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이빨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극이빨고기는 남극암치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날카로운 이빨과 갈색 몸, 줄무늬 옆줄이 특징이다. 최대 1.7m, 135kg까지 성장하며, 남극해에서 두 번째로 큰 물고기이다. 남극이빨고기는 부동 단백질을 생성하여 영하의 수온에서 생존하며, 시각과 측선, 후각이 발달했다. 이들은 작은 물고기, 갑각류, 오징어를 먹고, 밍크고래, 범고래 등의 먹이가 된다.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가 어업을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어업으로 인증받았지만, 불법 어업과 표시 오류 등의 문제도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극암치과 - 비막치어
비막치어는 남극 심해에 사는 큰 물고기로, 맛이 좋아 식용으로 인기가 많지만, 성장 속도가 느려 남획에 취약하여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국제적으로 어획량을 제한하는 등 보호 및 관리되고 있으며,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메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칠레 농어라는 이름으로 유통된다. - 남극암치과 - 남극암치속
남극암치속은 남극해에 서식하며 옆줄 감각 구멍이 특징인 물고기 속으로, 부동 단백질을 생성하여 추위에 적응하고 갑각류 등을 섭취하는 저서 포식자이며 남극해 어업에서 중요한 어획 대상이다. - 1937년 기재된 물고기 - 강남상어
강남상어는 전 세계 온대, 아열대, 열대 해역의 원양에서 서식하며 야행성 포식 활동을 하는 악상어목의 작은 심해 상어로, 인간에게 큰 위협은 아니지만 준위협으로 분류된다. - 1937년 기재된 물고기 - 노토케이루스 후브시
- 농어목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농어목 - 은대구
은대구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이용되는 농어목 심해어로, 고급 요리 재료로 취급받고 미래 식량 자원으로서 양식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남극이빨고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학명 | Dissostichus mawsoni |
| 명명자 | Norman, 1937 |
| 영명 | Antarctic toothfish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기어류강 |
| 상목 | 극기류 |
| 목 | 농어목 |
| 아목 | 노토테니아아목 |
| 과 | 노토테니아과 |
| 속 | 라이기ョ다マシ속 |
| 보존 상태 | |
| IUCN | 평가 미실시 (NE) |
| 기타 | |
| 관련 용어 | 칠레 농어 |
2. 명칭 및 분류
비막치어와 함께 남극암치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이름에 걸맞게 이빨이 제법 날카롭다. 비막치어와 다른 점은 비막치어는 몸의 빛깔이 어둡지만 남극이빨고기는 갈색의 빛깔과 줄무늬의 옆줄이 발달되어 있고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모양새가 다르다는 것이다.
비막치어와 함께 남극암치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이름처럼 이빨이 날카롭다. 비막치어는 몸 색깔이 어둡지만, 남극이빨고기는 갈색 빛깔과 줄무늬의 옆줄이 발달되어 있고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모양새가 다르다. 다 자란 남극이빨고기는 1.7m 이상, 무게가 135kg까지 자랄 수 있으며, 이는 남극에서 두 번째로 큰 물고기이다. 크고, 바다의 비구조적인 먹이 그물과 일치하여(즉, 큰 물고기는 정체성에 관계없이 작은 물고기를 먹으며, 심지어 자신의 새끼도 먹음), 게걸스러운 포식자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남극해에서 가장 큰 중층 물고기이기 때문에 다른 바다에서 상어가 하는 생태학적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5][6][7]
골격은 가볍고 연골질이며, 부레는 없다. 몸에는 다량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데, 이는 번식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중성 부력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번식 장소에서 어획되는 개체는 지방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아, 번식 또는 번식에 따른 이동에는 다량의 에너지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70]。이러한 개체가 어떻게 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지방량이 회복되는지, 회복된다면 어느 정도 기간으로 다시 번식이 가능한지도 불명확하다. 적어도 표면상, 대륙사면상의 개체에서는 지방량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빨고기"라는 일반적인 이름은 상악에 있는 두 줄의 이빨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상어와 같은 외형을 준다. 속명 ''Dissostichus''는 그리스어 dissos|두 배grc와 stichus|선grc에서 유래되었으며, 물고기가 먹이를 감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두 개의 긴 측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종명 ''mawsoni''는 1911년-1914년 오스트랄라시아 남극 탐험을 이끌고 남극 해안을 탐사하여 이 종의 모식표본을 얻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질학자 더글러스 모슨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3]
남극이빨고기는 1937년 영국의 어류학자 존 록스버러 노먼에 의해 처음 공식적으로 기술되었으며, 모식 산지는 남극 66°45'S, 62°03'E의 맥로버트슨 랜드 연안으로 지정되었다.[4]
3. 형태 및 특징
체색은 검은색에서 올리브 갈색을 띠며, 흰 반점이 흩어져 있거나 얼룩무늬가 있을 수 있다. 복부는 더 밝은 색을 띠기도 한다. 유어는 해저의 해면이나 산호에 잘 섞이는 보호색을 띤다.[69] 넓은 머리, 길쭉한 몸,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큰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방향타와 같은 꼬리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천히 움직이지만, 포식자인 물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순간적인 속도를 낼 수 있다.[12]
남극이빨고기는 가볍고 부분적으로 연골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부레가 없고, 저장된 에너지원 역할을 하는 지방 침전물을 가지고 있다. 성어는 중성 부력을 가지는 5종의 노토테니아류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부력은 길이가 100~120cm에서 나타나며,[8][9][10] 추가 에너지 소비 없이 바닥 위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준다.[11][12] 따라서 바닥에 사는 먹이와 중층에 있는 먹이 모두를 섭취할 수 있다. 대부분의 다른 노토테니아류 물고기와 작은 이빨고기를 포함한 대다수의 모든 남극 물고기는 저서 어류로 바닥에 국한되어 있다.[7]
시각이나 측선 시스템은 약한 빛에서 먹이를 찾는 데 적합하다.[71] 남극해는 여름에도 얼음으로 덮여 있지만, 이빨고기의 감각 기관은 바다가 두꺼운 얼음으로 덮이는 겨울이나 빛이 거의 닿지 않는 수심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진화했다. 후각은 매우 발달하여,[71] 낚시 미끼나 다른 포식자에게 살해된 펭귄의 시체 등을 쉽게 찾아낸다.
4. 생리
시각이나 측선 시스템은 약한 빛 아래에서 먹이를 찾는 데 적합하다[71]。남극해는 여름에도 얼음으로 덮여 있지만, 본 종의 감각 기관은 바다가 두꺼운 얼음으로 덮이는 겨울이나, 빛이 거의 닿지 않는 수심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진화했다. 후각은 매우 발달하여[71], 낚시 미끼나, 다른 포식자에게 살해된 펭귄의 시체 등을 쉽게 찾아낸다.
4. 1. 냉수 적응
남극이빨고기는 남위 60° 아래의 영하 수온에서 서식한다. 다른 대부분의 남극 노토테니아와 마찬가지로, 이빨고기는 부동 당단백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약간 더 따뜻한 물에 서식하는 가장 가까운 친척인 파타고니아 이빨고기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부동 당단백질은 남극 이빨고기(및 다른 노토테니아)가 남극 주변의 남극해의 영하 수온에서 번성할 수 있게 해준다. 남극이빨고기의 왕성한 식욕 또한 차가운 물에 대처하는 데 중요하다.[28]
다른 남극 노토테니아류처럼, 혈액에 부동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빙점 이하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다. 이 단백질은 근연종인 마젤란 아이나메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탐욕스러운 포식자라는 점도 냉수에 대처하는 데 중요하다.[72]
4. 2. 감각 기관
남극이빨고기는 시각과 측선 시스템이 발달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먹이를 찾는 데 적합하다.[27] 남극이빨고기가 서식하는 해양 표면은 여름에도 얼음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감각 전문화는 얼음 아래와 남극 겨울, 그리고 깊은 수심에서 발견되는 감소된 빛 수준에서 생존하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매우 발달된 후각을 가지고 있어,[27] 미끼가 달린 낚시에 쉽게 잡히며 다른 포식자에게 죽임을 당한 펭귄의 잔해를 청소한다.
5. 생태
남극이빨고기는 최대 2m, 135kg까지 자라며, 이는 근연종인 마젤란이빨고기와 비슷한 크기이다. 남극해에 서식하는 물고기 중에서는 압도적으로 크다. 남극해의 먹이 사슬은 그다지 구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남극이빨고기는 동종 개체를 포함한 작은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포식자가 되었다. 남극해의 중층 어류로서는 최대이기 때문에, 다른 바다에서는 상어가 차지하는 생태적 지위도 점하고 있다고 여겨진다.[73][74][75]
이러한 생태적 지위를 보조하는 것은 남극이빨고기 성체가 갖는 중성 부력이다. 노토테니아과의 대부분은 저서 어류이며, 중성 부력을 가진 종은 5종 정도밖에 없다. 남극이빨고기는 100–120 cm로 성장한 시점에서 중성 부력을 획득하여[76][77][78], 유영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해중에 떠[79][80], 저서, 부유성 생물 쌍방을 먹이로 삼게 된다.[75]
대륙붕 위에서는 모에비과의 새우나 남극얼음물고기 등의 부유성 노토테니아류를 주된 먹이로 삼는다. 남극이빨고기는 느슨한 무리를 지어 아델리펭귄, 황제펭귄, 웨델해표, 밍크고래 등의 주요 먹이가 된다.[81][82] 대형 개체는 향유고래, 범고래, 웨델해표, 대왕오징어 등의 먹이가 된다. 해빙이 없는 대륙사면 상의 개체는 대구, 가오리를 포식한다.[83] 최대 2200m 깊이에서 포획된 적이 있다.[84]
5. 1. 서식지
남극 대륙으로 이어진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에 주로 서식하며 수심 1,000m 이상의 점심해수층에 주로 서식하는 심해어이다. 하지만 가끔씩 표해수층이나 중심해층으로 올라오며 9월과 밤에 주로 상층부로 올라온다.[73][74][75]5. 2. 먹이
남극해 선반에서 남극이빨고기는 새우(''Nauticaris'' spp.)와 작은 물고기, 주로 남극암치과 어류인 남극 은어(''Pleuragramma antarcticum'')를 먹는다. 대륙 사면에서 잡히는 바닥에 서식하는 이빨고기는 주로 꼬리돔(Macrouridae)을 먹지만, 다른 작은 물고기 종과 가오리(''Raja'' spp.)도 먹는다.[16] 대왕오징어를 먹기도 한다.[17]남극이빨고기는 아델리 펭귄(''Pygoscelis adeliae''), 황제펭귄(''Aptenodytes forsteri''), 웨델해표(''Leptonychotes weddellii'') 및 남극 밍크고래(''Balaenoptera bonaerensis'')의 주요 먹이이기도 하다.[14][15] 큰 남극이빨고기는 향유고래(''Physeter macrocephalus''), 범고래(''Orcinus orca''), 웨델해표, 그리고 아마도 대왕오징어(''Mesonychoteuthis hamiltoni'')에 의해 먹힌다.
5. 3. 성장 및 번식
남극이빨고기는 어린 시기에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지만, 이후 성장 속도가 느려진다. 5년 후 최대 크기의 약 3분의 1, 10년 후에는 최대 크기의 절반에 도달하며, 이후 성장이 상당히 둔화된다.[19][20] 어릴 때 빠르게 성장하는 것은 상어와 같은 대부분의 포식어류의 적응 전략으로, 오랫동안 작은 상태로 남아있지 않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기록된 최대 수명은 48년이다.[21]성 성숙은 수컷이 13년, 암컷이 17년으로 오래 걸리며, 일단 성숙하면 매년 산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실제 산란 간격은 알려져 있지 않다.[22] 성숙한 알을 가진 남극이빨고기는 극소수만 잡혔으며, 이는 다산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11][23] 겨울 동안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24] 크고 성숙하며 나이가 많은 물고기가 해산에서 잡혔는데, 이곳은 태평양-남극 해령으로 산란에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작고, 성체가 되기 전의 남극이빨고기는 대륙붕의 얕은 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나이가 많은 물고기의 상당 부분은 대륙사면에서 발견된다.[23][24][25] 크기와 나이에 따른 이러한 격리는 작은 물고기가 큰 물고기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한 또 다른 적응일 수 있다. 산란 연령까지의 다산성과 생존율을 모두 측정하는 남극이빨고기의 자원 회복력은 알려져 있지 않다.
6. 어업 및 관리
남극이빨고기 어업은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가 관리하며 1997년부터 존재해 왔다.[25] 로스해에서의 어업은 원래의 어군 크기, 번식력 및 자원 회복과 같은 정확한 개체군 매개변수가 부족하여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25]
CCAMLR의 결정 규칙은 향후 35년 동안 어업을 수행한 후 중앙값 추정 산란 어획량 생물량이 평균 어업 전 산란 생물량의 50% 이상이 되도록 어획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31] 로스해 지역의 현재 남극이빨고기 산란 어획량 생물량은 어업 전 수준의 75%로 추정된다.[31] 어획 시즌은 보통 2월 말에 끝나며, 그 해의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이 해빙으로 덮여 어업에 자연적인 방해가 된다.[29]
맥머도 해협에서 남극이빨고기 서식지 남쪽 가장자리에 있는 대형 물고기가 사라졌다는 보고도 있었지만,[32] 최근 연구에서는 2014년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33]
일부 연구에서는 물고기를 먹는 범고래의 출현이 로스해 남부에서 감소하고, 웨델 물개의 먹이 섭취 효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아델리펭귄(남극 은어의 경쟁자)의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32][34]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맥머도 해협 지역에서 웨델 물개와 C형 범고래가 대형 이빨고기를 잡아먹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했다.[35][36]
로스해와 뉴질랜드 해역 사이의 C형 범고래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연구 증거는 여러 과학자들이 추정했던 것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를 나타낸다.[38]
6. 1. 환경 및 혼획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는 남극이빨고기 어업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엄격한 환경 보호 및 혼획 저감 조치를 시행한다.[45][46][47]- 어선이 3마리 이상의 바닷새를 잡을 경우 어업에서 주간 투망 및 어선 이동을 감시한다.
- 미끼가 달린 갈고리에서 새를 멀리하기 위해 투망 시 스트리머 라인을 사용한다.
- 바닷새가 미끼가 달린 갈고리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빠른 침강 속도를 보장하도록 라인에 추를 단다.
- 라인을 끌어올리는 동안 새가 갈고리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류 배제 장치를 사용한다.
- 바닷새를 유인하지 않도록 투망 및 인양과 동시에 어류 내장 방류를 제한한다. 남극이빨고기가 잡히는 지역인 남위 60°S 이남에서는 모든 내장 투기를 금지하는 추가 요구 사항이 있다.
- 어선에 의한 기름, 플라스틱,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가금류, 달걀 또는 계란 껍질, 하수 및 재의 투기를 금지한다.
- 어선에서 플라스틱 포장 밴드 사용을 금지한다.
이러한 조치들로 인해 어업으로 인한 바닷새의 부수적 사망은 CCAMLR 협약 지역에서 거의 0 수준으로 떨어졌다. 2011-12년에는 남극이빨고기 어획으로 인한 바닷새 또는 해양 포유류의 사망이 기록되지 않았으며, 1996/97년 이후 로스해에서 어업으로 인해 2마리의 바닷새(남극거대갈매기 ''Macronectes giganteus'')만 사망했다.[48]
6. 2. 규정 준수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가 채택한 규정 준수 조치는 모든 남극이빨고기 어업에 적용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어선 해상 검사[49][104]
- 어선 면허 발급[50][106]
- 어선 항만 검사[51][105]
- 위성 연결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어선 위치 지속 보고[52][107]
- 이빨고기 어획물 문서화 제도로, 어획 시점부터 최종 판매 시점까지 이빨고기를 추적, 각 단계에서 정부 당국 확인 및 승인 필요[53][108]
- 면허를 받은 각 선박에 과학 관측자 2명 탑승(선박 기국이 아닌 회원국 관측자 1명 포함)[54][55]
6. 3. 지속 가능성
해양관리협의회(MSC)는 2010년 11월, 로스해 남극이빨고기 어업을 지속 가능하고 잘 관리되는 어업으로 인증했다.[56] 그러나 많은 보존 단체들은 어업을 신뢰할 수 있게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이 인증에 반대하며 논란이 일었다.[57]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IUU) 및 수산물 표시 오류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59][60] 2011년 유전자 연구 결과, 시장에서 판매되는 MSC 라벨 남극이빨고기의 상당 부분이 MSC 인증을 받은 개체군에서 나오지 않았으며, 심지어 많은 수가 이빨고기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61] 그러나 MSC는 자체 내부 조사를 실시하여 표시 오류의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62]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IUU 어업, 표시 오류, 관리 데이터 부족 등 이빨고기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씨푸드 워치와 같은 소비자 수산물 가이드에서는 남극이빨고기를 "회피"해야 할 "적색 목록"에 올리기도 했다.[63] 그러나 2013년 4월, 씨푸드 워치는 최신 국제 과학 정보를 바탕으로 로스해 남극이빨고기 어업을 "좋은 대체" 등급으로 상향 조정했다.[64]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은 2010년에 남극이빨고기를 자사의 수산물 적색 목록에 추가했는데,[67] 이는 MSC의 인증과는 상반된 접근 방식이다.[68]
참조
[1]
사전
Chilean sea bass
Merriam-Webster
2021-03-22
[2]
웹사이트
Toothfish
https://www.colto.or[...]
2021-03-22
[3]
웹사이트
Order Perciformes: Suborder Notothenoididei: Families Bovichtidae, Pseaudaphritidae, Elegopinidae, Nototheniidae, Harpagiferidae, Artedidraconidae, Bathydraconidae, Channichthyidae and Percoph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09-18
[4]
웹사이트
Cof genus Dissostichus
2021-09-18
[5]
논문
On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giant nototheniid fish (Pisces, Nototheniidae) from the McMurdo Sound, Antarctica
Zool. Zhur.
1962
[6]
간행물
Brief review of the biology of ''Dissostichus mawsoni''
CCAMLR Document WG-FSA-98/49, Hobart, Australia
1998
[7]
서적
Antarctic Fish Biology
Academic Press
[8]
학술지
Buoyancy adaptations in a swim-bladderless Antarctic fish
https://onlinelibrar[...]
1981-01
[9]
학술지
Buoyancy Studies of Notothenioid Fishes in McMurdo Sound, Antarctica
https://www.jstor.or[...]
1982
[10]
학술지
Ontogenetic shift in buoyancy and habitat in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Perciformes: Nototheniidae)
http://link.springer[...]
2002-12-20
[11]
학술지
The range of ''Dissostichus mawsoni'' Norman and some features of its biology
1971
[12]
학술지
Behavior of midwater fishes under the Antarctic ice: observations by a predator
http://link.springer[...]
2002-04
[13]
학술지
Underwater video observation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Perciformes: Nototheniidae) in the Ross Sea, Antarctica
http://link.springer[...]
2002-05
[14]
학술지
Pleuragramma antarcticum (Pisces, Nototheniidae) as food for other fishes in McMurdo Sound, Antarctica
http://link.springer[...]
1985
[15]
학술지
The role of notothenioid fish in the food web of the Ross Sea shelf waters: a review
http://link.springer[...]
2004-05-01
[16]
간행물
Diet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from the Ross Sea, Antarctica (CCAMLR Statistical Subarea 88.1)
CCAMLR Sci.
2003
[17]
학술지
Distribution and biology of the colossal squid, Mesonychoteuthis hamiltoni: New data from depredation in toothfish fisheries and sperm whale stomach contents
https://www.scienced[...]
2019-05-01
[18]
간행물
Hypothetical life cycle for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region
CCAMLR Sci.
2008
[19]
학술지
Age and growth of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and Antarctic toothfish (D. mawsoni) in waters from the New Zealand subantarctic to the Ross Sea, Antarctica
https://www.scienced[...]
2002-06-01
[20]
간행물
Age estimation and lead–radium dating of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2010
[21]
간행물
A characterisation of the toothfish fishery in Subareas 88.1 and 88.2 from 1997/98 to 2004/05
CCAMLR WG-FSA-05/29. Hobart, Australia
2005
[22]
간행물
Length- and age-at-spawning of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CCAMLR Sci.
2010
[23]
간행물
Updated species profile for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CCAMLR WG-FSA-10/24. Hobart, Australia
2010
[24]
간행물
Spatial distribution and age structure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Antarctica
CCAMLR WG-FSA-08-18. Hobart, Australia
2008
[25]
학술지
Does large-scale ocean circulation structure life history connectivity in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http://digitalcommon[...]
2012
[26]
논문
Biological implications of low condition factor “axe handle” specimens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from the Ross Sea
2008
[27]
논문
Divergence of brain and retinal anatomy and histology in pelagic Antarctic notothenioid fishes of the sister taxa ''Dissostichus'' and ''Pleuragramma''
2011
[28]
논문
The diet of toothfish species ''Dissostichus eleginoides'' and ''Dissostichus mawsoni'' with overlapping distributions
2011
[29]
간행물
Quantifying the impacts of ice on demersal longlining; a case study in CCAMLR Subarea 88.1
WG-FSA 14/55 rev 2
2014
[30]
보고서
Fishery Report 2014: Exploratory fishery for ''Dissostichus'' spp. in Subareas 88.1 and 88.2
http://www.ccamlr.or[...]
[31]
학술지
Managing fisheries to conserve the Antarctic marine ecosystem: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CCAMLR)
2000
[32]
학술지
Decadal trends in abundance, size and condition of Antarctic toothfish in McMurdo Sound, Antarctica, 1972–2011
2013
[33]
웹사이트
Antarctic toothfish, lost – and found
https://www.scoop.co[...]
University of Canterbury
2014-12-08
[34]
학술지
Trophic interactions and population trends of killer whales (''Orcinus orca'') in the Southern Ross Sea
2012
[35]
보고서
A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Evidence for a Possible Dependence of Weddell Seals (''Leptonychotes weddellii'') on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Antarctica
https://www.niwa.co.[...]
2013
[36]
논문
To what extent do type C killer whales (''Orcinus orca'') feed on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Antarctica?
2013
[37]
웹사이트
Results of the third CCAMLR sponsored research survey to monitor abundance of subadult Antarctic toothfish in the southern Ross Sea, February 2014 and development of the time series WG-FSA 14/41
http://www.niwa.co.n[...]
2014
[38]
저널
Seasonal site fidelity and movement of type-C killer whales between Antarctica and New Zealand
https://www.research[...]
2016-10-08
[39]
웹사이트
Orca discovery excites scientists
http://www.stuff.co.[...]
2016-10-08
[40]
보고서
Report of the Thirty-Third Meeting of the Scientific Committee Hobart, Australia 20–24 October 2014
https://www.ccamlr.o[...]
Scientific Committee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41]
웹사이트
CAMLR Convention text - CCAMLR
http://www.ccamlr.or[...]
2016-10-08
[42]
간행물
Limits on the exploratory fishery for ''Dissostichus'' spp. in Statistical Subarea 88.1 in the 2014/15 season. and Limits on the exploratory fishery for ''Dissostichus'' spp. in Statistical Subarea 88.2 in the 2014/15 and 2015/16 seasons.
http://www.ccamlr.or[...]
2014
[43]
간행물
Longline weighting for seabird conservation
http://www.ccamlr.or[...]
2014
[44]
논문
Pretty good yield and exploited fishes
2010
[45]
웹사이트
CCAMLR CM 25-02
http://www.ccamlr.or[...]
[46]
웹사이트
CCAMLR CM 24-02 and CCAMLR CM 25-02
http://www.ccamlr.or[...]
[47]
웹사이트
CCAMLR CM 26-01
http://www.ccamlr.or[...]
2016-10
[48]
웹사이트
SC-CAMLR-XXXI - CCAMLR
http://www.ccamlr.or[...]
2016-10-08
[49]
웹사이트
Log in | CCAMLR Accounts
https://accounts.cca[...]
[50]
웹사이트
Conservation Measure 10-02 (2011) - CCAMLR
http://www.ccamlr.or[...]
2016-10-08
[51]
웹사이트
Conservation Measure 10-03 (2009) - CCAMLR
http://www.ccamlr.or[...]
2016-10-08
[52]
웹사이트
Conservation Measure 10-04 (2010) - CCAMLR
http://www.ccamlr.or[...]
2016-10-08
[53]
웹사이트
Conservation Measure 10-05 (2009) - CCAMLR
http://www.ccamlr.or[...]
2016-10-08
[54]
웹사이트
Conservation Measure 41-09 (2014) - CCAMLR
https://www.ccamlr.o[...]
2016-10-08
[55]
웹사이트
Conservation Measure 41-10 (2014) - CCAMLR
https://www.ccamlr.o[...]
2016-10-08
[56]
웹사이트
Ross Sea Toothfish Fishery
http://www.msc.org/t[...]
2012-09-26
[57]
저널
Questionable stewardship: A review of formal objections to MSC fisheries certifications
2013
[58]
웹사이트
Surveillance Report Ross Sea Toothfish Longline Fishery
https://www.msc.org/[...]
2015-09-01
[59]
서적
Hooked: Pirates, Poaching and the Perfect Fish
https://archive.org/[...]
Rodale
2006
[60]
뉴스
A politically incorrect fish makes a comeback
https://www.wsj.com/[...]
2007-01-27
[61]
저널
Genetic detection of mislabeled fish from a certified sustainable fishery
2011
[62]
웹사이트
UPDATE: Lack of evidence blocks MSC investigation into toothfish mislabelling claims — Marine Stewardship Council
http://www.msc.org/n[...]
2016-10-08
[63]
웹사이트
Seafood Watch (2012)
http://www.montereyb[...]
[64]
뉴스
Chilean Seabass Seafood Watch Report
http://www.montereyb[...]
2013-04-19
[65]
웹사이트
Toothfish Recommendations from the Seafood Watch Program
http://www.seafoodwa[...]
2023-09
[66]
웹사이트
Monterey Bay Aquarium Seafood Watch - Chilean Seabass
http://www.seafoodwa[...]
2015-09-01
[67]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68]
웹사이트
Ross Sea toothfish longline — Marine Stewardship Council
http://www.msc.org/t[...]
2016-10-08
[69]
논문
Underwater video observation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Perciformes: Nototheniidae) in the Ross Sea, Antarctica.
2002
[70]
논문
Biological implications of low condition factor “axe handle” specimens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from the Ross Sea.
2008
[71]
논문
Divergence of brain and retinal anatomy and histology in pelagic Antarctic notothenioid fishes of the sister taxa ''Dissostichus'' and ''Pleuragramma''
[72]
논문
The diet of toothfish species ''Dissostichus eleginoides'' and ''Dissostichus mawsoni'' with overlapping distributions
[73]
논문
On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giant nototheniid fish (Pisces, Nototheniidae) from the McMurdo Sound, Antarctica
[74]
간행물
Brief review of the biology of ''Dissostichus mawsoni''
CCAMLR
[75]
서적
Antarctic fish biology
Academic Press
[76]
논문
Buoyancy adaptations in a swim-bladderless Antarctic fish
[77]
논문
Buoyancy studies of notothenioid fishes in McMurdo Sound, Antarctica
[78]
논문
Ontogenetic shift in buoyancy and habitat in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Perciformes: Nototheniidae)
[79]
논문
The range of ''Dissostichus mawsoni'' Norman and some features of its biology
[80]
논문
Behaviour of midwater fishes under the Antarctic ice: observations by a predator
[81]
논문
''Pleuragramma antarcticum'' (Pisces, Nototheniidae) as food for other fishes in McMurdo Sound, Antarctica
[82]
논문
The role of notothenioid fish in the food web of the Ross Sea shelf waters: a review
[83]
간행물
Diet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from the Ross Sea, Antarctica (CCAMLR Statistical Subarea 88.1)
CCAMLR Sci.
[84]
간행물
Hypothetical life cycle for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region
CCAMLR Sci.
[85]
논문
Age and growth of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and Antarctic toothfish (''D. mawsoni'') in waters from the New Zealand Subantarctic to the Ross Sea, Antarctica
[86]
논문
Age estimation and lead–radium dating of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87]
간행물
A characterisation of the toothfish fishery in Subareas 88.1 and 88.2 from 1997/98 to 2004/05
CCAMLR WG-FSA-05/29
[88]
간행물
Length- and age-at-spawning of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CCAMLR Sci.
[89]
간행물
Updated species profile for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CCAMLR WG-FSA-10/24
[90]
간행물
Spatial distribution and age structure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in the Ross Sea, Antarctica
CCAMLR WG-FSA-08-18
[91]
논문
Does large-scale ocean circulation structure life history connectivity in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92]
논문
Does large-scale ocean circulation structure life history connectivity in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93]
논문
Fishing down the foodweb of the Antarctic shelf and slope
[94]
서적
Unnatural selection of Antarctic Toothfish in the Ross Sea
http://www.cassandra[...]
Springer
[95]
논문
Decadal trends in abundance, size and condition of Antarctic toothfish in McMurdo Sound, Antarctica, 1972-2011
[96]
논문
Trophic interactions and the decrease in Killer Whale (''Orcinus orca'') prevalence with reduced availability of large fish in the southern Ross Sea
[97]
웹사이트
SC-CAMLR-XXXI, Table 1
http://www.ccamlr.or[...]
[98]
웹사이트
CCAMLR CM 25-02
http://www.ccamlr.or[...]
[99]
웹사이트
CCAMLR CM 24-02 and CCAMLR CM 25-02
http://www.ccamlr.or[...]
[100]
웹사이트
CCAMLR CM 26-01
http://www.ccamlr.or[...]
2017-09
[101]
웹사이트
SC-CAMLR-XXXI, paragraphs 4.2-4.3
http://www.ccamlr.or[...]
[102]
간행물
Diet of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from the Ross Sea, Antarctica, CCAMLR statistical subarea 88.1
CCAMLR Science
[103]
논문
On the Pattern of Oogenesis, Type of Spawning, and Fecundity of Moray Cod Muraenolepis evseenkoi (Muraenolepidae: Gadiformes)
[104]
웹사이트
CCAMLR System of Inspection
http://www.ccamlr.or[...]
2012-12-04
[105]
웹사이트
CCAMLR CM 10-03
http://www.ccamlr.or[...]
[106]
간행물
CCAMLR CM 10-02
http://www.ccamlr.or[...]
[107]
간행물
CCAMLR CM 10-04
http://www.ccamlr.or[...]
[108]
간행물
CCAMLR CM 10-05
http://www.ccamlr.or[...]
[109]
웹사이트
Ross Sea Toothfish Fishery
http://www.msc.org/t[...]
2012-09-26
[110]
논문
Questionable stewardship: A review of formal objections to MSC fisheries certifications
2012
[111]
간행물
Statistical Bulletin, Vol. 24
CCAMLR
2012
[112]
서적
Hooked: Pirates, Poaching and the Perfect Fish
Rodale, Inc.
2006
[113]
뉴스
A politically incorrect fish makes a comeback
Wall Street Journal
2007-01-28
[114]
논문
Genetic detection of mislabeled fish from a certified sustainable fishery
2011
[115]
웹사이트
http://www.msc.org/n[...]
[116]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s://web.archive.[...]
2013-01-03
[117]
뉴스
Chilean Seabass Seafood Watch Report
http://www.montereyb[...]
2013-04-19
[118]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