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은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운동의 분열 속에서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의 연합을 목표로 1923년 결성되었다. 코민테른에 대항하여 독일 함부르크에서 창립 대회를 열고, 각 정당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느슨한 연합 형태로 운영되었다. 아서 헨더슨을 초대 의장으로,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두었으며, 제2 인터내셔널의 연장선상에서 활동했다. 나치즘의 대두와 공산주의와의 협력 문제로 내부 분열을 겪었으며, 스페인 내전 지원 활동을 펼쳤다. 식민지 문제에 대해서는 런던식민지국제(LSI)는 일반적으로 식민주의를 지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해산되었으며, 1951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그 활동이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파 국제정당 - 진보주의 인터내셔널
    진보주의 인터내셔널은 유럽 민주주의 운동 2025와 샌더스 연구소의 제안으로 2020년 출범한 국제적인 진보 세력 연대 조직으로, 권위주의적 민족주의와 재앙 자본주의에 대응하고 진보 세력을 통합, 조직, 동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좌파 국제정당 - 국제사회주의정당사업협동체
    국제사회주의정당사업협동체(IWUSP)는 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운동의 분열 속에서 중도적 입장을 가진 정당들이 결성한 국제 조직으로, 평화주의와 사회 혁명 사이의 중도 노선을 추구하다가 1923년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결성을 통해 해체되었다.
  • 국제 정치 단체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1951년 설립된 국제 사회주의 정당 연합체로, 냉전 시대 노선 변화와 분열, 재편을 거쳐 현재 전 세계 사회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정당들의 연합체로 활동하고 있다.
  • 국제 정치 단체 - 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은 1928년 하산 알반나가 이집트에서 설립한 범이슬람주의 운동으로, 사회 개혁과 이슬람 형제애 부흥을 목표로 시작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팔레스타인 문제 개입, 정권 장악 시도, 탄압 등의 부침을 겪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하는 단체이다.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
로마자 표기Nodong Sahoejuui Inteonaesyeonal
약칭LSI, SAI
설립일1923년 5월 21일
해산일1940년 4월 3일
전신베른 인터내셔널
비엔나 인터내셔널
후신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이념사회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좌파 ~ 좌파
색상빨간색
조직
종류사회주의자, 사회민주주의자의 국제 조직
목표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수정주의
사회개량주의
반공주의
관련 정보
관련 단체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제3인터내셔널
제4인터내셔널
코민포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인터내셔널 목록
독일어 명칭
독일어 명칭Sozialistische Arbeiter-Internationale (SAI)
영어 명칭
영어 명칭Labour and Socialist International (LSI)

2. 역사

1923년, 짐머발트 운동을 계승한 국제사회당위원회(International Socialist Commission], 소위 "베른 국제")와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파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당행동동맹(International Working Union of Socialist Parties, 소위 "빈 국제" 또는 "제2.5 인터내셔널")이 합류하여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이 결성되었다.[8][9]

주로 유럽에서 제3인터내셔널과 치열한 세력 다툼을 벌였지만,[10] 중앙집권적인 조직 체계는 없었다.[11]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로의 이행을 거부한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제2인터내셔널을 재건한 조직으로 평가되며,[12] 독일 사회민주당의 영향력이 강했다.[13]

1933년 나치당의 부상에 대응하여 독일에서 공산당과의 공동 투쟁을 호소했지만 실패하고, 아돌프 히틀러의 권력 장악을 허용했다. 이후 부분적인 통일전선 시도가 있었으나, 영국이나 스칸디나비아 국가는 소극적이었고, 프랑스스페인에서 인민전선이 성과를 거두었다. 리프 공화국 외에는[14] 유럽 정당 중심이라 식민지 문제에는 대체로 무관심했고, 소비에트 연방 망명 정당이 많아 코민테른과의 공조도 어려웠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해산되었으나, 1951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이어졌다.[8]

2. 1. 설립 배경

코민테른의 적대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사회민주주의 운동 좌파는 1922년까지 국제적인 "전 프롤레타리아트의 연합"을 추구했다. 그러나 코민테른 제4차 세계대회는 이러한 요구를 단호히 거부했다.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서 공산주의 진영의 이러한 거부는 중도와 우파, 즉 비엔나 국제(제2.5 인터내셔널)와 런던 국제가 공동의 국제 기구를 만들도록 하였다. 1923년 1월, 비엔나 그룹과 런던 그룹의 집행위원회는 공산주의자들의 결정을 비난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5월에 통합 대회를 위한 대회 소집을 발표했다.

1923년 5월 21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30개국 41개 사회주의 정당을 대표하는 약 620명의 대표가 모여 두 인터내셔널의 통합을 이루었다. 이들 대표들 사이에는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의 프랑스 지부(SFIO)와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좌파 활동가들부터 영국 노동당의 온건 개혁가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치적 경향이 나타났다.

이 모임은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80명의 대표가 주도했으며, 칼 카우츠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루돌프 힐퍼딩 등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저명한 지도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영국 노동당의 아서 헨더슨과 시드니 웹,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의 프리드리히 아들러와 오토 바우어, 칼 레너, 벨기에 노동당(BWP)의 에밀 반데르벨데와 카밀 위스만스, 그리고 러시아 이민 멘셰비키인 파벨 악셀로드,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표도르 단 등도 참석했다.

통합 대회는 "노동 및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인터내셔널을 설립하기로 결의했다. 공산주의 운동과는 달리 가입을 위한 사전 조건이나 구속력 있는 정책 프로그램은 채택되지 않았다. 함부르크 대회는 새로운 인터내셔널이 "사회주의 정당들이 서로 적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성장해야 한다"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기본 원칙에 대한 완전한 합의는 "탄생 순간"에는 기대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국제 기구의 설립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견해를 조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했다.

짐머발트 운동을 계승한 국제사회당위원회(International Socialist Commission, 소위 "베른 국제")와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파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당행동동맹(International Working Union of Socialist Parties, 소위 "빈 국제" 또는 "제2.5 인터내셔널")이 합류하여 결성되었다.[8][9]

2. 2. 함부르크 창립 대회 (1923년)

코민테른의 적대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사회민주주의 운동 좌파는 1922년까지 국제적인 "전 프롤레타리아트 연합"을 추구했다.[1] 그해 말 소집된 코민테른 제4차 세계대회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국제 기구에 대한 요구를 단호히 거부하며 이러한 시도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했다.[1]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공산주의 진영이 이를 거부하자, 중도와 우파, 즉 비엔나 국제와 런던 국제는 자체적인 공동 국제 기구를 만들게 되었다.[1] 1923년 1월, 비엔나 그룹과 런던 그룹의 집행위원회는 공산주의자들의 결정을 비난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고, 5월에는 통합 대회를 위한 대회를 소집했다.[1]

1923년 5월 21일, 30개국 41개 사회주의 정당을 대표하는 약 620명의 대표가 독일 함부르크에 모여 두 인터내셔널의 통합을 이루었다.[1] 이들 대표는 프랑스 노동자 국제의 프랑스 지부(SFIO)와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좌파 활동가들부터 영국 노동당의 온건 개혁가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치적 경향을 보였다.[2]

아서 헨더슨 (1863–1935)은 영국 노동당 소속으로 1923년 LSI 집행위원회의 초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모임은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80명 대표가 주도했으며, 칼 카우츠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루돌프 힐퍼딩 등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저명한 지도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2] 이 외에도 영국 노동당의 아서 헨더슨과 시드니 웹,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의 프리드리히 아들러와 오토 바우어, 칼 레너, 벨기에 노동당(BWP)의 에밀 반데르벨데와 카밀 위스만스, 러시아 이민 멘셰비키인 파벨 악셀로드, 라파엘 아브라모비치, 표도르 단 등이 참석했다.[2]

통합 대회는 "노동 및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인터내셔널을 설립하기로 결의했다.[2] 공산주의 운동과는 달리, 가입을 위한 사전 조건이나 구속력 있는 정책 프로그램은 채택되지 않았다.[2] 함부르크 대회는 새로운 인터내셔널이 "사회주의 정당들이 서로 적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성장해야 한다"는 선언문을 발표했다.[2] 기본 원칙에 대한 완전한 합의는 "탄생 순간"에는 기대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국제 기구의 설립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견해를 조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바람을 표명했다.[2]

2. 3. 구조

LSI는 각 정당이 자유롭게 자체 내부 정책과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는, 완전히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정당들의 연합이었다.[1] 이 조직은 구 제2인터내셔널을 모델로 하였으며, 최고 권한은 국제 대회에 있었다. 가맹 정당들이 조직 투표권의 최소 4분의 1을 대표하는 경우, 10개 이상의 가맹 정당이 요구하면 언제든지 국제 대회를 소집할 수 있었다.[2]

대회 사이의 통치는 회원 정당들이 선출한 집행위원회가 담당했다.[3] 집행위원회는 의장과 다른 임원을 선출하고 중앙 사무소의 위치를 결정하며, 집행위원회 전체 회의에 앞서 관련 사항을 사전 검토하기 위한 9명의 사무국을 선출할 권한을 가졌다.[4] 또한 집행위원회는 위원회 본부에 거주하거나 인근에 거주하는 6명의 현지 회원으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설립하여 집행부 및 그 임원들의 업무를 감독하고 사무국 및 집행위원회 회의를 주선할 책임을 맡겼다.[5]

1923년 함부르크 대회에서 선출된 첫 집행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 의장: 아서 헨더슨 (영국 노동당)
  • 재무: 해리 고슬링 (영국 노동당)
  • 사무국 구성원: 프리드리히 아들러 (오스트리아), 톰 쇼 (영국)


집행위원회의 본부는 런던으로 선정되었다.[6]

2. 4. 발전과 활동

LSI는 제2 인터내셔널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며,[1] 흔히 코민테른에 의해 "제2 인터내셔널"로 불리기도 했다.[2] 독일 사회민주당은 LSI 내에서 가장 큰 당이었다.

1923년, 짐머발트 운동을 계승한 국제사회당위원회(International Socialist Commission], 소위 "'''베른 국제'''")와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파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당행동동맹(International Working Union of Socialist Parties, 소위 "'''빈 국제'''" 또는 "'''제2.5 인터내셔널'''")이 합류하여 결성되었다.[8][9]

주로 유럽에서 공산주의자의 국제조직인 제3인터내셔널(코민테른)과 치열한 세력 다툼을 벌였지만,[10] 중앙집권적인 조직 체계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11] 일반적으로 러시아 혁명(10월 혁명) 이후 공산주의로의 이행을 거부한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제2인터내셔널을 재건한 조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12] 인터내셔널 내부에서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영향력이 매우 강했다.[13]

나치당의 부상을 앞둔 1933년, 독일에서 공산당과의 공투를 호소했지만 실패하고, 아돌프 히틀러의 권력 장악을 허용했다. 이후, 부분적인 통일전선의 시도가 있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일반적으로 남유럽 국가에서는 통일전선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었고, 영국이나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는 거부하는 경향이 있었다. 후의 인민전선에서도 큰 성과를 거둔 것은 프랑스스페인이었다. 리프 공화국 등의 예외도 있었지만,[14] 유럽의 정당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식민지 문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무관심했다. 소비에트 연방 영역에서 망명한 정당이 많았던 것도 코민테른과의 공투를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해산되었지만, 그 활동은 전후인 1951년에 결성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이어졌다.

2. 5. 나치즘에 대한 대응

독일에서 나치즘이 부상함에 따라, 사회주의 노동자 인터내셔널(LSI)은 아돌프 히틀러 정권에 맞서기 위해 독일 공산당과의 협력을 추진했다. 1933년 2월 19일, LSI 사무국은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독일 공산당의 공동 행동을 촉구하는 선언을 발표했다.[3] 그러나 코민테른은 이 선언의 진정성을 의심하며 초기에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코민테른이 각국 지부에 사회민주당과의 통일전선 형성을 지시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LSI 내부에서는 지중해 지역 정당들이 공산당과의 협력에 적극적이었던 반면, 영국과 스칸디나비아 정당들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내부 분열은 독일 사회민주당의 혼란과 함께 LSI 내에서 영국과 스칸디나비아 정당들의 영향력을 강화시켰고, 결과적으로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의 협력 가능성을 낮추었다.

1934년 9월 25일,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두 인터내셔널 간의 '평화 협상'을 제안했지만, LSI는 이를 거부했다.[3]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LSI는 국제노동조합연맹과 함께 '스페인 지원' 캠페인을 시작했다.[3] LSI와 국제노동조합연맹의 구호 활동은 스페인 사회노동당(PSOE)과 스페인노동총동맹(UGT)을 통해 이루어졌다.[4]

2. 6. 식민지 문제

공산주의자들은 식민주의에 반대했지만, 런던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은 일반적으로 식민주의를 지지했다. 예를 들어, 영국의 독립노동당(Independent Labour Party)이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반제국주의연맹(League against Imperialism)에 참여한 것은 LSI 내부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독립노동당은 연맹과의 관계를 끊으라는 요청을 받았다.[5] 그러나 LSI의 식민주의 지지는 완전하지 않았다. 리프 전쟁(Rif War)과 관련하여, 1925년 8월 22일부터 27일까지 마르세유(Marseille)에서 열린 제2차 LSI 회의는 리프(Rif)의 독립을 지지하고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이 리프 공화국(Rif Republic)을 회원으로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5][6]

2. 7. 해산과 유산

제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해산되었다.[8] 그 활동은 전후 1951년에 결성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이어졌다.[8]

3. 주요 정당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주요 정당
국가정당LSI 가입 기간LSI 집행부 대표
사회당1924년–1940년에체고인 (1925년 3월 – 1927년 8월), 베르나르도 B. 델롬 (1928년 8월 – 1934년 2월), 디노 론다니s (1934년 2월 – 1940년)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1923년–1940년미카엘 바란디안 (1923년 5월 – 1925년 3월, 1924년부터 카플란스키와 공동 의석, 1933년 7월 – 1934년 4월), 아르착 이작찬얀 (1925년 3월 – 1933년 7월), 세트락 사수니 (1934년 4월 – 1936년 12월), 바한 챔파르주미안s (1936년 12월 – 1939년), Hrant Samuelian|앙트 사무엘리안프랑스어 (1939년–1940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1923년–1940년오토 바우어b (1923년 5월 – 1938년 7월), Ferdinand Skaret|페르디난트 스카레트de (1923년 5월 – 1931년 10월), 로베르트 다네베르크 (1931년 10월 – 1935년 12월), 카를 자이츠 (1931년 10월 – 1935년 12월), 프란츠 코라츠 (1935년 12월 – 1938년), 요제프 부팅거 (1939년/1940년, 가명 구스타프 리히터 사용)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노동자당 (오스트리아 공화국)1923년–1940년알로이스 바브로우섹 (1925년 8월 – 1937년)
벨기에 노동당1923년–1940년루이 드 브루케르 (1923년 5월 – 1939년 5월, b 1935년 8월-), 에밀 뱅데르벨데b (1923년 5월 – 1925년 6월, 1927년 11월 – 1935년 3월, 1937년 2월 – 1938년 12월), Joseph Van Roosbroeck|조제프 판 로스브룩nl (1927년 6월 – 1940년, 1927년 11월 LSI 재무가 됨), 카밀 위스만스 (1931년 8월 – 1940년), Désiré Bouchery|데시레 부셰리nl (1935년 3월 – 1936년 6월), Arthur Wauters|아르튀르 보테르프랑스어 (1935년 8월 – 1937년 2월), 장 델비뉴 (1936년 6월 – 1937년, b 1936년 9월-), Max Buset|막스 뷔세프랑스어 (1937년–1940년), 아킬레 델라트르 (1938년–1940년)
영국 기아나 노동 조합1924년–1940년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 (광의 사회주의자)1923년–1940년얀코 사카조프 (1923년 5월 – 1940년, 1925년 8월까지 지브코 토팔로비치와 공동 의석)
중국 사회민주당1920년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노동자당1923년–1938년Antonín Němec|안토닌 네메츠cs (1924년 5월 – 1925년 8월), František Soukup|프란티셰크 소우쿠프cs (1925년 8월 – 1938년 9월, b 1932년-), Lev Winter|레프 빈터de (1931년 8월 – 1935년 8월), Josef Stivín|요세프 스티빈cs (1935년 8월 – 1938년 9월), Gustav Winter|구스타프 빈터cs (1937년–193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독일 사회민주노동자당1923년–1938년루트비히 체흐 (1923년 5월 – 1930년 2월), 지그프리트 타우브 (1930년 2월 – 1938년), 벤젤 야크슈 (1939년–1940년)
헝가리-독일 사회민주당1923년–1926년
폴란드 사회주의 노동자당1923년–1938년초봇 (1931년-, 요한 코볼과 공동 의석)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사회민주노동자당1923년–1930년
사회주의 협회1923년–1925년
사회민주 연맹1923년–1940년토르발드 스타우닝 (1923년 5월 – 1924년 4월, 1927년 1월 – 1929년 5월), 칼 매드센 (1923년 5월 – 1928년 10월), 알싱 안데르센 (1924년 4월 – 1927년 1월, 1929년 5월 – 1935년 11월), Vilhelm Nygaard|빌헬름 뉘고르da (1928년 10월 – 1936년 12월), 한스 헤드토프트 (1935년 11월 – 1940년, b 1936년 5월-), Eiler Jensen|에일레르 옌센da (1938년 2월 – 1940년)
에스토니아 사회주의 노동자당1923년–1940년아우구스트 라이 (1931년 2월 – 1932년 11월, 1933년 12월 – 1937년)
사회민주당1923년–1940년칼 위크 (1923년 5월 – 1938년), Jaakko William Keto|야코 윌리엄 케토svb (1939년–1940년)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단면1923년–1940년Alexandre Marie Desrousseaux|알렉상드르 마리 데루소프랑스어b (1923년 5월 – 1936년 5월), 장 롱게 (1923년 5월 – 1939년), 피에르 르노델 (1925년 8월 – 1929년 6월, 1930년 7월 – 1933년 11월), 레옹 블룸 (1929년 6월 – 1930년 7월, 1934년 5월 – 1936년 5월, b 1939년 6월 – 1940년), Jean-Baptiste Séverac|장바티스트 세브락프랑스어 (1936년 11월 – 1940년), 장 지롬스키 (-1936년 11월), 마르소 피베르 (1938년), Salomon Grumbach|살로몽 그룸바흐프랑스어 (1939년–1940년)
단치히 자유시 사회민주당1923년–1936년아서 브릴 (1929년 1월 – 1936년, 1931년 7월 - 요한 코볼과 공동 의석)
독일 사회민주당1923년–1940년아서 크리스피엔 (1923년 5월 – 1926년 5월), 헤르만 뮐러 (1923년 5월 – 1928년 6월, 1931년 2월 – 1931년 3월), 오토 벨스b (1923년 5월-1938년 여름), 요하네스 슈텔링 (1928년 6월 – 1931년 2월, 1938년 여름), 한스 포겔 (1931년–1938년), 루돌프 힐퍼딩 (1936년 5월 – 1937년, 1939년/1940년)
조지아 사회민주노동당1923년–1940년이라클리 체레텔리 (1923년 5월 – 1929년 7월), Constantin Gvardjaladze|콘스탄틴 그바르잘라제ka (1929년 7월 – 1940년)
노동당1923년–1940년아서 헨더슨 (b 1923년 5월 – 1924년 1월, 1925년 2월 – 1929년 7월, b 1925년 8월-), 제임스 램지 맥도널드 (1923년 5월 – 1924년 1월), 제임스 헨리 토마스 (1923년 5월 – 1924년 1월), 해리 고슬링 (1923년 5월 – 1924년 1월, LSI 재무), 알렉산더 고든 캐머런 (1924년 1월 – 1925년 2월), 크램프 (1924년 1월 – 1925년 10월, b 1925년 7월 -), William Gillies|윌리엄 길리스lt (1929년 7월 – 1940년, b 1930년 5월-), 조셉 컴튼 (1929년 10월 – 1937년 1월), 조지 댈러스 (1936년 10월 – 1940년), 휴 댈턴 (1936년 10월 – 1940년), 아서 젠킨스 (1937년 1월-1937년경 후반)
독립 노동당1923년–1933년월헤드 (1924년 2월 – 1925년 8월, LSI 재무), 클리포드 앨런 (1924년 1월 – 1927년 11월), 페너 브록웨이 (1927년 11월 – 1932년 11월)
그리스 사회당1923년–1931년, 1933년
헝가리 사회민주당1923년–1940년페IDL (1924년 2월 – 1928년 10월), 에르뇌 가라미 (1930년 5월 – 1931년 3월), Emanuel Buchinger|에마누엘 부힝거hu (1931년 3월 – 1940년)
빌라고샤스 사회주의 이민자 그룹1923년–1940년빌모시 뵘 (1931년 8월 – 1940년)
사회민주당1926년–1940년
이탈리아 노동자 통일 사회당1922년–1930년Giuseppe Emanuele Modigliani|주세페 에마누엘레 모딜리아니itb (1923년 5월 – 1938년), 클라우디오 트레베스 (1923년 5월 – 1930년 7월, 1931년 8월 – 1933년 6월), 피에트로 넨니 (1930년 7월 – 1940년), Franco Clerici|프랑코 클레리치it (1933년 6월 – 1934년 3월)
이탈리아 사회당1930년–1940년
라트비아 사회민주노동자당1923년–1940년펠릭스 치엘렌스 (1923년 5월 – 1924년 4월, 1928년 2월 – 1932년 4월, 1938년–1940년), 브루노 칼니뉴 (1924년 4월 – 1928년 2월), 프리치스 멘더스 (1932년 4월 – 1938년)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1923년–1940년스테포나스 카이리스 (1931년 11월 – 1934년 11월)
룩셈부르크 노동당1923년–1940년장 포르만 (1936년 2월 – 1939년), 알퐁스 후머 (1939년–1940년)
사회민주노동자당1923년–1940년피터 옐레스 트로엘스트라b (1923년 5월 – 1925년 5월), Willem Vliegen|빌럼 플리헌nlb (1925년 5월 – 1930년), Floor Wibaut|플로르 비바우트nl (1925년 8월 – 1935년 4월), 빌렘 알바르다b (1930년 4월 – 1939년 8월), 코스 보린크 (1935년 4월 – 1940년)
노르웨이 사회민주노동당1923년–1927년마그누스 닐센 (1923년 5월 – 1927년 1월)
노르웨이 노동당1938년–1940년마르틴 트란멜 (1939년/1940년), 아이나르 게르하르센 (1939년–1940년)
포알레이 지온1923년–1930년슬로모 카플란스키 (미카엘 바란디안과 공동 의석 1923년 5월 – 1924년 6월, 1925년–1940년)
마파이1930년–1940년
폴란드 사회당1923년–1940년허먼 다이아몬드 (1923년 5월 – 1931년 2월), 미에치슬라프 니에지알코프스키 (1925년 8월 – 1940년), 허먼 리버만 (1931년–1940년, b1932년-)
폴란드 독일 사회주의 노동당1923년–1940년요한 코볼 (1929년 1월 – 1936년 6월, 1929년 – 1931년 7월 브릴과 공동 의석, 1931년 7월- 초봇과 공동 의석), Emil Zerbe|에밀 제르베pl (1936년 6월 – 1940년)
독립 사회주의 노동자당1923년–1933년볼레슬라프 드롭너 (1923년 5월 – 1928년 6월), 요셉 크룩 (1928년 6월 – 10월), 둘 다 토팔로비치와 공동 의석
폴란드 전국 유대 노동자 동맹1930년–1940년헨리크 에를리히 (1930년 12월 – 1940년)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급진당1931년–1940년매슈 스타치 (1931년 8월 – 1940년)
포르투갈 사회당1925년–1933년
루마니아 사회민주당1923년–1940년Șerban Voinea|셰르반 보이네아no (1923년 5월 – 1923년 12월), 야곱 피스티너 (1923년 5월 – 1930년 8월), Gheorghe Grigorovici|게오르게 그리고로비치ro (1931년 1월 – 1933년 5월), 일리에 모스코비치 (1933년 5월 – 1940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1923년–1940년라파엘 아브라모비치b (1923년 5월 – 1940년)
사회혁명당1923년–1940년V. V. 수호믈린|V. V. 수호믈린ru (1923년 5월 – 1930년 5월), 빅토르 체르노프 (1923년 5월 – 1940년)
스페인 사회노동자당1923년–1940년훌리안 베스테이로 (1924년 5월 – 1932년 10월), 라르고 카바예로 (1932년 10월 – 1932년 11월, 1933년 9월 – 1936년 9월), 레미히오 카베요 (1932년 11월 – 1933년 9월), 페르난도 데 로스 리오스 (1933년 9월 – 1937년), Manuel Cordero Pérez|마누엘 코르데로 페레스gl (1933년 9월 – 1938년)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1923년–1940년할마르 브란팅b (1923년 5월 – 1924년 10월), 구스타프 묄러 (1923년 5월 – 1924년 10월, b 1929년 7월 – 1932년 9월), 아서 엥베르그 (1924년 10월 – 1926년 7월), Rickard Lindström|리카르드 린드스트룀sv (1924년 10월 – 1926년 7월, b 1932년 9월 – 1940년), 페르 알빈 한손 (1926년 7월 – 1932년 9월), 제트 횔룬드 (1932년 9월 – 1940년)
스위스 사회민주당1927년–1940년로베르트 그림 (1927년 1월 – 1940년, b 1935년 8월-)
독립 사회당
우크라이나 사회민주노동당1923년–1940년요시프 베즈팔코 (1924년 6월 – 1929년 2월), 오파나스 페덴코 (1929년 2월 – 1938년)
우루과이 사회당1932년–1940년
미국 사회당1923년–1940년빅터 L. 버거 (1923년 5월 – 1929년 8월), 모리스 힐퀴트 (1923년 5월 – 1933년 10월), 노먼 토마스 (1932년 12월 – 1940년), 제임스 오닐 (1933년 11월 – 1935년 10월), 데버 알렌 (1935년 10월 – 1936년)
유고슬라비아 사회당1923년–1929년, 1934년–1940년지브코 토팔로비치 (1923년 5월 – 1929년 1월, 1925년 8월까지 사카조프와 공동 의석, 1925년 8월 – 1928년 6월 드롭너와 공동 의석, 1928년 6월- 크룩과 공동 의석)




b = 사무국 위원




기타 집행 위원: 국제 여성 위원회: 아델하이트 포프 (1924년 2월 – 1935년 9월), 앨리스 펠스 (1935년 9월 – 1940년)




사회주의 청년 국제: 카를 하인츠 (1924년 2월 – 1932년 10월), 에리히 올렌하우어 (1932년 10월 – 1940년)[7]

LSI는 해방 이후 한국 사회주의 운동 및 정당,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중도진보 정당의 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록 LSI에 직접 참여한 한국 정당은 없었지만, LSI의 이념과 활동은 한국의 사회주의 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이는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 운동으로 이어졌다.

4. 주요 회의

회의개최지날짜비고 및 참고자료
제1차 회의함부르크, 독일1923년 5월 21일~25일
제2차 회의마르세유, 프랑스1925년 8월 22일~27일
제3차 회의브뤼셀, 벨기에1928년 8월 5일~11일
제4차 회의, 오스트리아1931년 7월 25일~8월 1일
회의파리, 프랑스1933년 8월 21일~25일


5. 이념 및 평가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은 민주주의적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하는 코민테른과는 다른 노선을 추구했다. 제2인터내셔널이 붕괴된 이후, 사회민주주의 세력은 짐머발트 운동을 계승한 베른 국제와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를 중심으로 한 빈 국제(제2.5 인터내셔널)로 나뉘어 있었다. 1923년, 이 두 조직이 통합하여 LSI가 창립되었다.[8][9]

LSI는 유럽 내에서 코민테른과 경쟁 관계에 있었으나,[10] 중앙집권적 조직 체계를 갖추지는 않았다.[11] 10월 혁명 이후 공산주의 노선을 택하지 않은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제2인터내셔널을 재건한 조직으로 평가받는다.[12]

LSI는 유럽 중심의 조직이었으며, 리프 공화국과 같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14] 식민지 문제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소련에서 망명한 정당들이 많아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과의 협력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LSI는 나치당의 부상에 맞서 공산당과의 공동 투쟁을 주장하는 등 반파시즘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비록 큰 성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부분적인 통일전선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LSI의 이러한 노력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결성으로 이어져, 현대 사회민주주의, 특히 중도진보 정당의 이념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1. 민주주의적 사회주의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은 민주주의적 사회주의 이념을 추구했다. 이는 코민테른프롤레타리아 독재, 중앙집권적 조직 운영 방식과 대비된다. LSI는 짐머발트 운동을 계승한 '''국제사회당위원회'''(International Socialist Commission, "'''베른 국제'''")와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파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당행동동맹'''(International Working Union of Socialist Parties, "'''빈 국제'''" 또는 "'''제2.5 인터내셔널'''")이 합류하여 1923년에 결성되었다.[8][9]

LSI는 주로 유럽에서 코민테른과 치열한 세력 다툼을 벌였지만,[10] 중앙집권적인 조직 체계는 갖추지 않았다.[11] 러시아 혁명(10월 혁명) 이후 공산주의로의 이행을 거부한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제2인터내셔널을 재건한 조직으로 평가받는다.[12]

5. 2. 한계와 유산

LSI는 주로 유럽 정당 중심으로 구성되어 리프 공화국과 같은 예외는 있었지만,[14] 식민지 문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무관심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소비에트 연방 영역에서 망명한 정당이 많았던 점도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과의 공투를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SI는 10월 혁명(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로의 이행을 거부한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제2인터내셔널을 재건한 조직으로서, 현대 사회민주주의 정당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나치당의 부상에 맞서 공산당과의 공투를 호소하는 등 반파시즘 투쟁에 앞장섰으며, 비록 큰 성과는 거두지 못했지만 부분적인 통일전선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LSI의 활동은 전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결성으로 이어져 현대 사회민주주의, 특히 중도진보 정당의 이념적 기반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서적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and Global Politics: Solidarity Beyond the State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7
[2] 서적 Faschismus: Konzeptionen und historische Kontexte. Eine Einführung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3] 서적 The Labour Party and the World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4
[4]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and the British Labour Mov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5] 서적 Africa's "Agitators": Militant Anti-Colonialism in Africa and the West, 1918–1939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6] 서적 Africa's 'agitators': Militant Anti-colonialism in Africa and the West, 1918-1939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7]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 - 19 Dt. Verl. d. Wissenschaften 1985
[8] 서적 The Labour Party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4
[9] 서적 Africa's "Agitators": Militant Anti-Colonialism in Africa and the West, 1918–1939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10] 서적 The Labour Party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4
[11]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and the British Labour Mov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2] 서적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and Global Politics: Solidarity Beyond the State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7
[13] 서적 The Radical Left in Britain, 1931–1941 https://books.google[...] Cass 1982
[14] 서적 Africa's "Agitators": Militant Anti-Colonialism in Africa and the West, 1918–1939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