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는 1964년 콘라드 아우베르가 설계하고 네오플란에서 생산한 2층 버스이다. 1967년 첫 차량 생산을 시작으로, 1970년대에는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일본 등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 스카이라이너는 2층 버스의 안전성 문제로 여러 차례 사고가 발생했으며, 2006년부터 전자식 주행 안정화 제어 장치가 도입되었다. 현재는 MAN 디젤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안전 및 편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오플란의 차종 - 네오플란 센트로라이너
네오플란 센트로라이너는 독일 네오플란에서 제작한 다양한 스타일과 크기의 버스 모델로, 특히 홍콩에서 2층 버스로 인기를 끌었으며 일본에서는 스쿨버스 및 노선버스로 운행되었다. - 네오플란의 차종 - 네오플란 점보크루저
네오플란 점보크루저는 네오플란에서 1975년 제조되었으나 정식 생산되지 못한 2층 버스 모델로, 벨기에-스페인 노선에서 운행되다가 사고 후 개조되어 침대 버스로 판매되기도 했다. - 1964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1964년 도입된 자동차 - 포르쉐 911
포르쉐 911은 포르쉐에서 생산하는 2+2 시트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7세대에 걸쳐 후륜 수평대향 6기통 엔진과 독특한 디자인을 유지하며 스포츠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버스 차종 - 쌍용 트랜스타
쌍용 트랜스타는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 O-404 버스를 개량하여 1994년에 출시한 대형 버스로, 혁신적인 특징과 해외 시장에서의 품질 인정에도 불구하고 1998년 경영난으로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코스터는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버스로, 1969년 다이나 플랫폼 기반으로 출시되어 현재 4세대까지 다양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스쿨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네오플란 버스 GmbH, MAN Nutzfahrzeuge AG 자회사 |
별칭 | 해당 없음 |
생산 기간 | 1967년–현재 |
차종 | 코치 |
차체 스타일 | 2층 다축 투어링 코치 |
레이아웃 | 종방향 후방 엔진 설계 |
엔진 | |
엔진 종류 | 12.5 L MAN D2676 LOH 직렬 6기통 멀티 밸브 CR 터보 디젤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12단 TipMatic ZF AS Tronic 자동화 수동 변속기 |
크기 | |
휠베이스 | 6700 및 1470 mm |
전장 | 14.00 m |
전폭 | 2.55 m |
전고 | 4.00 m |
공차중량 | 26000 kg (총중량) |
관련 정보 | |
관련 차량 | 해당 없음 |
디자이너 | 콘라드 아우베르 |
생산 | |
생산 공장 | Plauen, Saxony, Germany Akyurt, Ankara, Turkey |
2. 역사
1964년 창립자의 차남 콘라트 아우베르터가 2층 버스 설계를 발표하면서 상용차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33] 1967년 4월 슈투트가르트 공장에서 1호차 생산을 시작으로 상용화되었다.[34] 1973년 필스팅에 두 번째 공장을,[35][36] 1974년 12월 가나에 세 번째 공장을 가동하여[35] 생산량을 늘렸다.[36]
1975년 네오플란 점보크루저를 생산하기 시작했고,[36] 1978년 남아메리카와 일본 사양 모델이 출시되었다. 일본 사양은 차량 법규에 따라 전고가 낮아지고 비상탈출구와 오른쪽 핸들이 적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유럽제 엔진을 탑재했으나 나중에 일본제 엔진 탑재가 가능하도록 개량되었다. 1985년에는 전장 9m를 단축시킨 일본제 사양이 출시되었다.
1983년부터 2000년까지 4축 네오플란 메갈라이너가 스카이라이너의 대형 생산 모델로 생산되었다.
2003년 3월 체코에서, 5월 프랑스에서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여[15][16][18], 2006년에 전복 방지를 위한 전자식 주행 안정화 제어 장치가 추가되었다.[19] 2007년 1월, 영국에서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가 운행하던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20] 이 사고는 과속이 원인이었으며, 운전자는 위험 운전으로 인한 사망 혐의로 기소되어 5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4][25]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모델 (1964년 ~ 1970년대)
1964년, 창업자 차남 콘라트 아우베르터(Konrad Auwärter)가 학위 논문의 일환으로 이층 버스 디자인 ''Do-Bus''를 개발했다.[5] ''Do-Bus''는 경량 차체를 가졌으며, 100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었다.[5] 또한, 낮은 평평한 바닥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 장착 스티어링 기어가 있는 낮은 프레임 앞 차축을 특징으로 했다.[5][6] 콘라트 아우베르터는 이 디자인을 통해 당시 상용차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33]
1967년 4월, 슈투트가르트 공장에서 1호 차량 생산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상용화에 들어갔다.[34] 당시 버스 업계는 이층 버스의 높은 차체 때문에 차량 롤링 안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콘라드 아우베르터는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슈투트가르트에서 벨기에 브뤼셀까지 직접 차를 몰고 가며 차량 안전성을 증명했다.
1973년, 추가 생산을 위해 필스팅(Pilsting)에 두 번째 공장을 가동했으며,[35][36] 1974년 북아메리카 사양 모델이 출시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가나 쿠마시(Kumasi)에 공장이 완공되어[35]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36]
1975년에는 대용량 수송을 위해 네오플란 점보크루저 생산을 시작했다.[36] 1978년에는 남아메리카 및 일본 사양 모델이 출시되었다. 일본 사양 모델은 차량 법규에 따라 전고가 3.8m 낮아지고 비상탈출구와 오른쪽 핸들이 적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유럽제 엔진을 탑재했으나, 이후 일본제 엔진 탑재가 가능하도록 개량되었다. 1979년에는 운전석 위 승객 공간을 확장한 네오플란 스페이스라이너(Spaceliner)가 출시되었다.[10]
2. 2. 일본 시장 진출 (1970년대 후반 ~ 1990년대)
1979년 주오 교통(오사카부)가 처음으로 스카이라이너를 수입하면서, 일본에서 장거리/야간 운행 및 관광 버스로 인기를 얻었다.[14] 이를 계기로 일본 버스 회사들은 2층 버스 수입 붐을 일으켰고, 1961년 히노 비스타 코치 이후 18년 만에 일본 국내 버스 제조사들도 2층 버스를 개발하게 되었다. 많은 버스 회사가 스카이라이너를 간판 차량으로 도입했고, 중소 전세 버스 사업자를 위해 전장 9m 사양의 차량(클럽라이너)도 수입되었다.[14] 일본의 많은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 버스는 닛산 디젤 또는 이스즈와 같이 일본 내에서 생산된 동력 전달 장치와 엔진을 사용했다.1981년 4월, 도쿄도 교통국은 다이토구의 위탁을 받아 우에노히로코지 - 아사쿠사 가미나리몬 간의 2계통에 스카이라이너를 도입했다. 1983년에는 조반 교통이 이와키 - 고리야마 - 아이즈와카마츠선 "스완호"에 도입하여 2층 버스 노선 운행 가능성을 모색했다.
1997년에는 JR 버스 간토가 넓은 실내 공간에 주목하여 심야 고속버스 "드림호"에 스카이라이너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독립 3열 시트를 갖춘 스카이라이너는 주오 교통과 로렐 관광 버스도 도입하여 주로 도시 간 심야 투어 버스로 운용되었는데, 이는 유럽 버스에서는 보기 힘든 독립 3열 시트 사양을 순정 시트로 실현한 것으로 일본 시장에 맞춘 사례로 볼 수 있다.
히노마루 자동차 공업은 도쿄도 교통국에서 구입한 스카이라이너 3대를 독일로 보내 2층 부분을 오픈 탑 버스로 개조하여 2004년 9월부터 "스카이 버스 도쿄"에 투입했다. 이 차량은 과거 우에노히로코지 - 아사쿠사 가미나리몬 간에서 운행했던 2세대 차량이었다. 2012년에는 "아메리칸 드림"으로 도입했던 4대도 스카이 버스로 개조했다.
특이한 사례로 아트 인테리어 센터가 1983년에 도입한 "드림 살롱 나이스 21"이 있다. 이 차량은 1층 전체를 짐칸으로, 2층에 객실 공간을 설치하여 이삿짐과 거주자를 동시에 수송할 수 있게 했다.[28] 그러나 배리어 프리 대응이 어려워 현재는 대체되었다.
2. 3. 미국 및 영국 시장 (1980년대 ~ 현재)
1989년, 네오플란의 미국 자회사인 네오플란 USA는 미국 생산 버전의 스카이라이너 AN122/3을 출시했다.[11] AN122/3은 제조사(American Neoplan), 모델(122), 차축 수(3)를 의미하며, 미국 내 생산은 바이 아메리카 법의 요건에 따라 연방 보조금 자격을 부여받았다.[11] AN122/3는 일반적으로 시내 버스에 장착되는 Detroit Diesel Series 60 엔진과 Allison B500 변속기를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2층 버스가 나머지 버스 차량들과 부품 재고 및 유지보수 시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11]스카이라이너는 주로 캘리포니아에서 채택되었으며, 시카고와 뉴욕 시의 관광 사업자들을 위해 오픈탑 스카이라이너를 소량 주문했다. 캘리포니아 지역에서는 오클랜드의 AC Transit가 1983년 4월에 AN122/3 한 대를 평가했지만, 차량 구매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2] 로스앤젤레스의 Southern California Rapid Transit District는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 네오플란 USA 스카이라이너를 운영했다. 안텔로프 밸리 교통국도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에 랭커스터-로스앤젤레스 노선에서 스카이라이너를 운행했다. 오픈탑 AN122/3는 뉴욕 시의 Big Taxi Tours와 시카고의 Chicago Trolley & Double Decker Co.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에서도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는 인기를 얻었다. 스테이지코치 그룹(Stagecoach)은 1980년대에 회사 초창기에 개발된 새로운 코칭 사업부를 위해 일부 우측 운전대 스카이라이너를 구매했다. 2004년에는 옥스퍼드 튜브와 메가버스(Megabus)를 포함한 현대적인 코칭 사업부를 위해 N122/3L 스카이라이너 25대를 추가로 구매했다.[13] 트래선스 여행 서비스(Trathens Travel Services)는 플리머스에 있으며, 2005년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National Express Coaches) 계약을 위해 일부 스카이라이너를 구매했다.
다음은 미국과 영국에서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를 운행했거나 운행 중인 주요 사업자들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국가 | 지역 | 사업자 | 도입 연도 | 비고 |
---|---|---|---|---|
미국 | 캘리포니아 | AC Transit | 1983년 | 평가 후 구매 안 함[12] |
미국 | 로스앤젤레스 | Southern California Rapid Transit District | 1980년대 | |
미국 | 안텔로프 밸리 | 안텔로프 밸리 교통국 | 1990년대 후반 | |
미국 | 뉴욕 | Big Taxi Tours | 불명 | 오픈탑 개조 |
미국 | 시카고 | Chicago Trolley & Double Decker Co. | 불명 | 오픈탑 개조 |
영국 | 전국 | 스테이지코치 그룹 | 1980년대, 2004년 | |
영국 | 플리머스 | 트래선스 여행 서비스 | 2005년 |
2. 4. 대한민국 도입 현황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는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서울과 대구에서 관광 버스로 사용되고 있다.[14] 특히 대구시티투어버스에서 운행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3. 안전 문제 및 사고
2003년 3월, 체코 남보헤미아 주 나지들라 인근에서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9명이 사망하고, 2년 후 부상으로 1명이 추가로 사망하여 총 20명이 사망했다.[15] 3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16] 이 사고는 체코 공화국 역사상 최악의 버스 사고였다.[17]
2003년 5월에는 프랑스 고속도로에서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가 전복되어 28명이 사망했다.[18] 프랑스 조사관들은 이층 버스 운전자가 차량의 상대적인 불안정성 때문에 특별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같은 해 유럽 경제 위원회에 제출된 별도의 연구에 따르면, 높은 측면을 가진 버스는 표준 단층 버스보다 사고 시 전복될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 이에 독일 제조업체는 2006년에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각 바퀴를 개별적으로 제동하는 전자식 주행 안정화 제어 장치(ESP)를 추가했다.[19]
2007년 1월,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가 운행하는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가 히드로 공항 근처 M25 고속도로에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명의 승객이 사망했고,[20] 6개월 후 세 번째 승객이 사고로 인한 부상으로 사망했다.[21] 회사는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12대의 스카이라이너 운행을 일시 중단했다.[22][23] 이 사고는 과속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운전자는 위험 운전으로 인한 사망 혐의 3건으로 기소되어[24] 5년 징역형과 3년간 운전 면허 정지 처분을 받았다.[25] 차량 자체의 안전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26] 한편, 2006년에 신차에 도입된 전자식 주행 안정화 제어 시스템은 이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았다.[19]
4. 기술적 특징
스카이라이너는 3축 구조로, '태그' 방식의 세 번째 차축은 조향이 가능하여 타이어 마모를 줄여준다.[1] 전면에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되었고, 앞 차축과 세 번째 차축에는 독립 현가 장치를, 구동 차축에는 솔리드 방식을 사용한다.[1]
안전 기능으로는 전자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EBS), 브레이크 보조(BA), 전자식 주행 안정 프로그램(ESP)이 기본 제공된다.[1] 또한 최대 속도 제어(MSC)와 사고 데이터 기록 장치(ADR)가 장착되어 있으며,[1] 선택 사양으로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LGS)을 추가할 수 있다.[1]
최대 허용 차량 중량은 26000kg이며, 수하물 용량은 최대 7.9m3이다.[1]
4. 1. 모델 종류 및 사양 (2009년 ~ 현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2층 스카이라이너는 스카이라이너 C와 스카이라이너 L 두 가지 길이로 출시되었다.[1] 스카이라이너 C는 12.44m , 스카이라이너 L은 13.79m 길이였다.[1] 스카이라이너 C는 69명의 승객과 2명의 승무원(운전기사와 스튜어드)을 수용하며, 스카이라이너 L은 77명과 2명을 수용했다.[1] 2019년부터 네오플란 스카이라이너는 14m으로 길이가 늘어났으며, 최대 2개의 휠체어 공간을 포함하여 83명의 승객과 2명의 승무원(운전기사 및 스튜어드)을 수용할 수 있다.동력 전달 장치는 네오플란의 모회사인 MAN에서 공급받은 MAN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유로 VI 등급 디젤 연료 내연 기관은 12419cc 배기량의 12.5리터 MAN D2676 LOH 02 직렬 6기통 (R6) 커먼 레일 터보디젤로, 인터쿨러, 실린더당 4개의 밸브, 직접 연료 분사 방식을 사용한다.[1][3][4] Bosch EDC7 전자 엔진 제어 장치, 'PM-KAT' 촉매 변환기도 사용한다.[3][4] 1,900 분당 회전수 (rpm)에서 DIN 정격 구동 출력, 1,050-1,400 rpm에서 토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1][3][4] 엔진은 후방에 세로 방향으로 수직 장착되며,[1][3][4] 12단 TipMatic ZF AS Tronic 자동 수동 변속기를 통해 출력을 후방 도로 바퀴로 전달한다.[1]
스카이라이너의 흥미로운 설계는 '태그' 방식의 세 번째 차축이다. 이는 조향 시 움직이며, 이중 후방 차축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타이어 마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1] 전면에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앞 차축과 세 번째 트레일링 차축에는 독립 현가 장치, 구동 차축은 솔리드 버전이다.[1]
표준 안전 기능은 전자 제어 제동 시스템 (EBS), 브레이크 보조 (BA), 전자식 주행 안정 프로그램 (ESP)이 있다.[1] '최대 속도 제어' (MSC)라는 속도 제한 장치, 사고 데이터 기록 장치 (ADR)도 장착되어 있다.[1] 선택 사양으로 코치가 차선을 벗어날 경우 운전석을 진동시키는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LGS)이 있다.[1]
최대 허용 차량 중량은 이며, 총 수하물 용량은 최대 까지 가능하다.[1]
모델 | 내연 기관 | 최대 출력 @ rpm | 최대 토크 @ rpm | 변속기 | 휠베이스 | 길이 | 너비 | 높이 | |||
---|---|---|---|---|---|---|---|---|---|---|---|
스카이라이너 C (2층 다축)[1] | MAN D2676 LOH 02, 12412cc R6 커먼 레일 터보디젤 | @ 1,900 | @ 1,050-1,400 | 12단 TipMatic ZF AS Tronic 자동 수동 | |||||||
스카이라이너 L (2층 다축)[1] | MAN D2676 LOH 02, 12412cc R6 커먼 레일 터보디젤 | @ 1,900 | @ 1,050-1,400 | 12단 TipMatic ZF AS Tronic 자동 수동 |
2009년 모델은 전장 12.44m의 "스카이라이너 C"와 전장 13.79m의 "스카이라이너 L"이 있다. 모두 2층 구조에 3축 모델이며, 엔진은 MAN 사의 12412cc 직렬 6기통 커먼레일식 디젤 터보 엔진 D2676(473마력)을 탑재한다.
일본 시장을 위해 개발된, 전장 9m 사양의 차체는 클럽라이너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Neoplan Skyliner
http://www.neoplan.d[...]
Neoplan.de
"0908"
[2]
웹사이트
The strategy of the Neoplan VIP Class brand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3]
웹사이트
MAN D2066, D2676 Common-Rail Euro4 vehicle diesel engines
http://www.neoplan.i[...]
Neoplan.info
2009-12-01
[4]
웹사이트
Technical data - Diesel engines for Buses
http://www.neoplan.i[...]
Neoplan.info
2009-12-01
[5]
웹사이트
Milestones - History from 1961 to 1964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6]
웹사이트
History - The story of Neoplan Bus GmbH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7]
웹사이트
Milestones - History from 1965 to 1971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8]
웹사이트
Locations - The plants of Neoplan Bus GmbH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9]
웹사이트
Milestones - History from 1972 to 1975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10]
웹사이트
Milestones - History from 1976 to 1981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11]
웹사이트
Neoplan Skyliner AN122/3
http://www.neoplanus[...]
[12]
웹사이트
AC Transit Bus Roster: Test Buses {{!}} Double Deck: 1983
https://www.actransi[...]
AC Transit
2022-04-15
[13]
웹사이트
Stagecoach gets first new skylines {{!}} 15 February 1986 {{!}} The Commercial Motor Archive
http://archive.comme[...]
2017-09-05
[14]
웹사이트
The NEOPLAN Skyliner success story | NEOPLAN
https://www.neoplan.[...]
[15]
문서
Nehoda u Nažidel
[16]
웹사이트
Nineteen dead, 34 injured in horrific bus crash
http://www.radio.cz/[...]
Český rozhlas
2003-03-10
[17]
웹사이트
Tragická nehoda autobusu Nažidla 2003
http://www.autobus20[...]
Nažidla 2003
2010-04-06
[18]
뉴스
Profile: Neoplan Skyliner
http://news.bbc.co.u[...]
2007-01-06
[19]
뉴스
Design inherently unstable, say investigators
http://www.timesonli[...]
2007-01-05
[20]
뉴스
Two dead after M-way coach crash
http://news.bbc.co.u[...]
2007-01-04
[21]
뉴스
Coach crash injuries caused death
http://news.bbc.co.u[...]
2007-07-20
[22]
뉴스
National Express removes coach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04
[23]
뉴스
Coach crash firm withdraws bus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04
[24]
뉴스
Coach driver faces death charg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7-23
[25]
뉴스
M25 coach deaths driver is jailed
http://news.bbc.co.u[...]
2008-11-26
[26]
뉴스
Coach death driver pleads guilty - No safety problems
http://news.bbc.co.u[...]
2008-10-15
[27]
웹사이트
Milestones - History from 1961 to 1964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28]
문서
金子修介監督・織田裕二主演の映画『就職戦線異状なし』で最終盤の重要なシーンに登場する。
[29]
웹인용
NEOPLAN Skyliner
http://www.neoplan.d[...]
NEOPLAN.de
"0908"
[30]
웹인용
The strategy of the NEOPLAN VIP Class brand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31]
웹인용
MAN D2066, D2676 Common-Rail Euro4 vehicle diesel engines
http://www.neoplan.i[...]
NEOPLAN.info
2009-12-01
[32]
웹인용
Technical data - Diesel engines for Buses
http://www.neoplan.i[...]
NEOPLAN.info
2009-12-01
[33]
웹인용
Milestones - History from 1961 to 1964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34]
웹인용
Milestones - History from 1965 to 1971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35]
웹인용
Locations - The plants of Neoplan Bus GmbH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36]
웹인용
Milestones - History from 1972 to 1975
http://www.neoplan.d[...]
Neoplan.de
2009-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