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눈 뜨는 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 뜨는 봄》은 프랑크 베데킨트가 1890년 10월부터 1891년 4월까지 뮌헨에서 완성한 희곡이다. 억압적인 환경 속 청소년들의 성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며, 작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벤들라, 멜키오르, 모리츠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성적 욕망, 사회적 위선, 세대 간 소통 부재 등을 다룬다. 1906년 베를린에서 초연되었으며, 이후 영화, 뮤지컬, 연극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태를 소재로 한 희곡 - 바람둥이 알피
    《바람둥이 알피》는 1962년 BBC 라디오 드라마로 시작하여 연극과 영화로 제작되었고, 1963년 런던에서 초연된 연극은 쾌락주의적 반영웅을 그린다는 평가를 받으며 브로드웨이와 2012년 옥타곤 극장에서도 공연되었다.
  • 1891년 희곡 - 살로메 (희곡)
    오스카 와일드가 프랑스어로 쓴 희곡 살로메는 성경 인물 살로메를 주인공으로 그녀의 욕망과 파멸을 그린 작품으로, 초연 당시 외설적인 내용과 종교적 소재 때문에 공연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후에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로 만들어지면서 널리 알려졌고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눈 뜨는 봄
기본 정보
봄의 눈뜸 초판본 (1891년)
초판본 (1891년)
원제Frühlings Erwachen (프륄링스 에어바헨)
부제Eine Kindertragödie (아이들의 비극)
작가프랑크 베데킨트
장르희곡
막 수3막
배경독일의 지방 도시, 1890년 ~ 1894년
초연1906년 11월 20일
초연 장소베를린 독일 극장
원어독일어
주제성장, 성적 각성
창작 정보
발표년도1891년
한국어 번역 정보
번역가노가미 도요이치로

2. 배경 및 집필 과정

프랑크 베데킨트는 1890년 10월부터 1891년 4월에 걸쳐 뮌헨에서 이 희곡을 완성했다. 그는 자신의 김나지움(고등학교)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억압적인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이 겪는 성적 문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베데킨트는 실제로 자살한 두 동급생 프랑크 오버린과 모리츠 듀어를 주요 모델로 삼아 작품 속 인물인 모리츠 슈티펠을 창조했다. 그는 성 문제를 원초적인 사건으로 묘사하며, 성을 문명과 인습의 조종으로 소외된 혼돈스러운 자연의 힘으로 묘사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이다.[1]

3. 등장인물

주요 인물


  • '''벤들라 베르크만''': 극이 시작할 때 14살이 되는 소녀이다. 어머니에게 아기가 어떻게 태어나는지 알려달라고 하지만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한다. 2막 중반에 멜키오르는 건초 더미에서 벤들라를 강간한다. 그녀는 생식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멜키오르의 아이를 임신한다. 그녀는 안전하지 않은, 엉망인 낙태 수술 후 사망한다.
  • '''멜키오르 가보르''': 14살 소년으로, 다른 아이들과 달리 무신론자이며 성적 생식에 대해 알고 있다. 가장 친한 친구 모리츠에게 성교에 대한 에세이를 써주는데, 이 에세이는 친구의 자살과 에세이 발견 이후 그를 학교에서 퇴학당하게 만든다. 부모는 그가 벤들라를 임신시킨 것을 알게 된 후 소년 교도소로 보낸다.
  • '''모리츠 슈티펠''': 멜키오르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동급생으로, 사춘기와 성적 각성에 의해 고통받는 학생이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남성성의 자극"을 이해하지 못한다. 집중력 부족과 끊임없는 사춘기적 방해로 인해 학업 성적이 좋지 않지만, 극 초반 중간고사를 통과한다. 그러나 결국 사회의 가혹함에 대처하지 못하고, 멜키오르의 어머니인 파니 가보르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거절당하자 자살한다.
  • '''일제''': 모리츠, 멜키오르, 벤들라의 자유분방하고 난잡한 어린 시절 친구이다. 집을 나와 다양한 화가들의 모델이자 연인으로서 보헤미안 생활을 한다. 극 전체에서 단 두 장면에만 등장하며, 모리츠가 자살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대화하는 사람이다. 그녀는 그가 사용한 총을 발견하고 숨긴다.
  • '''한셴'''과 '''에른스트''': 멜키오르와 모리츠의 두 친구이자 동급생으로, 서로 사랑에 빠졌음을 알게 된다. 극의 후반부에서 그들은 서로에 대한 사랑을 고백한다.

기타 인물

  • '''오토''', '''게오르그''', '''레머마이어'''와 '''로베르트''': 멜키오르와 모리츠의 동급생들이다. 그들은 모리츠를 비웃고 그가 자살하겠다고 위협할 때 놀린다.
  • '''테아'''와 '''마르타''': 벤들라의 여학교 친구들이다. 마르타는 모리츠에게 반했고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신체적 학대를 받는다. 테아는 멜키오르에게 매력을 느낀다.
  • '''프라우 베르크만''': 벤들라의 어머니로, 딸이 너무 빨리 성장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듯하며 딸에게 생식과 성에 대한 진실을 말해주기를 거부한다.
  • '''파니 가보르''': 멜키오르의 어머니이다.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아들을 매우 사랑하며, 멜키오르가 벤들라를 강간했다는 사실을 알기 전까지 징계 조치로 멜키오르를 소년 교도소에 보내는 것에 반대한다.
  • '''헤르 가보르''': 멜키오르의 아버지이다. 가보르 부인과는 대조적으로, 그는 아이들을 키우는 데 엄격한 방식을 믿는다.
  • '''존넨슈티히''': 잔혹하고 억압적인 학교 교장으로, 멜키오르가 모리츠를 위해 쓴 에세이를 알게 된 후 멜키오르를 학교에서 퇴학시킨다. 그의 이름은 독일어로 "일사병"을 의미한다.
  • '''크뉘펠딕''', '''쭝겐슐라크''', '''플리겐토트''', '''훙거거르트''', '''코헨브루흐''': 멜키오르 학교의 교사들이다. 이들의 이름은 각각 "매우 두꺼운", "억양/말투" (직역하면 "혀 찰싹"), "파리의 죽음", "굶주림의 허리띠"와 "뼈 골절"을 의미한다.
  • '''파스터 칼바우흐''': 마을의 종교 지도자로, 모리츠의 장례식에서 설교를 한다. 그의 이름은 독일어로 "대머리 배"를 의미한다.
  • '''가면을 쓴 남자''': 극의 마지막 장면에 나타나 멜키오르에게 구원의 희망을 제시하는 신비로운, 운명과 같은 낯선 사람이다. 극이 처음 공연되었을 때, 베데킨트가 직접 무대에서 이 역할을 연기했다.

4. 줄거리

김나지움의 수재 멜키오르, 그의 친구이자 열등생 모리츠, 동급생 소녀 벤들라가 주요 인물이다. 멜키오르와 모리츠는 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멜키오르는 모리츠에게 '아이를 만드는 방법'을 그림 글로 설명해 주기로 한다.

모리츠는 성적이 좋지 않아 임시 진급에 성공하지만 경쟁을 견디지 못하고 멜키오르의 어머니에게 미국 도피 자금을 구걸하다 거절당한 뒤 권총 자살을 한다. 한편 멜키오르는 벤들라와 반강간과 같은 관계로 육체 관계를 맺고, 벤들라는 임신한다. 벤들라는 행복을 느끼지만, 어머니에 의해 낙태당하고 낙태약 때문에 죽는다.

모리츠의 유품에서 멜키오르가 작성한 문서가 발견되고, 벤들라와의 관계가 발각된 멜키오르는 개선원에 보내진다. 멜키오르는 개선원을 탈출한 후 벤들라의 무덤을 발견하고 그녀의 죽음을 알게 된다. 자책하는 멜키오르 앞에 목 없는 모리츠가 나타나 죽음으로 유혹한다. 가면을 쓴 신사가 나타나 "도덕"이 상상이지만 실체로서 존재함을 가르치고, 모리츠를 설득하여 멜키오르를 삶으로 이끈다.

4. 1. 1막

벤들라 베르크만은 어머니와 치마 길이에 대해 이야기하던 중, 가끔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고 털어놓는다. 벤들라는 어머니에게 그것이 죄가 되는지 묻지만, 어머니는 질문을 회피한다. 벤들라는 언젠가 긴 드레스 안에 아무것도 입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농담한다.[1]

학교가 끝난 후 멜키오르 가보르와 모리츠 슈티펠은 성적인 꿈과 생각에 대해 이야기한다. 멜키오르는 성적 생식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모리츠는 잘 알지 못했다. 멜키오르는 모리츠에게 자신의 집에 와서 삶에 대해 가르칠 도표와 저널을 보여주겠다고 한다. 모리츠는 당황하여 서둘러 떠난다.[1]

마르타, 테아, 벤들라는 최근 폭풍으로 인해 춥고 젖은 채로 거리를 걷고, 멜키오르와 다른 소년들이 강에서 어떻게 놀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벤들라는 마르타의 땋은 머리가 풀린 것을 보고 마르타에게 머리를 잘라주겠다고 제안한 후, 마르타는 아버지에게 심하게 구타당하고 때로는 성적으로 학대당한다고 고백한다. 멜키오르가 지나가자, 벤들라와 테아는 그가 얼마나 잘생겼는지 이야기한다.[1]

소년들이 학교 운동장에서 지켜보는 동안, 모리츠는 교장의 사무실에 몰래 들어가 자신의 학업 기록을 본다. 모리츠는 학교에 남기 위해 최소한 반에서 60등 안에 들어야 했다. 다행히 모리츠는 안전하게 돌아오며 기뻐한다. 멜키오르는 모리츠를 축하하며, 모리츠는 희망이 없었다면 자살했을 것이라고 말한다.[1]

벤들라는 숲에서 멜키오르를 만난다. 멜키오르는 벤들라에게 학대받고 가난한 아이였던 꿈과 마르타의 가정 상황에 대해 듣는다. 벤들라는 평생 단 한 번도 맞은 적이 없다는 사실에 부끄러움을 느끼며, 멜키오르에게 그것이 어떤 느낌인지 보여달라고 부탁한다. 그는 회초리로 그녀를 때리지만, 그리 세게 때리지는 못하고, 벤들라는 그에게 더 세게 때리라고 소리 지른다. 갑자기 흥분한 멜키오르는 주먹으로 그녀를 심하게 때리고 울면서 달려간다.[1]

4. 2. 2막

모리츠는 학업 성적에 대한 압박감으로 멜키오르의 어머니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거절당한다. 멜키오르의 어머니는 모리츠에게 사회의 평가와 상관없이 실패자가 아니라고 격려하는 편지를 쓰지만, 모리츠는 자신과 부모를 탓하며 절망한다. 결국 그는 도시로 도망쳐 옛 친구 일제를 만나지만, 그녀의 제안을 거절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한편, 벤들라는 멜키오르와 건초 더미에서 성관계를 맺는다. 멜키오르는 벤들라에게 사랑은 "가짜"라고 주장하며, 성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벤들라의 애원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관계를 가진다. 이후 벤들라는 임신 사실을 알게 되고, 어머니에 의해 낙태를 강요당한다.[1]

4. 3. 3막

조사 후, 학교 교수들은 모리츠의 자살의 주된 원인이 멜키오르가 그를 위해 쓴 성(性)에 대한 에세이라고 결론 내린다. 멜키오르의 변론을 허용하지 않고, 당국은 그를 가차 없이 퇴학시킨다. 모리츠의 장례식에서, 어른들은 모리츠의 자살을 이기적이고 신성모독이라고 부른다. 모리츠의 아버지는 그를 의절한다. 아이들은 나중에 와서 그들만의 방식으로 애도를 표한다.

가보 부인은 멜키오르와 모리츠가 잘못한 일이 없다고 믿고, 멜키오르가 희생양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유일한 어른이다. 하지만 가보 씨는 아들의 행동을 타락했다고 비난한다. 그는 멜키오르가 벤들라에게 쓴 편지를 보여주며, 그녀에게 "그녀에게 죄를 지은" 것에 대한 후회를 고백한다. 멜키오르의 필체를 알아본 그녀는 무너진다. 그들은 멜키오르를 개선원에 보내기로 결정한다.

벤들라는 갑자기 병에 걸린다. 의사는 약을 처방하지만, 그가 떠난 후, 벤들라의 어머니는 그녀에게 그녀의 병의 진정한 원인인 임신에 대해 알려준다. 그녀는 벤들라의 죄를 비난한다. 벤들라는 멜키오르를 사랑한 적이 없었기에 무력하고 혼란스러워하며, 어머니에게 제대로 가르치지 않았다고 소리친다. 낙태 시술자가 도착한다. 한편, 함께 저녁을 보내면서, 한센 릴로와 에른스트 로벨은 키스를 나누고 서로에게 동성애를 고백한다.

프랑크 베데킨트가 가면을 쓴 남자 (중앙)로 분장한 오리지널 막스 라인하르트의 ''봄의 깨어남'' (1906)의 마지막 장면 사진


11월, 탈출한 멜키오르는 벤들라의 묘비가 있는 묘지에 숨어, 그녀가 빈혈로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머리 일부가 없는 모리츠의 유령을 만난다. 모리츠는 죽음 속에서 그는 고통스러운 세상에서 살았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더 많이 살았다고 설명한다. 멜키오르는 모리츠와 함께 죽음으로 가도록 거의 유혹당하지만, 가면을 쓴 남자라고 불리는 신비한 인물이 개입한다. 모리츠는 사실 죽음은 견딜 수 없는 것이라고 고백한다. 그는 단지 멜키오르를 다시 동반자로 삼고 싶었을 뿐이다. 가면을 쓴 남자는 멜키오르에게 벤들라가 불필요한 낙태로 죽었고, 그가 죽음으로부터 그를 구하기 위해 삶에 대한 진실을 가르치기 위해 나타났다고 알린다. 멜키오르와 모리츠는 암호 같은 인물이 멜키오르를 인도해 갈 때 서로에게 작별을 고한다.

5. 주제

Frühlings Erwachende는 19세기 말 독일 사회의 억압적인 성교육과 위선적인 태도를 비판하며, 청소년들이 겪는 성적 욕망과 갈등, 세대 간의 소통 부재, 그리고 삶과 죽음의 의미를 다룬다.

이 작품은 청소년들이 자연스러운 성적 호기심과 욕망을 억압받고, 어른들의 무관심과 무지로 인해 고립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주인공 멜키오르는 성적 생식에 대해 알고 있는 무신론자이지만, 친구 모리츠에게 성교에 대한 글을 써준 것이 문제가 되어 학교에서 퇴학당하고, 소년 교도소에 보내지는 등 사회적 억압을 받는다. 벤들라는 아기가 어떻게 태어나는지 진실을 알고 싶어 하지만, 어머니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결국 멜키오르의 아이를 임신한 채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이러한 극단적인 상황을 통해 작가는 삶과 죽음의 의미를 되묻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긍정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는 극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가면을 쓴 남자'를 통해 나타나는데, 그는 멜키오르에게 구원의 희망을 제시하는 신비로운 인물이다.

6. 각색

이 희곡은 여러 차례 각색되었다. 1924년 루이제 플렉과 야콥 플렉이 감독한 오스트리아 무성 영화 봄의 깨어남과 1929년 리하르트 오스발트가 감독한 체코-독일 무성 영화 봄의 깨어남으로 만들어졌다.

2006년에는 덩컨 셰이크가 작곡하고 마이클 메이어가 연출한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이 토니상을 수상했다(2007년). 이 뮤지컬은 2009년 국내에서 초연되어 호응을 얻었고, 2011년에 재공연되었다.

1995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영국의 시인 테드 휴즈에게 이 희곡의 새로운 번역을 의뢰했다.[15] 2007년에는 전미 도서상 수상 작가 조너선 프랜젠이 수정된 번역본을 출판했다.[16]

그 외에도 2008년 아서 앨런 세이들먼이 연출한 텔레비전 드라마 '봄의 각성'이 제작되었다. 같은 해 호주 드라마 ''홈 앤 어웨이''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이 희곡이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20] 2010년에는 아일랜드 극작가 토머스 킬로이가 1940년대 후반/1950년대 초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각색한 ''우리를 구원하소서!''가 애비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6. 1. 영화

봄의 깨어남은 루이제 플렉과 야코프 플렉(영문)이 감독한 오스트리아 무성 영화이며, 봄의 깨어남은 리하르트 오스발트(영문)가 감독한 체코-독일 무성 영화이다.[15]

6. 2. 뮤지컬

2006년 던컨 시크의 음악과 스티븐 세이더의 각본으로 브로드웨이에서 록 뮤지컬로 상연되었으며, 토니상 8개 부문을 수상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눈 뜨는 봄 (뮤지컬) 참조).[19][18] 이 뮤지컬은 미국 수화와 영어를 사용하여 공연되었으며, 청각 장애인 배우와 청각 배우가 함께 참여했다.[19]

6. 3. 연극

이 희곡은 1906년 베를린 도이체스 극장에서 막스 라인하르트의 연출로 초연되었으나, 검열로 인해 일부 장면이 삭제되었다.[21] 프로이센에서는 초연 후 상연 금지 명령이 내려졌지만, 1907년 바이에른에서 상연되었고, 이후 오스트리아 각지에서도 무대에 올려졌다.[21]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도 인기가 식지 않아 시대를 현대에 맞게 바꾼 연출 등으로 현재까지 상연이 계속되고 있다.[21]

1963년에는 영국에서 검열된 형태로 단 이틀간 공연되었고, 1974년에는 영국 올드 빅에서 피터 홀 연출로 무검열 버전이 초연되었다.[17] 2014년에는 영국 극작가 아냐 라이스의 각색본이 영국 투어를 진행했다.[17]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이 공연되었다:

연도형식구성/연출공연 장소비고
2014년낭독극[21]타카하시 마사노리 (분가쿠자)텐노즈 은하 극장
2017년, 2019년연극[22][23][24]시라이 아키라KAAT 카나가와 예술 극장 등2019년 재연


6. 4. 기타

1995년, 영국의 시인 테드 휴즈는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로부터 이 희곡의 새로운 번역을 의뢰받았다.[15]

전미 도서상 수상 작가 조너선 프랜젠은 2007년에 이 희곡의 수정된 번역본을 출판했다.[16]

7. 한국에서의 수용

이 연극은 초연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어른들의 낡고 속물적인 세계에 대한 선전포고이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청소년들과 경직된 아버지들 사이의 금기시되던 주제에 대한 토론이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동경과 열망 때문에 혼자서 얼마나 스스로를 파괴하고 소모하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시대를 초월하는 의미를 지닌다.[1]

1890~1891년에 쓰였지만, 1906년 막스 라인하르트가 공연할 때까지 초연될 수 없었다. 1912년에야 최종 결정으로 이 연극은 비로소 법원의 자유로운 공연 허가를 얻게 되었다.[1]

2006년 덩컨 셰이크(Duncan Sheik)가 뮤지컬로 작곡하고 마이클 메이어(Michael Meyer)가 연출하여 '스프링 어웨이크닝'이라는 제목으로 무대에 올려져 토니상을 수상했다(2007년). 한국에서도 2009년 처음 공연되어 열렬한 호응을 얻었으며, 2011년에 재공연되었다.[1]

참조

[1] 뉴스 Banned sex play now a teenage hit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9-01-31
[2] 웹사이트 Spring Awakening https://archive.toda[...]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Theatre 2012-09-10
[3] 웹사이트 The Stories Behind Some of History's Most Controversial Theatrical Productions http://www.flavorwir[...] Flavorwire (owned by BDG) 2011-10-27
[4] 서적 The Director & The Stage: From Naturalism to Grotowski https://books.google[...] A&C Black 1986
[5] 간행물 O'Neill and Frank Wedekind, Part One http://www.eoneill.c[...] 1982-03
[6] 뉴스 Wedekind Play Abused; Poor Translation and Performance of ''Fruehlings Erwache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2-13
[7] 뉴스 In the Play World - Injunction Needed for Poor Production of Gloomy Play by Wedekind https://chroniclinga[...] New York Tribune 1917-03-31
[8] 간행물 Theatre: Dated Sermon; ''Spring's Awakening'' Is an Essay on Sex https://www.nytimes.[...] 1955-10-10
[9] 간행물 Stage: Liviu Ciulei's ''Spring Awakening''; A Director's Play https://select.nytim[...] 1978-07-14
[10] 뉴스 'Spring' time for Atlantic https://www.variety.[...] 2005-08-01
[11] 서적 The National Theatre story Bloomsbury Academic 2013
[12] 웹사이트 Production of Spring Awakening https://theatricalia[...] 2020-04-04
[13] 서적 Companion to contemporary Black British cultur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20-04-04
[14] 웹사이트 Spring Awakening https://theatricalia[...] 2020-04-04
[15] 서적 Spring Awakening https://books.google[...] Faber
[16] 서적 Spring Awakening: A Play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17] 서적 Spring Awakening https://books.google[...] Oberon Books 2014-03-10
[18] 뉴스 Review: ''Spring Awakening'' by Deaf West Theater Brings a New Sensation to Broadway https://www.nytimes.[...] 2016-02-23
[19] 뉴스 Deaf West Theatre makes Tony winner ''Spring Awakening'' all its ow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8-10-09
[20] 웹사이트 Christine Jones – Home and Away Characters https://www.backtoth[...] Back to the Bay 2018-04-10
[21] 웹사이트 ―銀河劇場ニュ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リーズ― 朗読劇『春のめざめ』 https://www.gingeki.[...] 2024-11-04
[22] 뉴스 白井晃演出「春のめざめ」で志尊淳が舞台初主演「役者として大きくなりたい」 https://natalie.mu/s[...] 2016-12-01
[23] 웹사이트 KAAT神奈川芸術劇場プロデュース『春のめざめ』 https://www.kaat.jp/[...] 2024-11-04
[24] 웹사이트 KAAT神奈川芸術劇場プロデュース『春のめざめ』 https://www.kaat.jp/[...] 2024-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