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베르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베르거는 187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경학자로, 뇌파(EEG)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1924년 인간의 뇌에서 전기적 신호를 처음으로 기록했으며, 이를 뇌파라고 명명했다. 뇌파 연구를 통해 뇌의 다양한 파동과 뇌전증 등 질환과의 연관성을 밝혀냈고, 뇌파 측정 기술을 발전시켰다. 그의 연구는 처음에는 인정받지 못했으나, 후에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현대 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1년 자살 - 텔레키 팔
헝가리의 지리학자이자 정치인인 텔레키 팔은 부다페스트 대학교 교수로서 정치지리학 분야에서 명성을 얻고 국제 지리학회에서도 활동했으며, 두 차례 헝가리 총리를 역임하면서 트리아농 조약 이후 헝가리의 영토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대한 관계 설정과 반유대주의 정책 시행으로 논란이 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침공 압력에 1941년 자살했다. - 1941년 자살 - 버지니아 울프
20세기 영국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버지니아 울프는 모더니즘 문학의 선구자이자 의식의 흐름 기법의 대가로, 블룸즈베리 그룹의 핵심 인물로서 인간 내면 의식과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다 자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페미니즘과 모더니즘 문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독일의 신경과학자 -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병리학자로,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 원섬유 엉킴을 발견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특징을 밝혀냈으며, 브로츠와프 대학교에서 정신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독일의 신경과학자 - 오토 뢰비
오토 뢰비는 독일 출신 약리학자로, 신경 자극의 화학적 전달 메커니즘을 밝혀내 193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개구리 심장 실험을 통해 아세틸콜린이라는 화학 물질이 신경 신호 전달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증명하여 신경과학과 약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코부르크 출신 -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은 1750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에서 태어나 1800년부터 1806년까지 공국을 통치했고, 프랑스 혁명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유럽 여러 왕가와 관계를 맺고 아들 레오폴트 1세는 벨기에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코부르크 출신 - 카롤리네 마틸데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마지막 군주 카를 에두아르트의 딸인 카롤리네 마틸데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녀는 여러 번의 결혼, 특히 나치당원과의 결혼과 이혼으로 유명하며, 빌헬름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을 포함한 여러 남편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고, 가문의 몰락 속에서 말년을 보냈다.
한스 베르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73년 5월 21일 |
출생지 | 코부르크 근처의 노이제스,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독일 제국 |
사망일 | 1941년 6월 1일 |
사망지 | 예나, 독일 |
사망 원인 | 자살 |
배우자 | Ursula von Bülow 남작부인 |
모교 | 예나 대학교 |
분야 | 정신 의학 |
알려진 업적 | 뇌파 알파파 리듬 발견 |
2. 생애
한스 베르거는 1873년 독일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노이제스(코부르크)에서 태어나 1892년 아비투어를 받은 뒤 예나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다. 한 학기 후 학업을 중단하고 기병대에 복무하던 중 사고를 겪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텔레파시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어 의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34][35]
1897년 의학 학위를 받은 후 예나 대학교 병원에서 오토 루드비히 빈스뱅거의 조수로 일하며 정신의학과 신경학을 연구했다. 1906년에는 대학 강사, 1912년에는 선임외과의를 거쳐 1919년에는 스승 빈스뱅거의 자리를 이어받았다.[36] 1924년에는 인간의 뇌에서 전기 신호를 발견하고, 1929년 이를 뇌파(EEG)로 발표하여 뇌 연구에 큰 획을 그었다.[37][38] 이 발견은 처음에는 독일 학계에서 의심을 받았으나, 1934년 영국의 에드거 에이드리언이 베르거의 발견을 지지하면서 1937년에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39][40]
1938년 심리학 명예교수로 임명되었으나, 나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아 강제 은퇴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2][43] 그러나 2005년 이후 베르거가 후임자 선정에 참여했고, 반유대주의적 사상을 가졌으며 슈츠슈타펠에 초청받아 연구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었다.[44][45][46]
1941년 6월 1일, 베르거는 우울증과 피부병으로 고통받던 중 목을 매어 자살했다.[47]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873년 독일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노이제스(Neusesde, 현 코부르크)에서 태어났다. 1892년 아비투어를 받은 뒤 예나 대학교 수학과에 입학했다. 예나 대학에서 한 학기를 마친 뒤 학업을 그만두고 기병대에 입대하였는데, 훈련을 받던 중 타고 있던 말이 갑자기 몸을 일으키는 바람에 떨어져 말이 끌던 야포 앞으로 떨어진다. 다행히 동료가 말을 정지시켜 경미한 부상을 입는 것으로 끝났다.[34] 이때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던 그의 여동생은 자신의 오빠가 위험에 처했다는 느낌을 받고 급히 전보를 보냈다고 한다. 1940년의 회고에 의하면,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텔레파시가 정말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어 전공을 의학으로 변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35]2. 2. 의학 연구와 뇌파 발견
1897년 의대를 졸업하고 학위를 획득한 베르거는 예나 대학 병원의 정신과 및 신경과 과장인 오토 루드비히 빈스뱅거의 조수가 된다. 1906년에는 대학에서 강연을 시작하여 교수로서의 생활을 시작하고, 1912년에는 선임외과의가 되어 1919년 마침내 스승 빈스뱅거의 자리를 맡는다.[36]이후 베르거는 뇌를 연구하다가 1924년 뇌에서 일정한 전기 신호가 나타남을 발견한다.[37] 그는 신경학 분야에서 뇌의 순환기, 신경 생리학, 뇌 온도 연구를 수행했다.[29]

1924년, 베르거는 인간에게서 처음으로 뇌파를 기록했으며, 이를 ''Electroencephalogram'' (뇌파)라고 명명하고 1929년에 발표했다.[30] 실험적 검증을 위해 베르거는 아들의 뇌에 전극을 부착하여 신호를 측정했다.[38]
그의 방법은 전두와 후두에 각각 한 곳씩, 환자의 두피 아래에 은제 와이어를 삽입하는 것이었다. 그는 후에 은박을 입힌 전극을 고무 밴드로 머리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기록 장치로는, 그는 먼저 가브리엘 립만의 모세관 전위계를 사용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어서 그는 단선 검류계를 사용하고, 후에 지멘스제 이중 코일 기록 검류계를 사용했다. 이것으로 그는 1만 분의 1 볼트라는 미소 전압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최장 3초에 걸친 파형 출력은 조수에 의해 사진 촬영되었다.
또한 그는 이 뇌파를 사용하여, 건강한 사람과 환자의 뇌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파형과 리듬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구체적으로는, 베르거파라고도 알려진 알파파 (8-12 Hz)의 존재, 그리고 피험자가 눈을 떴을 때 그것이 (더 빠른 베타파에 의해) 억제되는 것, 즉 소위 "알파 블로케이드"를 지적했다. 그는 또한, 간질과 같은 뇌 장애에서의 뇌파의 변용의 성질에 대해 처음으로 기술했다.
하지만 이 발견은 당대 독일 학계로부터 의심의 눈초리를 받았는데,[39] 1934년 영국의 전기생리학자 에드거 에이드리언이 베르거의 발견에 동조함에 따라 1937년에는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는다.[40] 그 후로 뇌파 측정은 뇌전증 등을 진단하는 도구로 주목받는다.[41]
베르거는 후에 국제적인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의 실험 결과는 에드거 에이드리언 등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베르거는 1937년에 국제 회의에 초청되어 연구 발표를 했고, 거기에서 그의 발견의 중요성과 혁신성이 칭찬받았다.
2. 3. 나치 시대와 논란
1938년, 베르거는 65세의 정년 퇴직 연령에 심리학 명예 교수가 되었다. 전기 작가인 니더마이어와 로페스 다 실바에 따르면, 이 임명은 나치 정권과의 관계가 특히 긴장되었기 때문에 형식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15] 많은 자료에서 그들의 적대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나치가 베르거에게 뇌파 검사에 대한 모든 추가 작업을 완전히 금지하면서 그해에 강제로 퇴직시켰다고 보고한다.[16]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2005년 독일 언론인 에른스트 클레에 의해 반박되었다.[17] 같은 해, 예나 대학교의 의학 역사학자인 수잔네 치머만 박사는 베르거가 강제로 퇴직한 것이 아니라 "후임자 선정 위원회에서 활동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18] 베르거의 후임자는 전쟁 후 나치로 해고된 베르톨트 킨이었다.
1930년대부터 예나 대학교의 공식 기록은 베르거가 불임 시술을 강요한 ''Erbgesundheitsgericht''(유전 건강 법원)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일기에는 반유대주의적인 언급이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9] 치머만 박사의 발견은 2003년 독일에서 발표된 연구와 일치하는데, 베르거가 SS 인종 위생학자 카를 아스텔의 초청을 받아 1941년 EGOG (''Erbgesundheitsobergericht'', 고등 유전 건강 법원)에서 일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베르거는 "저는 기꺼이 예나 유전 건강 법원에서 다시 평가관으로 일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라고 답했다.[20] 베르거는 "예나 대학교의 상당한 나치화에도 불구하고" SS, SA 또는 나치당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아마도 SS 회원이었다."라고 평가 받는다.[21]
2. 4. 사망
베르거는 1941년 6월 1일, 오랜 우울증과 피부병으로 고통받던 중 예나 대학교 클리닉의 남쪽 별관에서 목을 매어 자살했다.[47]3. 연구 업적
한스 베르거는 뇌의 순환계, 정신생리학, 뇌 온도 등 다양한 신경학 분야를 연구했다. 특히 뇌파(EEG)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1924년, 베르거는 인간의 뇌 활동에 대한 첫 번째 EEG 기록을 ''Elektrenkephalogramm''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EEG를 사용하여 정상 및 비정상 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파동과 리듬을 처음으로 설명했다. 예를 들어 "베르거 파"라고도 알려진 알파파 리듬과 대상이 눈을 떴을 때 알파파가 억제되고 더 빠른 베타파로 대체되는 ''알파 차단'' 현상을 발견했다. 또한 뇌전증과 같은 뇌 질환에서 EEG 변화의 특성을 연구하고 설명했다.[23]
베르거는 처음에는 환자의 두피 아래에 은 선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뇌파를 측정했지만, 나중에는 고무 붕대로 머리에 부착된 은박 전극을 사용했다. 기록 장치로는 리프만 모세관 전위계를 사용했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이후 그는 현 검류계를 거쳐 이중 코일 지멘스 기록 검류계로 전환하여 1만분의 1 볼트만큼 작은 전기적 전압을 기록할 수 있었다.[24]
베르거의 연구 결과는 에드거 에이드리언 등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면서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1937년에는 국제 회의에 초청되어 연구 발표를 통해 그의 발견의 중요성과 혁신성이 칭찬받았다.[30]
3. 1. 뇌파(EEG) 발견과 연구
베르거는 뇌의 순환계, 정신생리학, 뇌 온도 등 다양한 신경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다. 초기 실험 중 하나는 뇌 일부가 노출된 두개골 결손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베르거는 환자의 두개골 구멍을 통해 액체가 채워진 고무 튜브를 삽입하고, 라텍스 캡으로 구멍을 막아 압력 게이지를 만들었다. 고무 튜브 반대쪽 끝에는 회전하는 드럼에 감긴 종이에 압력 변동을 기록하는 펜이 있었다. 베르거는 환자에게 다양한 인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했을 때 펜이 파동을 기록하고, 감정 변화나 감각 자극을 경험할 때도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현대 과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23] 영국의 의사 리처드 케이턴(1842-1926)은 개와 유인원의 노출된 피질에서 기록된 전기적 전위를 묘사한 바 있다. 베르거는 이 환자를 통해 케이턴의 기술을 사람에게 적용할 기회를 얻었고, 이는 인간 뇌파도(EEG)의 첫 번째 시연으로 이어졌다. 1924년 베르거는 인간의 뇌 활동에 대한 첫 번째 EEG 기록을 ''Elektrenkephalogramm''이라고 명명했다.[30]베르거는 EEG를 사용하여 정상 및 비정상 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파동과 리듬을 처음으로 설명했다. 예를 들어 "베르거 파"라고도 알려진 알파파 리듬(7.812~13.28 Hz)과 대상이 눈을 떴을 때 알파파가 억제되고 더 빠른 베타파로 대체되는 ''알파 차단''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뇌전증과 같은 뇌 질환에서 EEG 변화의 특성을 연구하고 설명했다.
베르거는 환자의 두피 아래에 은 선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하나는 머리 앞쪽에, 다른 하나는 뒤쪽에 위치했다. 나중에는 고무 붕대로 머리에 부착된 은박 전극을 사용했다. 기록 장치로는 처음에 리프만 모세관 전위계를 사용했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이후 그는 현 검류계를 거쳐 이중 코일 지멘스 기록 검류계로 전환하여 1만분의 1 볼트만큼 작은 전기적 전압을 기록할 수 있었다. 최대 3초 길이의 결과 출력은 조수가 사진으로 촬영했다.
EEG는 다양한 상태와 질병을 설명하고 진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현대 의료 및 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사는 EEG 파형 패턴을 통해 다양한 자극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파형 패턴을 유발 전위(EP)라고 하며, 환자의 뇌파가 정상적인 EP 패턴을 따르지 않으면 자극 처리에 결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사건 관련 전위(ERP)는 환자의 정신적 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EP와 ERP는 모두 의사가 이상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ERP 연구는 뇌 지도 기술 개발에도 기여했다.[24]
3. 2. 뇌 순환, 정신생리학, 뇌 온도 연구
베르거는 뇌의 순환계, 정신생리학, 뇌 온도 등 다양한 신경학적 주제를 연구했다. 그는 두개골 결손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뇌파 실험을 진행했는데, 이 환자의 두개골 구멍을 통해 액체가 채워진 고무 튜브를 삽입하고 압력 변화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뇌 활동을 관찰했다. 이 실험을 통해 베르거는 인지 과제 수행이나 감정 변화, 감각 자극 시 뇌파가 변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23]이 연구를 바탕으로 베르거는 1924년 인간 뇌파도(EEG)를 처음으로 기록하고 ''Elektrenkephalogramm''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EEG를 사용하여 알파파(베르거 파)와 베타파 등 다양한 뇌파 리듬을 발견하고, 눈을 떴을 때 알파파가 억제되는 현상(''알파 차단'')을 관찰했다. 또한 뇌전증과 같은 뇌 질환에서 나타나는 EEG 변화의 특징을 설명했다.[23]
베르거는 초기 EEG 기록을 위해 환자의 두피 아래에 은 선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은박 전극을 고무 붕대로 머리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는 리프만 모세관 전위계를 거쳐 현 검류계와 이중 코일 지멘스 기록 검류계를 사용하여 1만분의 1 볼트의 미세한 전압까지 기록할 수 있었다. 기록된 결과는 최대 3초 길이로 조수가 사진 촬영했다.[23]
EEG는 현대 의학과 심리학에서 다양한 뇌 상태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EEG를 통해 얻은 파형 패턴인 유발 전위(EP)와 사건 관련 전위(ERP)는 뇌의 이상을 파악하고 뇌 지도 기술 개발에 기여한다.[24]
베르거는 1924년에 인간에서 처음으로 뇌파를 기록하여 Electroencephalogram(EEG)라고 명명하고 1929년에 발표했다.[30] 그는 뇌파를 사용하여 건강한 사람과 환자의 뇌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파형과 리듬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그는 알파파(8-12 Hz)의 존재와 피험자가 눈을 떴을 때 그것이 더 빠른 베타파에 의해 억제되는 "알파 블로케이드"를 지적했다. 또한, 간질과 같은 뇌 장애에서의 뇌파 변용의 성질에 대해 처음으로 기술했다.[29]
3. 3. 뇌파 연구의 의학적 응용
베르거는 뇌 순환계, 정신생리학, 뇌 온도 등 다양한 신경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뇌 일부가 노출된 환자를 대상으로 뇌파(EEG)를 처음으로 기록하고, 이를 ''Elektrenkephalogramm''이라고 명명했다.[23] EEG를 통해 그는 정상 및 비정상 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파동(알파파, 베타파 등)과 리듬을 설명하고, 뇌전증과 같은 뇌 질환에서의 EEG 변화 특성을 연구했다.[24]thumb
베르거는 초기에는 두피 아래에 은선을 삽입하여 EEG를 측정했지만, 이후 은박 전극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선했다. 그는 리프만 모세관 전위계, 현 검류계, 지멘스 기록 검류계 등을 사용하여 뇌의 미세한 전기적 전압 변화를 기록했다.[24]
EEG는 현대 의학과 심리학에서 다양한 뇌 상태와 질병을 진단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의사는 EEG 파형 패턴(유발 전위, EP)을 통해 뇌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사건 관련 전위(ERP) 연구는 뇌 지도 기술 개발에 기여했다.[24]
베르거의 뇌파 연구는 영국의 리처드 케이턴의 동물 실험 연구를 계승한 것으로, 1924년 인간 뇌파를 최초로 기록하고 1929년에 발표했다.[30] 그는 뇌파를 통해 건강한 사람과 환자의 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파동과 리듬(알파파, 베타파 등)을 기술하고, 뇌전증과 같은 뇌 질환에서의 뇌파 변화를 설명했다.
베르거는 두피 아래에 은선을 삽입하는 방식 대신 은박 전극을 고무 밴드로 머리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는 가브리엘 립만의 모세관 전위계, 단선 검류계, 지멘스제 이중 코일 기록 검류계 등을 사용하여 미세한 전압 변화를 기록하고, 조수가 이를 사진으로 촬영했다.
이후 베르거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며, 그의 연구 결과는 에드거 에이드리언 등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1937년에는 국제 회의에 초청되어 연구 발표를 통해 그의 발견이 중요하고 혁신적이라는 칭찬을 받았다.
4. 유산 및 평가
베르거는 뇌의 순환기, 신경 생리학, 뇌 온도 연구를 수행했지만,[29] 의학과 신경학에서 가장 큰 공헌은 인간 뇌의 전기적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뇌파(EEG) 연구를 발전시킨 것이다. 이는 영국의 리처드 카턴(1842 - 1926)이 동물에게 행한 선구적인 연구를 계승한 것이다.
베르거는 1937년 국제 회의에 초청되어 연구 발표를 했고, 그의 발견은 에드거 에이드리언 등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며 중요성과 혁신성을 칭찬받았다.[30]
4. 1. 한스 베르거 상 (Hans-Berger-Preis)
독일 임상 신경생리학회(Deutsche Gesellschaft für Klinische Neurophysiologie)는 3년마다 이론 또는 임상 신경생리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 광범위한 학술적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한스 베르거 상'(Hans-Berger-Preis)을 수여했다.[25] 그러나 2021년, 베르거 및 고틀로프 베르거 등 동명의 인물들의 연구가 나치 정권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회는 모든 상의 명칭을 객관적인 설명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스 베르거 상은 현재 "신경생리학 및 기능 영상 분야 평생 공로상"으로 불린다.[26]4. 2. 역사적 평가
1924년에 베르거는 인간에게서 처음으로 뇌파를 기록했으며, 이를 ''Electroencephalogram'' (뇌파)라고 명명하고 1929년에 발표했다.[30] 그는 뇌파를 사용하여 건강한 사람과 환자의 뇌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파형과 리듬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특히, 베르거파라고도 알려진 알파파 (8-12 Hz)의 존재, 그리고 피험자가 눈을 떴을 때 그것이 (더 빠른 베타파에 의해) 억제되는 "알파 블로케이드" 현상을 발견했다. 또한, 간질과 같은 뇌 장애에서의 뇌파 변용의 성질에 대해 처음으로 기술했다.그의 실험 방법은 전두와 후두에 각각 한 곳씩, 환자의 두피 아래에 은제 와이어를 삽입하는 것이었다. 그는 후에 은박을 입힌 전극을 고무 밴드로 머리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기록 장치로는 가브리엘 립만의 모세관 전위계를 사용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해 단선 검류계를 거쳐 지멘스제 이중 코일 기록 검류계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1만 분의 1 볼트라는 미세한 전압을 기록할 수 있었으며, 최장 3초에 걸친 파형 출력은 조수에 의해 사진 촬영되었다.
W.G. 월터영어는 베르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베르거는 뇌의 순환기, 신경 생리학, 뇌 온도 연구를 수행했지만,[29] 의학과 신경학에서 그의 가장 큰 공헌은 인간 뇌의 전기적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뇌파 (EEG) 연구를 발전시킨 것이다. 이는 영국에서 리처드 카턴 (1842 - 1926)이 동물에게 행한 선구적인 연구를 계승한 것이다.
이후 베르거는 국제적인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의 실험 결과는 에드거 에이드리언 등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베르거는 1937년에 국제 회의에 초청되어 연구 발표를 했고, 거기에서 그의 발견의 중요성과 혁신성이 칭찬받았다.
참조
[1]
학술지
Hans Berger (1873-1941)--the history of electroencephalography
[2]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EG
http://www.bri.ucla.[...]
2002
[3]
학술지
The inventor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Hans Berger (1873–1941)
2020-03-05
[4]
서적
Entangled Minds
[5]
서적
Psyche
[6]
서적
Entangled Minds
[7]
웹사이트
Hans Berger bio
http://www.encyclope[...]
[8]
학술지
Hans Berger
https://doi.org/10.1[...]
[9]
웹사이트
Hans Berger bio
http://www.answers.c[...]
[10]
학술지
Hans Berger (1873-1941), Richard Caton (1842-1926), and electroencephalography
2003-01
[11]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EG
http://www.bri.ucla.[...]
2002
[12]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EG
http://www.bri.ucla.[...]
2002
[13]
서적
The Living Brain
[14]
웹사이트
Hans Berger bio
http://www.encyclope[...]
[15]
웹사이트
Dr. Hans Berger
http://www.uic.edu/d[...]
[16]
학술지
"[Hans Berger (1873-1941)--the history of electroencephalography]"
[17]
문서
[18]
서적
The Other Brain: From Dementia to Schizophrenia
https://books.google[...]
[19]
서적
The Other Brain: From Dementia to Schizophrenia
https://books.google[...]
[20]
서적
https://books.google[...]
[21]
학술지
New revelations about Hans Berger, father of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his ties to the Third Reich
2014-07-01
[22]
서적
Entangled Minds
[23]
서적
Electric Brain: How the new science of brainwaves reads minds, Tells us how we learn, and Helps us change for the better.
BenBella Books, Inc.
2020
[24]
학술지
Cognitive Brain Potentials
1993
[25]
웹사이트
http://www.dgkn.de/i[...]
[26]
웹사이트
Abschied vom Eponym – DGKN-Preise tragen nun sachliche Namen - DGKN
https://dgkn.de/fuer[...]
2024-07-03
[27]
서적
意識と無意識のあいだ―「ぼんやり」したとき脳で起きていること―
講談社
[28]
서적
Mechanics of the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학술지
Hans Bergerの夢 — How did EEG become the EEG? — その3
https://doi.org/10.1[...]
日本臨床神経生理学会
2017-07-01
[30]
학술지
Über das Elektroenkephalogramm des Menschen.
[31]
학술지
Hans Berger (1873-1941)--the history of electroencephalography
[32]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EG
http://www.bri.ucla.[...]
2002
[33]
학술지
The inventor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Hans Berger (1873–1941)
https://doi.org/10.1[...]
2020-03-05
[34]
서적
Entangled Minds
[35]
서적
Psyche
[36]
논문
Hans Berger
1994
[37]
저널
Hans Berger (1873-1941), Richard Caton (1842-1926), and electroencephalography
2003-01
[38]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EG
http://www.bri.ucla.[...]
2002
[39]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EG
http://www.bri.ucla.[...]
2002
[40]
웹사이트
Hans Berger bio
http://www.encyclope[...]
[41]
논문
Hans Berger
1994
[42]
웹사이트
Dr. Hans Berger
http://www.uic.edu/d[...]
Online document of the Dept of Neurology, Univ. of Illinois at Chicago
[43]
저널
"[Hans Berger (1873-1941)--the history of electroencephalography]"
[44]
서적
The Other Brain: From Dementia to Schizophrenia
https://books.google[...]
2009
[45]
서적
'"Kämpferische Wissenschaft" - Studien zur Universität Jena im Nationalsozialismus'
https://books.google[...]
2003
[46]
저널
New revelations about Hans Berger, father of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his ties to the Third Reich
2014-07-01
[47]
서적
Entangled Mind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