적으로, 인물 그림은 극히 드물고,[62] 육상 포유류 그림은 후기에 이르러서야 흔해졌다.[63]

7. 2. 보석

미노아 보석은 대부분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며, 후기 시대까지는 상당 부분이 머리띠와 여성용 머리 장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지, 팔찌, 목걸이 등 보편적인 유형과 옷에 꿰매는 얇은 조각도 많이 있었다. 초기 시대에는 금이 주요 재료였으며, 일반적으로 매우 얇게 두드려 만들었다.[110] 하지만 나중에는 금이 부족해진 것으로 보인다.[64]

미노아인들은 수입된 금과 구리를 사용하여 정교한 금속 세공을 만들었다. 벽화에는 구슬 목걸이, 팔찌, 머리 장식이 나타나며,[65] 많은 라브리스 핀이 남아있다. 미노아인들은 과립세공을 완벽하게 구사했는데, 이는 벌집 모양의 꿀벌이 특징인 금 펜던트인 말리아 펜던트에서 알 수 있다.[66] 이는 "골드 홀"이라고 불리는 왕족 매장지를 19세기 약탈자들이 간과했다.[67]

7. 3. 무기

크레타에서는 고도로 장식된 청동 무기들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LM 시대의 유물들이 많다. 하지만 전사들이 지배했던 미케네 유적보다는 그 수가 훨씬 적다. 미케네의 유명한 샤프트 무덤에는 매우 화려하게 장식된 많은 검과 단검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에 창과 "베는 칼"은 "매우 실용적"인 경향이 있다.[68] 장식된 무기 중 상당수는 크레타에서 제작되었거나, 본토에서 활동하는 크레타인들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9]

단검은 종종 가장 화려하게 장식되었으며, 보석으로 장식된 금 손잡이와 다양한 기법으로 장식된 칼날 중간 부분을 갖추고 있다.[70]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금과 은으로 정교한 장면을 상감하여 검은색(또는 현재는 검은색) "니엘로" 배경에 배치한 몇몇 단검들이다. 이 단검들은 실제로 사용된 재료와 기법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었다. 칼날 중앙을 따라 길게 이어진 얇은 장면들은 미케네 그리스 예술의 전형적인 폭력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리스 맥락에서 놀라울 정도로 독창적인 기법과 구상적 이미지의 정교함을 보여준다.

7. 4. 금속 용기

금속 용기는 전 궁전 시대인 EM II기 (기원전 2500년경)부터 후기 궁전 시대인 LM IA기 (기원전 1450년경)까지, 그리고 LM IIIB/C기 (기원전 1200년경)까지 크레타에서 제작되었다.[71] 비록 이 후기 시대의 많은 용기들이 이전 시대의 가보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말이다.[72] 가장 초기의 용기들은 아마도 전적으로 귀금속으로 만들어졌을 것이지만, 원 궁전 시대 (MM IB – MM IIA)부터는 비소 청동으로도 제작되었고, 이후에는 주석 청동으로도 제작되었다.[73] 고고학적 기록은 주로 컵 형태가 귀금속으로 만들어졌음을 시사하지만,[74] 청동 용기의 종류는 다양하여 솥, 팬, 히드리아, 사발, 물병, 대야, 컵, 국자 및 램프 등이 포함되었다.[75] 미노아 금속 용기 전통은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종 동일한 전통으로 간주된다.[76] 그리스 본토에서 발견된 많은 귀금속 용기는 미노아의 특징을 보여주며, 이는 크레타에서 수입되었거나 미케네의 후원자를 위해 일하는 미노아 금속 세공인 또는 미노아 장인에게 훈련받은 미케네 세공인에 의해 본토에서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77]

바페이오 컵으로 알려진 한 쌍 중 하나인 바페이오에서 출토된 LH IIA 미케네 무덤의 황금 잔. 이 잔은 미노아 문명에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하나는 미케네 문명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8. 농업

미노스인들은 , , 돼지, 염소를 기르고, , 보리, 사료용 콩, 병아리콩을 재배했다.[78] 또한 포도무화과, 올리브를 재배했으며, 양봉을 통해 꿀을 얻었다.[78] 상추, 셀러리, 아스파라거스, 당근과 같은 채소는 크레타에서 야생으로 자랐고, , 모과, 올리브 나무 역시 자생했다. 대추 야자 나무와 고양이(사냥을 위해)는 이집트에서 수입되었다.[79] 미노스인들은 근동에서 석류를 받아들였지만, 레몬오렌지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혼작을 통해 토양 비옥도를 유지하고 작물 실패로 인한 손실을 줄였다.[80] 선형 B 서판은 "2차 생산물"을 위한 작물 가공에서 과수원(무화과, 올리브, 포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81] 올리브 오일은 지중해 요리에서 북유럽 요리의 버터와 유사한 중요한 생산물이었다.[82] 포도로 만든 와인은 무역 상품이자 국내 소비 품목이었다.[83] 농부들은 가죽으로 나무 손잡이에 묶은 나무 쟁기를 사용했으며, 당나귀황소 한 쌍이 끌었다.

해산물 또한 크레타 요리에서 중요했다. 유적지에서 발견된 식용 연체동물과[84] 해양 어류 및 동물을 묘사한 예술 작품(LM IIIC "문어" stirrup jar와 같은 독특한 해양 양식 도자기 포함)은 물고기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학자들은 곡물, 올리브, 동물 생산물만큼 해산물이 중요하지는 않았다고 생각한다.[85]

크노소스에서 주로 재구성된 "캠프스툴 프레스코


카토 자크로스에서 나온 황소 리톤



9. 건축

미노아 도시들은 청동 톱으로 자른 블록으로 포장된 좁은 도로로 연결되었다. 거리는 배수되었고, 상류층은 점토 파이프를 통해 물과 하수도 시설을 이용할 수 있었다.[130]

미노아 건물은 종종 평평하고 기와를 얹은 지붕을 가지고 있었으며, 플라스터, 나무 또는 판석 바닥을 가지고 있었고, 2~3층 높이로 지어졌다. 낮은 은 일반적으로 돌과 잡석으로 건설되었고, 상단 벽은 진흙 벽돌로 지어졌다. 천장 목재가 지붕을 지탱했다.

빌라와 궁전의 건축 자재는 다양했으며, 사암, 석고 및 석회암을 포함했다. 건축 기술 또한 다양하여 일부 궁전은 애슐러 석조를 사용했고 다른 궁전은 거칠게 다듬어진 거석 블록을 사용했다. 기원전 1650년에서 1600년 사이에 크레타 중북부에서는 청색-녹색편암이 거리와 안뜰 바닥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암석은 크레타 중부 북쪽 해안의 아기아 펠라기아에서 채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31]

미노아인들은 궁전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복합 단지를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이름과는 달리, 이것들이 주로 왕의 거처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동의한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은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자크로스, 말리아에 있다.

미노아 궁전은 열린 직사각형 안뜰을 중심으로 배치된 날개로 구성되어 있다. 날개는 종종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외부의 계단, 채광정, 거대한 기둥, 그리고 넓은 저장실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궁전들은 상당히 통일된 스타일을 가지고 있지만, 각각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주변 지형, 특히 근처의 신성한 산과 정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파이스토스 궁전은 이다 산과, 크노소스는 유크타스 산과 북-남 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132]

첫 번째 궁전들은 일반적으로 MM IB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그것들은 자발적인 발전이 아니라 더 긴 건축 전통의 정점이었다. 궁전 스타일은 초기 미노아 건축 양식의 선례를 가지고 있으며, 이전 건물들은 때때로 후기 궁전에 통합되었다. 말리아 궁전은 때때로 초기 미노아 시대 말에 궁전의 지위를 달성한 것으로 간주된다.[133][134] 궁전은 지속적으로 개조되고 변경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타일이 변화했다. 예를 들어, 초기 궁전은 정사각형 내부의 정사각형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었지만, 후기 개조에서는 더 많은 내부 분할과 복도가 도입되었다.[135] 궁전의 기능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행정 사무실, 신사, 작업장 및 저장 공간을 포함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136]

미노스 시대에는 증가하는 인구를 보호하기 위해 광범위한 수로가 건설되었다. 이 시스템은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했는데, 첫째는 물을 공급하고 분배하는 것이고, 둘째는 하수 및 우수를 처리하는 것이었다.[137] 미노스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폐기물 관리의 건축적 업적이었다. 미노스인들은 우물, 저수조 및 수도교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물 공급을 관리했다. 건물 구조도 역할을 했다. 평평한 지붕과 풍부한 열린 안뜰은 저수조에 저장할 물을 모으는 데 사용되었다.[138] 주목할 만한 점은 미노스인들이 수처리 장치를 갖추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장치 중 하나는 깨끗해질 때까지 물이 흘러가도록 하는 다공성 점토 파이프였던 것으로 보인다.

미노스 기둥, 기저부보다 상단이 더 넓음
크노소스의 기둥의 방


지붕을 받치기 위해, 특히 궁전과 같은 몇몇 고층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Cupressus sempervirens''로 만들어진 기둥을 사용했으며, 때로는 석재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건축에 대한 미노아의 가장 주목할 만한 기여 중 하나는 역원추형 기둥으로, 기저부보다 상단이 더 넓다는 점이다(높이감을 주기 위해 하단이 더 넓은 대부분의 그리스 기둥과는 다르다). 이 기둥들은 나무(석재가 아님)로 만들어졌으며 일반적으로 붉은색으로 칠해졌다. 단순한 석조 받침대 위에 설치되었으며, 베개 모양의 둥근 주두로 마감되었다.[139][140]

크레타 섬에서는 "빌라"로 알려진 여러 채의 건물들이 발굴되었으며, 대부분 크노소스를 비롯한 궁전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이 구조물들은 신궁전 시대 궁전의 특징을 공유한다. 눈에 띄는 서쪽 정면, 저장 시설, 그리고 3부로 구성된 미노아 홀이 그것이다.[141] 이러한 특징들은 유사한 역할이나 예술적 모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거주자들이 궁전 문화를 잘 알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빌라는 종종 화려하게 장식되었는데, 이는 하기아 트리다 빌라 A의 프레스코화에서 증명된다. 미노아 빌라의 일반적인 특징은 평평한 지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방들은 거리를 향한 창문이 없었고, 빛은 더 큰 지중해 지역에서 훨씬 후대에 흔히 나타나는 안뜰에서 들어왔다. 기원전 2천년기에는 빌라가 1~2층, 궁전은 최대 3층까지 있었다.

크노소스 궁전


기원전 2000년경 중기 미노아 시대에 지중해 무역을 통해 발전하여,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등 섬 내 각지에 지역별 물자 저장 및 재분배를 하는 궁전이 세워졌다. 궁전 외에도 코모스나 팔레카스트로와 같은 항만 도시가 번영했다. 또한, 무역을 통해 이집트페니키아의 예술도 유입되어, 고도의 공예품을 만들어냈다. 기원전 18세기경에는 선 문자 A를 사용했다. 기원전 1600년경 후기 미노아 시대에는 각 도시 국가의 중앙 집권화, 계층화가 진행되어, 크노소스, 파이스토스가 섬 중앙부를, 말리아가 섬 동부를 각각 지배하게 되었지만, 목재의 대량 벌채로 인한 자연 환경의 파괴가 문명 자체의 쇠퇴를 초래했고,[162] 기원전 1400년미케네아카이아인이 크레타 섬을 침입, 약탈하여 미노아 문명은 붕괴되었다.

크레타의 궁전 건축은 비대칭성, 유기적, 기능적인 구성으로, 중정은 외부에서 직접 진입할 수 있으며, 건물 각 부분으로의 동선의 기점이 되고 있다. 건물은 항상 외부에 개방되어 있어, 당시 크레타가 매우 평화로웠음을 추측할 수 있다. 초기 궁전 건축에서는 궁전에 접하여 시민의 공공 공간이 마련되었지만, 후기 미노아 시대에 사회 체제가 중앙 집권화, 계층화됨에 따라 점차 공공 공간은 쇠퇴하고, 다른 건축물이 세워졌다. 제정 일치를 행했기 때문에, 독립된 제사장을 갖지 않았다.

전기 궁전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밀토스의 풀누우・코리피 유적이 있는데, 이 유적은 EMII에 속하며, EMII 말기에 소실된 후 정착자가 나타나지 않아 당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169] 이 유적은 계획적으로 지어진 것이 아니라, 집들도 작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이후 시대에 형성된 궁전과 같은 대형 창고로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유적 주변에는 엄청난 수의 돌 절구가 발견되어 당시 이 유적에서 곡물이 가루로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169]

매장에 관해서는 공동 묘지에 여러 세대의 사람들이 묻혀 있으며, 크레타 중부의 메사라 평원에서 볼 수 있는 토로스 묘, 크레타 섬 부근의 모크로스 섬에서 볼 수 있는 직사각형의 시설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토로스 묘는 미케네 시대처럼 지하가 아닌 지상에 만들어져 있다. 또한, 알하네스의 토로스 C에서는 키클라데스 문화의 석상이 발견되어, 크레타 섬과 에게해 도서부가 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170]

기원전 2000년경이 되면 크레타 섬에서 미노아 문화를 특징짓는 궁전이 성립하게 된다. 이러한 궁전은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규격화도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풀누우・코리피의 집락처럼 자연 발생한 것이 아니라, 크노소스, 말리아, 페스토스, 자크로스에서 발견된 각각의 궁전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이러한 궁전의 규격, 구조가 동일하다는 것은 어떤 인물이 주도했다고 추정되며, 이 궁전의 성립으로 미노아 문화의 사람들이 지배하는 측과 지배받는 측으로 이분화가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궁전은 중앙에 직사각형의 광장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 각종 기능을 담당하는 블록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서쪽에는 더 넓은 광장이 구축되어 있다. 이 서쪽의 광장에서 궁전을 바라볼 때 궁전이 가장 위용을 갖추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에도 이분화의 경향이 암시되어 있다.

크노소스 궁전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MMIB에 속하지만, 이 시기에 궁전이 완성된 것은 아니며, 북서부와 서쪽의 저장고가 먼저 구축된 후, 동쪽 건물이 구축된 것으로 생각된다. 서쪽 광장에서는 쿨루레스(Kouloures)라고 불리는 원형 구덩이가 3개 파여져 있으며, 이것들은 곡물을 지하에 저장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최서부에서는 올리브 오일이나 와인 등이 저장되어 있었으며, 궁전이 구축 초기부터 농산물의 저장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앙 광장 동부에서는 토기의 보관이나 방적 작업장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발전은 메사라 평야의 페스토스 궁전에서도 볼 수 있으며, 페스토스에서는 고궁전 시대를 페이즈 1, 페이즈 2, 페이즈 3의 세 단계로 나누는데, 각 페이즈마다 저장고, 가공 장소로서의 성격이 진행된다.

크노소스 궁전의 제사, 행정의 핵심은 궁전 서쪽 날개 동부에서 행해졌으며, 이 중에서도 중요한 장소인 "옥좌의 방"은 과거에는 미케네 시대(LMII)에 이르러서 구축되었다고 생각되었지만, 그 후의 연구 결과, 이 시대에 구축되었음이 밝혀졌다. 크노소스에서는 제사 시설이 궁전 내부에 구축되어 있었지만, 마리아 궁전에서는 궁전 밖의 Mu 지구(Quartier Mu)라고 불리는 복합 시설에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고궁전 시대의 궁전은 고편년에서는 기원전 1780년에 지진으로 모두 붕괴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 후, 붕괴된 궁전 위에 동일한 계획을 가지고 더욱 규모를 확대한 후에 재건되었다.[172]

크노소스 궁전 평면도


고(古) 궁전 시대에 한 번 붕괴된 크노소스 궁전도 그 위에 새롭게 궁전이 재건되었다. 이 재건은 동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서서히 조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재건 시에 "옥좌의 방"도 옥좌가 만들어졌고, 그것을 둘러싼 벤치도 만들어졌다고 생각되지만, 이 옥좌가 만들어진 경위, 그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도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176]

옥좌 뒤쪽 벽에는 한 쌍의 그리폰이 그려져 있는데, 이 한 쌍의 그리폰이 인장 등에 그려져 있는 경우, 여성을 지키는 그림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옥좌에 앉아 종교적, 혹은 세속적인 행위를 한 것이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옥좌의 방" 남쪽에는 궁전에서의 신앙의 중심지였다고 생각되는 신성한 기둥을 포함한 제사 시설이 구축되어 있으며, 더욱이 그 안쪽에는 신성한 공물을 보관하는 지하 격납고가 구축되어 있었다.[176] 이 지하 격납고에서는 도제 뱀을 가진 여신상과 선문자 A가 새겨진 점토판이 출토되었는데, 이들이 같은 장소에서 출토된 것은 제사와 행정이 굳게 결합되어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72]

신(新) 궁전에서도 중앙 광장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 광장에서는 소 뛰어넘기 의식이 행해진 장소로 여겨지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존재하며, 서쪽 광장에서 행해진 것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프레스코화와 중앙 광장에서 행해진 것을 그린 프레스코화에서는 그려진 젊은이의 복장과 머리 모양에 차이가 보이는데, 이는 이 광장이 운동장이었던 것이 아니라, 집회장, 이른바 고대 그리스에서 행해진 아고라를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77]

미노스 문명의 궁전은 각지에서 모이는 물품의 저장, 가공을 행하고, 그것을 재분배하는 시스템의 중심지였다. 말리아나 자크로스에서는 궁전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자크로스의 경우에는 바다에 면한 지역으로 항만 도시가 형성된 후, 궁전이 형성되었다고 추측된다. 구르니아, 코모스, 팔레카스트로에서는 궁전과는 별개의 장소에서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팔레카스트로에서는 마을의 규모가 궁전을 상회하며, 가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코모스도 항만 도시이며, 궁전과 동규모의 마을이 발견되었다.[178] 신 궁전 시대에 이르러서는 도시와는 별개로 빌라라고 불리는 고립 가옥이 보급되기 시작한다. 빌라는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 단독 주택, 혹은 여러 가옥군으로 구축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은 궁전과 마찬가지로 물품의 저장 시설이 있으며, 아르하네스 남쪽의 바시페트로의 빌라에서는 와인, 올리브유를 제조하는 유구가 발견되었으며, 더 나아가 이 빌라는 원주를 둘러싼 트인 2층 부분에 발코니가 달린 것이 발굴되었으며, 이는 당시의 모습을 잘 전하고 있다.[179]

10. 문자

미노스인들은 여러 문자를 사용했다. 궁전 시대 동안 주요 문자는 선문자 A와 크레타 상형문자였으며, 후자는 MM III 시대에 사용이 중단되었다. 이 문자들의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크레타 상형문자가 종종 이집트 상형문자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추정되지만, 아나톨리아메소포타미아의 문자 체계도 모델로 고려되었다.[112] 이 두 문자 모두 수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해독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선문자 B의 기호 값을 선문자 A에 사용하면 대부분 인식할 수 없는 단어가 생성된다. 이 문자들에 의해 암호화된 언어는 잠정적으로 "미노스어"라고 불리지만, 그것이 단일 언어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해독 시도는 이 언어를 인도유럽어족, 셈어족, 티르세니아어족으로 읽으려고 시도했지만, 받아들여진 해독 결과는 없었다. 청동기 시대 이후의 에테오크레타어가 미노스어의 잠재적 후손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언어는 크레타 동부의 다섯 개 비문에서만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그 자체로 잘 이해되지 않는다.[113][114]

선문자 B는 LM II 이후 주요 크레타 문자가 되었다. 이 문자는 행정 언어가 된 미케네 그리스어를 기록하기 위해 이전의 선문자 A에서 개작되었다. 선문자 B는 1952년에 해독되어 크노소스 궁전의 마지막 해의 경제와 사회 조직에 대한 주요 텍스트 증거의 문을 열었다.[115]

소수의 미노스 비문은 다른 알려지지 않은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파이토스 원반은 아르칼로호리 도끼에서만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는 그림 문자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문자가 매우 적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해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11. 종교

양손에 뱀을 든 여인의 작은 조각상
두 미노스 뱀 여신상 중 작은 것


아서 에반스는 미노스인들이 거의 배타적으로 모신(母神)을 숭배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수십 년 동안 견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 학자들의 견해는 훨씬 더 다양한 종교적 양상을 보지만, 텍스트나 심지어 읽을 수 있는 관련 비문조차 없기 때문에 그 모습은 매우 불분명하다. 우리는 미케네 시대 이후까지 신들의 이름을 알 수 없다. 많은 미노스 예술은 어떤 종류의 종교적 중요성을 부여받고 있지만, 이는 모호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무엇보다 미노스 정부가 현재 종종 신정 정치로 간주되어 정치와 종교가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미노스 판테온은 많은 신들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중 젊고 창을 든 남성 신도 두드러진다.[116] 일부 학자들은 미노스 여신에게 여성적인 신성한 태양적 인물이 있다고 본다.[117][118]

숭배자, 사제 및 여사제, 통치자 및 신의 이미지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실제로 사제와 왕의 역할은 종종 동일했을 수 있는데, 이는 의식을 이끄는 것이 종종 통치의 본질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주요하고, 아마도 지배적인, 자연/모신(母神)의 측면으로, 고고학자들은 산봉우리 성소에서 숭배받는 산 여신, 비둘기 여신, 아마도 가정을 보호하는 뱀 여신, 동물의 포트니아 테론 여신, 그리고 출산의 여신을 확인했다.[119] 후기 미노스 시대의 테라코타 봉헌 조각상, 예를 들어 양귀비 여신 (아마도 숭배자)은 머리띠에 종종 새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미노스 천재라고 불리는 신화 속 동물은 다소 위협적이지만 아마도 어린이의 보호자일 것이며, 이는 주로 이집트의 하이브리드 악어와 하마 여신인 타웨레트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미노스 인장의 인상; 이와 같은 디자인은 시골 신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제나 사제-왕으로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긴 옷에 대각선 띠를 두르고, 어깨에 둥근 칼날을 가진 의식용 "도끼-홀"을 들고 식별할 수 있다.[120] 더 전통적인 모양의 라브리스 또는 이중 머리 도끼는 매우 일반적인 봉헌물이며, 아마도 남신을 위한 것이며, 축성 뿔 상징의 큰 예시(아마도 황소 뿔을 나타냄)가 건물 장식용 인장에 표시되어 있으며, 실제 생존물도 몇 개 남아 있다. 크노소스에 매우 집중된 황소-뛰기는 종교적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며, 아마도 엘리트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 안에서 황소의 위치는 불분명하며, (매우 늦은) 아기아 트리아다 사르코파구스의 장례식에는 황소 희생이 포함된다.[121] 사프란은 종교적 중요성을 가졌을 수 있다.[122]

나노 마리나토스에 따르면, "판테온 내 신들의 위계와 관계는 이미지만으로는 해독하기 어렵다." 마리나토스는 미노스 종교를 원시적이라는 이전의 설명에 동의하지 않으며, 이는 "복잡한 사회 계층 구조를 가진 정교하고 도시화된 궁궐 문화의 종교였다. 과거 또는 현재의 다른 어떤 종교보다 비옥함에 지배되지 않았으며 성 정체성, 통과의례, 죽음을 다루었다. 조직과 의식, 심지어 신화조차도 근동의 궁궐 문명의 종교와 유사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라고 주장한다.[123] 심지어 후기 그리스 판테온이 미노스 여성 신과 근동의 히타이트 여신을 종합한 것으로 보인다.[124]

미노아의 뿔 장식 제단은, 아서 에반스가 봉헌의 뿔이라고 칭한 것으로, 봉인 인장에 묘사되어 있으며 멀리 키프로스에서도 발견되었다. 미노아의 신성한 상징에는 황소(와 봉헌의 뿔), 라브리스 (쌍날 도끼), 기둥, 뱀, 태양 원반, 나무, 심지어 앙크까지 포함된다.

Ivory figurine of a man in a diving position
''The Bull Leaper'', from Knossos (Heraklion Archaeological Museum)


하라람포스 V. 하리시스와 아나스타시오스 V. 하리시스는 이러한 상징에 대한 다른 해석을 제시하며, 이들이 종교보다는 양봉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125] 주요 축제는 황소 뛰어넘기에서 잘 나타나는데, 이는 크노소스의 프레스코화[126]에 묘사되어 있고 미니어처 봉인에 새겨져 있다.[127]

12. 전쟁

아더 에반스와 같은 초기 발굴자들은 미노아 크레타에 내부 무력 충돌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했다.[142] 그러나 이후 연구들은 이러한 해석에 의문을 제기한다.[143][144]

미노아 군대나 크레타 외부 민족에 대한 지배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에반스는 미노아인들이 신 궁전 시대에 미케네 그리스 일부 지역에 대한 종주권을 가졌다고 믿었지만, 현재는 기원전 1450년경부터 미케네 엘리트가 크노소스를 지배했다는 데 널리 동의한다. 미노아 예술에서는 전쟁의 징후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몇몇 고고학자들은 미노아 예술의 일부 작품에서 전쟁 장면을 보지만, 다른 이들은 이러한 장면을 축제, 신성한 춤, 스포츠 행사로 해석하기도 한다.[144] 칼에 찔린 무장한 전사들이 묘사되지만, 그 폭력은 의식이나 유혈 스포츠의 일부일 수 있다.

나노 마리나토스는 신 궁전 시대의 미노아인들이 지중해 권력 정치에서, 적어도 기원전 14세기에는 "파라오의 봉신"으로서 매력적인 동맹이 되게 한 "강력한 해군"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크레타의 조공 운반자들이 레크미레와 세네무트와 같은 이집트 고위 관리들의 무덤에 묘사되었다고 주장했다.[145]

미케네의 무덤 원 A 시대 동안 그리스 본토에는 주요 미케네 요새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다. 요새는 거의 모든 신 궁전 시대 크레타 유적 파괴 이후에 나타났다. 이집트인과 히타이트인과 같은 고대 미노아인들의 다른 동시대인들의 전쟁은 잘 기록되어 있다.

파괴된 망루와 방어벽이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에반스는 고대 미노아의 요새화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146] 스타일리노스 알렉시우는 많은 유적지(특히 아기아 포티아와 같은 초기 및 중기 미노아 유적지)가 언덕 꼭대기에 지어졌거나 요새화되었다고 주장한다. 루시아 닉슨은 고형 요새화의 부족에 너무 큰 영향을 받아 고고학적 증거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을 수 있다고 썼다.

체스터 스타는 "미노아 꽃 애호가"에서 상나라마야가 요새화되지 않은 중심지를 가지고 있었고 국경에서 투쟁했기 때문에 요새의 부족만으로는 미노아인이 평화로운 문명이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한다고 말했다.[147] 1998년, 미노아 고고학자들이 벨기에 회의에서 팍스 미노이카가 구식이 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을 때, 미노아 전쟁의 증거는 여전히 희소했다. 얀 드리센에 따르면, 미노아인들은 예술에서 "무기"를 의례적인 맥락에서 자주 묘사했다. 요새화된 유적지의 건설은 종종 전쟁의 위협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그러한 요새화된 중심지는 다기능적이었다.

스텔라 크리술라키의 동부 크레테에 있는 작은 전초 기지(또는 초소)에 대한 연구는 가능한 방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A형(고품질) 미노아 검이 말리아와 자르코스의 궁전에서 발견되었다. 키스 브래니건은 미노아 "무기"의 95%가 자루 (칼자루 또는 손잡이)를 가지고 있어 무기로 사용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148] 그러나 복제품에 대한 테스트 결과, 무기가 손상되지 않고 뼈까지 살을 자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148] 폴 레학에 따르면, 미노아 팔자 방패는 너무 번거로워서 싸움이나 사냥에 사용될 수 없었을 것이다. 셰릴 플로이드가 미노아 "무기"가 고기 가공과 같은 일상적인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라고 결론 내렸지만, 중기 미노아 "레이피어"는 길이가 거의 3피트에 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149]

찰스 게이츠는 미노아 예술에 전쟁이 없다는 것이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배리 몰로이는 예술 작품이 사회의 행동에 대한 신뢰할 수 없는 지침이라고 말하면서, 후기 미노아 시대 이전에 회수된 프레스코가 사람들의 상호 작용을 거의 묘사하지 않지만, 이것이 미노아인들이 그렇게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예를 들었다. 몰로이는 또한 요새의 부족이 크레테의 험준한 지형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상당한 자연 방어 이점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몰로이는 초소가 크레테를 통과하는 좁은 도로를 확보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51]

미노아 전쟁에 관해 브래니건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남부 에게 해의 초기 청동기 시대에 있었던 전쟁은 개인적이고 의례적이었거나(크레테에서) 소규모적이고 간헐적이며 본질적으로 경제적 활동이었다. 고고학자 올가 크지슈코프스카도 "선사 시대 에게 해에 대한 분명한 사실은, 전쟁과 전쟁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는 것입니다."라며 동의했다.

13. 유전학 연구

두부 계측 분석 결과, 미노스인과 현대 그리스인 사이의 두개안면 형태는 매우 유사하여, 이들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52] 이는 그리스 민족 집단의 머리와 얼굴 형태가 지난 4,000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152] 두개안면 형태학 연구에서도 현대 그리스인과 미노스인의 두개골이 유사하다는 결과가 나와 이러한 연속성을 뒷받침한다.[153]

고고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미노스인은 현대 유럽인, 특히 현대 크레타인과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신석기 유럽인과도 유사하다.[156] 그러나 이집트나 리비아 인구와는 유전적으로 다르다.[156] 워싱턴 대학교의 인류 유전학자 조지 스타마토야노풀로스는 "최초의 진보된 유럽 문명의 창시자가 유럽인"이며, "신석기 유럽인과 매우 유사하며, 현재 크레타인과 매우 유사하다"고 말했다.[155]

미노스인과 미케네 그리스인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으며, 현대 그리스인은 이 두 집단에서 유래되었다.[157][158] 미케네 그리스인과 미노스인은 현대 그리스, 키프로스, 알바니아, 이탈리아 인구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157][158] 미케네인과 미노스인의 조상 구성 성분 비율은 다음과 같다.[159]

미케네인과 미노스인의 조상 구성 성분 비율(%)
EEFCHGPPNEHGIron Gates HG
미케네인58.4%–65.8%20.1%–22.7%7%–14%3.3%–5.5%0.9%–2.3%
미노스인70.9%–76.7%17%–19.4%3.9%–9.5%0%–2.3%0%–0.7%



미노스인은 아나톨리아 신석기 소스에서 대부분의 조상을 얻었으며, 현대 그리스인은 이 유전적 프로필을 공유하지만 PCA에서 얌나야 쪽으로 더 이동한다.[161] 혼합 분석에서는 아나톨리아 신석기, 이란 신석기, 서부 사냥꾼-채집인의 세 가지 주요 참조 구성 요소가 확인되었으며, 미노스인은 약간의 얌나야 관련 조상도 가지고 있었다.[161] 연구된 게놈은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인의 게놈과 가장 유사하지만, PCA 분석에서는 미노스인과 미케네인 사이에 위치하여 두 그룹의 혼합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61]

14. 발굴

1884년 이탈리아 연구가 할부헬이 고르틴 법전을 발견한 것이 미노스 문명 발굴의 시초가 되었다.[181]

하인리히 슐리만이 발견한 트로이와 미케네의 문명이 문자가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고 생각한 영국의 고고학자 아서 에반스는 아테네의 가게에서 크레타 섬 기원의 부적에 상형 문자로 보이는 기호가 있는 것을 보고 크레타 섬으로 향했다.[181]

에반스는 크레타 전역을 답사한 후, 1878년 그리스인 미노스 칼로케리노스가 발견한 케팔라 언덕을 발굴지로 정했다. 1900년 크레타 섬이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령이 되면서, 밀로스 섬의 필라코피 유적에 관여했던 매켄지의 협력을 얻어 발굴이 순조롭게 진행되었다.[182]

1900년, 크노소스 궁전이 발굴되어 그리스 본토보다 200년 이상 앞선 문명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에반스는 이를 미노스 문명(Minoan)이라고 명명했다.[183]

참조

[1] 학술지 On the Term 'Minoan' before Evans's Work in Crete (1894) http://www.aegeussoc[...]
[2] 문서 Minoan civilization
[3] 서적 Amenhotep III: Egypt's Radiant Pharao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5] 서적 Aegeans in the Theban tombs Peeters
[6] 서적 Caphtor/Keftiu: A New Investigation Brill
[7] 서적 Caphtor/Keftiu: A New Investigation Brill
[8] 서적 Amenhotep III: Egypt's Radiant Pharao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10] 서적 Aegeans in the Theban tombs Peeters
[11]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Clarendon Press
[12] 학술지 Chronology for the Aegean Late Bronze Age 1700–1400 BC
[13] 학술지 Santorini Eruption Radiocarbon Dated to 1627–1600 B.C
[14] 웹사이트 Chronology http://www.therafoun[...] 2009-01-03
[15] 학술지 New Carbon Dates Support Revised History of Ancient Mediterranean
[16] 서적 Timelines: Studies in Honour of Manfred Bietak (Orientalia Lovaniensia Analecta 149) Peeters
[17] 뉴스 On Crete, New Evidence of Very Ancient Marine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02
[18] 뉴스 Hominids Went Out of Africa on Rafts https://www.wired.co[...] Wired 2010-01
[19] 학술지 Migrant farmers and the Neolithic colonisation of Crete
[20] 웹사이트 R.J. King, S.S. Ozcan et al., "Differential Y-chromosome Anatolian influences on the Greek and Cretan Neolithic" http://dirkschweitze[...]
[21] 서적 Griechische Geschichte C.H. Beck, München
[22] 백과사전 Crete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Minoan Cret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Minoan Cret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백과사전 Crete Oxford University Press
[26] 백과사전 Minoan Pottery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Minoan Cret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Die Griechische Frühzeit C.H. Beck, München
[29] 백과사전 Crete Oxford University Press
[30] 학회자료 Modelling the Climatic Effects of the LBA Eruption of Thera: New Calculations of Tephra Volumes May Suggest a Significantly Larger Eruption than Previously Reported http://www.agu.org/m[...] American Geographical Union 2007-05-29
[31] 학술지 Marine Investigations of Greece's Santorini or Akrotiri Volcanic Field http://www.uri.edu/e[...]
[32] 서적 Minoan Cret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Minoan Cret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Minoan Cret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Thera and the Aegean World III http://www.therafoun[...] 2009-09-13
[36] 서적 The Knossos Labyrin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0-12
[37] 서적 Minoan Life in Bronze Age Cre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8] 서적 Peak Sanctuaries and Sacred Caves in Minoan Crete
[39] 서적 Interaction and Acculturation in the Mediterranean: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f Mediterranean Pre- and Protohistory, Amsterdam, 19–23 November 1980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980
[40] 웹사이트 The Minoans http://theancientwor[...]
[41] 문서 Hägg and Marinatos 1984; Hardy (ed.) 1984; Broadbank 2004
[42] 간행물 Minoan Colonialism 1981
[43] 문서 'Kythera: Excavations and Studies Conducted by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and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Faber & Faber
[44] 문서 'The Islands of Karpathos, Saros and Kasos in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Gothenburg
[45] 문서 'Prehistoric Aigina: A History of the Island in the Bronze Age' Paris
[46] 문서 "The settlement at Ialysos and Aegean history c. 1500–1400 B.B." Lund
[47] 서적 Imports and Immigrants: Near Eastern Contacts with Iron Age Cre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48] 간행물 The Miniature Fresco from the West House at Akrotiri, Thera, and Its Aegean Setting 1979
[49] 웹사이트 A Dagger from the Minoan Civilization of Crete Found in a Bronze Age Shipwreck https://www.labrujul[...] 2024-09-04
[50] 문서 Hood (1978), 56
[51] 문서 Hood (1978), 17-18, 23-23
[52] 문서 Hood (1978), 240-241
[53] 문서 Gates (2004), 33-34, 41
[54] 문서 e.g. Hood (1978), 53, 55, 58, 110
[55] 문서 Chapin, 49-51
[56] 문서 Hood (1978), 37-38
[57] 문서 Hood (1978), 56, 233-235
[58] 문서 Hood (1978), 235-236
[59] 문서 Hood (1978), 49-50, 235-236; Chapin, 47 and throughout
[60] 문서 Hood (1978), 63-64
[61] 서적 Minoans: Life in Bronze Age Routledge
[62] 문서 Hood (1978), 34, 42, 43
[63] 문서 Hood (1978), 27
[64] 문서 Hood (1978), 205-206
[65] 웹사이트 Greek Jewelry – AJU http://university.la[...] 2016-04-06
[66] 간행물 Natural History of a Bronze Age Jewel Found in Crete: The Malia Pendant https://www.cambridg[...] 2020-09-30
[67] 문서 Hood (1978), 194-195
[68] 문서 Hood (1978), 173-175, 175 quoted
[69] 문서 Hood (1978), 175
[70] 문서 Hood (1978), 176-177
[71] 논문 Minoan Metalworking in the Postpalatial Period: A Deposit of Metallurgical Debris from Palaikastro 1996-01-01
[72] 서적 TEXNH. Craftsmen, Craftswomen and Craftsmanship in the Aegean Bronze Age / Artisanat et artisans en Égée à l'âge du Bronze: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Aegean Conference / 6e Rencontre égéenne internationale,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18–21 April 1996 Université de Liège, Histoire de l'art et archéologie de la Grèce antique 1997
[73] 서적 The Manufacture of Minoan Metal Vessels: Theory and Practice Åströms Förlag 2013
[74] 서적 1977
[75] 서적 Die Bronzegefässe der kretisch-mykenischen Kultur C.H. Beck 1980
[76] 서적 Cypriot Bronzework in the Mycenaean World Clarendon Press 1964
[77] 서적 1977
[78] 문서 "The Minoans; the story of Bronze Age Crete" 1971
[79] 문서 1971
[80] 웹사이트 Wiley.com https://archive.toda[...] 2007
[81] 문서 Plough and Pastoralism: Aspects of the Secondary Products Revolution 1981
[82] 문서 1971
[83] 웹사이트 Food Technologies/Technologies of the Body: The Social Context of Wine and Oil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Bronze Age Crete http://cat.inist.fr/[...] 1999
[84] 문서 The Aegean Bronze Age 1994
[85] 서적 Minoans: Life in Bronze Age Cre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86] 웹사이트 The Harvester Vase https://www.khanacad[...] 1978
[87] 문서 1971
[88] 서적 Atlas of terrestrial mammals of the Ionian and Aegean islands Walter de Gruyter 2012-10-30
[89] 웹사이트 "The Harvester Vase" https://www.khanacad[...] 1978
[90] 서적 The Ancient Greeks: New Perspectives ABC-CLIO
[91] 웹사이트 Art, religious artifacts support idea of Minoan matriarchy on ancient Crete, researcher says https://news.ku.edu/[...] 2020-12-31
[92] 간행물 Political Economies of the Aegean Bronze Age https://hcommons.org[...] Oxbow Books
[93] 웹사이트 How do you crack the code to a lost ancient script? https://pursuit.unim[...] 2020-12-31
[94] 웹사이트 Greece: Secrets of the Past - The Minoans https://www.historym[...] 2020-12-31
[95] 문서
[96] 문서
[97] 서적 The Dawn of Everything: A New History of Humanity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98] 서적 Women in Antiquity 2016-08-12
[99] 간행물 Reading the Bod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00] 논문 1. Minoan Dress 1950-01
[101] 논문 Women, children and the family in the Late Aegean Bronze Age: Differences in Minoan and Mycenaean constructions of gender 1998-02
[102] 간행물 A Companion to Women in the Ancient World Blackwell Publishing Ltd 2012
[103] 문서
[104] 웹사이트 Minoan Dress - Fashion, Costume, and Culture: Clothing, Headwear, Body Decorations, and Footwear through the Ages http://www.fashionen[...]
[105] 웹사이트 "Minoan woman or goddess from the palace of Knossos (""La Parisienne"")" https://www.khanacad[...]
[106] 문서 Marinatos (1993), p. 202
[107] 문서 Castleden, 7
[108] 웹사이트 Snake Goddess https://www.khanacad[...]
[109] 문서 Marinatos (2010), 43-44
[110] 문서 Hood (1978), 188-190
[111] 문서 Hood (1978), 62
[112] 문서 Hood (1971), 111
[113] 서적 The Ancient Greeks: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05-25
[114]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16] 서적 Religions of the Ancient World: A Guid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7] 간행물 Evidence of Minoan Astronomy and Calendrical Practises 2009
[118] 서적 Minoan Kingship and the Solar Goddess: A Near Eastern Koine
[119] 문서 Kristiansen, Kristiansen & Larsson, 84-86
[120] 문서 Kristiansen, Kristiansen & Larsson, 85
[121] 웹사이트 Hagia Triada sarcophagus https://www.khanacad[...]
[122] 서적 The Minoan-Mycenaean Religion and Its Survival in Greek Religion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Publishers 1950
[123] 서적 Religions of the Ancient World: A Guide Harvard University Press
[124] 웹사이트 The Function of Mythology and Religion in Ancient Greek Society. http://dc.etsu.edu/c[...] East Tennessee State University, Digital Commons
[125] 서적 Apiculture in the Prehistoric Aegean: Minoan and Mycenaean Symbols Revisited https://www.academia[...]
[126] 문서 In the small courtyard of the east wing of the palace of Knossos.
[127] 문서 An ivory figure reproduced by Spyridon Marinatos and Max Hirmer, Crete and Mycenae (New York) 1960, fig. 97, also shows the bull dance.
[128] 문서 Hood (1971), 140
[129] 서적 Istoria Generală a Arhitecturii Editura Tehnică 1961
[130] 서적 Cities: An Environmental History I.B. Tauris: London and New York
[131] 간행물 Types of schist used in buildings of Minoan Crete http://www.hellenjge[...] 2018-12-01
[132] 문서 Preziosi, D. & Hitchcock, L.A. (1999) p. 86
[133] 서적 Aegean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34] 서적 In Search of the Classical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Aege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35] 문서 Preziosi, D. & Hitchcock, L.A. (1999) p. 121
[136] 서적 Western Civilization: A Brief History, Volume I: To 1789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37] 서적 Evolution of Sanitation and Wastewater Technologies through the Centuries IWA Publishing
[138] 서적 Evolution of Sanitation and Wastewater Technologies Through the Centuries IWA Publishing
[139] 문서 Benton and DiYanni 1998, p. 67.
[140] 문서 Bourbon 1998, p 34
[141] 논문 Minoan Halls: A Syntactical Genealogy https://www.academia[...] 2013-01
[142] 논문 Mycenaean Knossos and the Age of Linear B
[143] 웹사이트 Pax Minoica in Aegean https://www.ekathime[...] News – ekathimerini.com
[144] 간행물 Alexiou wrote of fortifications and acropolises in Minoan Crete, in Kretologia 8 (1979), pp. 41–56, and especially in C.G. Starr, "Minoan flower-lovers" in The Minoan Thalassocracy: Myth and Reality R. Hägg and N. Marinatos, eds. (Stockholm) 1994, pp. 9–12.
[145] 문서 Marinatos (2010), 4-5
[146] 문서 Gere, Knossos and the Prophets of Modernism
[147] 서적 The Minoan Thalassocracy https://books.google[...] Svenska institutet i Athen
[148] 서적 Early Aegean Warrior 5000–1450 BC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49] 문서 Hood (1971)
[150] 간행물 Gates, Charles. Why are there no scenes of warfare in Minoan art?'', Polemos: Le Contexte Guerrier en Égée à L'âge du Bronze, Aegaeum: annals of Aegean archaeology of the University of Liège, 1999, pp.277-283
[151] 간행물 Molloy, Barry PC. "Martial Minoans? War as social process, practice and event in Bronze Age Cret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107 (2012): 87-142, pp.96-97, 107
[152] 논문 A comparative cephalometric investigation of the Greek craniofacial pattern through 4,000 years https://pubmed.ncbi.[...] 1989
[153] 논문 Craniofacial morphology in ancient and modern Greeks through 4,000 years http://www.schweizer[...] 2014-06-01
[154] 논문 A European population in Minoan Bronze Age Crete
[155] 웹사이트 Mysterious Minoans Were European, DNA Finds https://www.livescie[...] 2013-05-14
[156] 논문 A European population in Minoan Bronze Age Crete 2013-05-14
[157] 문서 Lazaridis, Mittnik, Patterson, Mallick, 2017
[158] 웹사이트 Ancient DNA analysis reveals Minoan and Mycenaean origins https://phys.org/new[...] 2021-07-28
[159] 문서 Lazaridis, Alpaslan-Roodenberg, Acar, Açıkkol, 2022, pp=1–13, loc=Supplementary Materials: Plain linkurl=https://www.science.org/doi/suppl/10.1126/science.abm4247/suppl_file/science.abm4247_sm.pdf pp. 233–241
[160] 논문 Ancient DNA reveals admixture history and endogamy in the prehistoric Aegean 2023
[161] 서적 The Late Minoan III Necropolis of Armenoi: Volume II Biomolecular and Epigraphical Investigation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24
[162] 서적 歴史を変えた火山噴火ー自然災害の環境史ー 刀水書房 2012
[163] 서적 歴史を変えた火山噴火ー自然災害の環境史ー 刀水書房 2012
[164] 서적 ヨーロッパ火山紀行 ちくま新書 1997
[165] 문서 周藤 (1997-a)、pp.78-79
[166] 문서 周藤 (1997-a)、p.79
[167] 문서 周藤 (1997-a)、p.84
[168] 문서 周藤 (1997-a)、p.80
[169] 문서 周藤 (1997-a)、p.81
[170] 문서 周藤 (1997-a)、p.82
[171] 문서 周藤 (1997-a)、pp.84-85
[172] 문서 周藤 (1997-a)、p.87
[173] 문서 周藤 (1997-a)、pp.87-88
[174] 문서 周藤 (1997-a)、p.88
[175] 문서 周藤 (1997-a)、p.88
[176] 서적 周藤 (1997-a)
[177] 서적 周藤 (1997-a)
[178] 서적 周藤 (1997-a)
[179] 서적 周藤 (1997-a)
[180] 서적 周藤 (1997-a)
[181] 서적 周藤 (1997-a)
[182] 서적 周藤 (1997-a)
[183] 서적 周藤 (1997-a)
[184] 웹인용 "Ancient Crete" in Oxford Bibliographies Online: Classics, offers a scholarly guide to the academic literature on this topic. https://web.archive.[...] 2012-02-04
[185]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II: The Life of Greece http://www.archive.o[...] Simon & Schuster 1939
[186] 간행물 Minoan civiliz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