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선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선은 후한 말기의 인물로, 무릉태수를 지냈다. 209년 유비가 형주 남부 4군을 공격했을 때 유비에게 항복했으며, 《삼국지》에는 이와 같이 기록되어 있으나, 배송지가 인용한 《삼보결록주》에는 유비에게 죽임을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김선의 아들 김의는 조조에게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일족이 모두 죽임을 당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장비에게 대항하다가 부하 공지의 배신으로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9년 사망 - 유기 (후한)
    유기는 후한 말 유표의 아들로, 채씨 일가의 견제를 피해 강하 태수로 부임했으며, 유비와 합류하여 형주자사가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 209년 사망 - 사환
    후한 말 무장 사환은 패군 출신으로 협객으로 이름을 떨치다 조조의 거병에 가신들과 합류하여 중군교위 등을 맡아 활약했으며 관도 대전에서 순유의 계책에 따라 원소군의 군수 물자 운송대를 습격하는 공을 세웠다.
  • 후한의 정치인 - 사일
    사일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초 교주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궁을 보좌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합포 태수를 역임했으나, 손권에게 귀순 후 사휘의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하며 격변기의 사씨 가문의 흥망성쇠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 후한의 정치인 - 응창
    응창은 후한 말기에서 삼국시대 초기에 활동한 문장가이자 건안칠자의 일원으로, 조조에게 발탁되어 관직 생활을 했으며 조비의 총애를 받았으나 역병으로 요절하여 조비의 안타까움을 샀고, 그의 문학적 재능은 조비와 조식에게 인정받았으며 동생 응거와 아들 응정 또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다.
  • 3세기 중국 사람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3세기 중국 사람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김선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금선
원어 이름金旋
원기 (元機)
출생지사례 경조윤
사망 년도209년
사망 장소상더 후난
가문김미제 (선조)
자녀금의
관직 및 직함
주요 직위중랑장
무릉태수
섬긴 세력유표 (208년까지)
조조 (208년–209년)
임기?–209년
통치 시기
군주헌제

2. 생애

흉노 출신으로 전한에 투항하여 고위 관직에 오른 김일제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4] 김선은 후한 말 경조군(京兆郡; 현재의 중국 산시성 시안 일대) 출신으로,[2] 자는 원기(元機)이다.[2] 그는 황문시랑(黃門侍郎), 한양태수, 의랑(議郎), 중랑장(中郎將) 등 여러 관직을 거친 후[2] 형주무릉군(武陵郡; 현재의 중국 후난성 창더 일대) 태수를 지냈다.[2]

건안 14년(209년) 유비가 적벽 전투 승리 후 형주 남부 4군(장사, 무릉, 영릉, 계양)을 정벌할 당시 무릉태수로 있었다.[1] 이때 김선의 행적에 대해서는 유비에게 항복했다는 기록(삼국지 본전)[1]과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는 기록(삼보결록주)[2]이 모두 존재한다.

그의 아들 김의218년 위나라조조에 대항하여 경기, 위황 등과 함께 허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였고, 이 사건으로 김선의 일족은 멸족하였다.[4]

2. 1. 유비와의 관계

208년 적벽 전투 이후 세력을 확장하던 유비형주 남부의 장사, 계양, 영릉, 무릉군 4개 군을 공략하였다. 당시 무릉군 태수였던 김선은 유비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김선의 최후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삼국지』 본전의 기록에 따르면, 건안 14년(209년) 유비가 표를 올려 유기를 형주자사로 삼고 남쪽 4군을 정벌하자, 김선은 장사태수 한현, 계양태수 조범, 영릉태수 유도와 함께 유비에게 항복했다고 한다.[1]

그러나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삼보결록주』(三輔決錄注|싼푸줴루주zho)의 기록은 이와 다르다. 이 기록에 따르면 김선(자는 원기, 경조윤 출신)은 황문시랑, 한양 태수, 의랑, 중랑장 등의 관직을 거쳐 무릉태수를 겸임했는데, 유비의 공격을 받아 싸우다 죽었다고 한다.[2]

김선의 아들 김의는 이후 조조 정권 하에서 218년 경기, 위황 등과 함께 조조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일족과 함께 처형되었다.[3][4]

2. 2. 최후

208년 적벽 전투에서 조조가 패배한 후, 209년 (건안 14년) 유비유기형주 자사로 삼고 남쪽의 4군(장사, 무릉, 영릉, 계양)을 정벌했다.[1] 『삼국지』 본전에 따르면, 당시 무릉 태수였던 김선은 유도, 한현, 조범 등 다른 태수들과 함께 유비에게 항복했다.[1]

그러나 배송지가 『삼국지』에 주석으로 인용한 《삼보결록주》의 기록은 이와 다르다.[2] 《삼보결록주》에 따르면 김선은 자가 원기(元機)이며, 경조윤 출신으로 황문시랑, 한양태수, 의랑, 중랑장을 거쳐 무릉태수를 겸임했다.[2] 이 기록에서는 유비의 공격을 받은 것은 동일하지만, 김선이 항복하지 않고 싸우다 죽었다고 전한다.[2]

김선의 아들 김의218년에 경기, 위황 등과 함께 조조에게 대항하여 허도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다.[4] 이 사건으로 김선을 포함한 김일제의 후손인 그의 일족은 모두 죽임을 당해 멸족한 것으로 보인다.[4]

《삼보결록주》는 서진의 摯虞|지우zho조기의 《삼보결록》을 보완한 것인데,[5] 조기는 201년에 이미 사망했으므로 원본 《삼보결록》에는 김선이나 김의의 최후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5]

3. 가족 관계

아들 김의가 있었다. 김의의 자는 덕의(德禕)이다.[2] 218년, 김의는 경기, 위황(韋晃) 등과 함께 허도(현재의 허창시)에서 조조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조조 휘하 관리인 왕필(王必)을 부상시켰다. 이 반란은 결국 왕필과 장군 엄광(嚴匡)에 의해 진압되었고, 김의 등 공모자들은 모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2]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삼보결록주》에는 김의가 흉노 출신으로 전한에 투항한 김일제의 후손으로 언급되어 있다.[4] 따라서 아버지 김선 역시 김일제의 후손일 것으로 추정된다. 218년 김의가 반란 실패로 처형되면서, 김선 일족도 함께 멸족하였다.[2]

4. 《삼국지연의》에서의 김선

삼국지연의》 제53회에서 무릉군(武陵郡) 태수로 등장한다. 유비(劉備)가 보낸 장수 장비가 무릉군을 공격하자, 김선은 이에 맞서 싸우려 했다. 부하인 공지(鞏志)가 항복을 권했지만, 김선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출전했다. 그러나 장비와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성으로 후퇴했다. 성으로 돌아온 김선은 부하 공지의 배신으로 화살에 맞아 최후를 맞이했다. 소설 속에서 김선이 김의(金禕)의 아버지인지는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다.

4. 1. 부하

삼국지연의》에서는 무릉군 태수 김선의 부하로 공지 (鞏志)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유비가 보낸 장비가 무릉군을 공격해오자, 공지는 김선에게 싸우지 말고 항복할 것을 권유했다.[1][2] 김선은 이 말을 듣지 않고 장비와 싸웠으나 패배하여 성으로 후퇴했다.[2] 일부 판본에서는 김선이 공지의 주장을 배신으로 여겨 모욕하고 가두었다고도 묘사한다.[1] 결국 공지는 김선을 배신하여, 성으로 돌아온 김선을 화살로 쏘아 죽이고 성문을 열어 장비에게 항복했다.[1][2][3]

다만, 정사 삼국지 등 역사 기록에서는 공지라는 인물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1]

참조

[1] 서적 三國志 先主伝
[2] 서적 三國志 先主伝より『三輔決録注』「金旋伝」
[3] 서적 三輔決録注 金禕伝 https://books.google[...] 道光十四年鐫 三輔決録 梅瑞軒藏板
[4] 서적 三國志 武帝本紀より『三輔決録注』「金禕伝」
[5] 서적 三輔決録注 趙岐伝 https://books.google[...] 道光十四年鐫 三輔決録 梅瑞軒藏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