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봉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봉한은 1916년 출생하여 1941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중 부상병 치료 과정에서 경락 연구의 단서를 찾은 생리학자이다. 월북 후 평양의과대학에서 동물실험 등을 통해 경락의 실체를 연구하여 '산알이론'을 확립하고, 1961년 경락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연구는 북한 과학의 3대 업적으로 칭송받았으나, 비인도적인 생체 실험 의혹과 정치적 이유로 숙청되어 공식 기록에서 삭제되었다. 이후 김봉한이 주장한 통로 체계는 '프리모 혈관 시스템'으로 재조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구사 - 김남수 (교육인)
    김남수는 부친에게 침술을 전수받아 남수침술원을 개설하고 대한침구사협회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정통침구학회 회장, 정통침뜸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침구사로, 국민훈장 동백장과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을 수상했다.
  • 침구사 - 아사하라 쇼코
    아사하라 쇼코는 옴진리교의 창시자이자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을 주도하여 2004년 사형 선고를 받고 2018년 사형이 집행된 일본의 인물이다.
김봉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봉한 1964년 우표
1964년 김봉한 우표
본명김봉한
출생일1916년
실종일1966년 (49–50세)
실종 장소불명
실종 상태실종
국적북한
직업외과 의사
활동 기간1946년–1966년
알려진 업적봉한학설
수상인민상
모교서울대학교
정당조선민주당 (과거)
한국어 이름
한글김봉한
로마자 표기Gim Bonghan
학문적 경력
연구 분야외과학
영향봉한학설

2. 생애

1941년 서울대학교의 전신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야전병원 의사로서 부상병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산알의 존재에 대한 단서를 찾았다.

이후 김봉한은 월북하여 평양의과대학에서 동물실험 등을 통해 인체에 존재하는 경락의 실체에 대해 연구하여 1961년에 경락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몸안에 많은 수의 ‘산알’과 이것을 잇는 그물망같은 물리적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만들고, 이를 ‘산알이론’으로 확립했다.[11][12]

그러나 이 이론에 대해 ‘비인도적인 생체실험을 통해 연구된 것’이라는 소문과 국제적 의혹이 제기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치적 판단에 따라 김봉한과 그의 '산알이론'을 매장시킨 것으로 전해진다.[11][12]

이러한 내용은 1970년대 후반 일본을 통해 국내에 소문으로 흘러들어왔으며, 1992년1997년 국내에서 작가 공동철에 의해 관련 책자가 발행됐다.[11][12] 공동철의 책 "'''김봉한'''"은 1970년대 후반~80년대 초 일본에서 먼저 발행된 도서 등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11][1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6년에 태어나,[3] 1941년서울대학교의 전신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1946년 서울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3] 한국 전쟁 발발 후, 대한민국에 기반을 둔 생리학자였던 김봉한은 가족을 뒤로하고 북한으로 넘어갔다.[4][5] 북한에 도착하기 전, 김봉한은 민주당과 연관되어 있었다.[5]

2. 2. 경락 연구와 '봉한 학설'

김봉한은 1961년 평양의과대학에서 동물실험 등을 통해 인체에 존재하는 경락의 실체를 연구한 결과, 몸 안에 많은 수의 ‘산알’과 이것을 잇는 그물망 같은 물리적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산알이론’으로 확립하여 경락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1][12] 그는 이 통로 체계를 ''친로'', ''경락'', 또는 ''봉한'' 시스템이라 불렀다.[10][6]

1962년부터 1965년까지 북한 경락연구소(KRI)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김봉한은 침술, 경락 시스템, 그리고 "사날" 이론에 관한 5편의 논문을 《조선 의학 저널》에 발표했다.[3][8] 북한 정부는 그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현미경방사성 추적자와 같은 다양한 분석 장비를 제공했으며, 이 장비의 대부분은 동유럽에서 수입되었다.[5] 김봉한은 1962년 2월 2일에 경락 연구 업적으로 인민상을 수상했다.[9] 그의 저서 《경락계통에 대하여》는 1963년에 한국어와 중국어로 동시에 출판되었다.[10]

1961년 8월, 평양의학대학 교수였던 김봉한은 '경락의 실체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동양 의학에서 말하는 경락경혈 등 '혈'에 해당하는 부위에 기관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연구는 '봉한 학설'로 세계에 발표되었고, 이후에도 1963년에 '경락 계통에 관한 연구', 1965년에 '경락 체계'와 '산알 학설'을 연이어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그의 연구결과는 비날론 등과 함께 196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의 3대 업적으로 꼽힐 만큼 칭송받았으며, 당시 동구권 과학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11][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과학영화촬영소에서 '경락의 세계'라는 제목의 영화가 1965년에 제작되어 1966년에는 일본에서도 공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정 당국도 두 차례에 걸쳐 김봉한을 기리는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의학자들이 기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봉한 학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조작으로 여겨졌다. 게다가 김봉한이 김일성 지지 기반 파벌인 만주파(국외 빨치산파)와의 동맹 관계를 파기하고 갑산파(국내 빨치산파)에 가까웠던 점도 작용하여, 1967년 5월 김일성에 의한 독재 체제 확립을 위한 숙청(마그차비)에 휘말려 실각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기록에서도 학설과 함께 말소되었다.

2. 3. 몰락과 실종

김봉한은 1960년대 중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에게 반당분자로 몰려 숙청된 것으로 보인다.[3] 그의 연구결과는 비날론 등과 함께 196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의 3대 업적으로 꼽힐만큼 칭송을 받았으며, 당시 동구권 과학자들 사이에서 선풍적 관심을 모았다.[11][12] 그러나 이 이론에 대해 ‘비인도적인 생체실험을 통해 연구된 것’이라는 소문과 국제적 의혹이 제기되자, 입장이 난처해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치적 판단에 따라 김봉한과 그의 '산알이론'을 매장시킨 것으로 전해진다.[11][12]

세계 각국의 의학자들에 의해 기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봉한 학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조작으로 여겨졌다. 게다가 김봉한이 김일성 지지 기반 파벌 만주파(국외 빨치산파)와의 동맹 관계를 파기하고 거리를 두기 시작한 갑산파(국내 빨치산파)에 가까웠던 점도 있어, 1967년 5월 김일성에 의한 독재 체제 확립을 위한 숙청에 휘말려, 김봉한은 김일성에게 불만을 품고 국가 전복을 꾀했다는 혐의를 받아 실각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기록에서도 학설과 함께 말소되었다. 그 후 김봉한의 소식은 일절 알려지지 않고 있다. 1966년 경락 연구소는 폐쇄되었다.[3]

이러한 내용은 1970년대 후반 일본을 통해 국내에 소문으로 흘러들어왔으며 이를 소개한 책자가 1992년1997년 국내에서 작가 공동철에 의해 발행됐다.[11][12] 공동철의 책 "'''김봉한'''"은 1970년대 후반~80년대 초 일본에서 먼저 발행된 도서 등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11][12]

김봉한을 기리는 우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회수한 데다가, 발행했다는 사실마저 말소했기 때문에, 해외로 수출된 것만 남아 있다. 따라서 아이러니하게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표 중에서도 희귀 우표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

3. '봉한 학설' 이후: 프리모 혈관 시스템

김봉한은 침술의 경혈점과 경락의 기반을 형성한다고 제안한 통로 체계인 '경락' 또는 '봉한' 시스템의 존재를 주장했다. 2010년, 대한민국의 연구자들은 이와 동일한 시스템을 "프리모 혈관 시스템"으로 인식했다.[10][6] 이 구조물들이 존재한다는 신뢰할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7]

1962년부터 1965년까지 김봉한은 북한의 경락연구소(KRI)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침술, 경락 시스템, 그리고 "사날" 이론에 관한 5편의 논문을 《조선 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이 논문들은 2010년대 초까지 어느 정도 관심을 끌었던 제안된 프리모 혈관 시스템의 기반을 형성한다.[3][8]

북한 정부는 김봉한의 연구팀에 현미경방사성 추적자와 같은 다양한 분석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그의 연구를 지원했는데, 이 장비의 대부분은 동유럽에서 수입되었다.[5] 1962년 2월 2일, 김봉한은 경락 연구 업적으로 인민상을 수상했다.[9] 그의 저서 《경락계통에 대하여》는 1963년에 한국어와 중국어로 동시에 출판되었다.[10]

4. 저서


  • 김봉한, 《생물학 및 의학의 위대한 발견: 경락의 실체》, 외국어 출판사, 평양, 1962년
  • 김봉한, 《경락계에 관하여》, 외국어 출판사, 평양, 1964년
  • 김봉한, 《경락계와 산알의 이론》, 의학과학출판사, 평양, 1965년
  • 김봉한, 〈원초 혈관 시스템의 발생학적 및 비교 생물학적 연구〉, 《Journal of Acupuncture and Meridian Studies》, 제5권 제5호, 2012년, 248–255쪽.
  • 김봉한, 《경락계통에 관한 연구》, 외국문출판사, 평양, 1964년(1963년 원본)

5. 참고: 김봉한 관련 논란

김봉한은 1960년대 평양의과대학에서 경락의 실체를 연구하여 '산알이론'을 발표했다. 이 이론은 비날론 등과 함께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의 3대 업적으로 꼽히며 동구권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11][12] 그러나 비인도적 생체실험 의혹이 제기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치적 판단에 따라 김봉한과 그의 이론을 매장시켰다.[11][12]

1961년 8월, 김봉한은 '경락의 실체에 관한 연구' 논문을 통해 동양 의학의 경락경혈 부위에 기관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봉한 학설'로 세계에 발표되었고, 1963년 '경락 계통에 관한 연구', 1965년 '경락 체계'와 '산알 학설'을 연이어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경락의 세계'라는 영화를 제작하고, 김봉한을 기리는 기념 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세계 각국의 의학자들이 기관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하면서 '봉한 학설'은 조작으로 여겨졌다. 김봉한은 김일성 지지 기반 파벌인 갑산파(국내 빨치산파)에 가까웠다는 점 때문에 1967년 숙청되었고, 그의 학설은 공식 기록에서 말소되었다. 김봉한을 기리는 우표는 회수되어 희귀 우표가 되었다.

참조

[1] 논문 Vicissitude and enlightenment of Bonghan theory 2011-03
[2] 논문 Primo Vascular System: A Unique Biological System Shifting a Medical Paradigm 2016-01-01
[3] 서적 The Primo Vascular System: Its Role in Cancer and Regene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11-04
[4] 논문 Formative Research on the Primo Vascular System and Acceptance by the Korean Scientific Community: The Gap Between Creative Basic Science and Practical Convergence Technology 2013
[5] 논문 Historical Observations on the Half-Century Freeze in Research between the Bonghan System and the Primo Vascular System 2013
[6] 서적 An introduction to acupuncture https://books.google[...] Haug 1978-01-01
[7] 웹사이트 Auburn scientist discovers microstructure of primo-vascular system, revealing possible foundation of how acupuncture works https://ocm.auburn.e[...] 2016-12
[8] 서적 The Primo Vascular System: Its Role in Cancer and Regeneration: proceedings from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Primo Vascular System 2010 (ISPS 2010), with special topics on cancer and regeneration, which was held in Jecheon, Korea during September 17 to 18, 2010.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11-04
[9] 서적 Great Discovery in Biology and Medicine: Substance of Kyungrak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0] 서적 Celestial Lancets: A History and Rationale of Acupuncture and Mox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12
[11] 서적 김봉한 http://book.daum.net[...] 2008-09-10
[12] 서적 김봉한 2 http://book.daum.net[...] 2008-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