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날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원숭이는 날원숭이목에 속하는 야행성 포유류로, 고양이원숭이, 박쥐원숭이라고도 불린다.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필리핀날원숭이와 말레이날원숭이 2종이 존재한다. 몸길이 35~40cm, 체중 1~2kg의 작은 동물로, 목에서부터 손발, 꼬리 끝까지 비막을 펼쳐 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100m 이상, 최대 136m까지 활공할 수 있으며, 비막과 손가락의 막을 이용하여 방향을 조절한다. 초식성이며, 잎, 어린 싹, 꽃, 수액 등을 먹고, 특수한 형태의 아래턱 절치를 가지고 있다. 서식지 파괴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필리핀날원숭이는 IUCN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어 있다.

2. 특징

날원숭이는 야행성이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포유류이다. 현존하는 무리는 날원숭이과의 1~2속으로, '''날원숭이'''[24], '''고양이원숭이'''[24], '''박쥐원숭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동남아시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며, 필리핀날원숭이와 말레이날원숭이 두 종만이 현존한다. 날원숭이의 속명 ''Cynocephalus''는 "의 머리"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24] . 일본어에서 "원숭이"라는 단어가 붙는 것은, 갈라고를 닮은 머리 외형 때문이며, 영어 이름도 "flying lemur (날으는 갈라고)"이다[25]

날원숭이는 겁이 많고 야행성이기 때문에, 그 생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초식성이며, 나뭇잎을 소화할 수 있는 잘 발달된 (소화를 돕는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를 가지고 있다. 잎, 어린 싹, 꽃, 수액 등을 주식으로 하며, 과실도 먹는 것으로 추정된다. 갈라진 틈새가 있는 편평한 빗살 모양의 특수한 형태의 아래턱 절치를 가지고 있는데,[27] 이 절치로 수액이나 과즙 등을 걸러서 먹고[28], 털 손질에도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형태의 절치는 다른 포유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29]

날원숭이는 특정한 잠자리를 갖지 않기 때문에, 육아를 할 때는 아이를 감싸듯이 비막을 펼쳐 돌본다. 아이가 어미가 배출하는 똥을 핥는 것은, 어미의 위 속에 있는 박테리아를 섭취하기 위해서이다.

2. 1. 외형 및 해부학적 특징

날원숭이는 몸길이가 35cm에서 40cm이고 몸무게는 1kg에서 2kg이다.[3] 앞다리와 뒷다리는 길고 가늘며, 꼬리는 중간 길이에 몸집은 비교적 가볍다. 머리는 작고, 크고 앞을 향한 눈은 훌륭한 양안 시력을 제공하며, 귀는 작고 둥글다.

날원숭이의 앞니는 매우 독특한데, 각 치아에 최대 20개의 톱니가 있는 빗 모양이다. 이 앞니는 그루밍에 사용되는 원숭이하목의 앞니 세트와 모양과 기능이 유사하다. 두 번째 위 앞니는 포유류 중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인 두 개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6] 날원숭이의 치식은 2.1.2.33.1.2.3이다.

필리핀 날원숭이의 발


날원숭이는 수목에 서식하며, 몸길이 약 35-40cm, 체중 1-2kg의 고양이 정도 크기인 동물이다. 체격은 호리호리하며, 사지는 비교적 길고, 앞다리와 뒷다리가 거의 같은 길이를 하고 있다. 머리는 작고, 양 눈이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얼굴 전면에 위치해 원근감을 파악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특징은 나무 사이를 활공하는 데 적합하다.

날원숭이의 가장 큰 특징은 목에서부터 손발, 그리고 꼬리 끝까지 비막이라고 불리는 막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비막을 펼쳐 100m 이상 (최고 기록 136m)[26] 활공하며, 숲의 나무에서 나무로 이동하고 있다. 비막을 가진 동물로는 그 외에 쥐목(설치류)의 날다람쥐, 하늘다람쥐와 주머니쥐목(유대류)의 하늘다람쥐 등이 알려져 있지만, 모두 비막은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만 있고, 목에서 꼬리에 걸쳐 있는 날원숭이만큼 발달한 비막을 가진 동물은 다른 데 없다. 박쥐처럼 날갯짓을 하지는 않지만, 활공 중에 꼬리를 움직여 뒷다리와 꼬리 사이의 비막으로 부채질하여 추진력을 만들어 활공 거리를 늘리고 있다.[26] 이 때문에 활공 능력이 높고, 150m의 거리를 15m의 강하로 이동할 수 있다.[25]

또한, 5개의 손가락에도 막이 있으며, 손가락을 움직여 펼치거나 오므리거나 손목을 돌려, 공기의 저항을 바꿔, 나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목 주변의 삼각형 모양의 비막은, 날고 있을 때 막의 가장자리에 2개의 소용돌이 흐름이 생긴다. 비막이 삼각형인 경우에는 소용돌이 흐름은 4개가 된다. 등 쪽에 생긴 이 흐름이, 막 위의 기류를 정돈한다. 이로 인해 실속을 방지하고 있으며, 저속에서의 비행이 가능해진다.

원숭이와 같은 대향하는 엄지손가락을 가지지 않고, 힘도 강하지 않아, 나무 타기는 서투르다. 작고 날카로운 발톱을 수피에 걸어, 천천히 나무를 기어오르는 모습은, 몹시 어색해 보인다. 하지만, 공중에서는 매우 유능하다. 고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나무 사이를 활공한다.

2. 2. 활강

날원숭이는 숙련된 활강 동물이며, 다른 활강 포유류보다 비행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날원숭이는 고도를 크게 잃지 않고 한 나무에서 다른 나무로 최대 70m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4] 말레이 날원숭이(''Galeopterus variegatus'') 개체는 한 번의 활강으로 약 150m를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5]

이들의 활강 능력은 짝을 이루는 사지 사이에 뻗어 있는 넓은 피부 막 덕분이다. 이 활강 막 또는 피막은 어깨뼈에서 앞발까지, 뒷발가락 끝에서 발가락 끝까지, 뒷다리에서 꼬리 끝까지 이어진다.[6] 날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는 물갈퀴 모양이다.

날원숭이의 가장 큰 특징은, 목에서부터 손발, 그리고 꼬리 끝까지 비막이라고 불리는 막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비막을 펼쳐 100m 이상 (최고 기록 136m)[26] 활공하며, 숲의 나무에서 나무로 이동하고 있다. 비막을 가진 동물로는 그 외에 쥐목(설치류)의 날다람쥐, 하늘다람쥐와 주머니쥐목(유대류)의 하늘다람쥐 등이 알려져 있지만, 모두 비막은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만 있고, 목에서 꼬리에 걸쳐 있는 날원숭이만큼 발달한 비막을 가진 동물은 없다. 박쥐처럼 날갯짓을 하지는 않지만, 활공 중에 꼬리를 움직여 뒷다리와 꼬리 사이의 비막으로 부채질하여 추진력을 만들어 활공 거리를 늘리고 있다.[26] 이 때문에 활공 능력이 높고, 150m의 거리를 15m의 강하로 이동할 수 있다.[25]

또한, 5개의 손가락에도 막이 있으며, 손가락을 움직여 펼치거나 오므리거나 손목을 돌려 공기의 저항을 바꿔 나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목 주변의 삼각형 모양의 비막은, 날고 있을 때 막의 가장자리에 2개의 소용돌이 흐름이 생긴다. 비막이 삼각형인 경우에는 소용돌이 흐름은 4개가 된다. 등 쪽에 생긴 이 흐름이, 막 위의 기류를 정돈한다. 이로 인해 실속을 방지하고 있으며, 저속에서의 비행이 가능해진다.

날원숭이가 먹는 식물은 숲 속에 흩어져 있는데다가, 좋아하는 어린 잎은 나무 높은 곳에 있으므로, 활공은 효율적인 이동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2. 3. 생태 및 행동

날원숭이는 야행성이며, 나무 위에서 사는 포유류이다. 동남아시아의 열대 우림에서 발견되는 수줍음이 많고, 야행성이며, 고독한 동물이기 때문에 이들의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초식동물인 날원숭이는 잎, 새싹, 꽃, 수액, 과일을 먹는다. 잎이나 다른 섬유질 재료에서 영양분을 추출할 수 있는 잘 발달된 위와 긴 창자를 가지고 있다.

날원숭이는 야행성 종으로 진화하면서 야간 시력을 발달시켰다.[10] 낮에는 나무 구멍에서 휴식을 취하며 밤에 활동한다. 밤에 약 1.7km를 이동하며, 영역 동물일 수도 있다.[11]

태반류이지만, 새끼를 유대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키운다. 갓 태어난 날원숭이 새끼는 발달이 덜 되어 있으며 몸무게는 35g에 불과하다.[12] 새끼는 생후 6개월 동안 어미의 배에 매달려 지낸다. 어미 날원숭이는 꼬리를 말고 날개막을 접어 따뜻하고 안전한, 일종의 주머니를 만들어 새끼를 보호하고 이동시킨다. 새끼는 2~3세가 되어야 성숙한다.[6]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15년까지 살 수 있지만, 야생에서의 최대 수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13]

초식성이며, 잘 발달된 를 가지고 있어 (안에 소화를 돕는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 나뭇잎을 소화할 수 있다. 잎, 어린 싹, 꽃, 수액 등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아마도 과실도 먹는 것으로 생각된다. 갈라진 틈새가 있는 편평한 빗살 모양의 특수한 형태의 아래턱 절치를 가지고 있지만,[27] 이 절치로 수액이나 과즙 등을 걸러서 먹는다.[28] 또한, 동시에 털 손질에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형태의 절치는 다른 포유류에는 예가 없다.[29] 날원숭이는 특정한 잠자리를 갖지 않기 때문에, 육아를 할 때는 아이를 감싸듯이 비막을 펼쳐 돌본다. 또한, 아이가 어미가 배출하는 똥을 핥는 것은, 여기서 자신의 위 속의 박테리아를 섭취하기 위해서이다.

3. 분류

날원숭이의 학명인 Cynocephalidae는 머리가 넓고 주둥이가 짧아 개의 머리와 닮았기 때문에 그리스어 단어 κύων|kyōnel "개"와 κεφαλή|kephalēel "머리"에서 유래되었다.[15]

발견 당시부터 날원숭이의 분류에는 여러 의견이 있었다. 얼굴이 여우원숭이와 비슷하고 원시적인 영장류로 여겨졌던 플레시아다피스과와 매우 유사하여 영장류로 분류되기도 했다. 또한 박쥐의 태아와 유사하여 익수목(박쥐목), 식충목(두더지목) 등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며, 진수류가 아닌 유대류일 가능성까지 제기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날원숭이목으로 독립시키는 것이 주류이다.

날원숭이목의 위치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 식충목에서 익수목으로 진화하는 중간 형태라는 설, 플레시아다피스영장류가 아닌 그 근연 그룹(플레시아다피스목)으로 보고 여기서 날원숭이가 분기되어 날원숭이목이 영장류와 근연 그룹[25]을 이루며, 영장형류(Primatomorpha)라는 계통군을 이룬다는 설 등이 있다.

최근에는 멸종 속 파로모미스의 화석에서 날원숭이의 손뼈와 유사한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파로모미스과는 날원숭이목으로 옮겨졌지만, 동시에 날원숭이목을 영장목에 포함시켜 제3의 아목(날원숭이아목)으로 하자는 설도 있었으나[30], 최근에는 부정되고 있다.[27]

3. 1. 하위 분류


†''Planetetherium mirabile''

  • ** †''Plagiomene''

†''Plagiomene multicuspis''

  • * †'''Mixodectidae과'''?
  • ** †''Dracontolestes''

†''Dracontolestes aphantus''

  • ** †''Eudaemonema''[21]

†''Eudaemonema cuspidata''

  • ** †''Mixodectes''

†''Mixodectes pungens''
†''Mixodectes malaris''

  • * '''Cynocephalidae과'''
  • ** ''Cynocephalus''

필리핀 날원숭이 (''Cynocephalus volans'')

  • ** ''Galeopterus''

순다 날원숭이 (''Galeopterus variegatus'')

  • ** †''Dermotherium''

†''Dermotherium major''
†''Dermotherium chimaera''

  • 날원숭이과(Cynocephalidae)
  • * 필리핀날원숭이속(''Cynocephalus'')
  • ** 필리핀날원숭이 (''Cynocephalus volans'') Philippine flying lemur
  • * 말레이날원숭이속(''Galeopterus'')
  • ** 말레이날원숭이 (''Galeopterus variegatus'') Sunda flying lemur
  • †플라지오메네과
  • * †플라지오메네아과 : 플라지오메네
  • †믹소데크테스과

3. 2. 계통 분류

다음은 영장상목의 계통 분류이다.[32][33][34]

{| class="wikitable"

|-

! 영장상목

|-

|

{| class="wikitable"

|-

! 설치동물

|-

|



|-

! 영장동물

|-

|

{| class="wikitable"

|-

| 나무두더지목

|-

! 영장형류

|-

|

{| class="wikitable"

|-

| 날원숭이목

|-

|



|}

|}

|}

{| class="wikitable"

|-

! 진핵상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땃쥐목 (나무땃쥐)

|-

! Glires

|-

|

토끼목 (토끼, 산토끼, 피카)
설치류 (설치류)



|}

|-

! 영장상목

|-

|

{| class="wikitable"

|-

| '''날원숭이목''' (날원숭이)

|-

|

†Plesiadapiformes
영장류



|}

|}

{| class="wikitable"

|-

! 진주상목 Euarchontogliresla

|-

|

{| class="wikitable"

|-

! 글리레스상목 Gliresla

|-

|

쥐목 Rodent|Rodentia영어
토끼목 Lagomorphala



|-

! 진주상목 Euarchontala

|-

|

{| class="wikitable"

|-

| 나무땃쥐목 Treeshrew|Scandentia영어

|-

|

{| class="wikitable"

|-

| '''날원숭이목''' Colugo|Dermoptera영어

|-

|

†프레시아다피스목 Plesiadapiformesla
영장목 Primate|Primates영어



|}

|}

|}

|}

날원숭이의 조상은 약 8천만 년 전에 다른 포유류와 분리되어 현재 7~14종의 현존하는 종으로 이어졌다고 추정된다.[16] Mixodectidae와 Plagiomenidae는 화석 Dermoptera로 보인다. 다른 고생대 포유류가 날원숭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불확실하며, 많은 화석이 더 이상 활공하는 포유류로 해석되지 않는다.[17] 현재, 확실한 날원숭이의 화석 기록은 시신세와 올리고세의 키노세팔리드 속 ''Dermotherium''의 두 종으로 제한된다.[18]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날원숭이는 기저 영장상목 분지군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시 기저 진핵상목 분지군이다. 땃쥐목유악류 내에서 영장상목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널리 간주된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땃쥐목을 영장상목의 명명되지 않은 자매 분지군에서 Glires (토끼목설치류)의 자매로 배치한다.[19][20]


  • '''날원숭이목 (Dermoptera)'''
  • * †'''Plagiomenidae과'''?
  • ** †''Planetetherium''

†''Planetetherium mirabile''

  • ** †''Plagiomene''

†''Plagiomene multicuspis''

  • * †'''Mixodectidae과'''?
  • ** †''Dracontolestes''

†''Dracontolestes aphantus''

  • ** †''Eudaemonema''[21]

†''Eudaemonema cuspidata''

  • ** †''Mixodectes''

†''Mixodectes pungens''
†''Mixodectes malaris''

  • * '''Cynocephalidae과'''
  • ** ''Cynocephalus''

필리핀 날원숭이, ''Cynocephalus volans''

  • ** ''Galeopterus''

순다 날원숭이, ''Galeopterus variegatus''

  • ** †''Dermotherium''

†''Dermotherium major''
†''Dermotherium chimaera''

다음 현존 종의 분류 및 영명은 Stafford(2005)에 따른다[22]。한국명은 카와다 등(2018)에 따른다[23]

  • 날원숭이과(Cynocephalidae)
  • * 필리핀날원숭이속(''Cynocephalus'')
  • ** 필리핀날원숭이(''Cynocephalus volans'') Philippine flying lemur영어
  • * 말레이날원숭이속(''Galeopterus'')
  • ** 말레이날원숭이(''Galeopterus variegatus'') Sunda flying lemur영어


발견 당시부터 분류에 이견이 많아, 얼굴이 여우원숭이와 닮았다는 점과 원시적인 영장류로 여겨졌던 플레시아다피스과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영장류(원숭이류), 박쥐의 태아와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익수목(박쥐목), 식충목(두더지목)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진수류가 아닌 유대류일 가능성까지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날원숭이목으로 목 단위에서 독립시키는 것이 주류이다. 이 날원숭이목의 위치도 식충목에서 익수목으로 진화하는 중간 형태이거나, 앞서 언급한 플레시아다피스를 영장류가 아닌 그 근연의 다른 그룹(플레시아다피스목)으로 보고 여기서 분기된 것이 날원숭이이며, 따라서 날원숭이목은 영장류(원숭이류)와 근연의 그룹[25]으로, 더불어 영장형류(Primatomorpha)라는 계통군을 이룬다는 생각도 있다.

최근, 이전부터 알려져 있던 멸종 속 파로모미스의 화석에서 날원숭이의 손뼈와 유사한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에 플레시아다피스목에 포함되었던 파로모미스과는 날원숭이의 일종(날원숭이목)으로 옮겨졌지만, 동시에 이 파로모미스류를 포함하는 날원숭이목을, 기존과 같이 독립된 목에서 강등하여 영장목(영장목)에 포함시키고, 직비아목·곡비아목과 나란히 제3의 아목(날원숭이아목/날원숭이아목)으로 하자는 설도 있었다[30]。하지만 최근에는 그 설이 부정되고 있다[27]

†는 멸종

  • †플라지오메네과 Plagiomenidaela
  • * †플라지오메네아과 Plagiomeninaela : 플라지오메네
  • * †Ekgmowechashalinaela
  • †믹소데크테스과 Mixodectidaela
  • * †Ekgmowechashalinaela

4. 보존 상태

두 종 모두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필리핀 날원숭이는 한때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 1996년, IUCN은 저지대 숲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이 종을 취약종으로 선언했다. 2008년에는 관심대상으로 등급이 하향되었지만, 여전히 동일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열대 우림 서식지의 지속적인 개간 외에도, 고기와 털을 얻기 위해 사냥당한다. 또한 심각한 위기에 처한 필리핀독수리의 주요 먹이이기도 하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날원숭이는 독수리 먹이의 90%를 차지한다.[14]

5. 갤러리

참조

[1] MSW3 Stafford
[2] 서적 Where Do We Come From?: The Molecular Evidence for Human Desc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4-12-16
[3] 서적 Colugo: The flying lemur of South-East Asia Draco Publishing and Distribution Pte Ltd 2007
[4] 서적 The Ancestor's Tale https://archive.org/[...] Phoenix
[5] 간행물 Take-off and landing kinetics of a free-ranging gliding mammal, the Malayan colugo (Galeopterus variegatus).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7] 간행물 Molecular and genomic data identify that their closest living relative non-colugo relatives are primates
[8] 웹사이트 Zoologger: The clumsy tree-dweller transforms into a gliding ace https://www.newscien[...] 2021-11-23
[9] 간행물 Sex differences in the locomotor ecology of a gliding mammal, the Malayan colugo (Galeopterus variegatus) https://academic.oup[...] 2018-12-05
[10] 간행물 Expression and Evolution of Short Wavelength Sensitive Opsins in Colugos: A Nocturnal Lineage That Informs Debate on Primate Origins 2013
[11] 웹사이트 Flying Lemur https://a-z-animals.[...] 2021-05-25
[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Colugo https://www.explorin[...] 2018-12-23
[14] 서적 100 Birds to See Before You Die Carleton Books
[15] 웹사이트 Colugos or 'Flying lemurs' http://www.nhc.ed.ac[...] University of Edinburgh 2023-08-30
[16] 뉴스 DNA analysis suggests colugos are part of a primate sister group https://phys.org/new[...]
[17] 학회자료 The first dentally associated skeleton of Plagiomenidae (Mammalia, ?Dermoptera) from the late Paleocene of Wyoming 2011-11
[18] 간행물 Cynocephalid dermopterans from the Palaeogene of South Asia (Thailand, Myanmar and Pakistan): Systematic, evolutionary and palaeobiogeographic implications
[19] 간행물 Impacts of the cretaceous terrestrial revolution and KPg extinction on mammal diversification 2011-10-28
[20] 간행물 The position of tree shrews in the mammalian tree: Comparing multi-gene analyses with phylogenomic results leaves monophyly of Euarchonta doubtful 2015-03-01
[21] 간행물 Eudaemonema webbi sp. nov. (Mammalia, Mixodectidae) from the late Paleocene of western Canada: the youngest known mixodectid https://cdnsciencepu[...] 2010-11-05
[22] 문서 Order Dermopter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3]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24] 서적 標準原色図鑑全集19 動物I 株式会社保育社
[25] 서적 世界珍獣図鑑 人類文化社
[26] Youtube NHK『ダーウィンが来た! 生きもの新伝説』 http://www.nhk.or.jp[...] 2010-05-23
[27] 문서 新版 絶滅哺乳類図鑑
[28] 문서 世界哺乳類図鑑
[29] 문서 脊椎動物の進化
[30] 문서 絶滅哺乳類図鑑
[31] MSW3 Stafford
[32] 간행물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origins of placental mammals http://www.ncbi.nlm.[...]
[33] 간행물 Mammalian mitogenomic relationships and the root of the eutherian tree http://www.pnas.org/[...]
[34] 간행물 Evolutionary history of 7SL RNA-derived SINEs in Supraprimates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