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군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군론은 단군과 관련된 역사적, 신화적 논쟁을 다루는 주제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단군을 부정하는 시각이 있었으나, 이에 대한 반박과 긍정론이 제기되며 논쟁이 이어졌다. 단군 부정론은 단군 신화를 불교 설화에 근거한 가공의 이야기로 폄하하며, '일웅일호', '동혈이거' 등의 구절을 근거로 삼았다. 그러나 긍정론 측에서는 '일웅일호'가 곰과 호랑이가 아닌 부족을 의미하며, 환웅과 웅녀의 결합을 통해 단군이 탄생했다는 해석을 제시하며 반박했다.

2. 단군 관련 논쟁

단군의 역사성에 대한 논쟁은 주로 일제강점기 일본 학자들에 의해 촉발되었다. 시라토리 구라키치, 나카 미치요, 이마니시 류 등은 삼국유사의 기록을 근거로 단군 이야기를 불교 설화에 기반한 허구 또는 조작된 신화라고 주장하며 그 역사성을 부정했다.[3][4] 이러한 주장은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들어서면서 식민사학의 일환으로 더욱 체계화되었으며, 『삼국유사고조선 조에 등장하는 '일웅일호(一熊一虎)', '동혈이거(同穴而居)', '신웅(神雄)', '웅녀(熊女)' 등의 표현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단군의 존재를 신화로 격하하고 말살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4][5]

그러나 이러한 식민사학적 관점에 대해, 학계에서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상징적인 표현이라는 반론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일웅일호'는 곰과 호랑이가 아닌 웅(熊) 토템 부족과 호(虎) 토템 부족을, '동혈이거'는 이들 부족이 같은 지역에 거주했음을 의미하며, '신웅(神雄)'은 신성한 지도자를, '웅녀'는 웅족 출신의 여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여 단군 기록의 역사적 맥락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4][5] 한편,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조선총독부의 공식적인 입장과 달리 재한 일본인 사회 내에서 단군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흐름도 존재했다.[2]

2. 1. 단군 긍정론

1910년대 조선총독부에서 검정한 『신찬대일본제국사략』에는 병합 초반 정치·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컸던 재한일본인들이 병합을 정당화하고자 했던 의도가 담겨 있다. 당시 일본 역사학계와 조선총독부단군을 부정하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단군에 대한 서술이 교과서에 포함된 것은 재한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단군긍정론이 존재했기 때문이다.[2]

2. 2. 단군 부정론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는 주장은 주로 일제강점기 일본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동경제대 교수였던 시라토리 구라키치1894년 단군 관련 기록이 불교 설화에 기반한 허구라고 주장했으며, 이후 나카 미치요(1897년), 이마니시 류(1902년) 등이 단군신화로 규정하며 역사성을 부정하는 논리를 펼쳤다.[3][4]

이러한 일본인 학자들의 주장은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들어서면서 한국사 왜곡 정책의 일환으로 더욱 체계화되었다.[4] 일제 식민사학은 『삼국유사고조선 조에 등장하는 '일웅일호(一熊一虎)', '동혈이거(同穴而居)', '신웅(神雄)', '웅녀(熊女)' 등의 기록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단군 이야기가 비현실적인 신화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단군의 존재를 말살하려 했다.[4][5]

그러나 이러한 식민사학적 관점에 대한 반론도 제기된다. 학계에서는 『삼국유사』의 기록을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상징적인 표현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3][4][5]

2. 2. 1. 단군 부정론의 근거

단군조선을 부정하는 주장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 식민사학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사학자이자 동경제대 교수였던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시라토리 구라키치일본어`)는 1894년 발표한 '단군고'에서 단군 관련 기록이 불교 설화에 근거하여 꾸며낸 이야기라고 주장했다.[3] 이어 나카 미치요(`那珂通世|나카 미치요일본어`)는 1897년 '사학잡지'에 기고한 '조선고사(朝鮮古史)'라는 논문에서 단군왕검을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과 같은 불교 승려가 만들어낸 신화라고 주장하며 단군의 역사성을 부정했다.[3][4] 1902년에는 이마니시 류(`今西龍|이마니시 류일본어`)가 '단군고'를 발표하여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했다.[3]

이러한 일본인 학자들의 단군 부정론은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더욱 체계적이고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4] 일제 식민사학은 단군을 역사적 실체가 아닌 신화로 격하하고 말살하려 했는데,[4] 이때 주요 근거로 삼은 것이 『삼국유사고조선 조의 기록이었다. 구체적으로 '일웅일호(一熊一虎, 한 마리 곰과 한 마리 호랑이)', '동혈이거(同穴而居, 같은 굴에 살았다)', '신웅(神雄)', '웅녀(熊女)' 등과 같은 표현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단군 이야기가 비현실적인 신화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4][5]

2. 2. 2. 단군 부정론에 대한 반박

단군조선을 부정하는 주장은 주로 일제 식민사학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사학자 동경제대의 시라토리 쿠라키치(白鳥庫吉)는 1894년 단군고(檀君考)에서 단군 사적이 불교 설화에 근거해 가공된 것이라 주장했다. 이후 나카 미치요(那珂通世)는 1897년 조선고사(朝鮮古史)라는 논문에서 단군왕검을 삼국유사를 지은 승려 일연의 망설이자 날조된 신화라고 주장했으며, 1902년 이마니시류(今西龍)의 단군고 등이 이를 뒷받침하며 단군을 부정했다.

이러한 일본인 학자들의 단군 부정론은 1910년 조선총독부 설치 이후 더욱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은 삼국유사 고조선 조에 나오는 '일웅일호'(一熊一虎, 한 마리 곰과 한 마리 호랑이), '동혈이거'(同穴而居, 같은 굴에 살았다), '신웅'(神雄), '웅녀'(熊女) 등의 표현을 근거로 단군 이야기를 신화로 규정하고 그 의미를 축소하려 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박한다.

  • '''일웅일호(一熊一虎)와 동혈이거(同穴而居)''': '일웅일호'는 문자 그대로 곰과 호랑이가 아니라, 곰 토템을 가진 웅(熊) 부족과 호랑이 토템을 가진 호(虎) 부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고대 중국 문헌인 '서경' 순전(舜典)에는 순임금의 신하로 주(朱)·호(虎)·웅(熊)·비 등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사마천의 '사기' 오제본기(五帝本紀)에도 황제(黃帝)의 용맹한 전사 중에 웅(熊)·호(虎)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 이는 당시 '웅'이나 '호'가 동물이 아닌 부족이나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또한 '동혈이거'는 곰과 호랑이가 같은 굴에 살았다는 뜻이 아니라, 당시 사람들이 굴을 파거나 나무 위에 집을 짓고 살았던 생활 방식(혈거이소처, 穴居而巢處)을 반영하여 웅 부족과 호 부족이 같은 지역에서 함께 살았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 '''환웅(桓雄)과 신웅(神雄)''': 환웅을 '신웅'으로 표현한 것은 그가 인간이 아닌 신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신성한 인간'이라는 뜻으로 해석한다. 맹자는 인간을 선인(善人)·신인(信人)·미인(美人)·대인(大人)·성인(聖人)·신인(神人)의 여섯 단계로 나누었는데, 여기서 '신인'은 매우 뛰어난 인물을 의미한다. 환인·환웅의 '환'(桓)이라는 글자는 춘추시대 송나라의 사마(司馬)였던 '환퇴'(桓魋)의 사례처럼 부족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한국어의 '한', '하늘'과 통하며 '태양'을 뜻하기도 하므로, '환'은 태양 또는 하늘을 숭배하던 부족의 명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웅녀(熊女)와 환웅의 혼인''': '웅녀환웅이 혼인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기록은, 환웅이 곰이 여자로 변한 존재와 결혼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웅(熊) 부족 출신의 여성인 '웅녀'와 환(桓) 부족의 지도자환웅의 결합을 통해 단군이 탄생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한다. '웅녀'가 곰이 아닌 웅씨 가문의 딸을 의미한다는 것은, 중국 주(周)나라 태왕(太王)의 부인 강씨(姜氏)를 '강녀'(姜女)라고 표기한 '시경'과 '맹자'의 용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3][4][5]

참조

[1] 서적 씨성으로 본 한일민족의 기원 푸른숲 2000
[2] 논문 조선총독부 검정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의 역사서술 국회도서관
[3] 뉴스 살아 숨쉬는 우리 역사, 고조선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07-02-07
[4] 뉴스 단군, 이제 신화굴레 벗겨야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4-05-31
[5] 뉴스 "단군신화설은 식민사학자들의 왜곡·농간"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3-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