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순환은 곱셈 항등원을 가지는 환 로, 가 자명환이 아니고, 의 모든 아이디얼이 {0} 또는 인 환을 의미한다. 단순환의 중심은 체이며, 극대 아이디얼에 대한 몫환은 단순환이다. 아르틴-웨더번 정리에 따르면, 왼쪽 또는 오른쪽 아르틴 환인 단순환은 나눗셈환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모든 체와 나눗셈환은 단순환이며, 바일 대수 또한 단순환의 예시이다. 스콜렘-뇌터 정리는 단순 대수의 자기 동형에 대한 중요한 정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순환 | |
|---|---|
| 개요 | |
| 종류 | 환 |
| 성질 | 아이디얼이 {0}과 R뿐인 환 |
| 정의 | |
| 조건 | math: "1 ≠ 0" math: "R" 의 양쪽 아이디얼은 math: "{0}" 과 math: "R" 뿐이다. |
| 성질 | |
| 조건 | math: "R" 의 중심은 나눗셈환이다. 아르틴-웨더번 정리에 따라, 나눗셈환 math: "D" 위의 math: "n"×math: "n" 정사각 행렬환 math: "M(n,D'')" 은 단순환이다.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Lang Bourbaki Lam |
2. 정의
곱셈 항등원을 갖는 환 ''R''이 다음 두 성질을 만족시킨다면, ''R''을 '''단순환'''이라고 한다.
단순환 의 중심 은 항상 체이다. (이는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면 주 아이디얼 이므로 가 가역원이기 때문이다.)
2. 1. 중심 단순 대수
체 위의 단위 결합 대수 가운데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위의 '''중심 단순 대수'''(中心單純代數, central simple algebra영어)라고 한다.- 는 단순환이다.
- 는 유한하다. 즉, 위의 유한 차원 단위 결합 대수이다.
- 이다. 즉, 중심이 정확하게 이다.
즉, 모든 아르틴 단순환은 스스로의 중심 위의 중심 단순 대수를 이룬다.
실수체 , 복소수체 , 그리고 사원수 를 생각해보자.
- 중앙 단순 대수 (때때로 브라우어 대수라고도 함)는 체 위의 유한 차원 단순 대수이며, 그 대수의 중심은 이다.
- 위의 모든 유한 차원 단순 대수는 , 또는 를 성분으로 하는 행렬 대수와 동형이다. 위의 모든 중앙 단순 대수는 또는 를 성분으로 하는 행렬 대수와 동형이다. 이 결과는 프로베니우스 정리로부터 따른다.
- 위의 모든 유한 차원 단순 대수는 중앙 단순 대수이며,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 유한체 위의 모든 유한 차원 중앙 단순 대수는 해당 체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3. 성질
극대 아이디얼에 대한 몫환은 단순환이다. 특히, 모든 체나 나눗셈환은 단순환이다.
어떤 환 에 대한 행렬환 의 아이디얼은 의 아이디얼과 일대일 대응하므로, 단순환에 대한 행렬환은 단순환이며, 비단순환에 대한 행렬환은 비단순환이다.
3. 1. 스콜렘-뇌터 정리
Skolem–Noether theorem영어에 따르면, 체 위의 단순 대수 와 중심 단순 대수 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두 - 단위 결합 대수 준동형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역원 이 존재한다.:
특히, 중심 단순 대수의 모든 자기 동형은 내부 자기 동형 이다.
4. 구조 정리
아르틴-웨더번 정리(Artin–Wedderburn theorem영어)에 따르면, 왼쪽 아르틴 환 또는 오른쪽 아르틴 환인 단순환 는 나눗셈환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1]
:
여기서 는 나눗셈환이며, 는 환 에 대한 행렬환이다. 이러한 표현은 유일하며, 와 은 유일하게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가 왼쪽 아르틴 환인 경우, 는 단순환이므로 충실한 단순 왼쪽 가군 을 갖는다. 슈어 보조정리에 의하여 은 나눗셈환이며, 왼쪽 아르틴 환 조건에 의하여 는 항상 유한 차원 자유 가군이다. 제이컵슨 조밀성 정리에 의하여 이다. 즉, 으로 놓으면, 이며, 이다.
가 오른쪽 아르틴 환인 경우에도 마찬가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르틴 단순환의 분류는 그 중심체 위의 유한 차원 나눗셈환의 분류로 귀결된다. 이는 체 의 브라우어 군으로 결정된다.
단순 환 ''R''에 대해 다음은 동치이다.
- ''R''은 왼쪽 아르틴적이다.
- ''R''은 반단순이다.
- ''R''은 극소 왼쪽 아이디얼을 가진다.
- ''R''은 어떤 자연수 ''n''과 어떤 나눗셈 환 ''D''에 대해 M''n''(''D'')과 동형이다.
5. 예
모든 체와 모든 나눗셈환은 단순환이다.
바일 대수 는 단순환이다. 그러나 이는 왼쪽 아르틴 환이나 오른쪽 아르틴 환이 아니며, 따라서 아르틴-웨더번 정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자명환은 정의에 따라 단순환이 아니다. 실수체 , 복소수체 , 그리고 사원수 를 생각해보자.
- 중앙 단순 대수(때때로 브라우어 대수라고도 함)는 체 위의 유한 차원 단순 대수이며, 그 대수의 중심은 이다.
- 위의 모든 유한 차원 단순 대수는 , 또는 를 성분으로 하는 행렬 대수와 동형이다. 위의 모든 중앙 단순 대수는 또는 를 성분으로 하는 행렬 대수와 동형이다. 이 결과는 프로베니우스 정리로부터 따른다.
- 위의 모든 유한 차원 단순 대수는 중앙 단순 대수이며,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 유한체 위의 모든 유한 차원 중앙 단순 대수는 해당 체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 체 위의 무한 차원 벡터 공간의 모든 선형 변환 대수는 반단순환이 아닌 단순환이다. 또한 반단순 대수가 아닌 위의 단순 대수이기도 하다.
6. 역사
1927년에 토랄프 스콜렘은 스콜렘-뇌터 정리를 발표하였으며,[2] 1933년에 에미 뇌터가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다.[3][4]
참조
[1]
서적
Noncommutative algebra
Springer-Verlag
1993
[2]
저널
Zur Theorie der assoziativen Zahlensysteme
[3]
저널
Hyperkomplexe Größen und Darstellungstheorie
[4]
서적
Acte Inaugural Curs Noether: The Emmy Noether Heritatge
카탈루냐 공과대학교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