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장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장 선거는 대구광역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으며, 역대 시장으로는 문희갑, 조해녕, 김범일, 권영진, 홍준표 등이 있다. 선거 결과는 각 정당 후보들의 득표율과 함께 제시되어 있으며, 2022년 제8회 선거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당선되었다.
역대 민선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는 1995년 1회 지방선거에서 무소속 문희갑 후보가 당선된 이후, 한나라당 소속 후보들이 연이어 당선되었다. 2014년 6회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권영진 후보, 2022년 8회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가 당선되었다.
2. 역대 민선 대구광역시장
2. 1. 역대 당선자 목록
선거 | 정당 | 시장 |
---|---|---|
1995년 | 무소속 | 문희갑 |
1998년 | 한나라당 | 문희갑 |
2002년 | 한나라당 | 조해녕 |
2006년 | 한나라당 | 김범일 |
2010년 | 한나라당 | 김범일 |
2014년 | 새누리당 | 권영진 |
2018년 | 자유한국당 | 권영진 |
2022년 | 국민의힘 | 홍준표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치러진 역대 대구광역시장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문희갑 무소속 383,272 36.79% 이의익 자유민주연합 230,668 22.14% 이해봉 무소속 222,409 21.35% 조해녕 민주자유당 175,749 16.87% 안유호 무소속 29,617 2.84%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문희갑 한나라당 570,167 71.98% 이의익 자유민주연합 163,653 20.66% 유성환 국민신당 58,243 7.35%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해녕 한나라당 452,943 61.18% 이재용 무소속 287,396 38.81%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범일 한나라당 636,057 70.15 이재용 열린우리당 191,131 21.08 이연재 민주노동당 35,497 3.91 백승홍 무소속 35,232 3.88 박승국 국민중심당 8,764 0.9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범일 한나라당 633,118 72.92% 이승천 민주당 146,458 16.86% 조명래 진보신당 88,599 10.2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권영진 새누리당 581,175 55.95% 김부겸 새정치민주연합 418,891 40.33% 이정숙 무소속 14,774 1.42% 이원준 정의당 12,922 1.24% 송영우 통합진보당 10,857 1.0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권영진 자유한국당 619,165 53.73% 임대윤 더불어민주당 458,112 39.75% 김형기 바른미래당 74,955 6.5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홍준표 국민의힘 685,159 78.75% 서재헌 더불어민주당 156,429 17.97% 한민정 정의당 20,904 2.40% 신원호 기본소득당 7,542 0.86%
3.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문희갑 | 무소속 | 383,272 | 36.79% |
이의익 | 자유민주연합 | 230,668 | 22.14% |
이해봉 | 무소속 | 222,409 | 21.35% |
조해녕 | 민주자유당 | 175,749 | 16.87% |
안유호 | 무소속 | 29,617 | 2.84% |
합계 | 1,041,715 | 100%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초대 민선 대구광역시장으로 무소속 문희갑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문희갑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3. 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선거는 2002년에 실시되었으며, 한나라당 조해녕 후보가 당선되었다.3. 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범일 후보가 70.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이재용 후보는 21.08%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범일 | 한나라당 | 636,057 | 70.15 |
이재용 | 열린우리당 | 191,131 | 21.08 |
이연재 | 민주노동당 | 35,497 | 3.91 |
백승홍 | 무소속 | 35,232 | 3.88 |
박승국 | 국민중심당 | 8,764 | 0.96 |
합계 | 906,681 | 100 |
3. 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선거는 유권자 1,928,835명 중 868,175명이 투표하여, 한나라당 김범일 후보가 72.92%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민주당 이승천 후보는 16.86%, 진보신당 조명래 후보는 10.20%를 득표하였다.
3. 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는 2,012,579명의 유권자 중 1,038,619명이 투표하여 55.95%의 투표율을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영진 | 새누리당 | 581,175 | 55.95% |
김부겸 | 새정치민주연합 | 418,891 | 40.33% |
이정숙 | 무소속 | 14,774 | 1.42% |
이원준 | 정의당 | 12,922 | 1.24% |
송영우 | 통합진보당 | 10,857 | 1.04% |
새누리당 권영진 후보가 581,175표(55.95%)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부겸 후보는 418,891표(40.33%)를 얻었는데, 이는 대구에서 진보 정당 후보가 얻은 득표율 중 상당히 높은 수치로 평가받는다.
3. 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권영진 후보가 53.73%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임대윤 후보는 39.75%를 득표하여, 김부겸 후보에 이어 다시 한번 진보 진영의 저력을 과시했다.
3. 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준표 | 국민의힘 | 685,159 | 78.75% |
서재헌 | 더불어민주당 | 156,429 | 17.97% |
한민정 | 정의당 | 20,904 | 2.40% |
신원호 | 기본소득당 | 7,542 | 0.86% |
총합 | 870,034 | 100%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선거의 유권자 수는 2,044,579명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