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카 야스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카 야스히코는 1887년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들로 태어난 일본 제국의 황족이자 군인이다.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대학교를 거쳐 프랑스 유학 후 군 경력을 쌓았으며, 1937년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 대리로 난징 공략을 지휘했다. 이 과정에서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려 난징 대학살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2.26 사건을 지지하고 쇼와 천황에게 쿠데타 승인을 권고하여 천황과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그는 난징 대학살 관련 혐의로 조사를 받았으나, 전범 재판에 기소되지 않았고, 1947년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 이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골프를 즐기며 지내다 1981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사카시의 역사 - 우치마기촌
우치마기촌은 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 지역 아라카와 우안에 위치했던 촌으로, 1889년 5개 촌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1955년 아사카정과 합병하여 소멸했다. - 아사카시의 역사 - 캠프 드레이크
캠프 드레이크는 과거 골프장이었으나 태평양 전쟁 중 일본군 군사 시설로, 이후 미군 기지로 전환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냉전 시대에는 핵무기 보관 장소로 추정되기도 했으며 일부는 자위대 아사카 주둔지로 사용되다 1970년대 이후 대부분 일본에 반환되었고 현재는 일부만 AFN 송신 시설로 남아있다. - 아사카노미야 - 오규 기요코
오규 기요코는 일본인으로, 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1940)과 훈2등 보관장(1941)을 받았으며, 저서로는 2009년 출판된 『미야케의 맨얼굴』이 있다. - 아사카노미야 - 야스히코 왕비 노부코 내친왕
야스히코 왕비 노부코 내친왕은 메이지 천황의 딸로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과 결혼하여, 남편의 사고로 파리에 체류하며 아르 데코에 조예를 깊게 했고, 아르 데코 양식의 궁저 건설에 기여하다가 만성 신장염으로 훙거했다. - 난징 전투 관련자 - 하시모토 긴고로
하시모토 긴고로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이자 정치인으로, 우익 쿠데타를 기획하고 파시즘 운동을 전개했으며,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난징 전투 관련자 - 아즈마 시로
아즈마 시로는 일본군 병사로서 난징 대학살에 가담한 경험을 증언하고 기록했으며, 전후에는 자신의 일기를 바탕으로 난징 대학살에서의 가해 사실을 폭로하여 역사적 진실 규명에 기여했지만 명예훼손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아사카 야스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 |
본명 | 아사카 야스히코 오 (朝香宮鳩彦王) |
로마자 표기 | Asaka-no-miya Yasuhiko-ō |
출생 | 1887년 10월 20일 |
출생지 | 교토, 일본 제국 |
사망 | 1981년 4월 12일 |
사망지 | 아타미시, 시즈오카현, 일본 |
매장지 | 도시마가오카 묘지 |
종교 | 가톨릭교 (개종)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어머니 | 쓰노다 스가코 |
배우자 | 노부코 비 (1909년 결혼, 1933년 사별) |
자녀 | 기쿠코 여왕 다카히코 왕 다다히코 왕 기요코 여왕 |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08년 – 1945년 |
최종 계급 | 육군 대장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지휘 경력 | 근위 사단 상하이 파견군 |
작위 및 직함 | |
작위 | 아사카노미야 |
습작 기간 | 1906년 3월 10일 – 1947년 10월 14일 |
가독 상속 | 1906년 3월 10일 – 1981년 4월 13일 |
주요 직책 | 귀족원 의원 대일본 상이 군인회 총재 |
훈장 | |
주요 훈장 | 국화 대훈장 욱일 대수장 금치훈장 1급 |
2. 집안 내력 및 초기 생애
아사카 야스히코는 1887년 10월,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8번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뇨보(일종의 하녀 혹은 첩)인 쓰노다 사가코(角田須賀子)이다.[15] 교토 출신이다. 아버지 아사히코 친왕은 적법한 황통이 없을 때, 후대 천황을 배출할 수 있는 4개의 방계 황족 중 하나인 후시미노미야 출신이었다. 1872년 메이지 천황은 아사히코 친왕에게 "구니" 성(姓)을 하사하여 구니노미야의 초대 당주가 되었다.
1906년 3월에 아사카노미야 가문을 창설했다. 아사카노미야의 궁호는 아사히코 왕이 이세 신궁의 제주를 맡았던 인연으로, 이세에 있는 아사카 산에 연유하여 명명되었다고 한다.[15]
야스히코 왕자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자, 가야 구니노리 왕자, 그리고 훗날 쇼와 천황 (히로히토)의 배우자인 고준 황후의 아버지인 구니 구니요시 왕자의 이복 형제였다. 1910년 메이지 천황의 황녀 요리코 내친왕과 결혼했다.
가쿠슈인, 도쿄 육군 지방 유년학교, 육군 중앙 유년학교를 거쳐 1908년 5월 27일에 육군사관학교(20기, 병과・보병)를 졸업하고, 같은 해 12월 25일,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하여 근위 보병 제2연대에 배속되었다.[7] 또한, 1907년 10월 4일, 귀족원 의원으로 취임했다.[16]
1914년 11월에 육군대학교 (26기)를 졸업하고 보병 제61연대 중대장이 되었다.[7] 다이쇼 11년 10월부터 14년 12월까지 "아사카 백작"이라는 가명으로 프랑스에 유학했다.[7]
2. 1. 출생과 가계
아사카 야스히코는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8번째 아들로, 뇨보(일종의 하녀 혹은 첩)인 쓰노다 사가코(角田須賀子)에게서 교토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아사히코 친왕은 황통이 없을 때 천황을 배출할 수 있는 4개의 방계 황족 중 하나인 후시미노미야 출신이었다. 1872년 메이지 천황은 아사히코 친왕에게 "구니" 성(姓)을 하사하여 구니노미야의 초대 당주가 되었다.아사카 야스히코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 가야 구니노리 왕, 그리고 쇼와 천황 (히로히토)의 배우자인 고준 황후의 아버지인 구니 구니요시 왕자의 이복 형제였다.
2. 2. 초기 교육
교토 출신으로, 구니 아사히코 왕자와 궁녀 쓰노다 스가코의 여덟째 아들로 태어났다. 구니 아사히코 왕자는 황실의 네 개의 분가 중 하나인 후시미노미야에서 나온 막내 왕자였으며, 황위를 계승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1872년, 메이지 천황은 그에게 구니노미야의 작위를 하사하고 황족의 새로운 방계를 시작할 권한을 부여했다.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자, 가야 구니노리 왕자, 그리고 훗날 쇼와 천황 (히로히토)의 배우자인 고준 황후의 아버지인 구니 구니요시 왕자의 이복 형제였다.3. 결혼 및 가족
1906년 메이지 천황은 야스히코에게 "아사카"의 성(姓)을 하사하여 새로운 궁가 아카사노미야를 창설하게 되었다. 1909년 5월 6일 야스히코는 메이지 천황의 8번째 딸인 후미노미야 노부코 공주와 결혼하였다.
아사카 야스히코는 메이지 천황의 여덟 번째 딸인 후미노미야 노부코 공주와 1909년 5월 6일에 결혼하여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 첫째 딸: 키쿠코/紀久子일본어 공주 (1911년 9월 12일 ~ 1989년 2월 12일): 1931년 나베시마 나오야스 후작과 결혼했다.
- 첫째 아들: 타카히코/孚彦일본어 왕자 (1912년 10월 8일 ~ 1994년 5월 5일): 도도 다카츠구 백작의 다섯 번째 딸인 도도 지카코와 결혼하여 후쿠코와 미노코 두 딸과 아들 토모히코를 두었다.
- 둘째 아들: 타다히코/正彦일본어 왕자 (1914년 1월 4일 ~ 1944년 1월): 1936년 황족 신분을 포기하고 오토와 후작이 되었다. 콰잘레인 전투에서 전사했다.
- 둘째 딸: 키요코/湛子일본어 공주 (1919년 8월 2일 ~ 2019년 8월 1일): 오규 요시아츠 백작과 결혼했다.
3. 1. 결혼
1906년 메이지 천황은 야스히코에게 "아사카"의 성(姓)을 하사하여 새로운 궁가 아카사노미야를 창설하게 되었다. 1909년 5월 6일 야스히코는 메이지 천황의 8번째 딸인 후미노미야 노부코 공주와 결혼하였다. 그들은 2남 2녀의 자녀를 두었다.3. 2. 자녀
아사카 야스히코는 메이지 천황의 여덟 번째 딸인 후미노미야 노부코 공주와 1909년 5월 6일에 결혼하여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첫째 딸: 키쿠코/紀久子일본어 공주 (1911년 9월 12일 ~ 1989년 2월 12일): 1931년 나베시마 나오야스 후작과 결혼했다.
- 첫째 아들: 타카히코/孚彦일본어 왕자 (1912년 10월 8일 ~ 1994년 5월 5일): 도도 다카츠구 백작의 다섯 번째 딸인 도도 지카코와 결혼하여 후쿠코와 미노코 두 딸과 아들 토모히코를 두었다.
- 둘째 아들: 타다히코/正彦일본어 왕자 (1914년 1월 4일 ~ 1944년 1월): 1936년 황족 신분을 포기하고 오토와 후작이 되었다. 콰잘레인 전투에서 전사했다.
- 둘째 딸: 키요코/湛子일본어 공주 (1919년 8월 2일 ~ 2019년 8월 1일): 오규 요시아츠 백작과 결혼했다.
4. 군 경력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 남자는 군인이 되어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1] 가쿠슈인에서 공부하다가 육군유년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거쳐 1908년 12월 25일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1] 이후 육군대학을 졸업하고 프랑스로 유학하여 생시르 특수군사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프랑스 유학 당시 교통사고를 당하여 다리를 절게 되었다.[1]
1920년부터 1923년까지 아사카는 이복 형제 히가시쿠니 나루히코와 사촌 키타시라카와 나루히사와 함께 프랑스 생시르 육군 특별 사관학교에서 군사 전술을 공부했다.[1] 그러나 1923년 4월 1일, 페리에르라캉파뉴 (노르망디)에서 발생한 자동차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이 사고로 평생 다리를 절게 되었다.[1][17][18][19][20][21][22] 이 사고로 기타시라카와 나루히사는 사망했다.
아사카 왕비는 남편을 간호하기 위해 프랑스로 건너갔다.[1] 아사카 부부는 1925년 미국을 방문하기도 했다.[1] 그 기간 동안 아사카 부부는 아르 데코 운동에 매료되었다.[1]
일본에 돌아와 1926년 대좌로 승진하였으나 1933년 부인과 사별하였다. 1930년에는 육군대학의 교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소장으로 승진하여 제1근위사단장이 되었다. 1935년에는 최고 전쟁 평의회 위원이 되었는데, 이 자리는 쇼와 천황에게 영향력 있는 조언을 할 수 있는 자리였다.[1]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으로서 군인의 길을 걸었다. 가쿠슈인, 육군유년학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08년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이후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생시르 특수군사학교에서 유학했다. 1925년 8월 육군 보병 대령으로 진급[1], 1929년 12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1930년에는 육군대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고, 1933년 8월 1일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1근위사단장을 맡았다.[1] 1935년 12월에는 군사 참의관에 임명되어 히로히토 천황에게 조언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올랐다.[1]
1937년에는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을, 1938년 3월 14일에는 다시 군사 참의관을 역임했다. 1939년 8월 1일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였으며, 1942년 4월 4일 공1급 금계훈장을 받았다. 1945년 종전을 맞이한 후, 같은 해 11월 30일 예비역이 되었고, 1947년 10월 14일 황적에서 이탈하였다.
황도파의 과격 장교들에 의한 쿠데타인 2.26 사건이 벌어지자 아사카 야스히코는 이를 지지하여 쇼와 천황에게 쿠데타를 승인할 것을 권고했으나, 쇼와 천황은 이를 거부하고 쿠데타 부대에게 원대복귀할 것을 명령하였다.[1] 이 때문에 쇼와 천황과 야스히코는 사이가 벌어졌고,[1] 이후 1937년 그는 야전직으로 전출되어 상하이 파견군을 맡고 있던 마쓰이 이와네(松井石根) 사령관 아래에서 근무하였다. 1936년의 실패한 2·26 사건 동안, 아사카는 천황에게 반군이 받아들일 수 있는 새로운 정부를 임명하도록 압박했으며, 특히 내각총리대신 오카다 게이스케를 히로타 고키로 교체할 것을 요구했다.[1] 아사카의 친황도파 정치적 성향과 다른 우익 육군 파벌과의 연계는 그와 천황 사이의 갈등을 야기했다.[1]
4. 1. 초기 군 경력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 남자는 군인이 되어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1] 가쿠슈인에서 공부하다가 육군유년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거쳐 1908년 12월 25일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1] 이후 육군대학을 졸업하고 프랑스로 유학하여 생시르 특수군사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프랑스 유학 당시 교통사고를 당하여 다리를 절게 되었다.[1]1920년부터 1923년까지 아사카는 이복 형제 히가시쿠니 나루히코와 사촌 키타시라카와 나루히사와 함께 프랑스 생시르 육군 특별 사관학교에서 군사 전술을 공부했다.[1] 그러나 1923년 4월 1일, 페리에르라캉파뉴 (노르망디)에서 발생한 자동차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이 사고로 평생 다리를 절게 되었다.[1][17][18][19][20][21][22] 이 사고로 기타시라카와 나루히사는 사망했다.
아사카 왕비는 남편을 간호하기 위해 프랑스로 건너갔다.[1] 아사카 부부는 1925년 미국을 방문하기도 했다.[1] 그 기간 동안 아사카 부부는 아르 데코 운동에 매료되었다.[1]
일본에 돌아와 1926년 대좌로 승진하였으나 1933년 부인과 사별하였다. 1930년에는 육군대학의 교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소장으로 승진하여 제1근위사단장이 되었다. 1935년에는 최고 전쟁 평의회 위원이 되었는데, 이 자리는 쇼와 천황에게 영향력 있는 조언을 할 수 있는 자리였다.[1]
4. 2. 승진 및 주요 보직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으로서 군인의 길을 걸었다. 가쿠슈인, 육군유년학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08년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이후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생시르 특수군사학교에서 유학했다. 1925년 8월 육군 보병 대령으로 진급[1], 1929년 12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1930년에는 육군대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고, 1933년 8월 1일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1근위사단장을 맡았다.[1] 1935년 12월에는 군사 참의관에 임명되어 히로히토 천황에게 조언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올랐다.[1]1937년에는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을, 1938년 3월 14일에는 다시 군사 참의관을 역임했다. 1939년 8월 1일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였으며, 1942년 4월 4일 공1급 금계훈장을 받았다. 1945년 종전을 맞이한 후, 같은 해 11월 30일 예비역이 되었고, 1947년 10월 14일 황적에서 이탈하였다.
4. 3. 2.26 사건 연루
황도파의 과격 장교들에 의한 쿠데타인 2.26 사건이 벌어지자 아사카 야스히코는 이를 지지하여 쇼와 천황에게 쿠데타를 승인할 것을 권고했으나, 쇼와 천황은 이를 거부하고 쿠데타 부대에게 원대복귀할 것을 명령하였다.[1] 이 때문에 쇼와 천황과 야스히코는 사이가 벌어졌고,[1] 이후 1937년 그는 야전직으로 전출되어 상하이 파견군을 맡고 있던 마쓰이 이와네(松井石根) 사령관 아래에서 근무하였다. 1936년의 실패한 2·26 사건 동안, 아사카는 천황에게 반군이 받아들일 수 있는 새로운 정부를 임명하도록 압박했으며, 특히 내각총리대신 오카다 게이스케를 히로타 고키로 교체할 것을 요구했다.[1] 아사카의 친황도파 정치적 성향과 다른 우익 육군 파벌과의 연계는 그와 천황 사이의 갈등을 야기했다.[1]5. 난징 대학살
1937년 11월~12월, 아사카 야스히코는 와병 중이던 사령관 마쓰이 이와네를 대신하여 사령관 대리로서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 공략을 지휘하였다.[2] 아사카는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것은 일본군의 잔혹행위와 난징 대학살(1937년 12월 12일 – 1938년 2월 10일)에 대한 공식적인 허용을 뜻했다.[2] 이 명령은 그가 직접 내렸다는 설도 있고, 황도파의 거두로 유명한 조 이사무 소장이 아사카의 묵인 아래 내렸다는 설도 있으나, 어쨌든 그는 이후에도 이러한 잔혹행위를 제지하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한편, 마쓰이와 마찬가지로 아사카는 본격적인 학살이 시작될 때까지 난징에 입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학살 명령 책임은 야스히코 뿐만 아니라 1937년 8월 5일, 중국군 포로대우에 대한 국제법상의 의무 준수 폐지를 승인한 쇼와 천황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5. 1. 난징 공략 지휘
1937년 11월, 아사카 야스히코는 와병 중이던 마쓰이 이와네를 대신하여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 대리로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 공략을 지휘하였다.[2] 그는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는 난징 대학살(1937년 12월 12일 – 1938년 2월 10일)에 대한 공식적인 허용을 뜻했다.[2] 이 명령은 아사카 자신이 직접 내렸다는 설도 있고, 황도파의 거두로 유명한 조 이사무 소장이 아사카의 묵인 아래 내렸다는 설도 있다.이러한 학살 명령 책임은 아사카 뿐만 아니라, 1937년 8월 5일 중국군 포로 대우에 대한 국제법상의 의무 준수 폐지를 승인한 쇼와 천황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1938년 2월, 아사카와 마쓰이는 모두 일본으로 귀환하였다. 마쓰이는 은퇴하였고, 야스히코는 군사참의관에 머물렀으나 더 이상의 부대 지휘는 맡지 않았다.
5. 2.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 명령
1937년 11월~12월, 아사카 야스히코는 와병 중이던 사령관 마쓰이 이와네를 대신하여 사령관 대리로서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 공략을 지휘하였다.[2] 아사카는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것은 일본군의 잔혹행위와 난징 대학살(1937년 10월 10일-1938년 2월 10일)에 대한 공식적인 허용을 뜻했다.[2] 이 명령은 그가 직접 내렸다는 설도 있고, 황도파의 거두로 유명한 조 이사무 소장이 아사카의 묵인 아래 내렸다는 설도 있으나, 어쨌든 그는 이후에도 이러한 잔혹행위를 제지하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한편, 마쓰이와 마찬가지로 아사카는 본격적인 학살이 시작될 때까지 난징에 입성하지 못하고 있었다.이러한 학살 명령 책임은 야스히코 뿐만 아니라 1937년 8월 5일, 중국군 포로대우에 대한 국제법상의 의무 준수 폐지를 승인한 쇼와 천황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5. 3. 쇼와 천황의 책임
1937년 11월~12월, 야스히코는 사령관 마쓰이가 와병 중이었기 때문에 사령관 대리로서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 공략을 지휘하였다.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려 난징 대학살(1937년 10월 10일-1938년 2월 10일)을 사실상 허용하였다. 이 명령은 야스히코가 직접 내렸다는 설과 조 이사무 소장이 그의 묵인 아래 내렸다는 설이 존재한다.이러한 학살 명령 책임은 야스히코 뿐만 아니라 1937년 8월 5일, 중국군 포로 대우에 대한 국제법상의 의무 준수 폐지를 승인한 쇼와 천황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5. 4. 난징 대학살의 참상 (선택 사항)

1937년 11월~12월, 아사카 야스히코는 사령관 마쓰이 이와네가 와병 중이었기 때문에 사령관 대리로서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난징 공략을 지휘하였다. 아사카는 "모든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것은 일본군의 잔혹행위와 난징 대학살(1937년 10월 10일-1938년 2월 10일)에 대한 공식적인 허용을 뜻했다. 이 명령은 그가 직접 내렸다는 설도 있고, 황도파의 거두로 유명한 조 이사무 소장이 아사카의 묵인 아래 내렸다는 설도 있으나, 어쨌든 그는 이후에도 이러한 잔혹행위를 제지하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한편 와병중이었던 마쓰이와 마찬가지로 아사카는 본격적인 학살이 시작될 때까지 난징에 입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학살 명령 책임은 야스히코 뿐만 아니라 1937년 8월 5일, 중국군 포로대우에 대한 국제법상의 의무 준수 폐지를 승인한 쇼와 천황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난징이 함락된 이후인 1938년 2월, 마쓰이와 야스히코는 모두 일본으로 귀환하였다. 마쓰이는 은퇴하였고, 야스히코는 군사참의관에 머물렀으나 더이상의 부대 지휘는 맡지 않았다.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던 1944년 그는 전 일본 총리였던 고노에 후미마로, 그리고 조카인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과 함께 당시 총리였던 도조 히데키 축출 음모를 꾸미기도 하였다.
5. 5. 전범 재판 불기소
난징 대학살에 관한 전쟁 범죄 혐의로 점령군 최고사령부의 조사를 받았으나, 더글러스 맥아더 사령부의 일본 황족 전범재판 불기소 방침에 따라 기소되지 않았다.[4] 도쿄 재판에 기소되어 사형선고를 받고 처형된 마쓰이 이와네와는 대조적이다. 다카마쓰노미야의 로비 활동으로 전범 지정을 면했다는 주장도 있다.5. 6. 황족 신분 상실과 평민 생활
맥아더 사령부의 일본 황족 전범재판 불기소 방침에 따라 난징대학살에 관한 전쟁 범죄 혐의에서 기소되지 않았다. 1947년 10월 14일, 아사카 야스히코와 그의 자녀들은 미국 점령에 따른 일본 황실 방계의 폐지로 인해 황족 신분과 특권을 잃고 평범한 시민이 되었다. 그와 그의 아들은 숙청되어 정치적 또는 공직을 맡을 수 없었다. 아르 데코 양식의 시로카네다이 저택은 정부에 의해 압수되었고, 현재 도쿄도 정원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전직 황족이었던 아사카 야스히코는 시즈오카현 아타미로 이사했다. 1951년 12월 18일에 가톨릭교로 개종했고, 이는 황족 중 최초의 사례였다.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골프를 치며 보냈고, 다이-하코네 컨트리 클럽의 Plateau 골프 코스 설계를 맡기도 했다. 1981년 4월 12일, 시즈오카현 아타미에 있는 자택에서 자연사했다. 향년 93세였다.
5. 7. 도조 히데키 축출 음모
1944년 고노에 후미마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과 함께 도조 히데키 축출 음모를 꾸몄다.6. 죽음
아사카 야스히코는 시즈오카현의 아타미시에 있는 자택에서 93세의 나이로 자연사하였다. 그는 골프를 치며 여생을 보냈고, 골프장을 설계하기도 하였다. 1951년에는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는데, 이는 일본 황족과 황족이었던 사람 중 최초의 개종이었다.
7. 평가 및 비판
7. 1. 난징 대학살 책임 회피
7. 2. 황족 특권 남용
참조
[1]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2]
데이터베이스
World War II Database
[3]
논문
Nitchû Sensô ni Okeru Horyo Gyakusatsu
1995
[4]
웹사이트
Never Forgotten ::75 YEARS LATER -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AND JAPAN TODAY
http://www.powtaiwan[...]
2022-07-04
[5]
뉴스
Prince Asaka Becomes Catholic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51-12-18
[6]
서적
Mémorial du centenaire de l'Ordre de Léopold. 1832–1932
J. Rozez
1933
[7]
서적
陸海軍総合事典 [第2版]
東京大学出版会
2005-08-15
[8]
서적
皇室事典 令和版
KADOKAWA
2019-11-30
[9]
서적
私の履歴書 経済人 21
日本経済新聞社
1986-12-09
[10]
서적
門閥―旧華族階層の復権
立風書房
1987-04-10
[11]
서적
49人の皇族軍人 戦場に立った近代日本の陰の主役たち
洋泉社
2016-07-18
[12]
간행물
皇室 The Imperial Family
扶桑社
2020-07-22
[13]
서적
皇族
中央公論新社
2011
[14]
문서
「神武天皇即位紀元|紀元]二千六百年記念観兵式」を伝えるニュース
2021-02
[15]
서적
宮家の時代 セピア色の皇族アルバム
朝日新聞社
2006-10-30
[16]
간행물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17]
서적
皇族と天皇 <ちくま新書 1224>
筑摩書房
2016-12-10
[18]
서적
素顔の宮家 私が見たもうひとつの秘史
PHP研究所
2009-10-19
[19]
서적
戦時演芸慰問団「わらわし隊」の記録—芸人たちが見た日中戦争
中央公論新社
2008-07-10
[20]
서적
ミカドの肖像
小学館
1986-12-20
[21]
서적
アッツ、キスカ・軍司令官の回想録
芙蓉書房
1971-10-11
[22]
서적
パリの日本人
新潮社
2009-10-25
[23]
뉴스
総裁に朝香宮、会長に奈良武次大将
東京日日新聞
1938-11-05
[24]
간행물
官報
1946-06-13
[25]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47-10-17
[26]
서적
1987
[27]
서적
Takamatsu no Miya nikki
https://www.worldcat[...]
Chūō Koronsha
1995-1997
[28]
웹사이트
第25回 東京ゴルフ倶楽部朝霞コース―日本初の常緑芝のゴルフ場
https://www.kajima.c[...]
2009-04-28
[29]
웹사이트
写真で見る西武ヒストリー(前編)
https://www.seibuhol[...]
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
[30]
간행물
官報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07-11-04
[31]
간행물
官報
1917-11-01
[32]
간행물
官報
1921-04-19
[33]
간행물
官報
1931-12-28
[34]
간행물
官報
1941-10-23
[35]
간행물
官報
1942-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