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낫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낫전차는 바퀴에 칼날을 부착하여 적을 공격하는 고대 병기이다. 기원전 5세기경 마가다 왕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페르시아 제국, 헬레니즘 시대, 고대 로마, 켈트족 등 다양한 지역과 시기에 등장했다. 낫전차는 기원전 47년 젤라 전투에서 로마군에 의해 마름쇠로 격파되며 쇠퇴했다. 이후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낫전차를 재해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차 (고대 무기) - 전차 경주
    고대 스포츠 경기인 전차 경주는 기원전 13세기부터 존재했으며,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시작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는 대중 오락으로 자리 잡았고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계속되었다.
  • 전차 (고대 무기) - 키르쿠스
    키르쿠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전차 경주 등을 위해 건설된 장방형 형태의 대규모 경기장 건축물이며, 중앙 분리대와 회전 지점을 갖추고 신분에 따라 좌석이 배정되었다.
낫전차
기본 정보
페르시아 낫전차 돌격 (가우가멜라 전투, 앙드레 카스타뉴 그림)
페르시아 낫전차 돌격 (가우가멜라 전투, 앙드레 카스타뉴 그림)
종류병거
역사
제작자아자타샤트루
제작 국가마가다 왕국
사용 국가마가다 왕국
아케메네스 제국
조나라
디아도코이
첫 사용마가다-밧지 전쟁
무장
주무기

2. 역사

낫전차는 여러 문명에서 독립적으로 개발되거나 다른 문명의 영향을 받아 사용되었다. 고대 인도의 마가다 왕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자이나교 문헌에 관련 기록이 남아있다.[10] 고대 그리스크세노폰은 쿠낙사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제국의 낫전차를 목격했다.[10]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 유적에서도 낫전차 바퀴가 발견되었다.[10]

페르시아는 그리스 중보병 호플리테스와의 전투 경험을 통해 낫전차를 도입한 것으로 추정되며,[2][3] 이후 헬레니즘 시대 여러 왕국에서 낫전차가 사용되었다.[10] 헬레니즘 세계에서 낫전차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기록은 기원전 47년 젤라 전투이다.[10] 고대 로마군은 마름쇠 등을 이용해 낫전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했다.[10]

기원후 43년 로마의 브리튼 섬 침공 당시 브리튼의 켈트족이 낫전차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지만,[10]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아일랜드 신화에도 낫전차가 등장하지만, 신화가 기록된 시기가 늦어 켈트족의 낫전차 사용 증거로 보기는 어렵다. 기원후 22년경 북사하라 유목 민족이 낫전차를 사용했다는 기록도 있다.[6]

2. 1. 고대 인도

마가다 왕국의 아자타샤트루 왕이 '''라타 무살라'''라는 낫전차를 개발하여 마가다-밧지 전쟁에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자이나교 문헌에서 발견되었다.[10]

2. 2. 페르시아 제국

고대 그리스크세노폰은 쿠낙사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제국의 낫전차를 목격했다.[10] 크세르크세스 1세의 그리스 침공 때는 낫전차가 언급되지 않아, 페르시아는 그리스 중보병과의 전투 경험 이후 낫전차를 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2][3] 낫전차는 보병 대형을 붕괴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다음은 낫전차가 승리한 기록이다.



병사들은 물자를 부주의하게 모으는 습관이 있었고,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파르나바주스는 낫전차 2대와 기병 약 400명을 이끌고 평야에 흩어져 있을 때 그들에게 들이닥쳤다. 그리스인들은 그가 그들에게 돌진하는 것을 보고 서로 합류하기 위해 달려갔고, 총 700명 정도였다. 그러나 파르나바주스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다. 전차를 앞에 세우고 기병대를 뒤따라 명령을 내렸다. 전차는 그리스 부대에 돌진하여 밀집 대형을 붕괴시켰고, 기병대는 곧 약 100명을 베어 넘겼다. 나머지는 도망쳐서 아게실라오스에게 의탁했는데, 그는 홉라이트들과 가까이 있었다.[5]


2. 3. 헬레니즘 시대

페르시아가 낫전차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운용하자 헬레니즘 시대의 여러 왕국들도 낫전차를 이용했다.[10] 헬레니즘 세계에서 낫전차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기록은 기원전 47년 젤라 전투이다.[10]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의 부대가 기원전 89년 암니아스 강 전투에서 비티니아 군대를 격파했을 때도 낫전차가 사용되었다.

2. 4. 고대 로마

고대 로마군은 마름쇠를 이용하거나 수직 기둥을 설치하여 폰토스의 낫전차를 효과적으로 방어했다.[10] 로마 제국 시대에는 낫전차의 변형된 형태가 실험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 5. 켈트족

기원후 43년 로마가 브리튼 섬을 침공했을 때, 브리튼의 켈트족이 낫전차를 타고 로마에 맞서 싸웠다는 기록이 있다.[10] 그러나 켈트인들이 전차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낫전차를 사용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로마 측이 전공을 부풀리기 위해 켈트인들의 장비를 과장해서 묘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아일랜드 신화의 얼스터 대계 쿠얼러의 소몰이에도 낫전차가 등장하지만, 아일랜드 신화가 글로 기록된 것은 중세 이후이기 때문에 이것이 켈트인들이 낫전차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될 수 없다.

브리타니아의 로마 정복과 관련하여, 당시 로마 지리학자 폼포니우스 멜라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그들은 말뿐만 아니라 갈리아식 무기로 무장한 두 마리 말 전차와 수레에서도 전쟁을 하는데, 그들은 그것을 코빈니라고 부르며, 수확용 낫이 달린 차축을 사용한다.

낫전차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늦은 로마 시대의 브리타니아에서 인간이 사용하기에는 너무나 다루기 힘든 크고 무거운 수확용 낫 칼날이 몇 개 발견되었다.

하지만, 낫전차는 초기 아일랜드 문학의 얼스터 사이클의 중심 서사시인 《쿠얼러의 소몰이》(Táin Bó Cúailnge)에 등장한다.

2. 6. 고대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유적에서 청동 날이 달린 전차 바퀴가 발견되었다.[10] 주나라 시대의 중국 유적지에서도 전차 바퀴용 톱니 모양의 청동 날이 발굴되었다.

2. 7. 사하라 유목민

스트라본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후 22년경 북사하라의 유목 민족인 파루시와 니그리테스가 낫전차를 사용했다.[6]

3.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낫전차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낫 전차를 새롭게 디자인하여 제안했다.[9]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논문 Once more on the origin of the Scythed Chariot http://www.ancienthi[...] The Ancient History Bulletin
[5] 서적 Hellenica
[6] 서적 Geography
[7] 서적 0044
[8] 웹사이트 The Scythed Chariot http://adminstaff.va[...] 2023-03-15
[9] 웹사이트 Scythed chariots http://www.universal[...] University of the Arts 2009-08-14
[10]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