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티노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스 1세는 1868년 아테네에서 태어난 그리스 국왕으로, 제1차 발칸 전쟁에서 그리스 군대를 이끌어 영토 확장에 기여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으로 두 번이나 퇴위했다. 그는 1896년 하계 올림픽 조직에 참여하고,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및 발칸 전쟁에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중립 노선을 고수했으나, 연합국의 압력으로 퇴위하여 프랑스로 망명했다. 1920년 국민투표로 복위했으나, 그리스-터키 전쟁의 실패로 다시 퇴위하고 이탈리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에서 이탈리아로 이민간 사람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그리스에서 이탈리아로 이민간 사람 - 아티나 첸치
    아티나 첸치는 1980년대 영화계에 데뷔하여 《나는 당신을 사랑한다》 등의 작품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다비드 디 도나텔로 여우조연상을 두 차례 수상한 이탈리아 배우이자,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피렌체 시의회 의원으로 활동한 정치인이기도 하다.
  • 그리스 국왕 - 요르요스 1세
    요르요스 1세는 1863년부터 1913년까지 그리스를 통치한 덴마크 왕자 출신의 국왕으로, 입헌군주제를 확립하고 영토 확장을 추진하다가 1913년 암살당했다.
  • 그리스 국왕 - 오톤 (그리스)
    오톤은 바이에른 왕국의 왕세자 출신으로 열강의 추천을 받아 그리스의 초대 국왕이 되었으나, 그리스 정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헌법 제정 요구에 굴복했다가 쿠데타로 폐위되어 바이에른으로 망명했다.
  • 그리스의 발칸 전쟁 참전 군인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그리스의 발칸 전쟁 참전 군인 -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흑기병"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쿠데타를 주도하여 국왕을 퇴위시키고 로잔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며, 총리를 역임하고 전후에는 정당을 창당하여 경제 회복에 힘썼다.
콘스탄티노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1년 콘스탄티노스 1세
1921년의 콘스탄티노스 1세
그리스어 이름Κωνσταντίνος Αʹ (Konstantínos I)
칭호헬라스인의 왕
출생일1868년 8월 2일
출생지그리스 왕국 아테네
사망일1923년 1월 11일
사망지이탈리아 왕국 팔레르모
매장일1923년 1월 14일
매장지나폴리, 이탈리아 (1923년)
타토이 궁전, 아테네, 그리스 (1936년 11월 22일, 이장)
배우자프로이센의 소피아 (1889년 결혼)
자녀요르요스 2세
알렉산드로스 1세
헬레네
파울로스 1세
이리니 디 그레치아 공주
에카테리니 공주
왕가글뤽스부르크가
아버지요르요스 1세
어머니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서명
통치
첫 번째 통치1913년 3월 18일 – 1917년 6월 11일
이전 통치자요르요스 1세
다음 통치자알렉산드로스
즉위1913년 3월 21일
섭정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디미트리오스 구나리스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스테파노스 스쿨루디스
니콜라오스 칼로게로풀로스
스피리돈 람브로스
두 번째 통치1920년 12월 19일 – 1922년 9월 27일
이전 통치자알렉산드로스
다음 통치자요르요스 2세
섭정니콜라오스 스트라토스
페트로스 프로토파파다키스
니콜라오스 트리아타필라코스
군사 경력
소속그리스 왕국
독일 제국
군종그리스 육군
독일 제국군
복무 기간알 수 없음
계급원수
소속 부대독일 제국 근위대
지휘테살리아 군대
에피루스 군대
그리스 육군 총사령관
참전그리스-튀르크 전쟁 (1897)
도모코스 전투
발칸 전쟁
제1차 발칸 전쟁
사란타포로 전투
예니제 전투
비자니 전투
제2차 발칸 전쟁
킬키스-라하나스 전투
도이란 전투
데미르 히사르 전투
크레스나 협곡 전투
그리스-튀르크 전쟁 (1919–1922)
퀴타히아-에스키셰히르 전투

2. 생애

콘스탄티노스는 1868년 8월 2일 아테네에서 게오르기오스 1세 국왕과 올가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왕위 계승자이자 왕가의 첫 그리스 출생 구성원이었다. 그는 외할아버지 콘스탄틴 로마노프의 이름을 따서 "콘스탄티노스"(Κωνσταντῖνοςel, ''Kōnstantīnos'')로 명명되었으며, 공식 칭호는 ''디아도코스''(Διάδοχος, 왕세자)였다.

어린 시절 콘스탄티노스는 요안니스 판타지디스에게서 그리스 문학을, 바실레이오스 라코나스에게서 수학과 물리학을, 콘스탄티노스 파파리고풀로스에게서 ''메갈리 이데아'' 사상이 담긴 역사를 배웠다. 1882년 헬레닉 군사 아카데미에 입학했고, 졸업 후 베를린에서 추가 군사 교육을 받고 독일 제국 근위대에서 복무했다. 또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정치학경영학을 공부했다.

1895년 1월, 콘스탄티노스는 세금 정책 반대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군 병력을 투입하여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이 사건으로 카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총리가 사임하고, 테오도로스 델리기아니스가 새 총리가 되었다. 1896년 하계 올림픽 조직에 콘스탄티노스가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트리쿠피스와 또 다른 갈등이 발생했다. 콘스탄티노스는 1896년 조직위원회의 의장직을 맡았고, 그의 요청에 따라 사업가 게오르기오스 아베로프파나티나이코 경기장 복원에 를 지불하기로 했다.

1897년 그리스-튀르크 전쟁에서 콘스탄티노스는 테살리아 군 총사령관이었으나,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이후 군주제 인기가 하락하고 군 개혁 요구가 높아졌다. 1909년 구디 쿠데타로 그는 군에서 해임되었으나,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에 의해 복귀했다.

제2차 발칸 전쟁 중의 콘스탄티노스 1세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발발 당시 콘스탄티노스는 "테살리아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사란타포로 전투에서 승리했다. 테살로니키 점령을 두고 베니젤로스와 갈등이 있었으나, 야니차 전투에서 승리하고 테살로니키를 점령했다. 이후 비자니 전투에서 승리하고 요안니나와 에피루스 대부분을 점령하여 국민적 인기를 얻었다.

콘스탄티노스 1세의 즉위식, 1913년


1913년 3월 게오르기오스 1세가 암살당하자 콘스탄티노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제2차 발칸 전쟁에서 그리스군을 이끌고 킬키스-라하나스 전투와 크레스나 협곡 전투에서 승리했다. 베니젤로스 총리의 제안으로 콘스탄티노스는 원수 계급을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콘스탄티노스는 중립 정책을 유지하려 했으나, 베니젤로스는 연합국 참전을 주장하여 갈등이 심화되었다. 1915년 콘스탄티노스는 베니젤로스를 해임했으나, 베니젤로스는 테살로니키에서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콘스탄티노스와 대립했다. 1916년 루펠 요새가 독일과 불가리아에 점령되자 대중의 분노가 커졌다.

콘스탄티노스 1세(티노)는 영국과 프랑스, 독일, 그리고 불가리아의 페르디난트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의 풍자 만화. 고대 그리스 화병 스타일로 제작되었으며, 1915년 11월 ''펀치''에 게재됨


1917년 연합국의 압력으로 콘스탄티노스는 퇴위하고 스위스로 망명했으며, 차남 알렉산드로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1920년 알렉산드로스 사망 후 국민투표를 통해 콘스탄티노스가 복위했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 중 퀴타히아-에스키셰히르 전투 이후 그리스 육군의 연대 군기를 장식하는 콘스탄티노스


복위 후 콘스탄티노스는 그리스-터키 전쟁을 계속했으나, 앙카라 점령 계획 실패와 군대 반란으로 1922년 다시 퇴위하고 장남 게오르기오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콘스탄티노스는 이탈리아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 1923년 팔레르모, 시칠리아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5] 그의 시신은 타토이 궁전의 왕실 묘지에 안치되었다.

2. 1. 출생과 초기 교육

1868년 8월 2일 아테네에서 그리스 국왕 요르요스 1세와 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덴마크의 왕 크리스티안 9세의 손자였다. 그의 이름 콘스탄티노스는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의 영광을 재현하라는 뜻이었다.[31]

어린 시절 이오니스 판다질리스(ιωαννης πανταζιδης)에게서 고대 그리스 문학을, 바실리우스 라코나스에게서 수학과 물리학을, 콘스탄틴 파파기오풀로스에게서 역사학을 배웠다.[31]

1882년 그리스 육군사관학교(Hellenic Military Academy)에 입학하여 1886년 졸업 후, 독일 베를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독일 황실 근위대(German Imperial Guard)에서 근무하였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정치학경제학을 수학하기도 하였다.

2. 2. 군인 생활과 올림픽

1882년 그리스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886년 졸업하고 그리스 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이후 독일 베를린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독일 황실 근위대에서 근무하였다. 1890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 아테네에 있는 그리스군 제3사령부 사령관으로 발령받았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근대 올림픽 부활에 기여하였다. 왕세자의 요청에 따라 부유한 사업가 게오르기오스 아베로프파나티나이코 경기장을 백색 대리석으로 복원하는 데 약 100만 현대 드라크마를 지불하기로 동의했다.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자국 그리스의 스피리돈 루이스가 파나티나이코스 경기장에 선두로 들어왔을 때, 기뻐하며 동생 게오르기오스 왕자와 함께 마지막 200m를 동반 주행했다.

1896년 하계 올림픽 조직 국제 위원회 위원으로서의 콘스탄티노스.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당시 테살리아 군의 총사령관이었으나,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그 여파로 군주제의 인기는 떨어졌고, 군대에서는 개혁과 왕자, 특히 콘스탄티노스의 군 지휘관 해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912년 발칸 동맹이 결성되자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준비했으며, 콘스탄티노스 왕세자는 헬레니즘 육군 사령관이 되었다. 사란타포로 전투에서 테살리아군을 승리로 이끌었다. 베니젤로스와의 갈등이 있었으나, 야니차 전투에서 오스만군을 격파한 후, 1912년 10월 27일(구력) 테살로니키와 그곳의 오스만 수비대의 항복을 받아들였다.

콘스탄티노스 1세가 게오르기오스 1세와 그리스군과 함께 테살로니키에 입성하고 있다.


제1차 발칸 전쟁 당시 에사트 파샤가 콘스탄티노스 1세에게 요안니나를 항복하는 모습을 그린 그리스 석판화


제1차 발칸 전쟁에서 비자니 전투를 통해 오스만 제국 방어선을 돌파하고 요안니나와 현재 남부 알바니아 (북에피루스)에 이르는 에피루스의 대부분을 점령하여 1897년의 패배로 인한 오점을 씻어내고, 그리스 국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게 했다.

2. 3. 즉위와 제1차 세계 대전



게오르기오스 1세가 1913년 3월 18일 테살로니키에서 무정부주의자 알렉산드로스 시나스에게 암살당하면서, 콘스탄티노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독일에서 교육받고 프로이센 육군 사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독일 황제빌헬름 2세의 여동생 조피와 결혼한 콘스탄티노스 1세는 동맹국에 대해 친밀감을 느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장기화되자, 콘스탄티노스 1세는 어느 진영을 선택할지 고심했다. 베니젤로스 수상은 연합국을 지지했고, 지중해의 패권이 연합국에 있었기에 콘스탄티노스 1세는 중립을 선택했다.

연합국이 갈리폴리 전투에서 패배하자, 콘스탄티노스 1세는 1915년 10월 베니젤로스를 해임하고 자신의 뜻대로 할 인물을 수상으로 임명했다. 해임된 베니젤로스는 테살로니키에서 연합국의 지원을 받아 임시 혁명 정부를 조직하고 콘스탄티노스 1세와 대립했다. 1916년, 대립이 심화되어 내전이 불가피해지자 국왕은 독일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독일 참모본부는 거절했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와 함께


콘스탄티노스 1세는 1917년 6월 11일 퇴위에 동의하고 그리스를 떠났다. 왕위는 차남 알렉산드로스가 계승했고, 콘스탄티노스는 스위스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2. 4. 퇴위와 망명, 복위

콘스탄티노스 1세는 그리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놓고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와 불화를 빚어 국론 분열로 이어졌다. 그는 두 번이나 베니젤로스를 사임케 하였으나 1917년에 영국-프랑스 군대가 아테네 폭격을 위협하자 폐위되었으며, 이때 그리스의 반 독일 감정이 나타나면서 독일에서 군사훈련을 받은 장남 요르요스 대신 차남 알렉산드로스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퇴위 후 콘스탄티노스는 왕실 가족을 데리고 프랑스로 망명하였다.

1920년 12월 콘스탄티노스 왕의 귀환


그러나 1923년 알렉산드로스가 원숭이에게 물려 병으로 사망한 뒤 베니젤로스는 1920년 선거에서 패배하였으며 그 해에 국민 투표가 실시되자, 콘스탄티노스 1세의 복위를 놓고 논란이 발생했지만 결국 콘스탄티노스의 복위가 결정되었다.

그리스는 이 시점에서 8년 연속 전쟁 상태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갔지만, 아직 지속적인 평화의 조짐은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그리스가 이미 소아시아에서 케말주의 세력과의 전쟁 중이었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은 수년 동안 싸우고 죽어갔고, 경작할 손이 부족하여 토지는 황폐해졌으며, 도덕적으로 지쳐버린 국가는 경제적, 정치적 붕괴 직전에 놓여 있었다.

친왕당파는 발칸 전쟁의 승리한 야전 사령관, 즉 병사의 고충을 알고 그와 함께 싸우며 식량을 나누었던 그가 통치하면 평화와 번영이 올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의 복귀를 지지하는 투표가 거의 99%에 달하는 국민투표 이후, 콘스탄티노스는 1920년 12월 19일 왕으로 복귀했다. 이는 소아시아의 새롭게 해방된 주민들뿐만 아니라, 콘스탄티노스의 복귀를 반대했던 영국과 심지어 프랑스에게도 큰 불만을 야기했다.

2. 5. 그리스-터키 전쟁과 두 번째 퇴위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와 갈등을 빚었던 콘스탄티노스 1세는 1917년 폐위되어 프랑스로 망명하였다.[30] 그러나 1920년 알렉산드로스 1세가 사망하고 베니젤로스가 총선에서 패배하면서, 그 해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복위가 결정되었다.

복위 후 콘스탄티노스 1세는 그리스-터키 전쟁을 계속 수행하였다. 1921년 3월에는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퀴타히아-에스키셰히르 전투를 직접 지휘하기 위해 아나톨리아에 상륙하기도 했다. 그러나 케말의 새로운 수도인 앙카라를 점령하려는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고, 과도하게 확장되고 보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그리스군은 1922년 8월 아나톨리아에서 해안으로 패퇴했다.

이러한 패배의 책임을 물어 베니젤로스주의 장교들이 일으킨 군대 반란으로 콘스탄티노스 1세는 1922년 9월 27일 다시 퇴위하였고, 장남 요르요스 2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30]

2. 6. 죽음

이탈리아it로 망명하여 시칠리아섬팔레르모에서 여생을 보냈다. 1923년 1월 11일 오전 1시 30분에 팔레르모, 시칠리아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5] 1923년 1월 17일 팔레르모에서 사망하였다는 자료도 있다. 시신은 그리스로 운구되어 아테네 시에 있는 타티 궁의 왕실 묘역에 안장되었다. 그가 죽자 왕비 소피아는 그리스에 귀국하려 하였으나 귀국이 허용되지 않아 고향인 독일로 돌아가 프랑크푸르트에서 여생을 보냈다. 그의 아내인 프로이센의 소피아는 다시는 그리스로 돌아갈 수 없었고, 후에 피렌체의 러시아 교회에 남편 곁에 안치되었다.

3. 결혼과 가족 관계

콘스탄티노스는 1889년 10월 27일 아테네에서 프로이센의 조피아 공주와 결혼했다. 조피아 공주는 독일 제국 프리드리히 3세의 딸이자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이며, 빌헬름 2세의 여동생이었다. 이 부부는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으며, 세 아들(요르요스 2세, 알렉산드로스, 파블로스) 모두 훗날 그리스 국왕을 역임하였다.

콘스탄티노스와 그의 가족, 1910년경. 왼쪽 상단: 어린 이레네 공주를 안고 있는 국왕. 오른쪽 상단: 미래의 게오르기오스 2세. 왼쪽: 조피아 여왕. 중앙: 헬레네 공주. 오른쪽: 미래의 알렉산드로스 1세. 앞: 미래의 파블로스 1세. 캐서린 공주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

3. 1. 자녀

콘스탄티노스 1세는 1889년 10월 27일 아테네에서 프로이센의 조피아 공주와 결혼하여 슬하에 6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요르요스 2세1890년 7월 20일1947년 4월 1일루마니아의 엘리자베사와 결혼
알렉산드로스1893년 8월 1일1920년 10월 25일그리스인 아스파시아 마노스와 결혼
헬레네1896년 5월 2일1982년 11월 28일루마니아의 카롤 2세와 결혼
파블로스1901년 12월 14일1964년 3월 6일하노버의 프레데리카와 결혼
이레네1904년 2월 13일1974년 4월 15일사보이의 4대 공작 아모네와 결혼
캐서린1913년 5월 4일2007년 10월 2일리처드 밴담과 결혼




4. 유산과 대중문화

콘스탄티노스 1세는 사후에도 오랫동안 그의 지지자들과 보수 우파에게 우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유산이 더 높이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대중문화에서는 왕당파의 구호였던 "psomí, elia ke Kotso Vasiliá|프소미, 엘리아 케 코초 바실리아grc"("빵, 올리브 그리고 콘스탄티노스 왕")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 구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 함대가 그리스 남부를 봉쇄하여(1916/17) 기아를 초래했을 때 유행했다.[4]

5. 칭호, 훈장 및 문장

콘스탄티노스 1세는 여러 칭호와 훈장을 받았으며, 그의 문장은 그리스 왕가의 상징이었다. 그는 왕세자 시절 "그리스 왕세자 전하"로 불렸고, 세례 시 스파르타 공작 칭호를 받았으나 그리스 밖에서만 사용되었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의 계승자로 여겨져 콘스탄티노스 12세로 불리기도 했다. 또한, 여러 국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5. 1. 칭호

콘스탄티노스는 왕세자 시절 "그리스 왕세자 전하(디아도코스)"로 불렸다. 세례 시 부왕 요르요스 1세는 그에게 스파르타 공작 칭호를 추가로 부여하는 왕령을 내렸으나,[6] 이 칭호는 그리스 밖에서만 사용되었다.[7]

그는 비잔티움 제국의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의 계승자로 여겨져 콘스탄티노스 12세로 불리기도 했다.[31]

5. 2. 훈장

콘스탄티노스 1세는 다음과 같은 훈장들을 받았다.

국가훈장
그리스 왕국
-- 덴마크
오스트리아-헝가리성 스테판 헝가리 왕립 훈장 대십자 훈장, 1886년[11]
-- 불가리아 왕국성 알렉산더 대십자 훈장, 칼라 포함, 1912년[12]
-- 프랑스 제3공화국레지옹 도뇌르 그랜드 크로스, 1886년 12월 13일[13]
-- 이탈리아 왕국수태고지 기사, 1889년 10월 27일[14]
-- 루마니아 왕국카롤 1세 훈장 대십자 훈장, 칼라 포함, 1913년[15]
-- 러시아 제국성 안드레 기사, 1887년 6월[16]
-- 스페인 왕국
스웨덴-노르웨이세라핌 기사, 1886년 9월 23일[19]
-- 영국
-- 프로이센 왕국검은 독수리 기사[22]
-- 안할트 공국알베르트 곰 훈장 대십자 훈장, 1888년[23]
-- 바덴 대공국
-- 브라운슈바이크 공국헨리 사자 훈장 대십자 훈장, 1888년[25]
헤센 대공국루트비히 훈장 대십자 훈장, 1903년 10월 7일[26]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백색 매 훈장 대십자 훈장, 1888년[27]
-- 작센 왕국루 크라운 기사, 1888년[28]
-- 뷔르템베르크 왕국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 대십자 훈장, 1889년[29]


참조

[1] 서적 Greece: Biography of a Modern N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10-16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뉴스 King Constantine Dies at Palermo. Deposed Grecian Monarch Succumbs to Heart Failure in Hotel in Sicily https://www.nytimes.[...] 1923-01-12
[6] 문서 http://www.et.gr/ido[...]
[7] 서적 Το Σύνταγμα της Ελλάδος. Ερμηνεία – Ιστορία – Συγκριτικόν Δίκαιον. Τόμος Α΄
[8] 웹사이트 Greek Royal Orders http://www.greekroya[...] Official website of the Greek royal family 2012-10-07
[9]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23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19-09-16
[10] 웹사이트 Order of the Dannebrog (Dannebrogordenen). Denmark https://tallinnmuseu[...] 2018-06-15
[11]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12] 웹사이트 Български: Азбучник на ордена "Свети Александър", 1912–1935 г., XIII том https://commons.wiki[...]
[13]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14]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15] 웹사이트 Ordinul Carol I https://familiaregal[...] 2019-10-17
[16] 서적 Order of the Holy Apostle Andrew the First-called (1699–1917). Order of the Holy Great Martyr Catherine (1714–1917)
[17]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18]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19]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27] 문서
[28]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Königreich Sachsen: 1901 Heinrich
[29] 문서
[30] 서적 オリンピックの事典 三省堂 1984-06-30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