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스터는 18세기 케이프 식민지에서 백인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제적, 문화적 요인으로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했으며, 나미비아 중부 개척 시대에 레호보트에 정착하여 자치 공화국을 설립했다. 독일 통치 시대와 남아프리카 위임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바스터는 자신들의 문화와 제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1990년 나미비아 독립 이후에도 특별한 법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지만, 고유한 언어와 종교, 법과 제도를 통해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 코사족
코사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요 민족 집단으로, 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코사 왕국을 건설하여 발전했으며, 식민주의에 저항하고 다른 부족들을 흡수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코사어를 사용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배출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 아프리카너
아프리카너는 17세기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출신 이민자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정착하여 개신교 신앙을 공유하며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고, 케이프 식민지 시절부터 인종차별 정책을 펼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민족 집단이다.
바스터 | |
---|---|
기본 정보 | |
민족 | 바스터 |
![]() | |
인구 | 45,629명 (2023년 인구 조사) |
거주지 | 나미비아 |
언어 | 아프리칸스어 |
종교 | 개신교 |
관련 민족 | 아프리카너 컬러드 나마 (오를람) 그리콰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Rehooboseu Baseuteo |
2. 역사
바스터의 역사는 크게 기원, 나미비아 중부 개척 시대, 독일 통치 시대, 남아프리카 위임 통치 시대, 그리고 독립 이후 시대로 나눌 수 있다.
바스터는 아프리카너와 독일 출신 백인 남성과 원주민 코이산인, 케이프 식민지를 거쳐 나미비아로 이주한 말레이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인종이다. '바스터'라는 이름은 네덜란드어로 '사생아'를 뜻하는 'bastaard'에서 유래했지만, 바스터들은 이 이름을 '자긍심 넘치는 이름'으로 재해석해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한다.[26]
19세기 후반, 바스터는 나미비아 중부 레호보트와 그 주변에 커뮤니티를 형성했다. 1868년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 북부 내륙 지역을 개척하기 시작했으며, 1869년 첫 30가구가 레호보트에 정착하여 목축 생활을 시작했다. 1872년 레호보트의 바스터 인구는 333명이었으며,[6] 1876년에는 800명으로 증가했다. 이들은 레호보트 자유 공화국을 설립하고 독자적인 헌법(Vaderlike Wette|아버지의 법af)을 제정했다.[24] 1870년대 바스터는 주변 나마족과 헤레로족에게 가축을 약탈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880년 얀 아프리카너는 헤레로족에 대항하여 600명의 남자를 모았고, 나마족과 헤레로족도 각각 1,000명 정도의 전사를 동원했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바스터는 생존을 위해 동맹을 맺으려 노력했다.[6]
1884년 독일이 남서 아프리카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바스터족 카프테인 헤르마누스 반 위크는 독일 제국과 '보호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9] 1895년 체결된 조약으로 바스터족은 소규모 무장 병력을 창설하여 독일과 함께 원주민 봉기 진압에 참여했다.[10] 1912년 독일의 조사에 따르면 레호보트 지구에 약 3,000명의 바스터족이 있었다.[6]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바스터족에게 군 복무를 명령하자, 바스터족은 저항했다. 1915년 4월, 독일은 바스터족과의 보호 조약을 취소하고 공격을 시작했다. 바스터족은 샘 쿠비스 산으로 후퇴하여 저항했고, 1915년 5월 8일 샘 쿠비스 전투에서 독일군의 공격을 막아냈다. 이 날은 바스터족에게 매년 기념되는 날이다.[11][10]
191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독일을 격파하고 남서아프리카 통치권을 획득하면서, 바스터에게 부여되었던 특별 권리들은 철회되었다.[10] 일부 바스터는 '레호보트 자유 공화국'의 정통성을 주장하며 국제 연맹과 국제 연합에 청원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197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호보트 자치법'을 통과시켜 바스터에게 일종의 자치권을 부여했다. 바스터는 레호보트를 중심으로 한 바스터 홈랜드에 정착했다. 1979년 요하네스 "한스" 디어거르트가 바스터의 제5대 Kaptein(지도자)으로 임명되었다.
1990년 나미비아 독립 이후,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바스터의 토지가 수용되고 공동체 재산이 몰수되었다. 1999년 제6대 부족장으로 선출된 존 맥나브는 정부의 토지 정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36] 1998년 한스 디어하르트 부족장은 국제 연합 자유권 규약 인권 위원회에 바스터의 권리 침해를 고발했고, 2000년 동 위원회는 나미비아 정부의 아프리칸스어 공용어 제외가 바스터에 대한 언어 차별이라고 인정했다.[37] 2007년 바스터 협의회는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 (UNPO)에 가입을 표명했으며, 2012년 UNPO는 나미비아 정부에 바스터의 "전통적 권위"를 인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36]
2. 1. 기원
바스터는 한때 백인 사회에 흡수되었을 수도 있는 혼혈 민족이었다. 이 용어는 경제적, 문화적 집단을 지칭하게 되었으며, 케이프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발전한 비백인 인구를 포함했으며 원주민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졌다. 일부 바스터는 다른 하인들을 감독하는 역할을 했으며 백인 주인들의 기밀 직원으로 일했다. 때로는 백인 가족의 일원으로 거의 대우받기도 했다. 많은 사람이 자신이 일했던 가족의 남성이 아니더라도 백인 남성의 후손이었다.이 집단에는 재산을 획득하고 독립적인 농부로 자리 잡는 데 성공한 코이, 자유 흑인, 혼혈 민족도 포함되었다. 오를람(Orlam)이라는 용어는 바스터로도 알려질 수 있는 사람들에게 때때로 적용되었다. 오를람은 네덜란드어를 사용하고 주로 유럽식 생활 방식을 실천하는 코이와 컬러드 (혼혈) 사람들이었다.
18세기 초에 바스터는 종종 식민지에 농장을 소유했지만, 토지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인종 차별 압력이 가해지면서 백인 이웃과 정부에 의해 억압받았다. 일부는 컬러드 하인 계급에 흡수되었지만 독립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은 정착지의 변두리로 이동했다. 1750년경부터 식민지 북서쪽 끝에 있는 카미에스베르헤는 상당한 수의 하인과 고객을 거느린 독립적인 바스터 농부들의 주요 정착 지역이 되었다.
1780년경부터 이 지역에서 백인들의 경쟁과 억압이 증가하여 대부분의 바스터 가족이 내륙 변경 지역으로 이동했다. 그들은 오렌지 강 중류 계곡에 정착하여 데 투인 근처에 정착했다.[6] 오렌지 중류 지역의 바스터는 이후 런던 선교 협회 선교사들의 설득으로 그리콰라는 이름을 채택했다.[7]
2. 2. 나미비아 중부 개척 시대
1868년 바스터는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 북부 내륙 지역을 개척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듬해 1869년에 첫 30가구가 그곳을 떠났다. 그들은 현재 나미비아 중부의 나미브 사막과 칼라하리 사막 사이의 고원 지대에 해당하는 레호보트에 정착하여 소, 양, 염소 무리를 관리하며 목축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1871년부터 1907년까지는 독일 라인 선교회에서 파견된 선교사인 요한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하이드만이 이들을 섬겼다.[6]1872년 레호보트에 거주하는 바스터의 인구는 333명이었다.[6] 이후 케이프 식민지에 남아 있던 가족들이 계속 합류하여 1876년까지 인구가 800명으로 증가했고, 80~90가구가 정착했다. 이들은 레호보트 자유 공화국(Rehoboth Gebiet)을 설립하고 독일의 영향을 받은 국기를 디자인했다. 또한 독자적인 헌법(Vaderlike Wette|아버지의 법af)을 제정 및 채택했으며, 이 법은 21세기에도 바스터 공동체의 내부 문제를 규율하고 있다.[24] 원본 문서는 빈트후크에 있는 나미비아 국립 문서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8]
바스터는 출생에 기반한 공동체를 설립했다. 이 법률에 따르면, 시민은 레호보트 시민의 자녀이거나, 그 규칙에 따라 시민으로 인정받은 사람이다.[6] 이 지역은 원주민 다마라족이 점유하고 있었지만, 바스터는 인구 보고서에 그들을 포함시키지 않았다.[6]
바스터는 레호보트를 중심으로 주로 활동했지만, 일부는 북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앙골라 남부 도시인 루방고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오이바모'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가축 무리를 유지하는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1870년대 동안 레호보트의 바스터는 가축을 약탈당하고 더 큰 규모의 주변 나마족과 헤레로족에게 도난당하면서 빈번한 손실을 입었다. 이들 민족들은 서로 경쟁 관계에 있었다. 1880년, 얀 아프리카너는 헤레로족에 대항하여 600명의 남자를 모았고, 다양한 나마족은 약 1,000명의 전사를 소집했으며, 헤레로족은 비슷한 숫자를 투입했다. 바스터는 양쪽 모두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기 때문에 살아남기 위해 동맹을 맺으려 노력했다.[6] 전쟁은 약 1884년까지 계속되었고, 손실을 입었지만 바스터는 계속되었다.
1880년대 동안 레호보트의 공동체에는 그루트폰테인(남부) 출신(선교사 하이드만이 이전에 모집하려 했던) 바스터 가족과 오카한자, 오티짐빙웨에서 온 바스터 가족이 합류했다.[6] 이들은 가족 내의 혈통에 기반을 두었지만, 공동체에 가입을 신청한 흑인과 백인 모두를 받아들였다.
2. 3. 독일 통치 시대 (1884년 ~ 1915년)
1884년 10월 11일, 독일이 남서 아프리카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바스터족 카프테인 헤르마누스 반 위크는 독일 제국과 '보호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9] 이 조약으로 바스터족의 '외교 정책' 권한을 포함한 독립적인 행정 권한이 크게 줄어들었다.[11]1893년, 독일은 바스터족의 영토인 레호보트 ''게비트''를 설립했고, 정착민들은 협상을 통해 이를 확장하려 했다. 이 지역에서는 아버지의 법이 인정되었다. 독일 식민지에는 레호보트라는 행정 구역이 있었는데, 바스터족 통치 지역보다 넓었으며, 외부 지역은 독일(백인) 식민지법의 적용을 받았다. 대부분의 토지는 유럽인, 특히 독일계 백인이 소유한 농장으로 개발되었다.[6]
1895년 체결된 ''레호보트 바스터족의 국가 봉사에 관한 조약''으로 바스터족 사이에 소규모 무장 병력이 창설되었고, 이들은 여러 전투에서 독일 식민주의자 및 군대와 함께 원주민을 상대로 싸웠다. 바스터족은 오바헤레로(1896), 스바르트보이 나마(1897), 본델스바르츠(1903)의 봉기를 진압하는 데 함께 싸웠으며, 1904년~1907년의 헤레로 전쟁에서 오바헤레로족과 나마족에 대한 독일의 대량 학살에도 참여했다.[10]

1912년 독일의 바스터족 인구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레호보트 지구에 약 3,000명의 바스터족이 있었으며, 대부분 레호보트 게비트에 집중되어 그들만의 법에 따라 살았다.[6]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14년까지 레호보트와 독일 간의 관계는 20년 넘게 긴밀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독일 ''Schutztruppe''가 바스터족의 모든 건장한 남성에게 군 복무를 명령하자, 바스터족은 이에 저항했다.[11] 바스터족은 독일군이 영국과 동맹을 맺은 남아프리카 군대에 대항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고 중립을 유지하려 했지만, 제한적인 자치권을 잃을까 두려워했다.
바스터 의회는 그들의 남성들이 전선 뒤에서만 사용될 것이라는 내용에 대해 테오도르 자이츠 총독과 합의했다고 믿었으나, 바스터 병사들은 ''게비트''에서 멀리 떨어진 임무에 배치되었다.[11] 1915년 2월, 바스터족이 유이트드라이의 수용소에서 남아프리카 전쟁 포로를 경비하도록 배정되었을 때, 그들은 역사적인 친족 관계와 언어를 통해 그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항의했다. 일부는 포로의 탈출을 도왔고, 독일은 바스터족에게 지급하는 탄약의 수를 제한했다.[11]
1915년 4월 1일, 레호보트 바스터족의 두 번째 ''카프테인''인 코르넬리우스 반 위크는 월비스 베이에서 남아프리카의 루이 보타 장군과 비밀리에 만나 바스터족의 중립성을 확인하려 했다. 반 위크는 남아프리카가 독일 식민지를 인수할 경우 바스터족의 영토와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확약을 기대했지만, 보타는 그에게 전쟁에 관여하지 말라고 조언했다.[11]
1915년 4월 18일, 많은 바스터족이 독일 군 복무를 거부하고 무기를 반납하려 했으나, 독일군은 다른 바스터 병사들의 무장을 해제했고, 이 과정에서 무장하지 않은 바스터족 한 명이 사망했다. 한편, 바스터족과 나마족 경찰은 레호보트 게비트 내에서 독일 장교들의 무장을 해제하려 했지만, 한 명에게 치명상을 입히고 다른 한 명을 즉사시켰다. 나마족 경찰을 포함한 무장 병력은 여러 독일 시민을 살해했다.[11]
1915년 4월 22일, 테오도르 자이츠 총독은 바스터족과의 보호 조약을 취소하고 레호보트를 공격하려 했다. 반 위크는 보타 장군에게 알렸고, 그는 바스터족이 그 지역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하라고 조언했다.[11] 이에 바스터족에 대한 독일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바스터족 역사에 따르면, 캠프에서 독일인을 위해 일하던 14세의 바스터 소녀는 독일군이 바스터족을 공격할 계획에 대한 술 취한 대화를 우연히 듣고 카프테인에게 알렸다. 약 700명의 바스터족이 샘 쿠비스의 산으로 후퇴했고, 1915년 5월 8일, 독일군은 샘 쿠비스 전투에서 공격을 시작했다. 반복적인 공격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은 바스터족의 위치를 파괴할 수 없었고, 해 질 녘 공격을 중단했다. 그날 밤 바스터족은 신에게 호소하며, 살아남는다면 이 날을 영원히 기념할 것을 맹세했다.[11]
다음날 아침, 독일군은 레호보트로 진격하는 남아프리카 군대에 대응하기 위해 철수 명령을 받았다. 레호보트의 바스터 공동체는 살아남았고,[12] 이 날은 바스터족에게 매년 기념된다. [11][10]
바스터족이 레호보트로 돌아왔을 때, 일부는 그들의 농장에서 독일인을 살해했다. 독일군은 보호를 위해 일부 병력을 배치했지만, 남아프리카 군대가 접근함에 따라 5월 23일에 철수시켰다. 바스터족은 독일 가축을 빼앗고 그들의 농장을 약탈했으며, 두 선교사의 집도 공격했다. 양측의 유혈 사태는 전쟁 후 오랜 원한을 남겼다.[11]
2. 4. 남아프리카 위임 통치 시대 (1915년 ~ 196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15년 7월 9일 코라브 평화 조약을 통해 독일을 격파하고 남서아프리카(현재의 나미비아)에 대한 통치권을 획득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H. 멘츠 대령은 바스터 지도자들에게 독일과의 충돌을 피하고 모든 문제를 자신의 행정부에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또한 남아프리카 순찰대가 레호보트 지역의 치안 유지를 위해 파견될 것이라고 알렸다.[11]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스터는 바수토랜드처럼 자신들의 땅을 영국 보호령으로 만들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의해 거절당했다. 독일 통치 시기에 바스터에게 부여되었던 특별 권리들은 모두 철회되었다.[10]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21년부터 바스터에 대한 정기적인 인구 조사를 실시했는데, 이는 그들의 인종 분류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다.[6]
일부 바스터는 '레호보트 자유 공화국'의 정통성을 주장하며 국제 연맹에 의해 인정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국제법이 자결권에 대한 자신들의 열망을 지지한다고 믿었고, 1952년 국제 연합에 청원을 제출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이 시기 동안, 일부 바스터 지도자들은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고 남서아프리카의 독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60년대 초, 이들은 나미비아에 대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를 종식시키기 위해 국제 연합에 개입을 요청한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였다.[13] 오밤보족을 비롯한 다른 원주민들 역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민 통치 종식과 아파르트헤이트 철폐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197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호보트 자치법'을 통과시켜 바스터에게 일종의 자치권을 부여했다. 바스터는 레호보트를 중심으로 한 반 자치 바스터 홈랜드(''Baster Gebiet'')에 정착했으며,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투스탄과 유사한 지위를 가졌다.
1979년, 요하네스 "한스" 디어거르트는 논란이 많았던 선거에 대한 법원 소송에서 승리하여 바스터의 제5대 Kaptein(지도자)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76년 레호보트 자결법과 바스터의 부계 법률에 따라 이 직책을 맡았다.
1981년, 남서 아프리카의 인구는 100만 명이 넘었고, 12개 이상의 민족 및 부족 집단과 39개의 정당으로 나뉘어 있었다. 당시 35,000명에 불과했던 바스터는 작은 소수 집단 중 하나였다.[14]
1980년대에 바스터는 약 140만 헥타르의 농지를 통제했다. 과거에는 1인당 7,000ha의 농지가 필요하다고 여겨졌지만, 바스터는 4,000ha의 농지로도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 인구 부양을 위해 대체 고용 형태를 찾아야 했다. 1981년, 바스터 인구는 약 25,181명으로 추산되었다. 지속 가능한 농지에 대한 요구는 나미비아가 농업만으로는 자급자족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며, 토지 재분배만으로는 충분한 면적을 제공할 수 없었다.[6]
2. 5. 독립 이후 (1990년 ~ 현재)
1990년 나미비아 독립과 함께 국내 다수를 차지하는 오밤보인을 중심으로 구성된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가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이후 SWAPO는 비백인 중에서도 우대받았던 바스터의 토지를 수용하고, 공동체로서 보유했던 재산을 몰수했다. 게다가, 바스터가 살던 땅을 분할하기 위한 새로운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다. 결과적으로 바스터는 이전까지 소유했던 토지를 다른 민족에게 침해받기 시작했고, 생활 기반인 목축업에도 심각한 지장이 생기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소수 민족인 백인계 주민이라는 이유로 독립 후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이상의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많은 바스터는 SWAPO가 국가를 대표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한편, 오반보랜드영어에서의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에 대한 이익을 지나치게 유도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품게 되었다.[35]
부족장 협의회는 신정부에 의해 몰수되어 바스터 외에 매각된 레호보스 땅에 대한 보상을 요구했다. 협의회는 당사자 적격을 얻었지만, 1995년 고등법원 판결에서는 레호보스의 토지는 레호보스 바스터 사회가 당시 나미비아 정부에 자발적으로 넘겼다는 판결을 내렸다.[31][36]
1998년에 한스 디어하르트영어 부족장은 국제 연합 자유권 규약 인권 위원회에 나미비아 내 바스터의 권리 침해를 고발하며 정식으로 불만을 제기했다. 2000년에 동 위원회는 나미비아 정부가 아프리칸스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한 것은 자유권 규약 제27조를 위반하는 바스터에 대한 언어 차별이라고 인정했다.[37]
1999년에 제6대 부족장으로 선출된 존 맥나브는, 과거 바스터가 소유했던 토지를 정부가 무단으로 국유지로 만들고 헐값에 다른 민족에게 매각했으며, 동족 농민들이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되사야 했던 점을 국내외에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36]
2006년에 삼쿠비스의 날 축전 준비가 진행되던 중, 저명한 사회 복지사인 헤티 로즈-유니우스는 조직위원회에 나마인 대표를 축제에 초대할 것을 제안했지만, 위원장은 과거 반독 투쟁에서 바스터와 나마인이 공투 관계가 아니었다는 이유로 제안을 거절했다.[38]
2007년 2월, 바스터 협의회는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 (UNPO)에 가입할 것을 표명했다. 2012년 11월 이후, UNPO는 나미비아 정부에 대해, 나미비아 내 다른 민족과 마찬가지로 바스터에 대한 "전통적 권위"를 인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36]
3. 문화
바스터는 칼뱅주의를 믿는 종교적 특성과 1872년에 제정된 '아버지의 법'(Vaderlike Wette)이라는 고유한 전통 법률을 가지고 있다.[24] 이들은 17세기 네덜란드의 전통 찬송가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네덜란드 교회가 새로운 음악을 수용하는 동안에도 이들의 집단에서 유지되었다.[1]
1998년, 한스 디어하르트(Hans Diergaardt) 부족장은 유엔 자유권 규약 인권 위원회에 나미비아 내 바스터의 권리 침해를 정식으로 고발했고,[37] 2000년, 위원회는 나미비아 정부가 아프리칸스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한 것은 바스터에 대한 언어 차별이라고 인정했다.[37]
1999년 제6대 부족장으로 선출된 존 맥냅은 정부가 바스터 소유의 토지를 무단으로 국유지로 만들고 헐값에 다른 민족에게 매각한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36]
3. 1. 언어
1998년, 한스 디어하르트(Hans Diergaardt) 부족장은 유엔 자유권 규약 인권 위원회에 나미비아 내 바스터의 권리 침해를 정식으로 고발했다. 2000년, 위원회는 나미비아 정부가 아프리칸스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한 것은 자유권 규약 제27조를 위반하는 바스터에 대한 언어 차별이라고 인정했다.[37]3. 2. 종교
바스터의 대다수는 칼뱅주의 신자이다.[1] 이들은 17세기 네덜란드의 찬송가와 거의 동일한 전통 찬송가를 부르는데, 이러한 노래들은 네덜란드 교회가 새로운 음악을 수용하는 동안에도 식민지와 그들의 집단에서 보존되었다.[1]3. 3. 법과 제도
바스터의 전통적인 법률은 '아버지의 법'(Vaderlike Wette)이라고 불리며, 1872년 자유 레호보스 공화국에서 캅테인 의회에 의해 제정되었다.[24] 이 법은 21세기까지 바스터 공동체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나, 더 이상 법적인 효력은 없다.[24]아버지의 법은 캅테인(지도자)을 종신직으로 선출하고, 캅테인이 의회 구성원을 임명하여 레호보스의 행정부를 구성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5년마다 선출되는 인민 의회(''Volksraad'')를 규정하여 레호보스 정부의 입법부를 구성했다.
아버지의 법에 따라 레호보스의 모든 남성 시민(''부르거'')은 18세에 무료 토지(에르프)를 신청할 권리가 있었다.[22] 이 에르프의 크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토지 부족과 유지 비용으로 인해 1300sqm에서 약 300sqm로 감소했지만, 바스터는 1990년 3월 21일 나미비아 독립 전까지 이 조항을 존중했다.[22]
1990년 나미비아 독립 이후,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 정부는 바스터의 전통보다 우선하는 토지 사용 및 소유권에 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22] 이로 인해 바스터는 더 이상 젊은 남성에게 토지를 할당할 수 없게 되었고, 토지는 족장 의회를 대체한 지역 시의회에서 관리하게 되었다.[22]
SWAPO 정부는 바스터 공동체가 보유했던 재산을 몰수하고, 바스터의 땅을 분할하기 위한 새로운 선거 제도를 도입했다.[35] 이로 인해 바스터는 자신들의 토지를 다른 민족에게 침해받고, 생활 기반인 목축업에 심각한 지장을 받게 되었다.[35]
바스터 부족장 협의회는 신정부에 의해 몰수된 레호보스 땅에 대한 보상을 요구했으나, 1995년 고등법원은 레호보스의 토지가 레호보스 바스터 사회에 의해 나미비아 정부에 자발적으로 넘겨졌다고 판결했다.[31][36]
1998년, 한스 디에르가르트 부족장은 유엔 자유권 규약 인권 위원회에 나미비아 내 바스터의 권리 침해를 고발했다.[37] 2000년에 위원회는 나미비아 정부가 아프리칸스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한 것이 바스터에 대한 언어 차별이라고 인정했다.[37]
1999년에 제6대 부족장으로 선출된 존 맥냅은 정부가 바스터 소유의 토지를 무단으로 국유지로 만들고 헐값에 다른 민족에게 매각한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36]
2007년 2월, 바스터 협의회는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 (UNPO)에 가입을 표명했다.[36] 2012년 11월 이후, UNPO는 나미비아 정부에 바스터의 "전통적 권위"를 인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36]
3. 4. 지도 체제
바스터는 전통적으로 '캅테인'(Kaptein)이라고 불리는 지도자를 선출하여 공동체를 이끌었다. 최초의 캅테인은 '바스터 민족의 모세'로 불리는 헤르마누스 판 바이크였으며, 그는 남아프리카에서 레호보스로 바스터 공동체를 이끌었다.[24] 1905년 그가 사망한 후 독일 식민 정부는 별도의 의회를 설립했고, 바스터들은 영국 보호령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4년 영국이 이 지역을 점령할 때까지 다른 캅테인을 선출하지 않았다.[24] 이후 코르넬리우스 판 바이크가 캅테인으로 선출되었으나, 1915년부터 1990년 나미비아 독립까지 이 지역을 통치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당국은 그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24]1990년 나미비아가 독립하면서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가 정권을 잡았고, 이들은 바스터의 토지를 수용하고 공동체 재산을 몰수했다.[35] 또한 바스터 거주 지역을 분할하는 새로운 선거 제도가 도입되어, 바스터는 이전 토지를 다른 민족에게 빼앗기고 목축업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35]
바스터 부족장 협의회는 몰수된 토지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며 1995년 고등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31][36] 1998년 한스 디어하르트 부족장은 유엔 자유권 규약 인권 위원회에 바스터의 권리 침해를 제소했고, 2000년 위원회는 나미비아 정부의 아프리칸스어 공용어 제외가 바스터에 대한 언어 차별이라고 판결했다.[37]
1999년 제6대 부족장으로 선출된 존 맥나브는 정부가 바스터 소유 토지를 국유지로 만들고 다른 민족에게 헐값에 매각한 것을 비판하며, 바스터 농민들이 비싼 값에 토지를 되사야 하는 현실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있다.[36]
2007년 바스터 협의회는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UNPO)에 가입을 표명했다.[36] 2012년 이후 UNPO는 나미비아 정부에 바스터의 "전통적 권위"를 인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36]
4. 다른 바스터 공동체
남아프리카 공화국 리히터스벨트에는 '보스리스 바스터(Boslys Basters)'로 알려진 혼혈 공동체가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네덜란드인과 인도네시아인의 혼혈을 '블래스터(Blaster(an))'라고 부른다.[6][7]
참조
[1]
웹사이트
Namibia 202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Main Report
https://census.nsana[...]
Namibia Statistics Agency
2024-10-30
[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Rehoboth Basters until 1990
Klaus Hess Publisher
[3]
뉴스
Britz elected Baster Kaptein …Van Wyk cries foul
https://neweralive.n[...]
2021-04-26
[4]
웹사이트
Namibia 202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Main Report
https://census.nsana[...]
Namibia Statistics Agency
2024-10-30
[5]
뉴스
Rehoboth community in danger of extinction
http://www.newera.co[...]
2013-02-18
[6]
간행물
The Population Development of the Rehoboth Basters
1998
[7]
웹사이트
Griqua identity
https://aridareas.co[...]
2019-06-05
[8]
간행물
The National Archives of Namibia
http://www.nln.gov.n[...]
Government of Namibia
[9]
서적
Mission, Church and State Relations in South West Africa Under German Rule (1884–1915)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10]
서적
The Centenary of Sam Khubis: A pledge made between rugged rocks
Informante reprint, 26 April 2015
2015-04
[11]
문서
THE MILITARY ROLE OF THE REHOBOTH BASTERS DURING THE SOUTH AFRICAN INVASION OF GERMAN SOUTH WEST AFRICA, 1914–1915
http://scientiamilit[...]
GJJ.OOSTHUIZEN
2016-04-10
[12]
웹사이트
Sam Khubis
http://rehobothbaste[...]
rehobothbasters.com
2012-04-25
[13]
뉴스
Namibia's 'Bastards' Insist on That Term
https://www.washingt[...]
2016-04-10
[14]
뉴스
MIXED-RACE NAMIBIAN GROUP SEEKS POLITICAL ALLIES
https://www.nytimes.[...]
2016-04-09
[15]
문서
Namibia: 'Rehoboth Community in Danger of Extinction'
http://rehobothbaste[...]
Rehoboth Basters website
2016-04-09
[16]
문서
HRC views
http://www1.umn.edu/[...]
[17]
뉴스
‘Sam Khubis Day Is for Basters’
https://www.newera.c[...]
2016-04-10
[18]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V
http://klausdierks.c[...]
klausdierks.com
2018-08-07
[19]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M
http://klausdierks.c[...]
klausdierks.com
2018-08-07
[20]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A
http://klausdierks.c[...]
klausdierks.com
2018-08-07
[21]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D
http://klausdierks.c[...]
klausdierks.com
2018-08-07
[22]
뉴스
Rehoboth Basters still holding on for erven
NAMPA
2014-01-30
[23]
웹사이트
Baster {{!}} Khoisan, Namibia, Rehoboth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14
[24]
뉴스
Hermanus van Wyk: The 'Biblical Moses' of the Rehoboth Baster Community
http://www.newera.co[...]
2011-05-26
[25]
웹사이트
UNPO: Rehoboth Basters
https://unpo.org/mem[...]
2019-03-29
[2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Rehoboth Basters until 1990
Klaus Hess Publisher
[27]
뉴스
Rehoboth community in danger of extinction
http://www.newera.co[...]
2013-02-18
[28]
간행물
The Population Development of the Rehoboth Basters
1998
[29]
뉴스
Hermanus van Wyk: The 'Biblical Moses' of the Rehoboth Baster Community
http://www.newera.co[...]
2011-05-26
[30]
서적
Mission, Church and State Relations in South West Africa Under German Rule (1884-1915)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31]
서적
The Centenary of Sam Khubis: A pledge made between rugged rocks
Informante reprint, 26 April 2015
2015-04
[32]
문서
THE MILITARY ROLE OF THE REHOBOTH BASTERS DURING THE SOUTH AFRICAN INVASION OF GERMAN SOUTH WEST AFRICA, 1914-1915
http://scientiamilit[...]
GJJ.OOSTHUIZEN
2016-04-10
[33]
웹사이트
Sam Khubis
http://rehobothbaste[...]
rehobothbasters.com
2012-04-25
[34]
뉴스
Namibia's 'Bastards' Insist on That Term
https://www.washingt[...]
2016-04-10
[35]
뉴스
MIXED-RACE NAMIBIAN GROUP SEEKS POLITICAL ALLIES
https://www.nytimes.[...]
2016-04-09
[36]
뉴스
Namibia: 'Rehoboth Community in Danger of Extinction'
http://rehobothbaste[...]
Rehoboth Basters website
2013-02-18
[37]
문서
HRC views
http://www1.umn.edu/[...]
[38]
뉴스
‘Sam Khubis Day Is for Basters’
https://www.newera.c[...]
New Era (Namibia)
2006-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