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간인은 1603년 웅예 영엄에 의해 초암으로 시작되어, 1610년 사토미 타다요시의 귀의를 받아 정식 사찰이 된 일본의 정토종 사찰이다. 에도 막부로부터 주인장을 받았으며, 아와국에서 정토종의 촉두 중 하나였다. 다이간인 경내에는 1624년에 건립된 사면석탑이 있으며, 이 석탑은 지바현 지정 유형문화재로, 각 면에 한자, 한글(동국정운식 표기), 실담 문자, 전서체로 '나무아미타불'이 새겨져 있다. 다이간인과 유사한 사면석탑은 훗쓰시의 쇼오인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금석문 -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조선 중종 시대에 세워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는 묘비 훼손을 막기 위한 경계문이 한글로 새겨진 비석으로,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비석으로 평가받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 지바현의 절 - 다이후쿠지
다이후쿠지는 지바현 다테야마시에 위치한 사찰로, 717년 행기가 관음상을 조각한 것을 시작으로 천태종 승려 엔닌에 의해 절이 세워졌으며, 현재는 진언종에 속해 있고 다테야마 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지바현의 절 - 나고지
나고지는 지바현 다테야마시에 위치한 신곤종 지잔파 소속 사찰로, 717년경 창건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가마쿠라 시대에 제작된 센주 간제온 보살 청동상이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반도 33개소의 마지막 사찰이자 아와국찰 34 관음 영장의 첫 번째 사찰이다. - 다테야마시의 건축물 - 다이후쿠지
다이후쿠지는 지바현 다테야마시에 위치한 사찰로, 717년 행기가 관음상을 조각한 것을 시작으로 천태종 승려 엔닌에 의해 절이 세워졌으며, 현재는 진언종에 속해 있고 다테야마 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다테야마시의 건축물 - 나고지
나고지는 지바현 다테야마시에 위치한 신곤종 지잔파 소속 사찰로, 717년경 창건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가마쿠라 시대에 제작된 센주 간제온 보살 청동상이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반도 33개소의 마지막 사찰이자 아와국찰 34 관음 영장의 첫 번째 사찰이다.
다이간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대암원 |
로마자 표기 | Daeganin |
소재지 | 지바현다테야마시오아미 398-13 |
좌표 | 34.983611, 139.874370 |
산호 | 불법산 |
원호 | 대암원 |
사호 | 대망사 |
종지 | 정토종 |
본존 | 아미타여래 |
창건 연도 | 1603년 (게이초 8년) / 1610년 (게이초 15년) |
개산 | 유요레이간 / 사토미 다다요시 |
정식 명칭 | 불법산 대망사 대암원 |
웹사이트 | 불법산 대암원 |
2. 역사
1603년(게이초 8년) 웅예 영엄이 초암을 세운 것이 다이간인의 시작이다. 1610년 (게이초 15년) 사토미 타다요시가 이 절에 귀의하면서 절로 승격되었다. 에도 막부로부터 주인장을 받았으며, 아와국에서 정토종의 촉두 중 하나였다.[1]
경내에는 겐와 10년(1624년)에 건립된 사면석탑이 있다. 이 석탑의 사면에는 한자, 범자, 전서, 언문(한글)로 "나무아미타불"이 새겨져 있다. 한글 부분은 현재 쓰이는 나무아미타불한국어이 아닌 동국정운식 표기(남뭉ᅙᅡᆼ밍땅뿌ᇙ한국어)를 따르고 있다. 후츠시 쇼오인에도 이와 유사한 사면석탑이 있다.[1]
2. 1. 창건과 초기 역사
이 절은 1603년 (게이초 8년) 웅예 영엄이 세운 초암에서 시작되었으며, 1610년 (게이초 15년) 사토미 타다요시의 귀의를 받아 절로 개칭되었다. 에도 막부로부터 주인장을 받았으며, 아와국에서 정토종의 촉두 중 하나였다.[1]2. 2. 사면석탑 건립과 그 의미
1624년(겐나 10년) 경내에 사면석탑(四面石塔)이 건립되었다.[3] 이 석탑의 각 면에는 한자, 한글, 실담 문자, 전서체로 '나무아미타불'이 새겨져 있다. 한글 표기는 '남뭉ᅙᅡᆼ밍땅뿌ᇙ'으로, 동국정운식 표기를 따르고 있다. 이는 각 글자의 받침 소리가 나지 않는 글자에 ㅇ 받침이 채워져 있고, 佛의 받침에 이영보래가 적용된 형태이다. 장영길은 한자의 동국정운식 표기와 한글의 서체, 그리고 정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전 등을 근거로 이 석탑의 한글이 《아미타경언해》의 쌍계사본을 참조해 새겨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4]
다이간인 경내에는 1624년에 세워진 사면석탑(四面石塔)이 있으며, 1969년 지바현 지정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3] 이 석탑은 사각 돌기둥 각 면에 ‘나무아미타불’이 한자, 한글, 실담 문자, 전서체 등 4가지 글씨로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북쪽 면에 새겨진 실담 문자는 ‘나무아미타불’의 실제 산스크리트어 표기와 차이가 있으며, 일본어 발음 なむあみだぶ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남쪽 면에는 선도의 《반주찬(般舟讚)》에 실린 정토교 항마게(降魔偈)가 새겨져 있다.
훗쓰시 쇼오인(松翁院)에도 1658년에 거의 동일한 글씨를 새겨 세운 사면석탑이 있다.[1]
3. 사면석탑
훗쓰시 쇼오인(松翁院일본어)에도 1658년에 거의 동일한 글씨를 새겨 세운 사면석탑이 있어, 두 석탑의 연관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2]
3. 1. 구조와 특징
사원 내에는 사면석탑(四面石塔)이 있다. 사면석탑은 1624년에 세워졌으며, 사각으로 된 돌기둥 각 면에 ‘나무아미타불’이 4가지 글씨로 새겨져 있다. 1969년 지바현 지정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3]
북쪽 면에 새겨진 실담 문자는 ‘나무아미타불’의 실제 산스크리트어 표기와 차이가 있으며, 일본어 발음 なむあみだぶ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실담 문자의 양쪽에는 탑을 세운 사람과 날짜 등이 새겨져 있다.
남쪽 면의 양 옆에 새겨진 것은 선도(善導)의 《반주찬(般舟讚)》에 실려 있는 것으로, 정토교에서 항마게(降魔偈)로 알려져 있다.
동쪽 면에 새겨진 한글은 南無阿彌陀佛 각 글자의 동국정운식 표기로, 받침 소리가 나지 않는 글자에 ㅇ 받침이 채워져 있고, 佛의 받침에 이영보래가 되어 있다. 장영길은 한자의 동국정운식 표기와 한글의 서체, 그리고 정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전 등을 근거로 이 석탑의 한글이 《아미타경언해》의 쌍계사본을 참조해 새겨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4]
훗쓰시 쇼오인(松翁院일본어)에도 1658년에 거의 동일한 글씨를 새겨 세운 사면석탑이 있다.
3. 2. 각 면의 문자
사면석탑은 1624년에 세워졌으며, 사각으로 된 돌기둥 각 면에 ‘나무아미타불’이 4가지 글씨로 새겨져 있다. 1969년 지바현 지정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3]
북쪽 면에 새겨진 실담 문자는 ‘나무아미타불’의 실제 산스크리트어 표기인 namo amitābha|나모 아미타바sa와 차이가 있으며, 일본어 발음 なむあみだぶ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실담 문자의 양쪽에는 탑을 세운 사람과 날짜 등이 새겨져 있다.
남쪽 면의 양 옆에 새겨진 것은 선도 (승려)|label=선도중국어의 《반주찬(般舟讚)》에 실려 있는 것으로, 정토교에서 항마게(降魔偈)로 알려져 있다.
동쪽 면에 새겨진 한글은 南無阿彌陀佛 각 글자의 동국정운식 표기로, 받침 소리가 나지 않는 글자에 ㅇ 받침이 채워져 있고, 佛의 받침에 이영보래가 되어 있다. 장영길은 한자의 동국정운식 표기와 한글의 서체, 그리고 정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전 등을 근거로 이 석탑의 한글이 《아미타경언해》의 쌍계사본을 참조해 새겨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4]
3. 3. 문화재적 가치
1624년에 세워진 사면석탑(四面石塔)은 사각 돌기둥 각 면에 '나무아미타불'이 4가지 글씨(한자, 한글, 실담 문자, 전서체)로 새겨져 있으며, 1969년 지바현 지정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3]
북쪽 면에 새겨진 실담 문자는 ‘나무아미타불’의 실제 산스크리트어 표기와 차이가 있으며, 일본어 발음 なむあみだぶ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동쪽 면에 새겨진 한글은 南無阿彌陀佛 각 글자의 동국정운식 표기로, 받침 소리가 나지 않는 글자에 ㅇ 받침이 채워져 있고, 佛의 받침에 이영보래가 되어 있다. 장영길은 한자의 동국정운식 표기와 한글의 서체, 그리고 정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전 등을 근거로 이 석탑의 한글이 《아미타경언해》의 쌍계사본을 참조해 새겨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4]
훗쓰시 쇼오인(松翁院일본어)에도 1658년에 거의 동일한 글씨를 새겨 세운 사면석탑이 있다.[1]
4. 위치
참조
[1]
서적
千葉県の歴史散歩(歴史散歩12)
山川出版社
2006
[2]
웹사이트
大巌院四面石塔
https://www.pref.chi[...]
千葉県庁
2017-06-04
[3]
웹사이트
https://www.pref.chi[...]
[4]
저널
日本國 館山市 大巖院의 한글 비문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020-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