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구 (광주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동구는 광주광역시의 구로, 1973년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로 설치되었다. 역사는 삼한시대 마한, 삼국시대 백제에 속했으며 통일신라시대 무주로 불리다가 고려 태조 때 광주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다. 1980년 북구와 서구가 신설되면서 일부 지역이 분리되었고, 1986년 광주직할시 동구로 개칭,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34개의 법정동과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23년 6월 기준 95,791명이다. 무등산 자락에 위치하며, 광주천을 끼고 있는 지리적 특징을 갖는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동구 - 광주극장
    광주극장은 1935년 개관하여 일제강점기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해방 후 정치적 공론장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예술 영화 극장으로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광주 동구 - 광주중앙도서관
    광주중앙도서관은 1990년 광주광역시 조례에 의해 설립되어 1991년 개관한 공공도서관으로, 광주 시민과 인근 지역 주민에게 도서 대출 및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서관운영위원회와 자료선정위원회를 통해 운영의 발전과 효율성을 도모하고, 2023년 기준 17만 8천여 권의 도서와 8천여 점의 비도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 광주 동구의 행정 구역 - 지원동
    지원동은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옛 지한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수원지가 있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행정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는 두 개의 동으로 분동되었고 광주 지하철 1호선 소태역이 있다.
  • 광주 동구의 행정 구역 - 계림동 (광주)
    계림동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동으로, 경양방죽 관련 유래 설이 있으며, 분동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교육 및 쇼핑 시설과 다양한 건설사의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의 구 - 서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서구는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광역시청 소재지이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유스퀘어, 상무지구, 금당산, 개금산, 송학산, 상무지구, 풍암지구, 금호지구 등을 포함하고 1980년과 1995년 분구를 거쳐 2011년 동천동이 신설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구 - 광산구
    광산구는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중 하나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는 79개의 법정동과 2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요 교통시설과 교육기관, 대형마트 등이 위치하며 여러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동구 (광주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동구 지도
기본 정보
이름동구
로마자 표기Dong-gu
맥큔-라이샤워 표기Tong-gu
국가대한민국
지역호남
광역 자치 단체광주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행정 구역
면적48.87 km²
인구 (2024년 9월)106,354명
인구 밀도auto
방언전라
웹사이트동구청
행정 및 정치
행정 구역13개 동 1개 로
구청장임택
국회의원안도걸(더불어민주당, 동구·남구 을)
구청 소재지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로 1
상징
구 나무은행나무
구 꽃철쭉
구 새까치
기타 정보
일본어 이름東区
일본어 로마자 표기Higashi-ku
일본어 가나 표기히가시쿠
남자 인구 (2023년)52,830명
여자 인구 (2023년)54,346명
총 인구 (2023년)107,176명
총 인구 (2021년)103,470명
세대수 (2021년)52,362
광주 동구 깃발
동구 깃발
증심사 일주문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있는 증심사의 일주문
광주 동구청
광주 동구청

2. 역사

광주 동구의 역사는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광주는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하여 무진주라 불렸고 통일신라시대에는 무주라 불렸으며,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고려 태조가 광주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다.[6] 이후 1373년 공민왕 22년에 광주목으로, 1430년 조선 세종 12년에 무진군, 1910년 광주면, 1931년 광주읍, 1935년 광주부 등으로 불렸다.[6]

해방 후 1949년 8월 15일 광주시로 개칭되었다.[6] 1973년 7월 1일 구제 실시로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가 설치되었다.[6] 당시 동구는 광주시 중부, 동부, 북부출장소를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며, 현재의 대인동, 장동, 궁동, 대의동, 금남로, 충장로, 불로동, 황금동, 호남동, 수기동, 동명동, 계림동, 산수동, 지산동, 광산동, 양림동, 남동, 금동, 서석동, 방림동, 학동, 운림동, 소태동, 용산동, 월남동, 내남동, 선교동, 용연동 등을 관할하였다.

1979년 1월 1일 산수2동이 산수2동과 산수3동으로, 중흥동이 중흥1동과 중흥2동으로 분동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에는 지산동이 지산1동과 지산2동으로 분동되었다. 1980년 4월 1일 동구의 일부 지역이 분리되어 북구서구가 신설되었다. 이때 중흥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서산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은 북구로, 양림동, 방림동은 서구로 이관되었다.

1985년 11월 1일 서석1동과 서석2동이 서석동으로 합동되었다.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동구로 개칭되었으며,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되었다.[6] 1995년 1월 1일 광주광역시 동구로 개칭되었다.

1998년 4월 27일에는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져 대금동, 충수동, 대의동, 충금동, 삼성동이 충장동으로, 동명1동, 동명2동이 동명동으로, 계림1동, 계림2동이 계림1동으로, 산수1동, 산수2동이 산수1동으로, 남금동, 서석동이 서남동으로, 학1동, 학2동이 학1동으로 합동되었고, 계림3동은 계림2동으로, 산수3동은 산수2동으로, 학3동은 학2동으로 개칭되었다.

2002년 3월 25일 학1동과 학2동이 다시 학동으로 합동되었고, 지원동이 지원1동과 지원2동으로 분동되었다. 2011년 10월 1일에는 남구 방림2동 일부, 북구 중흥1동, 풍향동, 우산동, 두암3동 일부 지역이 동구에 편입되고, 산수2동 일부는 북구에 편입되었다.

2. 1. 1973년 동구 설치 당시 행정구역

2. 2. 1998년 행정동 통폐합

3. 지리

3. 1. 인문지리

동구는 북쪽으로 광주광역시 북구와 연접하고,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화순군과 경계를 이루며, 광주천을 서남쪽에 끼고 무등산 너른 자락 밑에 자리잡고 있다.[7] 동쪽으로 광주의 진산인 무등산 정상에서 남으로 장불재를 지나 천제등, 바람재, 향로봉을 통해 장원봉으로 이어지는 광주시를 향한 무등산 주능선과 남쪽으로 장불재와 중머리재 사이의 샘골에서 발원한 영산강 지류인 광주천을 끼고 서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따라 시가지를 형성하는 동고서저형의 지형구조를 보이고 있다.[7] 멀리 북쪽으로부터 서남쪽을 향해 흐르는 영산강의 본류인 극락강을 바라보고 지정학적으로는 호남 내륙의 중심을 점하고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다.[7]

3. 2. 기후

동구는 남부평지다우형 기후구에 속한다.[7] 2010년 기준 연평균 기온은 14.8°C였으며, 최고 기온은 8월에 35.5°C, 최저 기온은 1월에 -10.1°C였다.[7] 연 강수량은 1,510mm로, 7월에 607mm, 1월에 36mm로 여름철 강수량이 많다.[7] 평균 습도는 최저 55%에서 최고 82%였다.[7]

4. 행정 구역

광주 동구의 행정 구역은 34개의 법정동과 이것을 관리하는 13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8] 면적은 49.21 km2이며, 2023년 6월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95,791명이다.[8]

광주 동구의 행정구역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 (명)세대
충장동忠壯洞1.094,1902,853
동명동東明洞0.433,9882,443
계림1동鷄林1洞0.6311,0114,997
계림2동鷄林2洞0.559,1124,029
산수1동山水1洞0.736,8513,482
산수2동山水2洞0.7410,0094,425
지산1동芝山1洞1.014,3932,326
지산2동芝山2洞1.65,6662,573
서남동瑞南洞1.412,1041,889
학동鶴洞1.236,9553,422
학운동鶴雲洞10.8111,4975,071
지원1동池元1洞1.377,6673,214
지원2동池元2洞27.6117,5815,800
동구東區49.2195,79145,095


5. 인구

광주광역시 동구의 인구는 1990년 191,681명에서 1995년 147,498명, 2000년 116,332명, 2005년 119,783명, 2010년 103,998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2015년에는 104,173명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연도총인구
1990년191,681명
1995년147,498명
2000년116,332명
2005년119,783명
2010년103,998명
2015년104,173명


6. 정치

현재 동구청은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동에 위치하고 있다. 동구청장동구의회는 주민 투표로 선출되는 선출직 공무원이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을에 속하며, 현재 더불어민주당 이병훈 의원이 지역구를 대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진보 정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다.

7. 교육 기관

광주광역시 동구에는 여러 교육기관이 있다. 대학교로는 전남대학교(학동캠퍼스)와 조선대학교가 있다. 전문대학으로는 조선이공대학교조선간호대학교가 있다. 고등학교는 광주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무등중학교, 조선대학교여자중학교, 조선대학교부속중학교, 운림중학교,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충장중학교가 있다. 평생교육 시설로는 진명중학교가 있다.

8. 교통

8. 1. 철도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동구를 경유한다. 녹동역, 소대역, 학동·증심사입구역, 남광주역, 문화전당역, 금남로4가역이 동구에 위치한다. 금남로5가역북구에 소재하지만, 동구와의 경계에 걸쳐있다.

8. 2. 도로

9. 자매 도시

광주광역시 동구는 대한민국 내 여러 도시 및 중국의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지역도시
대한민국25px 경기도25px 파주시
대한민국25px 대구광역시25px 중구
대한민국25px 전라남도25px 곡성군
대한민국25px 전라남도25px 여수시
중국(내용 추가 필요)


10. 기타 시설

동구에는 이마트 동광주점, 홈플러스 광주계림점, 광주동부경찰서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text
[6] 간행물 《2011년 시정백서》, 제1절 연혁 http://www.donggu.gw[...] 2012-09-03
[7] 간행물 《2011년 시정백서》, 제2절 위치와 자연환경 http://www.donggu.gw[...] 2012-09-03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행정자치부 2017-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