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서 (피겨스케이팅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서(1996년 11월 29일 출생)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이다. 그는 2010-2011 시즌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했고, 2012년 시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으며, 2014-2015 시즌에는 한국 남자 선수 최초로 시니어 그랑프리에 배정되었다. 2018년 허리 부상으로 은퇴 후 코치로 전향, 신지아 등 후배들을 지도하고 있다. 2023년 여름에 결혼하여 아들 김이안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륜중학교 동문 - 심석희
심석희는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로,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4관왕을 시작으로 올림픽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했으나, 코치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동료 선수 비하 및 고의 충돌 의혹에 휩싸여 국가대표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오륜중학교 동문 - 박지윤 (가수)
1997년 〈하늘색 꿈〉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 박지윤은 2000년 〈성인식〉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가수 활동 외 드라마, 영화, 뮤지컬, 라디오 DJ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작사, 작곡, 앨범 프로듀싱에도 참여하는 싱어송라이터이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이준우 (뮤지컬 배우)
이준우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의 뮤지컬 배우이자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뮤지컬 배우로 전향하여 '그리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모차르트!'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활동하고 있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진보양
중국 하얼빈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진보양은 뛰어난 쿼드러플 점프 실력으로 "쿼드 킹"이라 불리며,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사대륙 선수권 대회 쿼드러플 점프 4회 성공, 쿼드러플 럿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 점프 최초 성공 등의 기록을 세운 선수이다.
김진서 (피겨스케이팅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진서 |
로마자 표기 | Gim Jinseo |
한자 표기 | 金鎮瑞 |
출생일 | 1996년 11월 29일 |
출생지 | 서울, 대한민국 |
키 | 1.67 m |
거주지 | 서울 |
은퇴 | 2018년 |
시작 | 2008년 |
코치 및 안무가 | |
이전 코치 | 지현정 신혜숙 류종현 김훈 최형경 |
이전 안무가 | 스콧 브라운 신디 스튜어트 미야모토 켄지 데이비드 윌슨 스테판 랑비엘 신예지 |
클럽 및 훈련 | |
현재 훈련 장소 | 태릉 |
개인 최고 점수 | |
총점 | 207.34 |
총점 달성일 | 2014 CS 네펠라 트로피 |
쇼트 프로그램 점수 | 74.43 |
쇼트 프로그램 점수 달성일 | 2015 주니어 세계 선수권 |
프리 스케이팅 점수 | 138.11 |
프리 스케이팅 점수 달성일 | 2015 사대륙 선수권 |
기타 정보 | |
별명 | 짐보(Jimbo) |
소속사 | 올댓스포츠 |
종목 | 남자 싱글 |
SP 사용 곡 | 피아노 소나타 "월광" |
FS 사용 곡 | 영화 '미션' |
웹사이트 | http://cafe.daum.net/figurejimbo |
2. 학력
3. 경력
김진서는 3살 때부터 앓은 건선 치료를 위해 다양한 운동을 하다가, 11살 때 의사의 권유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스케이팅 입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코치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본격적인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2011년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2011년 훈련 중 입은 고막 파열 부상에도 불구하고, 2012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시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이후 ISU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2013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경험을 쌓았다.
2013-2014 시즌에는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한국 남자 싱글 선수 최초로 ISU 공인 총점 200점을 돌파하며 16위를 기록했고,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도 개인 최고점으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4-2015 시즌에는 한국 남자 선수 최초로 ISU 시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배정받았으며,[2] ISU 챌린저 시리즈 대회에서 한국 남자 최초로 ISU 공인 쇼트 프로그램 70점대를 넘어서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15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9위에 올라 다음 해 대회 출전권 2장 확보에 기여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국내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며 사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했으나, 국내 선발전에서 차준환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며 올림픽 무대는 밟지 못했다.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인해 2017-2018 시즌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3. 1. 초창기
3살 때부터 앓은 건선 치료를 위해 우슈, 인라인스케이트, 태권도, 수영 등 다양한 운동을 배웠고, 묘기줄넘기 선수로도 활동했다. 피겨 스케이팅은 '서늘한 곳에서 운동하면 좋다'는 의사의 권유에 따라 11살 때 시작했다. 스케이팅을 시작한 지 몇 달 지나지 않아 당시 코치는 김진서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국가대표가 될 가능성을 보고 본격적인 선수 활동을 권유했다. 2009년부터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2010-2011 시즌에는 2011년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3. 2. 2011-2012 시즌
2011년 6월, 김진서는 야외 훈련 중 비 오는 날 넘어져 왼쪽 고막의 80%가 파열되는 부상을 입고 조직 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 부상으로 인해 훈련에 차질을 빚었고, ISU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탈락하며 국제 대회 데뷔가 늦어졌다.부상에서 회복 중이던 2012년 1월, 2012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 시니어 부문에 출전하여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거의 실수 없는 연기를 선보였다. 총점 186.44점을 기록하며 생애 첫 국가대표 타이틀을 차지했다.
같은 해 5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올댓스케이트 2012 스프링 아이스쇼에 참가하여 김연아, 신수/조홍보, 패트릭 챈, 스테판 람비엘 등 세계적인 선수들과 함께 공연을 펼쳤다.
3. 3. 2012-2013 시즌
2012년 8월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하여 ISU 주니어 그랑프리 출전권 2장을 획득했다.2012-2013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 '''JGP 3차 오스트리아 대회''' (린츠): 쇼트 프로그램에서 49.60점으로 10위에 머물렀으나, 프리 스케이팅에서 실수 없는 연기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 126.27점으로 2위를 차지하며 총점 175.87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 프리 스케이팅을 통해 2013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위한 최소 기술점(TES)을 확보했다.
- '''JGP 6차 크로아티아 대회''' (자그레브): 쇼트 프로그램에서 몇 가지 실수를 범하며 51.37점으로 8위에 그쳤지만, 프리 스케이팅에서 125.06점으로 3위를 기록하며 총점 176.43점으로 최종 4위를 차지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이후, 시니어 세계 선수권 출전을 위한 쇼트 프로그램 최소 기술점 획득을 위해 12월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열린 NRW 트로피에 참가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69.65점(3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124.03점(7위)을 받아 총점 193.68점으로 7위를 기록했으며, 이 대회를 통해 쇼트 프로그램 최소 기술점(TES)을 충족하여 2013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 기준을 만족시켰다.
2013년 종합선수권에서는 이준형에 이어 2위(총점 181.34점, 쇼트 60.21점, 프리 121.13점)를 차지했다. 당시 세계 선수권 출전 최소 기술점을 모두 충족한 남자 싱글 선수가 김진서뿐이었기 때문에 세계 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3년 2월 오사카에서 열린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58.04점(17위), 프리 112.97점(19위)으로 총점 171.01점을 받아 19위를 기록했다.
생애 처음으로 출전한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캐나다 런던) 쇼트 프로그램에서 트리플 악셀과 트리플 루츠를 성공시켰으나, 트리플 토루프-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 점프에서 스텝 아웃 실수를 범했다. 결국 60.75점을 받아 26위에 머무르며 1.5점 차이로 아쉽게 프리 스케이팅 진출에 실패했다.
3. 4. 2013-2014 시즌
소치 동계 올림픽 출전권 획득을 위한 네벨혼 트로피 참가선수 선발전에서 우승하고, ISU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2위를 차지하며 각각 참가 자격을 얻었다. 시즌 첫 대회인 라트비아 리가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JGP) 1차 대회에서는 프리 스케이팅에서 다소 부진하여 총점 169.97점으로 6위를 차지했다.이후 독일 오버스트도르프에서 열린 2013년 네벨혼 트로피에 참가했으나, 쇼트 프로그램에서의 부진으로 총점 161.29점, 20위에 머물러 올림픽 출전권 획득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몇 주 후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열린 JGP 7차 대회에서는 쇼트 56.25점, 프리 128.28점, 총점 184.53점을 기록하며 6위에 올랐고, 프리 스케이팅과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이 점수는 ISU 공인 대회에서 한국 남자 싱글 선수로는 최초로 기록한 180점대 점수였다.
11월에 열린 국내 랭킹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해 4대륙선수권 출전권을 확보했다. 2014년 1월 고양에서 열린 종합선수권에서는 쇼트 72.92점, 프리 136.43점, 총점 209.35점으로 한국 남자 싱글 선수권 역사상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2년 만에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후 발목 부상으로 인해 2월에 열릴 예정이었던 4대륙선수권 출전은 기권했다.
3월, 일본 사이타마에서 열린 2014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모든 점프를 성공하며 69.56점을 받았고,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두 번의 더블링을 제외한 모든 점프를 성공하며 133.24점을 기록, 두 부문 모두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총점 202.80점으로 한국 남자 싱글 선수로는 최초로 200점대를 돌파하며 최종 16위에 올랐다.
3. 5. 2014-2015 시즌
2014-2015 시즌, 김진서는 한국 남자 피겨 사상 최초로 시니어 그랑프리에 배정받았다. 배정받은 대회는 2014년 컵 오브 차이나와 2014년 NHK 트로피이다.[2] 해당 시즌 시니어 그랑프리에 자력으로 배정받은 선수 중 두 번째 최연소 선수였다.시즌 첫 대회인 2014년 아시아 피겨스케이팅 트로피에서 209.07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기본기 향상과 안정적인 점프 수행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ISU 챌린저 시리즈 2014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는 개인 최고점이자 당시 ISU 공인 한국 남자 싱글 최고점인 207.34점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이 대회의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71.44점을 받아 한국 남자 선수 최초로 ISU 공인 대회 70점대를 넘었다. 이후 출전한 두 번의 시니어 그랑프리 대회(2014년 컵 오브 차이나, 2014년 NHK 트로피)에서는 모두 9위를 기록했다.
2015년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점 197.84점으로 이준형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서울에서 열린 2015년 사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트리플 악셀 점프 실수가 있었으나(17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가을의 전설' 프로그램을 클린하며 좋은 연기를 펼쳤다. 최종 순위는 15위를 기록했다.
탈린에서 열린 2015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참가 선수 중 유일하게 감점 없는 클린 연기를 선보이며 4위에 올랐다. 이때 기록한 74.43점은 개인 쇼트 최고점이자 당시 한국 남자 싱글 국제 대회 쇼트 최고점이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진보양, 야마모토 소타 등 유력 선수들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11위를 기록했으나, 최종 순위 9위를 차지하여 다음 해 2016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 싱글 출전권을 2장으로 늘리는 데 기여했다.
'''주요 대회 결과'''
날짜 | 대회 | SP 순위 | SP 점수 | FS 순위 | FS 점수 | 총점 | 순위 |
---|---|---|---|---|---|---|---|
2014년 8월 6일-10일 | 2014년 아시아 피겨스케이팅 트로피 | 2 | 69.82 | 3 | 139.25 | 209.07 | 2 |
2014년 10월 1일-5일 | ISU 챌린저 시리즈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 | 1 | 71.44 | 3 | 138.85 | 207.34 | 2 |
2014년 11월 7일-9일 | ISU 그랑프리 시리즈 2014년 컵 오브 차이나 | 9 | 62.46 | 9 | 121.00 | 183.46 | 9 |
2014년 11월 28일-30일 | ISU 그랑프리 시리즈 2014년 NHK 트로피 | 9 | 65.69 | 9 | 131.51 | 197.20 | 9 |
2015년 1월 7일-9일 |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 | 69.27 | 2 | 128.57 | 197.84 | 2 |
2015년 2월 9일-15일 | 2015년 사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7 | 61.53 | 13 | 138.11 | 199.64 | 15 |
2015년 3월 2일-8일 | 2015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4 | 74.43 | 11 | 127.82 | 202.25 | 9 |
3. 6. 2015-2016 시즌
김진서는 벨라루스 Мінск|민스크be에서 열린 2015년 아이스 스타에서 쇼트 프로그램 65.26점, 프리 스케이팅 144.30점, 총점 209.5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이후 2015-16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배정받아 스케이트 캐나다와 트로페 에릭 봉파르 대회에 출전했다. 10월 말 캐나다 앨버타주 레스브리지에서 열린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총점 195.84점을 기록하며 9위에 올랐다. 11월 프랑스 보르도에서 열린 트로페 에릭 봉파르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71.24점으로 9위를 기록했으나, 2015년 11월 파리 테러로 인해 프리 스케이팅 경기가 취소되었다.
2016년 1월 서울에서 열린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점 202.48점으로 이준형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이 결과로 2월 타이베이에서 열린 사대륙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얻어 총점 201.43점으로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날짜 | 대회 | 개최지 | 종목 | SP | FS | 총점 | 순위 |
---|---|---|---|---|---|---|---|
2015년 10월 9일–11일 | 2015년 아이스 스타 | Мінск|민스크be | 남자 싱글 | 65.26 (1) | 144.30 (1) | 209.56 | 1 |
2015년 10월 30일–11월 1일 | ISU 그랑프리 시리즈 스케이트 캐나다 | 레스브리지 | 남자 싱글 | 68.64 (8) | 127.20 (10) | 195.84 | 9 |
2015년 11월 13일–15일 | ISU 그랑프리 시리즈 트로페 에릭 봉파르 | 보르도 | 남자 싱글 | 71.24 (9) | 취소 | 71.24 | 9 |
2016년 1월 8일–10일 | 한국 선수권 대회 | 서울 | 남자 싱글 | 68.40 (2) | 134.08 (2) | 202.48 | 2 |
2016년 2월 16일–21일 | 사대륙 선수권 대회 | 타이베이 | 남자 싱글 | 65.13 (12) | 136.30 (11) | 201.43 | 10 |
3. 7. 2016-2017 시즌
김진서는 2016-17 피겨 스케이팅 시즌을 2016 아시안 오픈에서 은메달(총점 205.69점)을 획득하고, 2016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6위(총점 184.58점)를 기록하며 시작했다. 2017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차준환에 이어 은메달(총점 216.16점)을 차지했다. 당시 차준환은 나이 제한으로 2017 사대륙 선수권 대회와 2017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이 없었기 때문에, 김진서가 두 대회 대표팀에 모두 선발되었다.이후 2017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8위(총점 220.22점)를 기록했고, 강릉에서 열린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17위(총점 195.05점)를 차지했다. 삿포로에서 개최된 2017 아시안 동계 게임에서는 7위(총점 228.67점)에 올랐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헬싱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68.66점을 받아 26위에 머물러 프리 스케이팅 진출에는 실패했다.
3. 8. 2017-2018 시즌
김진서는 2017-18 피겨 스케이팅 시즌을 2017 CS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10위로 마무리하며 시작했다.2018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 김진서는 다시 한번 차준환에게 2위를 차지했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의 한국 남자 싱글 종목 출전권이 하나뿐이었기 때문에, 결국 그 자리는 차준환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김진서는 2018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김진서는 세계 선수권 대회 쇼트 프로그램에서 33위를 기록하며 프리 프로그램 진출에 실패했다.
의사의 권고에 따라 그는 허리 부상으로 인해 시즌 후 경쟁 피겨 스케이팅에서 은퇴했다.
4. 코칭 경력
은퇴 후 김진서는 전 코치인 치현정의 보조 코치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의 현재와 과거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5. 프로그램
wikitext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갈라쇼 |
---|---|---|---|
2017–2018 | 니드 유 나우 (Need You Now) 가수: 레이디 에이 편곡: 크리스 맨 안무: 스콧 브라운, 신디 스튜어트 | 넬라 판타지아 (Nella Fantasia) 작곡: 엔니오 모리코네 안무: 스콧 브라운, 신디 스튜어트 | 네버 (Never) 편곡: 워너원 (국민의 아들) |
2016–2017 | 문댄스 (Moondance) 원곡: 밴 모리슨 커버: 마이클 부블레 안무: 찰리 화이트 | 싱잉 인 더 레인 (Singin' in the Rain) 가수: 진 켈리 안무: 미야모토 겐지 | 판타스틱 베이비 (Fantastic Baby) 가수: 빅뱅 작곡: 지드래곤, 탑, 테디 |
2015–2016 | 월광 소나타 (Moonlight Sonata) 작곡: 루트비히 판 베토벤 안무: 미야모토 겐지 | 싱잉 인 더 레인 (Singin' in the Rain) 가수: 진 켈리 안무: 미야모토 겐지 | 응답하라 1988 OST 메들리 걱정말아요 그대 (원곡: 전인권) 어젯밤 이야기 (원곡: 소방차) 안무: 김진서 |
2014–2015 | 재즈 메들리 Beat For Beatniks The Girl With Sun In Her Hair (작곡: 존 배리) 그린 어니언스 (Green Onions) (작곡: 부커 T. & the M.G.'s) 안무: 스테판 랑비엘 | 가을의 전설 (Legends of the Fall) 작곡: 제임스 호너 안무: 데이비드 윌슨 | 으르렁 (Growl) 가수: EXO |
2013–2014 | 마스크 (The Mask) 영화 마스크 OST 작곡: 랜디 에델만 안무: 데이비드 윌슨 | 가을의 전설 (Legends of the Fall) 작곡: 제임스 호너 안무: 데이비드 윌슨 | 으르렁 (Growl) 가수: EXO |
2012–2013 | 알모라이마 (Almoraima) 작곡: 파코 데 루시아 안무: 신예지 | 드랄리온 (Dralion) & 바레카이 (Varekai) (태양의 서커스) 안무: 신예지 | 판타스틱 베이비 (Fantastic Baby) 가수: 빅뱅 안무: 신예지 |
2011–2012 | 알모라이마 (Almoraima) 작곡: 파코 데 루시아 안무: 신예지 | 아이리스 (IRIS) OST 안무: 신예지 | 핸즈 업 (Hands Up) 가수: 2PM |
2010–2011 | 전우치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 OST | 아이리스 (IRIS) OST 안무: 신예지 | |
2009–2010 | 문 리버 (Moon River) 작곡: 헨리 맨시니 |
6. 대회 기록
''GP: 그랑프리; CS: 챌린저 시리즈; JGP: 주니어 그랑프리''
김진서의 주요 대회 참가 기록 및 상세 점수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주요 경기 결과
대회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17–18 |
---|---|---|---|---|---|---|---|---|
시니어 | ||||||||
세계 선수권 | 26위 | 16위 | 26위 | 33위 | ||||
4대륙 선수권 | 19위 | 기권 | 15위 | 10위 | 17위 | |||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 9위 | |||||||
GP 컵 오브 차이나 | 9위 | |||||||
GP NHK 트로피 | 9위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9위 | |||||||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6위 | |||||||
CS 네펠라 트로피 | 2위 | 10위 | ||||||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 7위 | |||||||
아시안 트로피 | 2위 | 2위 | ||||||
동계 유니버시아드 피겨스케이팅 | 8위 | |||||||
아이스 스타 | 1위 | |||||||
네벨혼 트로피 | 20위 | |||||||
NRW 트로피 | 7위 | |||||||
주니어 & 노비스 | ||||||||
주니어 세계 선수권 | 9위 | |||||||
JGP 오스트리아 | 3위 | |||||||
JGP 크로아티아 | 4위 | |||||||
JGP 에스토니아 | 6위 | |||||||
JGP 라트비아 | 6위 | |||||||
어린이 게임 | 1위 (노비스) |
대회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17–18 |
---|---|---|---|---|---|---|---|---|
종합 선수권 | 1위 (주니어) | 1위 | 2위 | 1위 | 2위 | 2위 | 2위 | 2위 |
회장배 랭킹대회 | 4위 | 1위 | 3위 | 2위 | 2위 | 2위 | 6위 | |
동계 체육대회 | 1위 (중) | 3위 (중) | 3위 (고) |
''GP: 그랑프리; CS: 챌린저 시리즈; JGP: 주니어 그랑프리''
- 개인 최고점은 '''굵게''' 표시.
시즌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
2017–18 | 2018년 3월 19일–25일 | 세계 선수권 | 시니어 | 33위 60.72 | 진출 실패 | 33위 |
2018년 1월 5일–7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3위 76.05 | 2위 151.18 | 2위 227.65 | |
2017년 9월 21일–23일 |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시니어 | 14위 62.19 | 8위 122.27 | 10위 184.46 | |
2016–17 | 2017년 3월 29일–4월 2일 | 세계 선수권 | 시니어 | 26위 68.66 | 진출 실패 | 26위 |
2017년 2월 23일–26일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 시니어 | 6위 76.99 | 7위 151.68 | 7위 228.67 | |
2017년 2월 15일–19일 | 4대륙 선수권 | 시니어 | 18위 64.26 | 15위 130.79 | 17위 195.05 | |
2017년 2월 1일–5일 | 201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피겨스케이팅 | 시니어 | 14위 66.81 | 4위 153.41 | 8위 220.22 | |
2017년 1월 6일–8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2위 77.25 | 2위 138.91 | 2위 216.16 | |
2016년 9월 8일–11일 |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시니어 | 6위 62.33 | 6위 122.25 | 6위 184.58 | |
2016년 8월 4일–7일 | 아시안 트로피 | 시니어 | 1위 65.81 | 2위 139.88 | 2위 205.69 | |
2015–16 | 2016년 2월 16일-21일 | 4대륙 선수권 | 시니어 | 12위 65.13 | 11위 136.30 | 10위 201.43 |
2016년 1월 8일-10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2위 68.40 | 2위 134.08 | 2위 202.48 | |
2015년 12월 4일-6일 |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대회 | 시니어 | 1위 74.68 | 2위 136.53 | 2위 211.21 | |
2015년 11월 13일 – 15일 |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 시니어 | 9위 71.24 | 취소[4] | 9위 | |
2015년 10월 30일-11월 1일 | GP 스케이트 캐나다 | 시니어 | 8위 68.64 | 10위 127.20 | 9위 195.84 | |
2015년 10월 9일-11일 | 아이스 스타 | 시니어 | 1위 65.26 | 1위 144.30 | 1위 209.56 | |
2014–15 | 2015년 3월 2일-8일 | 주니어 세계 선수권 | 주니어 | 4위 74.43 | 11위 127.82 | 9위 202.25 |
2015년 2월 10일-15일 | 4대륙 선수권 | 시니어 | 17위 61.53 | 13위 138.11 | 15위 199.64 | |
2015년 1월 7일-9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1위 69.27 | 2위 128.57 | 2위 197.84 | |
2014년 12월 5일-7일 |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대회 | 시니어 | 1위 69.52 | 2위 118.06 | 2위 187.58 | |
2014년 11월 28일-30일 | GP NHK 트로피 | 시니어 | 9위 65.69 | 9위 131.51 | 9위 197.20 | |
2014년 11월 7일 – 9일 | GP 컵 오브 차이나 | 시니어 | 9위 62.46 | 9위 121.00 | 9위 183.46 | |
2014년 10월 1일-5일 |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시니어 | 1위 71.44 | 3위 135.90 | 2위 207.34 | |
2014년 8월 6일-10일 | 아시안 트로피 | 시니어 | 2위 69.82 | 3위 139.25 | 2위 209.07 | |
2013–14 | 2014년 3월 24일-30일 | 세계 선수권 | 시니어 | 13위 69.56 | 16위 133.24 | 16위 202.80 |
2014년 1월 3일-5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1위 72.92 | 2위 136.43 | 1위 209.35 | |
2013년 11월 22일-24일 |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대회 | 시니어 | 3위 60.53 | 3위 118.39 | 3위 179.46 | |
2013년 10월 9일-13일 | JGP 에스토니아 | 주니어 | 10위 56.25 | 4위 128.28 | 6위 184.53 | |
2013년 9월 25일-28일 | 네벨혼 트로피 | 시니어 | 30위 44.92 | 14위 116.37 | 20위 161.29 | |
2013년 8월 27일-9월 1일 | JGP 라트비아 | 주니어 | 4위 60.69 | 6위 109.28 | 6위 169.97 | |
2012–13 | 2013년 3월 10일-17일 | 세계 선수권 | 시니어 | 26위 60.75 | 진출 실패 | 26위 |
2013년 2월 6일-11일 | 4대륙 선수권 | 시니어 | 17위 58.04 | 19위 112.97 | 19위 171.01 | |
2013년 1월 4일-6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2위 60.21 | 2위 121.13 | 2위 181.34 | |
2012년 12월 5일-9일 | NRW 트로피 | 시니어 | 3위 69.95 | 7위 124.03 | 7위 193.68 | |
2012년 11월 2일-4일 |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대회 | 시니어 | 1위 58.93 | 1위 124.82 | 1위 183.75 | |
2012년 10월 26일-28일 | JGP 크로아티아 | 주니어 | 8위 51.37 | 3위 125.06 | 4위 176.43 | |
2012년 9월 12일-15일 | JGP 오스트리아 | 주니어 | 10위 49.60 | 2위 126.27 | 3위 175.87 | |
2011–12 | 2012년 1월 6일-8일 | 종합 선수권 | 시니어 | 1위 62.55 | 1위 123.89 | 1위 186.44 |
2011년 11월 24일-25일 |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대회 | 시니어 | 6위 43.59 | 4위 107.42 | 4위 151.01 | |
2010–11 | 2011년 1월 27일-30일 | ICG 켈로나 동계 국제 청소년 대회 | 노비스 | 1위 41.02 | 1위 88.01 | 1위 129.03 |
2011년 1월 14일-16일 | 종합 선수권 | 주니어 | 1위 52.38 | 1위 90.18 | 1위 142.56 |
7. 개인사
김진서는 1996년 11월 29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2022년 8월, 김진서는 오랜 기간 교제해 온 여자친구 박선경과 약혼했으며, 첫 아이를 임신했다고 발표했다.[1] 그들의 아들 김이안은 2022년 10월에 태어났다. 두 사람은 2023년 여름에 결혼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전 피겨국대 김진서, 결혼+혼전임신 발표 "아이 태어나기 전 식 원했지만
https://entertain.na[...]
Newsen
2022-08-04
[2]
웹사이트
2014-15 ISU Grand Prix of Figure Skating - Men
https://web.archive.[...]
2014-07-10
[3]
웹사이트
2017 札幌冬季アジア大会公式HPの選手情報より
http://info.sapporo2[...]
[4]
문서
[[파리 동시다발 테러 사건]]으로 인한 프리 종목 중지로 SP 순위가 최종 결과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