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콰는 17세기와 18세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식민지에서 혼혈 문화를 지칭하는 이름이다. 이들은 유럽인과 코이코이족을 포함한 다양한 아프리카 민족의 후손으로, 츠와나족, 산족, 코사족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 18세기에는 "바스타아드"로 불리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노예 제도 아래에서 장인, 운송 기사 등으로 활동했다. 19세기 초, 그리콰는 클라아르워터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아담 코크 1세에 의해 그리콰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리콰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케이프 컬러드"로 분류되었으며, 현재는 노던케이프, 웨스턴케이프, 콰줄루나탈 등지에 거주한다. 그리콰는 독자적인 교회와 문화를 유지하며, 사르티 바르트만 유해 송환 캠페인 등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 코사족
    코사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요 민족 집단으로, 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코사 왕국을 건설하여 발전했으며, 식민주의에 저항하고 다른 부족들을 흡수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코사어를 사용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배출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 아프리카너
    아프리카너는 17세기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출신 이민자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정착하여 개신교 신앙을 공유하며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고, 케이프 식민지 시절부터 인종차별 정책을 펼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민족 집단이다.
그리콰인
기본 정보
아담 코크 3세, 그리콰 민족의 지도자
인구케이프 외부의 775,000명의 콜로레드 아프리칸스인
거주 지역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
종교기독교 프로테스탄트 교파, 특히 네덜란드 개혁 칼뱅주의
언어Xiri
관련 민족콜로레드, 코이코이족, 바스터, 오를람, 아프리카너, 츠와나족, 코사족

2. 역사

그리콰는 17세기와 18세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식민지에서 형성된 혼혈 집단을 지칭하는 이름이다.[3] 이들은 주로 유럽 식민지 개척자와 원주민인 코이코이족 사이의 후손으로 시작되었으나,[8] 시간이 지나면서 츠와나족, 산족, 코사족 등 다양한 아프리카 부족 및 해방 노예의 혈통이 섞이게 되었다.[8][10] 초기에는 네덜란드어로 '혼혈'을 의미하는 '바스타아드'(Bastaard) 등으로 불렸으나, 1813년 런던 선교 협회(LMS)의 권고로 '그리콰'(Griqua)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14] 이는 과거 이 지역에 살았던 코이코이 부족 '그리그리콰'(Grigriqua)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13]

케이프 식민지 내에서의 차별과 통제를 피해, 그리콰인들은 아담 코크 1세와 같은 지도자들을 따라 내륙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오렌지강 북쪽 등지에 정착하여 그리콰스타트(Griquatown, 구 클라아르워터)[15]와 필립폴리스(Philippolis) 같은 독자적인 공동체를 건설했다. 19세기에 걸쳐 그리콰는 '캅틴'(Kaptein, 지도자)과 '폴크스라드'(Volksraad, 의회)를 중심으로 한 정치 체제를 구축하고,[25] 서 그리퀄랜드와 동 그리퀄랜드 등 여러 지역에서 자치 국가를 세우려는 시도를 했다. 이들은 자체적인 법률 제정 및 토지 소유 제도 도입 등을 통해 독립적인 발전을 추구했다.

그러나 보어인들이 대이주를 통해 내륙으로 이동해 오면서 그리콰인들과의 갈등이 잦아졌다. 특히 1860년대 후반 서 그리퀄랜드 지역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자[27], 보어 공화국과 영국 식민 세력의 간섭이 심화되었다. 결국 그리콰는 외부 세력과의 경쟁과 압력 속에서 점차 토지를 잃고 정치적 독립성을 상실하게 되었다.[7] 많은 그리콰인들이 다시 이주해야 했으며, 아담 코크 3세는 1860년대 초 2,000여 명의 사람들을 이끌고 드라켄즈버그 산맥을 넘어 동 그리퀄랜드 지역으로 이주하는 등[37] 어려움을 겪었다.

20세기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그리콰는 '컬러드'(Coloured)라는 인종 범주로 분류되었으나[4], 때로는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취급받기도 하는 등 모호한 위치에 놓였다. 이들은 별도의 '홈랜드'(반투스탄)를 지정받지 못하는 등[29] 차별과 소외를 겪었다. 오늘날 그리콰 후손들은 노던케이프주의 그리콰랜드 웨스트 지역, 웨스턴케이프주의 크란스후크, 콰줄루나탈주의 코크스타드 등지에 주로 거주하며[28],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와 정체성을 보존하고 권익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1. 명칭의 유래

17세기와 18세기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공동체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 중 유럽인, 노예, 코이산의 결합으로 태어난 후손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바스타아드''"(Bastaardaf)가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네덜란드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고, 말을 타며 총을 다룰 줄 아는 종속된 흑인에게도 적용되었다.[9] ''바스타아드'' 또는 ''바스터''(Basteraf)는 백인 소유 농장에서 장인이나 운송 기사 같은 전문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이후 이러한 기술을 가지고 내륙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본래 ''바스타아드''라는 용어는 코이코이나 노예보다 더 "문명화"되고 종교적으로 헌신적인 사람들을 가리키는 뉘앙스를 가졌다.[9] 이 명칭은 영어 단어 "bastard"(사생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혼혈"을 의미하는 네덜란드어 단어에서 비롯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통치하던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노예제가 시행되었고, 백인 정착민과 코이코이족의 상호작용 속에서 혼혈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스스로에게 여러 이름을 붙였는데, ''바스타드'', ''바스터'', ''코라나'', ''오르람''(또는 오르람 아프리카너), 그리고 ''그리콰'' 등이 포함된다.[10]

흥미롭게도, "아프리카너"(Afrikaneraf)라는 단어 자체도 원래는 (350년 이상) 백인 보어가 아닌 혼혈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1876년경 "진정한 아프리카너 동지회"(Genootskap van Regte Afrikanersaf)라고 스스로를 칭한 보어 지식인 집단이 제1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을 거치며 보어인을 위한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만들고 정치적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용어를 보어인을 묘사하는 새로운 수단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8][12] 이 정체성은 남아프리카 연방(1910–1961)과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동안 국가 정체성으로 강력하게 전파되어 오늘날 많은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백인들이 아프리카너로 알려진 배경이 되었다.[12]

케이프 식민지의 혼혈 "아프리카너" 트렉 보어 유목민, 위대한 그리콰 이동의 조상


그리콰타운, 그리콰랜드 웨스트의 1820년 그림


"그리콰"(Griekwaaf)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명이 있다. 18세기 네덜란드 역사가 이사크 티리온에 따르면, 코이족의 이름인 ''그리콰'' (또는 ''그리그리콰'')는 1730년 케이프 식민지 북동부 지역에 살던 사람들을 지칭하는 기록에서 처음 나타난다.[13] 이후 1813년, 런던 선교 협회(LMS) 소속 존 캠벨 목사가 당시 클라아르워터(Klaarwater, 현재의 그리콰스타트)에 살고 있던 다양한 혼혈 집단 – ''차리기리콰''(케이프 코이코이 집단), ''바스타아드'', ''코라나'', ''츠와나'' – 을 통칭하여 "그리콰"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권장했다.[14] 영국인들은 기존의 이름인 ''바스타아드''가 모욕적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LMS는 그리콰라는 명칭을 선호했다.[16] 이 제안이 받아들여지면서 선교 도시 클라아르워터는 그리콰타운(Griquatown)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다른 설에 따르면, 그리콰라는 이름은 최초의 그리콰 지도자인 아담 코크 1세의 아내가 된 차리기리콰(Chariguriqua) 공주에게서 유래했다고도 한다(Taylor, 2020).[19] 전설에 의하면 1750년대 아담 코크 1세는 코이코이 부족 추장의 딸인 차리기리콰와 결혼했다고 전해진다.[18] 그리콰라는 공통 조상 및 차리기리콰(그리그리콰)와의 연관성 때문에 이 집단이 공식적으로 이름을 그리콰로 변경했다는 것이다.[19]

한편, 그리콰 지도자 가문의 성씨인 "코크"(Kokaf)는 아담 코크 1세가 한때 요리사(chef)였던 직업에서 유래한 네덜란드어 단어 ''kok''에서 비롯되었다. 코크스타트(Kokstad)는 1863년 그곳에 정착한 그리콰 추장 아담 코크 3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1]

식민 통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걸었던 또 다른 집단은 "오르람"(Oorlamaf)이라고 불렸다. 이들은 주로 케이프를 떠난 네덜란드어 사용 총잡이들로 구성되었으며, 오렌지강 유역에서 활동하며 때로는 약탈 행위로 악명을 떨치기도 했다. 특히 클라스 아프리카너가 이끄는 집단이 유명했으며, 그는 결국 네덜란드 당국에 체포되어 1761년 로벤 섬으로 추방되었다.[24]

2. 2. 초기 역사와 이주

그리콰는 17세기와 18세기경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식민지에서 형성된 혼혈 문화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이들은 유럽인이 도착하기 이전의 호텐토트와 관련이 있으며[3], 주로 유럽 식민지 남성과 코이코이 여성 사이의 후손으로 구성된 인종적, 문화적으로 혼합된 집단이다.[5][6][8] 그리콰의 조상은 크게 두 부족, 즉 코이코이 중심의 콕스(Koks) 가문과 유럽 혼혈 중심의 바렌즈(Barendse) 가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 21세기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이들에게는 츠와나, , 코사의 혈통도 섞여 있다.[8]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 혼혈 집단은 서로 결혼하며 독자적인 민족 집단을 형성했고,[10] 네덜란드 및 유럽 문화에 더 동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동안 그리콰는 "컬러드"라는 더 넓은 범주로 분류되었다.

18세기에는 인종, 문화, 종교, 자산 및 권력 접근성의 불평등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공동체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중 유럽인, 노예, 코이산의 혼혈 후손을 가리키는 용어로 "바스타아드"(''Bastaard'')가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네덜란드어를 구사하고 승마와 사격에 능숙한 흑인에게도 적용되었다.[9] ''바스타아드'' 또는 ''바스터''는 백인 소유 농장에서 장인이나 운송 기사 같은 전문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이러한 기술을 가지고 내륙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본래 이 용어는 코이코이나 노예보다 더 "문명화"되고 종교적으로 헌신적인 사람들을 지칭하는 뉘앙스를 가졌다.[9] '바스터'와 '바스타드'라는 이름은 영어 단어 'bastard'(사생아)가 아닌, '혼혈'을 의미하는 네덜란드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통치하던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노예 제도가 시행되었다. 백인 정착민과 코이족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한 혼혈 집단들은 스스로에게 ''바스타드'', ''바스터'', ''코라나'', ''오르람'', ''그리콰'' 등 다양한 이름을 붙였다. 영국이 식민 행정을 맡게 되자, 이들 중 다수는 당시 "보어"로 알려진 아프리카너처럼 내륙으로 이주했다.[10] 코이산과 모잠비크 출신들은 종종 낮은 지위로 여겨졌다.[11] 흥미롭게도 '아프리카너'라는 단어 자체도 원래는 백인 보어가 아닌 혼혈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1876년경, 스스로를 "진정한 아프리카너 동지회"라 칭한 보어 지식인 집단이 제1차제2차 보어 전쟁을 거치며 보어인들을 위한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만들고 정치적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너'라는 용어를 보어인들을 지칭하는 새로운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8][12] 이 용어는 남아프리카 연방(1910–1961)과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국가 정체성으로 강력하게 홍보되어, 오늘날 많은 아프리칸스어 사용 백인들이 아프리카너로 불리게 된 배경이 되었다.[12]

18세기 네덜란드 역사가 이사크 티리온에 따르면, 코이족 이름 ''그리콰''(또는 ''그리그리콰'')는 1730년 케이프 식민지 북동부 지역 주민들을 지칭하는 기록에서 처음 나타났다.[13] 1813년, 런던 선교 협회(LMS)의 존 캠벨 목사는 당시 클라아르워터(Klaarwater, 현재의 그리콰스타트)에 살던 ''차리기리콰''(케이프 코이코이 집단), ''바스타아드'', ''코라나'', ''츠와나'' 등 다양한 혼혈 집단을 통칭하여 '그리콰'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권장했다.[14] 영국인들은 '바스타아드'라는 이름이 불쾌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바스타아드'라는 용어는 법적 지위를 얻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는데,[16] 이에 불만을 품은 그리콰는 자체적인 세력을 구축하고 코이족, 산족과 연합하여 전투 기술을 연마했으며, 네덜란드의 영향에서 벗어나 조상들의 방식으로 살아가고자 했다.[16]

클라아르워터는 19세기 초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던케이프주에 등장한 최초의 그리콰 정착지 중 하나로, 그리콰 지도자 아담 코크 1세(Adam Kok I)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곳은 그리콰 공동체뿐 아니라 다른 원주민 집단과 유럽 정착민들에게 피난처이자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내륙과 케이프 식민지 간의 무역로를 용이하게 하여 문화 및 경제 중심지로 성장했다.[15]

콜레스버그, 로거펠트, 나마퀄랜드, 한탐 등지의 변두리 지역에는 소규모 바스타아드 공동체들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유럽식 이름을 사용하고 아프리칸스어를 구사했으며, 자녀들을 교회에서 세례받게 했다. 이들은 자신들만의 교회를 가지고 있었고,[17] 코만도 복무에 대한 정보도 받았다.[18]

최초의 그리콰 지도자인 아담 코크 1세는 해방 노예 출신으로, 현재의 피케트베르크 근처에서 ''부르거''(burgher, 시민) 권리와 목장을 얻어 혼합 공동체를 세웠다. '그리콰'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그의 아내가 된 차리아구리콰(Chariaguriqua) 공주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공통 조상과 차리기리콰(그리그리콰)와의 연관성 때문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그리콰로 변경했다고 전해진다.[19] 전설에 따르면 1750년대 아담 코크는 코이코이 부족 추장의 딸과 결혼했으며,[18] 그는 그리콰 국가를 통치하며 백성을 이끌고 남아프리카를 횡단하여 오렌지강 근처에 정착했다. 그는 유색인종의 추장으로 불렸다.[20] 아담 코크 1세의 아버지는 VOC에서 일했던 코르넬리우스 야콥스(Cornelius Jacobs)였고 어머니는 노예였다. 그의 성 '코크(Kok)'는 네덜란드어로 요리사를 의미하는 ''kok''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아담이 한때 가졌던 직업이었다. 코크스타트(Kokstad)는 1863년 그곳에 정착한 그리콰 추장 아담 코크 3세(Adam Kok III)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1]

아담 코크 1세의 아들(또는 다른 인물)로 추정되는 코르넬리우스는 1800년 선교사 존 필립(John Philip)에게 세례를 받았는데, 이는 바스터들 사이에서 기독교가 시작된 계기가 되었다. 선교사들은 '바스터'라는 명칭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리콰는 새로운 이름을 받아들여 선교 도시 클라아르워터는 그리콰타운(Griquatown)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나탈 식민지가 영국에 점령된 후, 보어인들이 그리콰타운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그들은 그리콰로부터 말을 대가로 토지를 얻고 술, 총기, 탄약을 교환했다. 그러나 아담 코크가 자신의 백성을 학대했다는 혐의로 보어인을 체포하자 갈등이 불거졌고, 보어 트레커 공동체는 그의 영토 전체를 장악하려 시도했다. 콜레스버그에 주둔한 영국군은 신속하게 오렌지강을 건너 즈와르트코피에스(Zwartkopjes)에서 보어인들을 격퇴했다.[7] 이후 추장의 땅은 둘로 나뉘어, 한쪽은 그리콰를 위해, 다른 쪽은 추장과 케이프 정부에 임대료를 지불하는 보어인들을 위해 할당되었다.[18]

보어인과 식민 지배자들이 그리퀄랜드 웨스트로 알려진 지역에 도착하면서 그리콰는 독자적인 발전 경로를 따를 기회를 박탈당했다. 그들은 토지와 전통 자원을 잃고 급격한 사회 변화에 휩쓸렸으며, 오렌지 자유국 지역에서 추구했던 독립성을 상실하게 되었다.[7] 결국 그들은 낙담하여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다.[22]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케이프 식민지를 정치적 실체로 발전시킬 의도가 없었기에 식민지 경계는 불확정적이었다. VOC는 트렉보어의 무역과 목축 활동으로 이익을 얻었지만, 그들의 토지 확장 노력을 거의 통제하거나 지원하지 않았다. 미혼 네덜란드 남성이 많았기 때문에 원주민 여성을 아내나 동반자로 삼아 혼혈 자녀를 낳는 경우가 많았고, 이들은 점차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며 식민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구 집단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 자녀들은 식민지 법이 기독교식 결혼만 인정했기 때문에 아버지의 사회적, 법적 지위를 얻지 못했다. 이들은 네덜란드어로 "사생아" 또는 "잡종"을 의미하는 ''bastaard''에서 파생된 바스터로 알려지게 되었다. 유럽 식민지인들은 코이족산족의 반란에 대응하기 위해 바스터 남성들을 코만도 부대에 징집했다. 이를 통해 바스터 남성들은 무장하고 기병 전술에 능숙해졌다. 하지만 징집된 많은 이들이 네덜란드 사회를 떠나 어머니의 문화에 더 가까운 삶을 추구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이탈은 네덜란드 식민 당국의 코만도 부대 구성 능력을 약화시키는 한편, 오렌지강을 따라 활동하는 숙련된 기회주의자 집단을 형성하게 했다. 식민 통치에서 벗어난 이 집단은 스스로를 ''오르람''이라고 불렀다. 특히 클라스 아프리카너(Klaas Afrikaner)가 이끄는 집단은 네덜란드 당국의 주목을 받을 정도로 악명을 떨쳤고, 아프리카너는 결국 체포되어 1761년 로벤섬으로 추방되었다.[24] 1831년 겨울, 은데벨레 코만도는 그리콰 코만도(Gert Hooyman 지휘)가 은데벨레 영토를 침입해 소를 훔친 것에 대한 보복으로 그들을 공격했다. Hooyman은 경계를 늦추지 말라고 경고했지만 무시되었고, 은데벨레는 현재 Moordkop 언덕에서 약 1000명의 그리콰 남성을 살해했다.[23]

223x223px


데이비드 아르노트, 19세기 그리콰족 변호사이자 외교관


알라릭이 아프리칸스어를 말하고 있다.


유럽인도 아프리카인도 아니었던 그리콰족은 케이프 식민지 외곽에 정착하여 자체 공동체를 형성하고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했다. 그들의 성은 주로 아프리칸스어였으며, 오늘날에도 유색인종 사회에서 흔히 발견된다. 많은 그리콰 남성들이 코만도에 징집되었지만, 유럽인들에게 밀려 끊임없이 토지에서 쫓겨났다. 이로 인해 그리콰족은 자신들의 땅을 찾아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 이주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주는 주로 코크(Kok) 가문과 바렌즈(Barends) 가문이라는 두 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영향력 있는 그리콰 집단 중 하나는 오어람(Oorlam)이었다. 19세기에 그리콰족은 네덜란드어로 "선장"을 의미하는 ''Kapteins''(캅테인)와 그들의 의회가 통치하는 여러 정치적 실체를 형성했다.[25] 최초의 그리콰 캅테인은 자신의 자유를 사들인 전 노예 아담 코크 1세였다. 그는 차별을 피해 백성들을 이끌고 케이프 식민지 내륙에서 북쪽으로, 그리고 다시 케이프 밖으로 이주하여 오렌지강 근처, 훗날 보어 공화국인 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 서쪽과 남쪽에 위치하게 될 지역에 정착했다.[26] 대부분의 부족민이 이곳에 정착했지만 일부는 유목 생활을 유지했다. 이주 과정에서 그리콰족은 주로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아담 코크 1세의 후계자인 안드리에스 워터보어(Andries Waterboer)는 그리퀄랜드 웨스트를 건국하고 다이아몬드 발견 이후 유럽인들이 유입되기 전까지 그 지역을 통치했다. 1834년 케이프 식민지는 워터보어의 영토와 백성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유럽인들의 광산 개발에 대한 지불을 보장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1876년 워터보어는 추종자들을 교도소 작업반에서 석방시키려다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다이아몬드 광산 중 하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79년 8월 5일 통과된 케이프 의회의 합병 법안은 1880년 10월 18일에 법으로 제정되었다. 1877년 그리퀄랜드 웨스트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44,877명이 거주했으며 그중 12,374명이 유럽계였다.

그리콰족이 필립폴리스(Philippolis)를 건립한 후 15년 동안 아담 코크 2세와 그의 가장 중요한 후계자인 아담 코크 3세는 토지에 대한 사유 재산 제도를 구축했다. 이는 당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제도였다. 백인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리콰 국가, 즉 ‘캅테인’(Kaptein) 체제가 광범위하고 관료적이며 존중받아야 했다. 캅테인은 지명된 의회인 폴크스라드(Volksraad)의 수장이었으며, 라드는 집단적으로 결정을 내렸지만 캅테인은 거부권을 가졌다. 캅테인과 라드는 법을 성문화하고 자체 토지 증서를 발행했다. 법 집행은 벨드코르네츠(Veldkornets, 보어 관료와 유사한 치안 역할)와 콤만단트(Kommandants, 군사 작전 및 코만도 조직 책임) 등 다른 행정직에 위임되었다.

또 다른 중요한 그리콰 건국의 아버지로는 바렌드 바렌즈(Barend Barends)가 있다. 그는 그리콰 집단을 이끌고 노스웨스트주(North West Province)의 모어드코프(Moordkop)에서 므질리카지(Mzilikazi)와 싸웠으나 패배하여 많은 그리콰 병사들이 사망했다. 바렌즈의 손녀 트루디(Trudie)는 므질리카지에게 붙잡혀 그의 하렘에 편입되었으나, 나중에 선교사 로버트 모펫(Robert Moffat)에 의해 구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으로 인해 트루디가 낳은 자녀들을 통해 그리콰의 피가 은데벨레족(Ndebele people)에게 흘러 들어갔을 것으로 여겨진다.

2. 3. 그리콰 국가의 형성



그리콰는 17세기와 18세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케이프 식민지에서 형성된 혼혈 집단을 지칭하는 이름이다.[3] 이들은 주로 유럽 식민지 남성과 코이코이 여성 사이의 후손이었으며,[8] 시간이 지나면서 츠와나족, 산족, 코사족 등 다른 아프리카 부족 및 해방 노예의 혈통도 섞이게 되었다.[8][10] 이들은 점차 네덜란드 문화와 아프리칸스어를 받아들이고 기독교 신앙을 가지면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했다.[10]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컬러드'라는 포괄적인 범주로 분류되기도 했다.

초기 이들 혼혈 집단은 '바스타아드'(Bastaard) 또는 '바스터'(Baster)라고 불렸는데, 이는 네덜란드어로 '혼혈'을 의미한다.[9] 이 용어는 코이코이나 노예 집단보다 유럽 문화에 더 동화된 이들을 지칭하기도 했다.[9] 바스타아드 남성들은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의 코만도 부대에 징집되어 전투 기술을 익혔으나,[18] 차별과 통제를 피해 점차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 내륙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들 중 일부는 오렌지강 유역 등지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며 '오르람'(Oorlam)으로 불리기도 했다.[24]

'그리콰'(Griqua)라는 명칭은 1813년 런던 선교 협회(LMS) 소속 존 캠벨(John Campbell) 목사가 '바스타아드'라는 이름이 경멸적이라고 여겨, 당시 클라아르워터(Klaarwater, 현 그리콰스타트) 지역에 거주하던 여러 혼혈 집단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제안하면서 공식화되었다.[14] 이 명칭은 1730년대 케이프 북동부 지역에 살던 코이코이 부족 '그리그리콰'(Grigriqua)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그리콰인들은 이 새로운 이름을 받아들였고, 선교 기지였던 클라아르워터는 그리콰스타트(Griquatown)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리콰스타트는 아담 코크 1세(Adam Kok I)가 세운 초기 그리콰 정착지 중 하나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피난처이자 교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15]

19세기 남아프리카의 보어 공화국과 그리콰 국가들


그리콰 공동체는 케이프 식민지의 차별을 피해 내륙으로 이주하면서 여러 지역에 정착촌을 건설하고 독자적인 국가 형태를 갖추려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몇몇 강력한 지도자들이 등장했다.

  • 아담 코크 1세: 해방 노예 출신으로 그리콰 공동체를 이끌고 케이프 식민지 북쪽, 오렌지강 너머 지역으로 이주하여 그리콰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19] 그는 영국 식민 당국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최초의 그리콰 지도자('캅틴', Kaptein)였다.
  • 안드리에스 워터보어(Andries Waterboer): 그리콰스타트를 중심으로 서 그리퀄랜드 지역을 통치했다.[27] 1834년 케이프 식민지와 조약을 맺어 자신의 영토와 백성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았다.
  • 바렌드 바렌즈(Barend Barends): 또 다른 주요 그리콰 지도자로, 므질리카지가 이끄는 은데벨레족과의 전투(모어드코프 전투)를 치렀으나 패배하여 많은 희생자를 냈다.[23]


그리콰는 '캅틴'(Kaptein)이라 불리는 지도자와, 주요 가문 대표들로 구성된 의회 '폴크스라드'(Volksraad)를 중심으로 한 정치 체제를 구축했다.[25] 이들은 자체적인 법률을 만들고 토지 소유권을 확립하려 했으며, '벨드코르네츠'(Veldkornets)와 '콤만단트'(Kommandants) 같은 행정 및 군사 조직을 두어 치안 유지와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필리폴리스(Philippolis) 지역에서는 아담 코크 2세와 그의 후계자 아담 코크 3세가 토지 사유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보어인들이 나탈 식민지에서 영국 세력에 밀려 그리콰가 정착한 내륙 지역으로 이동해 오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 보어인들은 그리콰로부터 토지를 사들이거나 술, 총기 등과 교환하며 점차 그리콰의 영토를 잠식했다. 아담 코크가 자신의 백성을 학대한 보어인을 체포하자 보어 공동체 전체가 반발하여 그의 영토를 장악하려 시도했고, 영국군이 개입하여 즈와르트코피에스(Zwartkoppies)에서 보어인들을 격퇴하는 사건도 발생했다.[7] 이후 그리콰의 영토는 분할되어 일부는 보어인 정착민들에게 넘어가기도 했다.[18]

결과적으로 보어인의 팽창과 영국 식민 세력의 개입은 그리콰가 독자적인 발전 경로를 따를 기회를 박탈했다. 그들은 점차 토지와 자원을 잃고 정치적 독립성을 상실했으며, 여러 지역으로 흩어져 살아가게 되었다.[7][22] 이 과정에서 아담 코크 3세는 1860년대 초 2,000여 명의 그리콰인들을 이끌고 드라켄즈버그 산맥을 넘어 동 그리퀄랜드 지역으로 대규모 이주를 감행하기도 했다.[37] 서 그리퀄랜드 지역에서는 다이아몬드 발견 이후 영국과의 갈등 끝에 영토를 빼앗기고 지도자 워터보어가 투옥되는 등 시련을 겪었다. 이렇게 형성된 주요 그리콰 정착 지역이 동 그리퀄랜드와 서 그리퀄랜드이다.

2. 3. 1. 동(東) 그리콰랜드

동 그리퀄랜드는 공식적으로 뉴 그리퀄랜드(New Griqualand)로 알려졌으며, 1860년대 초부터 1870년대 후반까지 남아프리카에 존재했던 4개의 단명한 그리콰 국가 중 하나였다. 움짐쿨루 강(Umzimkulu River)과 키니라 강(Kinira River) 사이에 위치했으며, 소토 왕국 남쪽에 있었다. 현재 콰줄루-나탈주와 이스턴 케이프주의 경계에 있는 콕스타드(Kokstad) 주변 지역에 해당하며, 이스턴 케이프주에 위치한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면적은 약 19000km2에 달한다.

이 지역의 이름은 그리콰 지도자 아담 코크 3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61년부터 1862년에 걸쳐 코크 3세는 2,000명이 넘는 그리콰족 사람들을 이끌고 바수토랜드(Basutoland, 현 레소토)를 지나 드라켄즈버그 산맥을 넘었다. 그들은 폰도랜드(Pondoland)와 나탈 식민지(Colony of Natal) 사이의 미개척지에 정착했는데, 이 지역이 이후 동 그리퀄랜드로 알려지게 되었다.

동 그리퀄랜드(콕스타드) 박물관


동 그리퀄랜드는 대영 제국에 병합되기 전까지 몇 년 동안 독립을 유지했다.[37] 현재 그리콰 후손들은 주로 콕스타드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리콰 교회(개신교)가 이 공동체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2. 3. 2. 서(西) 그리콰랜드

서 그리퀄랜드는 킴벌리 주변 지역을 가리킨다. 1866년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수십 년 동안 중요한 광산 도시로 발전했다. 다이아몬드 광산의 소유권을 두고 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 같은 보어 공화국, 그리고 안드리에스 워터보어가 이끄는 그리콰, 코이코이, 코라나스, 만쿠로안 추장의 바틀라핑 등 다양한 집단 사이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27]

1870년, 트란스발 공화국의 대통령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는 다이아몬드 광산이 보어인의 소유라고 일방적으로 선언했다. 이에 앞서 1834년, 케이프 식민지는 워터보어의 토지와 그 백성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유럽인들이 채광을 위해 토지를 사용하는 대가를 지불하도록 그와 조약을 체결한 바 있었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발견 이후 상황은 급변했다.

결국 영국 세력이 개입하여 그리퀄랜드 웨스트를 자국의 식민지로 만들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1879년 8월 5일 케이프 의회에서 합병 법안이 통과되었고, 1880년 10월 18일 법으로 제정되어 서 그리퀄랜드는 영국 식민지로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리콰의 지도자였던 워터보어는 1876년, 교도소 작업반에서 자신의 추종자들을 석방하려 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투옥되는 비운을 맞았다. 그의 이름은 이후 다이아몬드 광산의 이름으로 남게 되었다.

1877년 그리퀄랜드 웨스트에서 실시된 인구 조사 결과, 총 44,877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12,374명이 유럽계였다. (''그리콰 | 남아프리카 역사 온라인'')

보어인들이 서 그리퀄랜드에 도착하면서 그리콰 공동체는 큰 시련을 겪었다. 그들은 점차 토지를 빼앗기고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어려워졌으며, 결국 오렌지 자유국 지역 등으로 밀려나게 되었다.[7] 이는 그리콰가 추구했던 자치와 독립의 길을 가로막는 결과를 낳았다.

한편, '그리퀄타운 골드'라고도 알려진 타이거 아이는 서 그리퀄랜드 지역에서 채굴되는 보석 광물이다.[38] 오늘날 킴벌리는 남아프리카의 연례 커리 컵 럭비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그리콰스 럭비팀의 연고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팀은 그리콰 파크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2. 4. 아파르트헤이트와 그리콰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정책은 그리콰 민족에게 복잡하고 모순적인 지위를 부여했다.[4]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그리콰를 공식적으로는 "컬러드"라는 더 넓은 범주로 분류했지만[4], 때로는 신분증 상에 "케이프 컬러드"나 "기타 컬러드"와는 별개의 민족으로 "그리콰"를 명시하기도 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신분증에 "그리콰"가 "케이프 컬러드" 및 "기타 컬러드"와 별도의 민족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러한 모호한 분류와 사회적 인식 때문에 많은 그리콰인들은 자신들의 혈통이 다른 그룹보다 낮은 지위로 여겨질 것을 우려하여 스스로를 더 큰 "컬러드" 그룹의 일부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이로 인해 현재 그리콰 인구의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다른 일부 민족 집단에게 반투스탄(홈랜드)을 할당했지만, 그리콰에게는 소위 '그리콰스탄'과 같은 특별 영토 보호 구역을 지정하지 않아 이들을 더욱 소외시켰다.[29]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많은 그리콰인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스스로를 그리콰로 여기는 사람들은 주로 노던케이프 주의 역사적인 그리콰랜드 웨스트 지역 내 캠벨과 그리콰타운 주변, 웨스턴케이프 주의 크란스후크에 있는 르 플뢰르 그리콰 정착지, 그리고 콰줄루나탈 주의 코크스타드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28] 이들은 비슷한 혼혈 기원을 가졌지만 주로 나미비아 남중부에 거주하는 바스터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민족 집단으로 여겨진다.[28] 그리콰 민족은 주로 코이코이족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목축민이었다.[28]

현대에 들어 그리콰 민족은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99년 전국 코이산 위원회(NKC)가 설립되었고, 2001년에는 아우츠호른에서 전국 코이산 협의회(Nasionale Khoe-San Oorlegplegende Konferensieaf)가 설립되어 그리콰를 포함한 코이산족의 이익을 대표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와의 논의를 촉진하고 있다.[32] 후자는 블룸폰테인의 웨스턴케이프 주 정부 및 자유주 대학교와 협력하여 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특히 그리콰의 영향력 있는 르 플뢰르 가문 구성원들이 이 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그리콰 민족은 1994년부터 사르티 바르트만의 유해를 프랑스에서 송환하기 위한 운동을 벌였다. 코이코이족 출신으로 유럽에서 '인간 전시'의 대상이 되었던 바르트만의 유해를 고향에 안장함으로써, 그리콰 민족은 코이 조상을 기리고 민족적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했다.

종교적으로는 개신교의 한 분파인 그리콰 교회를 설립하여 그리콰 문화와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33] 이 교회는 1920년에 설립되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교회 중 하나로 여겨지며[34], 주로 나미비아 남중부에 신자들이 분포한다.[33]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현재 그리콰 인구의 대다수는 유럽인, 코이코이족, 츠와나족의 조상이 혼합된 후손이며, 소수의 산족 혈통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0]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의 그리콰 역사가들은 자신들의 과거를 탐구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기록하며 후세에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1]

3. 현재 상황

오늘날 그리콰인들은 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노던케이프주의 역사적인 그리콰랜드 웨스트 내 캠벨(Campbell)과 그리콰타운 주변, 웨스턴케이프주의 크란스후크(Kranshoek)에 있는 르 플뢰르(Le Fleur) 그리콰 정착지, 그리고 콰줄루나탈주의 코크스타드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28]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인종 분류 정책은 그리콰인의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그리콰인들이 차별을 우려하여 자신들을 더 넓은 범주인 "컬러드"로 분류하는 것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정확한 그리콰 인구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29] 또한,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그리콰인들에게 별도의 자치 구역("그리콰스탄")을 할당하지 않아 이들을 더욱 소외시켰다.[29]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그리콰 공동체는 자신들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코이산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되찾으며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31][32] 현대의 그리콰인들은 유전자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와 같이 유럽인, 코이코이족, 츠와나족 등 다양한 혈통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30]

3. 1. 그리콰 교회

그리콰는 자신들만의 교회를 세웠는데, 이는 개신교의 한 갈래인 그리콰 교회로 알려져 있다. 이 교회는 그리콰의 문화와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콰 교회 신자들은 주로 나미비아 남중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33] 이 교회는 192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설립된 최초의 교회였다.[34]

3. 2. 문화와 유산

그리콰는 17세기와 18세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케이프 식민지에서 형성된 혼혈 문화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이들은 주로 유럽 식민지 남성과 코이코이 여성 사이의 후손으로[8], 시간이 지나면서 네덜란드어와 유럽 문화에 동화되며 독자적인 민족 집단을 형성했다.[10] 21세기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그리콰인에게는 츠와나, , 코사의 조상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8] 그리콰 공동체는 크게 코이코이 중심의 콕스(Koks) 가문과 유럽 혼혈 중심의 바렌즈(Barendse) 가문으로 나뉜다.[7] 그러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하에서는 인종적으로 더 넓은 범주인 "컬러드"로 분류되면서 정체성에 혼란을 겪기도 했다.[4]
용어와 정체성18세기에는 유럽인, 노예, 코이산의 혼혈 후손을 지칭하는 바스타아드(Bastaard)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네덜란드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고 말을 타며 총을 쏠 줄 아는 종속된 흑인에게도 적용되었다.[9] 바스타아드는 백인 소유 농장에서 장인이나 운송 기사로 일했으며,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내륙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원래 이 용어는 코이코이나 노예보다 더 "문명화"되고 종교적으로 헌신적인 사람들을 의미하기도 했다.[9] 바스타아드 또는 바스터(Baster)는 영어 단어 "사생아(bastard)"가 아닌 "혼혈"을 뜻하는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영국인들은 바스타아드라는 이름을 불쾌하게 여겼고, 런던 선교 협회(LMS)의 존 캠벨 목사는 1813년, 클라아르워터(Klaarwater, 현재의 그리콰스타트)에 거주하던 차리기리콰(Chariguriqua), 바스타아드, 코라나(Korana), 츠와나 등의 혼혈 집단을 통칭하여 그리콰(Griqua)라는 이름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4] 그리콰라는 이름 자체는 1730년 이사크 티리온에 의해 케이프 식민지 북동부 지역 사람들을 가리키는 코이족 이름으로 처음 기록되었다고 한다.[13] 일설에 따르면, 그리콰라는 이름은 최초의 그리콰 지도자인 아담 코크 1세의 아내였던 차리기리콰(Chariguriqua) 공주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도 전해진다.[19][18] 그리콰인들은 처음에는 바스타아드라는 이름에 자부심을 가졌으나, 영국인들의 압력과 혼혈이라는 이유로 법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자[16] 새로운 이름인 '그리콰'를 받아들이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기 시작했다.[16]

한편, 원래 혼혈인을 지칭하던 아프리카너(Afrikaner)라는 용어는 1876년경 보어인 지식인 집단이 제1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을 거치며 자신들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정치적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유했다.[8][12] 이 때문에 오늘날 많은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백인들이 아프리카너로 불리게 되었다.[12]
언어와 종교그리콰인들은 주로 아프리칸스어를 채택하여 사용했다.[17] 그들의 성씨 역시 아프리칸스어 계통이 많으며, 이는 오늘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컬러드 사회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종교적으로는 기독교를 받아들였으며, 자녀들을 교회에서 세례받게 했다.[17] 1800년, 아담 코크 3세의 아들 코르넬리우스 코크가 선교사 존 필립에게 세례를 받은 것이 바스터 공동체 기독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이후 그리콰인들은 자신들만의 교회를 설립했는데, 이는 개신교의 한 분파인 그리콰 교회(Griqua Church)로 알려져 있다. 192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설립된 이 교회는 그리콰의 문화적,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나미비아 남중부 지역에 신자들이 많다.[33][34]
사회 구조와 정치그리콰 사회는 캅테인(Kaptein, 네덜란드어로 '선장'을 의미)과 주요 가문 출신 인사들로 구성된 의회, 즉 폴크스라드(Volksraad)에 의해 통치되었다.[25] 캅테인은 폴크스라드의 수장이었으며 거부권을 가졌다. 이들은 함께 법을 제정하고 토지 증서를 작성했다. 법 집행은 주로 벨드코르네츠(Veldkornets, 치안 및 경찰 담당)와 콤만단츠(Kommandants, 군사 작전 및 코만도 조직 담당)에게 맡겨졌다.

최초의 캅테인이자 영국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아담 코크 1세는 자신의 자유를 사들인 전 노예 출신이었다.[18][20] 그는 차별을 피해 케이프 식민지 내륙에서 북쪽으로 백성들을 이끌었고, 이후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여 오렌지강 근처, 산족과 츠와나족이 이전에 통제했던 지역에 정착했다.[26] 그의 손자인 아담 코크 3세는 1863년 코크스타드에 정착했으며, 이 도시의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21] 아담 코크 2세와 3세는 필립폴리스(Philippolis)를 건설하고 토지 사유 재산 제도를 도입했는데, 이는 당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제도였다.

안드리에스 워터보어(Andries Waterboer)는 그리퀄랜드 웨스트를 건국하고 통치한 또 다른 중요한 지도자였다. 1834년 케이프 식민지는 그의 영토와 권리를 인정하는 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1870년대 다이아몬드 발견 이후 유럽인들이 몰려들면서 그리콰인들은 토지를 빼앗기고 독립을 잃게 되었다.[7] 워터보어는 1876년 추종자들을 석방하려다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그리퀄랜드 웨스트는 1880년 케이프 식민지에 합병되었다.

바렌드 바렌즈(Barend Barends)는 노스웨스트주의 모어드코프(Moordkop)에서 은데벨레족의 지도자 므질리카지와 싸운 그리콰 지도자였다. 이 전투에서 많은 그리콰 병사들이 사망했으며, 바렌즈의 손녀 트루디(Trudie)는 므질리카지에게 사로잡혔다가 선교사 로버트 모펫에 의해 구출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현대의 그리콰오늘날 그리콰인들은 주로 노던케이프주의 역사적인 영토인 그리콰랜드 웨스트 내 캠벨(Campbell)과 그리콰타운 주변, 웨스턴케이프주의 크란스후크(Kranshoek)에 있는 르 플뢰르(Le Fleur) 그리콰 정착지, 그리고 콰줄루나탈주의 코크스타드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28]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인종 정책은 그리콰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그리콰인들이 차별을 우려하여 자신들을 더 큰 범주인 "컬러드"로 분류하는 것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정확한 그리콰 인구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29] 또한,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그리콰인들에게 별도의 자치 구역("그리콰스탄")을 할당하지 않아 이들을 더욱 소외시켰다.[29]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현대 그리콰 인구의 대다수는 유럽인, 코이코이족, 츠와나 조상의 혼합이며, 소수의 조상 혈통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0]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의 그리콰 역사가들은 자신들의 과거를 탐구하고 역사를 기록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31]

1999년 설립된 전국 코이산 위원회(National Khoisan Council, NKC)와 2001년 아우츠호른에서 설립된 전국 코이산 협의회(Nasionale Khoe-San Oorlegplegende Konferensie, NKSOK)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와 코이산 원주민 집단 간의 논의를 촉진하고 이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32] 특히 영향력 있는 르 플뢰르 가문 구성원들이 이 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리콰 공동체는 1994년부터 사르티 바르트만의 유해를 프랑스에서 송환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이는 코이코이족 출신인 바트만의 유해를 고향에 안장함으로써 코이 조상을 기리고 그리콰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4. 주요 인물


  • 아담 콕 III세
  • 아담 콕 I세[39]
  • 바렌드 바렌즈[40]
  • 안드리스 워터부어
  • 페트루스 마라이스[41]
  • 안드리스 르 플러[42]

5. 아프리칸스 문학

그리콰인의 역사, 정체성, 문화를 탐구하는 여러 연구와 저작이 있다. 주요 저작물은 다음과 같다.

저자저작 제목주요 내용/주제
바렌드 바렌즈 (Barend Barends)다니엘스쿠일의 잊혀진 족장 (2019)다니엘스쿠일 지역의 그리콰 역사와 지도자에 대한 연구[43]
칼 스쿠만 (Karl Schoeman)필리폴리스의 그리콰 족장 1826-186119세기 중반 필리폴리스 지역 그리콰 지도자들에 대한 역사적 탐구[44]
S.J. 핼포드 (S.J. Halford)그리콰랜드의 그리콰족 - 남아프리카 그리콰족의 기원과 역사그리콰 민족의 기원과 역사 전반에 대한 연구[45]
린다 발트만 (Linda Waldmann)그리콰의 난제: 남아프리카 노던케이프의 정치적, 사회문화적 정체성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던케이프 지역 그리콰인의 정체성 문제를 다룬 사회문화적 연구[46]


참조

[1] 문서 Rosenfelder 2023
[2] 웹사이트 Griqu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0-05-30
[3] 웹사이트 The Griqua nation - Griquas History http://www.tokencoin[...] 2024-04-19
[4] 문서 Waldman 2006
[5] 간행물 Griqua 2020-04-07
[6] 웹사이트 https://www.pressrea[...] 2024-04-25
[7] 웹사이트 Griqua People.-Introduction https://www.sahistor[...] 2016-04-13
[8] 웹사이트 Griqua People of South Africa and Namibia. https://panafricanre[...] 2020-10-29
[9] 웹사이트 Griqua https://www.sahistor[...]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2016
[10] 서적 The Griqua Past and the Limits of South African History, 1902-1994 Peter Lang 2012
[11] 서적 Cape of Torments http://dx.doi.org/10[...] Routledge 2022-08-04
[12] 웹사이트 Griqua people of South Africa https://panafricanre[...] Hussein 2017-10-08
[13] 웹사이트 Landkaart Kaap de Goede Hoop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Griekwastad http://www.places.co[...] 2006-04-20
[15] 웹사이트 Griqu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3-05-09
[16] Youtube Mixed History: The story of the Griqua https://www.youtube.[...] 2024-04-25
[17] 문서 Schatz 2017
[18] 웹사이트 Griqua https://www.sahistor[...] South Africa History Online Board members 2023-03-21
[1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South Africa: Volume I Clarendon Press 1969
[20] 웹사이트 Griqualand East {{!}} historical region, South Afric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3
[21] 뉴스 KZN hosts its first annual Griqua festival after easing of lockdown regulations https://www.sabcnews[...] Thabiso Malesele 2024-05-05
[22] 웹사이트 Griqu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3-04-23
[23] 웹사이트 The lost history of the Griqua: New Frame https://www.newframe[...] 2023-04-20
[24] 서적 The Forgotten Frontier 2005
[25] 서적 Rehoboth Griqua Atlas 2005
[2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uth Africa The Scarecrow Press 1983
[27] 웹사이트 Griqua {{!}} South Africa, Khoikhoi, Trekboer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5
[28] 웹사이트 The Griqua nation - Griquas History http://www.tokencoin[...] Scott 2024-04-25
[29] 웹사이트 The lost history of the Griqua https://www.newframe[...] 2024-04-25
[30] 간행물 The Griqua and the Khoikhoi: Biology, Ethnicity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1997
[31] 웹사이트 The lost history of the Griqua https://www.newframe[...] 2023-04-22
[32] 웹사이트 South African government will engage with the National Khoisan Council https://www.sahrc.or[...] 2020-10-29
[33] 웹사이트 Little Known Black History Fact: Griqua People of South Africa https://blackamerica[...] 2012-07-24
[34] 웹사이트 Servant of God: The early years of The Reformer - Andrew Abraham Stockenström le Fleur http://rehobothbaste[...] 2003
[35] 웹사이트 Griqu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1-04-18
[36] 웹사이트 Griqua https://www.sahistor[...]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2023-04-20
[37] 문서 André Burgers, 2004
[38] 웹사이트 The Griqua nation - Stage Two - Eviction from Cape and Settlement in Central South Africa https://www.tokencoi[...] 2024-04-25
[39] 웹사이트 Kokstad's Origins http://www.tokencoin[...] 2020-11-02
[40] 웹사이트 The lost history of the Griqua https://www.newframe[...] 2019-10-29
[41] Youtube Cape Nation Rising 2020 {{!}} Cloetesville March for Cape Independence {{!}} Stellenbosch {{!}} South Africa https://www.youtube.[...] 2021-01-16
[42] 웹사이트 Griqua leader Andries le Fleur is born https://www.sahistor[...]
[43] 서적 die vergete kaptein van Danielskuil https://issuu.com/pa[...] Paternoster Books 2019
[44] 서적 The Griqua Captaincy of Philippolis 1826-1861 Protea Book House 2024-05-09
[45] 서적 The Griquas of Griqualand Juta & Co.
[46] 서적 The Griqua Conundrum: Political and Socio-Cultural Identity in the Northern Cape, South Africa Peter Lang AG, Internationaler Verlag der Wissenschaften; New edition (February 7, 2007) 2007-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