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어 가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어 가나는 대만어(민난어) 표기를 위해 개발된 일본 가타카나와 유사한 문자 체계이다. 6개의 모음(아, 이, 우, 에, 오, ヲ)과 다양한 자음, 그리고 성조 부호를 사용하며, 유기음과 탁음을 구분하기 위한 표기법을 갖는다. 일제강점기 대만인들의 정체성 유지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널리 사용되지 않으며, 유니코드에서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난어 표기법 - 백화자
    백화자는 타이완어(민난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 중 하나로,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19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어 보급되었으나 억압받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민난어 표기법 - 대만어 한글
    대만어 한글은 대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변형하여 사용하며, 한국어와 다른 음운 체계를 반영하고자 한글 자모를 변형하거나 조합하고 성조를 아라비아 숫자나 기호로 표기한다.
  • 중국어 표기법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 중국어 표기법 - 정체자
    정체자는 전통적인 중국 한자로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번체자, 일본에서는 구자체라고도 불린다.
대만어 가나
개요
대만어 가나 차트
대만어 가나 차트
종류음절 문자 (일부 자질 문자의 특징을 가짐)
사용 시기1896년–1945년
사용 언어대만어 (주로 타이완어 방언)
계통
조상 문자갑골문자
금문
전서
예서
해서 (한자)
만요가나
가타카나
ISO 15924
코드Kana
명칭
한국어대만어 가나
중국어 간체台湾语假名
중국어 번체臺灣語假名
POJTâi-oân-gí ká-bêng
병음Táiwānyǔ jiǎmíng
통용병음Táiwanyǔ jiǎmíng
웨이드-자일스 표기법T'ai2-wan1-yü3 chia3-ming2
일본어 (구자체)臺灣語假名
일본어 (신자체)台湾語仮名
일본어 (로마자)Taiwan-go kana
타이로타이오안기 카비엥
음성 (타이완어)tai˨˦ uan˨˦ gi˥˩ ka˥˩ biɪŋ˨˦
관련 정보
관련 인물오가와 나오요시

2. 역사

대만어 가나는 일본어 가타카나와 유사한 문자 체계로, 대만어 (민난어)를 표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대만어 가나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모음: "ア", "イ", "ウ", "エ", "オ", "ヲ" 6개의 모음을 사용하며, "ウ", "オ", "ヲ"의 발음은 일본어와 차이가 있다. 특히 "ヲ"는 일부 지역에서 다른 발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중 모음 표기 시 "ヲア" (IPA: [ua]), "ヲエ" (IPA: [ue])와 같이 사용된다. 단모음이 반복되면 장음 역할을 한다. 작은 가나 "ァ", "ィ", "ゥ", "ェ", "ォ", "𛅦"는 단모음이나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취안저우 방언에서는 "ウ"와 "オ" 위에 가로선을 추가한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valign=top|

아, 이
모음개음절비음경음
아아아ㅁ아ㄴ아ㅇ아ㆴ앛악아아
아이
아우아우
이아이아ㅁ이아ㅇ이아ㆴ이악이아
이아우이아우
이이이ㅁ이ㄴ이ㆴ잋이이
이우이우
이에ㄴ이엔이엫이옉
이오ㅇ이옥
이오이오



|valign=top|

우, 에, 오, ㅚ, ㅁ, ㅇ
모음개음절비음경음
우우우ㄴ웇우우
우이
에에에에
오오오ㅁ오ㅇ오ㆴ옥오오
ㅚ아ㅚ아ㄴㅚ아ㅇㅚ앛ㅚ아
ㅚ아이
ㅚ에ㅚ에
ㅚㅚㅚ오



|}


  • 자음: 순치음 "f-"가 없어 "フ"는 IPA: [hu]로 발음된다. 어말 비음 "ヌ"는 "n"음, "ム"는 "m"음, "ン"는 "ng"음으로 사용된다. "サ", "セ", "ソ", "チ", "ツ"는 특수한 발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유기음은 가나 문자 아래에 " ̣"을 찍어 표기한다.

  • 유기음과 무기음: IPA: [t]와 IPA: [ts]/IPA: [tɕ]를 구별하기 위해 6개의 위에 선이 그어진 가나가 사용된다.


대만 가나현대 일본 가나
IPA
/



유기음반탁음탁음rowspan=2|
}} }} }} }} }} }} }} }} }} 아단
}} }} }} }} }} }} }} }} }} 이단
}} }} }} }} }} }} }} }} }} 우단
}} }} }} }} }} }} }} }} }} 에단
}}
}}
}}
}}
}}
}}
}}
}}
}}
오단


  • 성조: 대만어 가나는 문자의 우측에 성조 부호를 추가하여 성조를 나타낸다. 성조 부호는 일반 모음과 비모음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세로쓰기에만 사용되었으며, 가로쓰기 시 표기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성조上平
(1성)
上声
(2성 = 6성)
上去
(3성)
上入
(4성)
下平
(5성)
下去
(7성)
上入
(8성)
백화자(:en:POJ)aáàahâāa̍h
상음(常音, Normal vowels)없음(노)(부)(아쿠트)(부등호)(세로선)(그레이브)
비음(鼻音, Nasal vowels)(세로선+점)(노+점)(점+부)(점+아쿠트)(알파+부등호)(파이-c)(그레이브+점)



성조 번호12(6)34578
음높이˦˥˩˧˩˧˨˦˧˥
일반 모음없음
비모음
백화자aáàahâāa̍h



초성 , , 은 항상 비모음 성조 부호와 함께 쓰이며, , , 는 항상 일반 모음과 함께 쓰인다.

대만어 가나는 대만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일제강점기 하에서 대만인들의 정체성 유지에 기여했다. 비록 현재는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대만어 연구 및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 기본 규칙

(1성)上声
(2성 = 6성)上去
(3성)上入
(4성)下平
(5성)下去
(7성)上入
(8성)백화자(:en:POJ)aáàahâāa̍h상음(常音, Normal vowels)없음비음(鼻音, Nasal vowels)



다음 표는 각 성조 번호에 따른 음높이와 일반 모음, 비모음에 사용되는 성조 부호, 그리고 백화자 표기를 보여준다.

성조 번호12(6)34578
음높이˦˥˩˧˩˧˨˦˧˥
일반 모음없음
비모음
백화자aáàahâāa̍h



텍스트가 세로쓰기로 쓰일 때, 이 부호들은 글자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대만어 가나는 세로 방향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가로쓰기 시 부호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초성 , , 은 항상 비모음 성조 부호와 함께 쓰이며, , , 는 항상 일반 모음과 함께 쓰인다. {{IPA|[

3. 1. 모음

대만어 가나에는 다음과 같은 6개의 모음이 사용된다.

, , 의 발음은 각각 , , 로 발음되는 일본어와는 차이가 있다. 특히 는 일부 지방에서 또는 로 발음되기도 한다.

모음 는 이중 모음 와 에서 로 발음되며, , 과 같은 확장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단일 모음이 있는 음절에서는 일본어의 장모음처럼 해당 모음을 나타내는 가나가 반복된다. 예를 들어, , , , 가 있다.

작은 가나 , , , , , 는 단모음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음절 중간의 두 번째 모음 또는 최종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 는 , 를 나타낸다.

취안저우 방언에서는 두 개의 가나를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 , 등이 있다.

{|

|valign=top|

아, 이
모음개음절비음경음
아아아ㅁ아ㄴ아ㅇ아ㆴ앛악아아
아이
아우아우
이아이아ㅁ이아ㅇ이아ㆴ이악이아
이아우이아우
이이이ㅁ이ㄴ이ㆴ잋이이
이우이우
이에ㄴ이엔이엫이옉
이오ㅇ이옥
이오이오



|valign=top|

우, 에, 오, ㅚ, ㅁ, ㅇ
모음개음절비음경음
우우우ㄴ웇우우
우이
에에에에
오오오ㅁ오ㅇ오ㆴ옥오오
ㅚ아ㅚ아ㄴㅚ아ㅇㅚ앛ㅚ아
ㅚ아이
ㅚ에ㅚ에
ㅚㅚㅚ오



|}

3. 2. 자음

대만어 가나에서 자음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된다.

  • 기본 모음: 단모음은 여섯 종류로, 문자 "ア", "イ", "ウ", "エ", "オ", "ヲ"를 사용한다. "ヤ", "ユ", "ヨ", "ワ", "ヰ", "ヱ"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ヲ"는 IPA: [ə]로 발음되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IPA: [o] 또는 IPA: [ɤ]로 발음된다. 이중모음으로 쓰일 때에는 ヲア(IPA: [ua]), ヲエ(IPA: [ue]) 또는 ヲァイ(IPA: [uai]), ヲァッ(IPA: [uat̚])과 같이 IPA: [u]로 발음된다. 단모음이 있는 음절 뒤에 같은 모음이 반복되면, カア(IPA: [ka]), キイ(IPA: [ki]), オオ(IPA: [ɔ]), ヲヲ(IPA: [ə])와 같이 일본어의 장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단모음 표기: ァ, ィ, ゥ, ェ, ォ, ヲ는 단모음 표기에 쓰이며, キァウ(IPA: [kiau]), キェク(IPA: [kiek̚]), キァゥ(IPA: [kiauʔ])와 같이 음절 중간에 있는 모음 또는 성문 파열음에 쓰인다.

  • 취안저우 방언: 취안저우 방언을 위한 ウnan-Kana-TW(IPA: [ɨ])와 オnan-Kana-TW(IPA: [ə]) 두 가나가 있으며, クウnan-Kana-TW(IPA: [kɨ]), コオnan-Kana-TW(IPA: [kə]), クゥnan-Kana-TWヌ(IPA: [kɨn])과 같은 예에 쓰인다.

  • フ 발음: 순치음 "f-"가 없으므로 "フ"의 발음은 IPA: [ɸu]가 아니라 IPA: [hu]가 된다.

  • 어말 비음: 어말에서의 비음 "ヌ"는 "n"음, "ム"는 "m"음, "ン"는 "ng"음으로 사용된다.

  • 특수 문자:
  • nan-Kana-TW: "ツァ"(IPA: [tsa])를 한 문자로 표시
  • nan-Kana-TW: "ツェ"(IPA: [tse])를 한 문자로 표시
  • nan-Kana-TW: "ツォ"(IPA: [tsə]) 내지 IPA: [tso]를 한 문자로 표시
  • nan-Kana-TW: "ティ"(IPA: [ti])를 한 문자로 표시
  • nan-Kana-TW: "トゥ"(IPA: [tu])를 한 문자로 표시

  • 유기음 표기: " ̣"을 가나문자의 아래 가운데에 찍어 유기음임을 나타낸다.

  • 6개의 선이 그어진 가나: IPA: [t]와 IPA: [ts]/IPA: [tɕ]를 구별하기 위해 6개의 위에 선이 그어진 가나가 있다. サnan-Kana-TW IPA: [tsa], チnan-Kana-TW IPA: [ti], ツnan-Kana-TW IPA: [tu] 또는 IPA: [tɯ], セnan-Kana-TW IPA: [tse], ソnan-Kana-TW IPA: [tso] 또는 IPA: [tsɔ] 또는 IPA: [tsə], a/ト}} IPA: [tə].


대만 가나현대 일본 가나
IPA
/


  • 유기음 표기: 유기음 IPA: [pʰ], IPA: [tʰ], IPA: [kʰ], IPA: [tsʰ]/IPA: [tɕʰ]는 가나에 점을 추가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IPA: [kʰu]는 로 표기한다.

  • 종성 비음 표기: 종성 비음은 IPA: [m], IPA: [n], IPA: [ŋ]으로 표기한다. , 는 초성으로 사용될 때 IPA: [mu], IPA: [nu]로 발음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IPA: [kan]은 , IPA: [nun]은 로 표기한다.

  • 음절 자음 표기: 음절 자음 IPA: [ŋ̍]은 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kŋ̍]이다. 선행 모음이 없는 IPA: [ŋ̍]은 이나 이 아닌 단일 으로 표기한다. 음절 자음 IPA: [m̩]은 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IPA: [hm̩]이다. 선행 모음이 없는 IPA: [m̩]은 이나 이 아닌 단일 으로 표기한다.

  • 초성 IPA: [ŋ] 표기: 초성 IPA: [ŋ]은 비음 부호를 사용하여 IPA: [ɡ]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IPA: [ɡa˥˩], IPA: [ŋa˥˩]이다.

  • 종성 파열음 표기: 종성 파열음(소리가 나지 않음)은 아이누어에 사용되는 가나와 유사하게 IPA: [p̚], IPA: [t̚], IPA: [k̚]이다.

  • 종성 성문 파열음 표기: 종성 성문 파열음 IPA: [ʔ]은 짧은 모음 작은 가나(, , , , , )를 끝에 붙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IPA: [kaʔ], IPA: [kauʔ]이다.


유기음반탁음탁음rowspan=2|
}} }} }} }} }} }} }} }} }} 아단
}} }} }} }} }} }} }} }} }} 이단
}} }} }} }} }} }} }} }} }} 우단
}} }} }} }} }} }} }} }} }} 에단
}}
}}
}}
}}
}}
}}
}}
}}
}}
오단


  • 주석:
  • 는 츠아nan-Kana-TW의 막힌 소리, 즉 (tsa)의 소리를 나타낸다.
  • 는 체nan-Kana-TW의 막힌 소리, 즉 (tse)의 소리를 나타낸다.
  • 는 츠오nan-Kana-TW의 막힌 소리, 즉 (tso)의 소리를 나타낸다.
  • 는 티nan-Kana-TW의 막힌 소리, 즉 (ti)의 소리를 나타낸다.
  • 는 투nan-Kana-TW의 막힌 소리, 즉 (tu)의 소리를 나타낸다.


rowspan=2|대만어 가나rowspan=4|일본어 가타카나(외래어)
츠아츠오



"."을 가나의 하단 중심에 붙여 유기음을 나타낸다. 이것으로 하나의 새로운 가나와 같다. (에 를 붙인 것이 인 것과 같이.) 특수한 모음으로 (천주강)가 있다. 입술 혀 의 위치에서 발하는 소리를 나타낸다. 국제 음성 기호의 소리를 나타낸다. 특수한 모음으로 (천주강)가 있다. 입술 혀 의 위치에서 발하는 소리를 나타낸다. 국제 음성 기호의 소리를 나타낸다.

3. 3. 성조 부호

(1성)上声
(2성 = 6성)上去
(3성)上入
(4성)下平
(5성)下去
(7성)上入
(8성)백화자(:en:POJ)aáàahâāa̍h상음(常音, Normal vowels)없음(노)(부)(아쿠트)(부등호)(세로선)(그레이브)비음(鼻音, Nasal vowels)(세로선+점)(노+점)(점+부)(점+아쿠트)(알파+부등호)(파이-c)(그레이브+점)


  • 「세로선+점」은 숫자 "6"의 윗부분을 곧게 세운 형태이다.
  • 「노+점」은 「세로선+점」을 오른쪽으로 약 45° 기울인 형태이다.
  • 「점+부」는 「세로선+점」을 오른쪽으로 약 135° 기울인 형태이다.
  • 팔성 부호는 백화자의 성조 부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다음 표는 각 성조 번호에 따른 음높이와 일반 모음, 비모음에 사용되는 성조 부호, 그리고 백화자 표기를 보여준다.

성조 번호12(6)34578
음높이˦˥˩˧˩˧˨˦˧˥
일반 모음없음
비모음
백화자aáàahâāa̍h



텍스트가 세로쓰기로 쓰일 때, 이 부호들은 글자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대만어 가나는 세로 방향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가로쓰기 시 부호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초성 , , 은 항상 비모음 성조 부호와 함께 쓰이며, , , 는 항상 일반 모음과 함께 쓰인다. 과 는 동일한 초성 가나를 공유한다.

다음은 성조 부호의 예시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대만총독부에서 편찬한 "일본국민독본" 또는 "대일대사전"과 같은 서적을 참고하면 된다.

상평
제1성
상성
제2성
상거
제3성
상입
제4성
하평
제5성
상성
제2성
하거
제7성
하입
제8성
상음없음
비음
백화자aáàahâáāa̍h



상음과 비음 모두 제2성의 모양은 위 도표에서는 위로 볼록하지만, 일부 서적에서는 상음의 제2성이 아래로 볼록한 경우도 있다. 또한, 상음과 비음 모두 제2성과 제3성은 약간 휘어진 형태이지만, 서적에 따라 거의 직선과 같은 형태도 있다.

팔성 부호는 백화자의 성조 부호를 모방했다는 설이 있다.

4. 문자표

대만어 가나의 문자표는 다음과 같다.

없음pphbmtthlnkkhg/ngchchhjsh
aアアパアパ̣アバアマアタアタ̣アラアナアカアカ̣アガアサ̣ザアサアハア
eエエペエペ̣エベエメエテエテ̣エレエネエケエケ̣エゲエセ̣ゼエセエヘエ
iイイピイピ̣イビイミイチ̣リイニイキイキ̣イギイチイチ̣イジイシイヒイ
オオポオポ̣オボオモオトオト̣オロオノオコオコ̣オゴオソ̣ゾオソオホオ
oヲヲポヲポ̣ヲボヲモヲトヲト̣ヲロヲノヲコヲコ̣ヲゴヲソ̣ゾヲソヲホヲ
uウウプウプ̣ウブウムウツ̣ルウヌウクウク̣ウグウツウツ̣ウズウスウフウ
ngプンプ̣ンブンムンツ̣ルンヌンクンク̣ングンツンツ̣ンズンスンフン
mプムプ̣ムブムムムツ̣ルムヌムクムク̣ムグムツムツ̣ムズムスムフム
aiアイパイパ̣イバイマイタイタ̣イライナイカイカ̣イガイサ̣ザイサイハイ
auアウパウパ̣ウバウマウタウタ̣ウラウナウカウカ̣ウガウサ̣ザウサウハウ
iaイアピアピ̣アビアミアチ̣リアニアキアキ̣アギアチアチ̣アジアシアヒア
iauイァウピァウピ̣ァウビァウミァウァウチ̣ァウリァウニァウキァウキ̣ァウギァウチァウチ̣ァウジァウシァウヒァウ
ioイヲピヲピ̣ヲビヲミヲチ̣リヲニヲキヲキ̣ヲギヲチヲチ̣ヲジヲシヲヒヲ
iuイウピウピ̣ウビウミウチ̣リウニウキウキ̣ウギウチウ치̣우지우시우히우
oaヲアポアポ̣アボア모아토아토̣아로아노아코아코̣아고아소̣조아소아호아
oaiヲァイ포ァ이포̣ァ이보ァ이모ァ이토ァ이토̣ァ이로ァ이노ァ이코ァ이코̣ァ이고ァ이ァ이소̣ァ이조ァ이소ァ이호ァ이
oeヲエ포에포̣에보에모에토에토̣에로에노에코에코̣에고에소̣조에소에호에
ui우이푸이푸̣이부이무이츠̣루이누이쿠이쿠̣이구이츠이츠̣이즈이스이후이
am아ム파ム파̣ム바ム마ム타ム타̣ム라ム나ム카ム카̣ム가ム사̣자ム사ム하ム
im이ム피ム피̣ム비ム미ム치̣리ム니ム키ム키̣ム기ム치ム치̣ム지ム시ム히ム
iam이ァム피ァム피̣ァム비ァム미ァムァム치̣ァム리ァム니ァム키ァム키̣ァム기ァム치ァム치̣ァム지ァム시ァム히ァム
om오ム포ム포̣ム보ム모ム토ム토̣ム로ム노ム코ム코̣ム고ム소̣조ム소ム호ム
an아ヌ파ヌ파̣ヌ바ヌ마ヌ타ヌ타̣ヌ라ヌ나ヌ카ヌ카̣ヌ가ヌ사̣자ヌ사ヌ하ヌ
in이ヌ피ヌ피̣ヌ비ヌ미ヌ치̣리ヌ니ヌ키ヌ키̣ヌ기ヌ치ヌ치̣ヌ지ヌ시ヌ히ヌ
ian이ェヌ피ェヌ피̣ェヌ비ェヌ미ェヌェヌ치̣ェヌ리ェヌ니ェヌ키ェヌ키̣ェヌ기ェヌ체ヌ치̣ェヌ제ヌ셰ヌ히ェヌ
oanヲァヌ포ァヌ포̣ァヌ보ァヌ모ァヌ토ァヌ토̣ァヌ로ァヌ노ァヌ코ァヌ코̣ァヌ고ァヌァヌ소̣ァヌ조ァヌ소ァヌ호ァヌ
un우ヌ푸ヌ푸̣ヌ부ヌ무ヌ츠̣루ヌ누ヌ쿠ヌ쿠̣ヌ구ヌ츠ヌ츠̣ヌ즈ヌ스ヌ후ヌ
ang파̣ン타̣ン카̣ン사̣
eng이ェン피ェン피̣ェン비ェン미ェン체̣리ェン니ェン키ェン키̣ェン기ェン체ン체̣ン제ン셰ン히ェン
iang이ァン피ァン피̣ァン비ァン미ァンァン치̣ァン리ァン니ァン키ァン키̣ァン기ァン치ァン치̣ァン지ァン시ァン히ァン
iong이ヲン피ヲン피̣ヲン비ヲン미ヲンヲン치̣ヲン리ヲン니ヲン키ヲン키̣ヲン기ヲン치ヲン치̣ヲン지ヲン시ヲン히ヲン
ong포̣ン토̣ン코̣ン소̣
oangヲ안포ァン포̣ァン보ァン모ァン토ァン토̣ァン로ァン노ァン코ァン코̣ァン고ァンァン소̣ァン조ァン소ァン호ァン
ah아ァ파ァ파̣ァ바ァ마ァ타ァ타̣ァ라ァ나ァ카ァ카̣ァ가ァ사̣자ァ사ァ하ァ
eh에ェ페ェ페̣ェ베ェ메ェ테ェ테̣ェ레ェ네ェ케ェ케̣ェ게ェ세̣제ェ세ェ헤ェ
ih이ィ피ィ피̣ィ비ィ미ィ치̣리ィ니ィ키ィ키̣ィ기ィ치ィ치̣ィ지ィ시ィ히ィ
o·h오ォ포ォ포̣ォ보ォ모ォ토ォ토̣ォ로ォ노ォ코ォ코̣ォ고ォ소̣조ォ소ォ호ォ
oh포̣토̣코̣소̣
uh우ゥ푸ゥ푸̣ゥ부ゥ무ゥ츠̣루ゥ누ゥ쿠ゥ쿠̣ゥ구ゥ츠ゥ츠̣ゥ즈ゥ스ゥ후ゥ
auh아ゥ파ゥ파̣ゥ바ゥ마ゥ타ゥ타̣ゥ라ゥ나ゥ카ゥ카̣ゥ가ゥ사̣자ゥ사ゥ하ゥ
iah이ァ피ァ피̣ァ비ァ미ァ치̣리ァ니ァ키ァ키̣ァ기ァ치ァ치̣ァ지ァ시ァ히ァ
iauh이ァゥ피ァゥ피̣ァゥ비ァゥ미ァゥァゥ치̣ァゥ리ァゥ니ァゥ키ァゥ키̣ァゥ기ァゥ치ァゥ치̣ァゥ지ァゥ시ァゥ히ァゥ
ioh이ヲ피ヲ피̣ヲ비ヲ미ヲ치̣리ヲ니ヲ키ヲ키̣ヲ기ヲ치ヲ치̣ヲ지ヲ시ヲ히ヲ
oahヲァ포ァ포̣ァ보ァ모ァ토ァ토̣ァ로ァ노ァ코ァ코̣ァ고ァ소̣조ァ소ァ호ァ
oehヲェ포ェ포̣ェ보ェ모ェ토ェ토̣ェ로ェ노ェ코ェ코̣ェ고ェ소̣조ェ소ェ호ェ
ap파̣타̣카̣사̣
iap이ァ피ァ피̣ァ비ァ미ァ치̣리ァ니ァ키ァ키̣ァ기ァ치ァ치̣ァ지ァ시ァ히ァ
ip피̣치̣키̣치̣
op포̣토̣코̣소̣
at아ッ파̣ッ타̣ッ카̣ッ사̣
it피̣ッ치̣릿키̣ッ치̣ッ
iat이ェッ피ェッ피̣ェッ비ェッ미ェッ체̣리ェッ니ェッ키ェッ키̣ェッ기ェッ체ッ체̣ッ제ッ셰ッ히ェッ
oatヲァッ포ァッ포̣ァッ보ァッ모ァッ토ァッ토̣ァッ로ァッ노ァッ코ァッ코̣ァッ고ァッァッ소̣ァッ조ァッ소ァッ호ァッ
ut푸̣ッ츠̣쿠̣ッ굿츠̣ッ
ak파̣타̣카̣사̣
ek이ェ피ェ피̣ェ비ェ미ェ체̣리ェ니ェ키ェ키̣ェ기ェ체ェ체̣ェ제ェ셰ェ히ェ
iak이ァ피ァ피̣ァ비ァ미ァ치̣리ァ니ァ키ァ키̣ァ기ァ치ァ치̣ァ지ァ시ァ히ァ
iok이ヲ피ヲ피̣ヲ비ヲ미ヲ치̣리ヲ니ヲ키ヲ키̣ヲ기ヲ치ヲ치̣ヲ지ヲ시ヲ히ヲ
ok포̣토̣코̣소̣
oakヲァ포ァ포̣ァ보ァ모ァ토ァ토̣ァ로ァ노ァ코ァ코̣ァ고ァ소̣조ァ소ァ호ァ



이 표는 각 글자의 발음과 그에 대응하는 백화자(POJ) 로마자 표기를 보여준다. 실제 발음을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표기 방식이 사용된다. m, n, ng행은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여야 하며, 가행에 상음의 팔성부호를 사용하면 g행,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이면 ng행이 된다. 백화자에서 -h로 끝나는 음의 경우는 마지막 글자를 작게 쓴다. 이 표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조합도 포함되어 있으며, ※ 표시는 불명확한 점을 나타낸다.

## 음절표

다음은 대만어 가나의 음절표이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smaller"

|-

! !! 없음 !! p !! ph !! b !! m !! t !! th !! l !! n !! k !! kh !! g/ng !! ch !! chh !! j !! s !! h

|-

| a || アア || パア || パ̣ア || バア || マア || タア || タ̣ア || ラア || ナア || カア || カ̣ア || ガア || ア || サ̣ア || ザア || サア || ハア

|-

| e || エエ || ペエ || ペ̣エ || ベエ || メエ || テエ || テ̣エ || レエ || ネエ || ケエ || ケ̣エ || ゲエ || エ || セ̣エ || ゼエ || セエ || ヘエ

|-

| i || イイ || ピイ || ピ̣イ || ビイ || ミイ || イ || チ̣イ || リイ || ニイ || キイ || キ̣イ || ギイ || チイ || チ̣イ || ジイ || シイ || ヒイ

|-

| o· || オオ || ポオ || ポ̣オ || ボオ || モオ || トオ || ト

4. 1. 음모표

다음은 대만어 가나의 음절 조합을 보여주는 표이다. 이 표는 각 모음과 자음의 조합을 나타내며, 개음절, 종성 비음, 종성 경음 조합을 제시한다. 실제 사용 빈도가 높은 음절 조합을 강조하고 있다.

없음pphbmtthlnkkhg/ngchchhjsh
aアアパアパ̣アバアマアタアタ̣アラアナアカアカ̣アガアサ̣ザアサアハア
eエエペエペ̣エベエメエテエテ̣エレエネエケエケ̣エゲエセ̣ゼエセエヘエ
iイイピイピ̣イビイミイチ̣リイニイキイキ̣イギイチイチ̣イジイシイヒイ
オオポオポ̣オボオモオトオト̣オロオノオコオコ̣オゴオソ̣ゾオソオホオ
oヲヲポヲポ̣ヲボヲモヲトヲト̣ヲロヲノヲコヲコ̣ヲゴヲソ̣ゾヲソヲホヲ
uウウプウプ̣ウブウムウツ̣ルウヌウクウク̣ウグウツウツ̣ウズウスウフウ
ngプンプ̣ンブンムンツ̣ルンヌンクンク̣ングンツンツ̣ンズンスンフン
mプムプ̣ムブムムムツ̣ルムヌムクムク̣ムグムツムツ̣ムズムスムフム
aiアイパイパ̣イバイマイタイタ̣イライナイカイカ̣イガイサ̣ザイサイハイ
auアウパウパ̣ウバウマウタウタ̣ウラウナウカウカ̣ウガウサ̣ザウサウハウ
iaイアピアピ̣アビアミアチ̣リアニアキアキ̣アギアチアチ̣アジアシアヒア
iauイァウピァウピ̣ァウビァウミァウァウチ̣ァウリァウニァウキァウキ̣ァウギァウチァウチ̣ァウジァウシァウヒァウ
ioイヲピヲピ̣ヲビヲミヲチ̣リヲニヲキヲキ̣ヲギヲチヲチ̣ヲジヲシヲヒヲ
iuイウピウピ̣ウビウミウチ̣リウニウキウキ̣ウギウチウチ̣ウジウシウヒウ
oaヲアポアポ̣アボアモアトアト̣アロアノアコアコ̣アゴアソ̣ゾアソアホア
oaiヲァイポァイポ̣ァイボァイモァイトァイト̣ァイロァイノァイコァイコ̣ァイゴァイァイソ̣ァイゾァイソァイホァイ
oeヲエポエポ̣エボエモエトエト̣エロエノエコエコ̣エゴエソ̣ゾエソエホエ
uiウイプイプ̣イブイムイツ̣ルイヌイクイク̣イグイツイツ̣イズイスイフイ
amアムパムパ̣ムバムマムツ̣ルムヌムクムク̣ムグムツムツ̣ムズムスムフム
imイムピムピ̣ムビムミムチ̣リムニムキムキ̣ムギムチムチ̣ムジムシムヒム
iamイァムピァムピ̣ァムビァムミァムァムチ̣ァムリァムニァムキァムキ̣ァムギァムチァムチ̣ァムジァムシァムヒァム
omオムポムポ̣ムボムモムトムト̣ムロムノムコムコ̣ムゴムソ̣ゾムソムホム
anアヌパヌパ̣ヌバヌマヌタヌタ̣ヌラヌナヌカヌカ̣ヌガヌサ̣ザヌサヌハヌ
inイヌピヌピ̣ヌビヌミヌチ̣リヌニヌキヌキ̣ヌギヌチヌチ̣ヌジヌシヌヒヌ
ianイェヌピェヌピ̣ェヌビェヌミェヌェヌチ̣ェヌリェヌニェヌキェヌキ̣ェヌギェヌチェヌチ̣ェヌジェヌシェヌヒェヌ
oanヲァヌポァヌポ̣ァヌボァヌモァヌトァヌト̣ァヌロァヌノァヌコァヌコ̣ァヌゴァヌァヌソ̣ァヌゾァヌソァヌホァヌ
unウヌプヌプ̣ヌブヌムヌツ̣ルヌヌヌクヌク̣ヌグヌツヌツ̣ヌズヌスヌフヌ
angアンパンパ̣ンバンマンタンタ̣ンランナンカンカ̣ンガンサ̣ザンサンハン
engイェンピェンピ̣ェンビェンミェンェンチ̣ェンリェンニェンキェンキ̣ェンギェンチェンチ̣ェンジェンシェンヒェン
iangイァンピァンピ̣ァンビァンミァンァンチ̣ァンリァンニァンキァンキ̣ァンギァンチァンチ̣ァンジァンシァンヒァン
iongイォンピォンピ̣ォンビォンミォンォンチ̣ォンリォンニォンキォンキ̣ォンギォンチォンチ̣ォンジォンシォンヒォン
ongオンポンポ̣ンボンモントント̣ンロンノンコンコ̣ンゴンソ̣ゾンソンホン
oangヲアンポァンポ̣ァンボァンモァントァント̣ァンロァンノァンコァンコ̣ァンゴァンァンソ̣ァンゾァンソァンホァン
ahアァパァパ̣ァバァマァタァタ̣ァラァナァカァカ̣ァガァサ̣ザァサァハァ
ehエェペェペ̣ェベェメェテェテ̣ェレェネェケェケ̣ェゲェセ̣ゼェセェヘェ
ihイィピィピ̣ィビィミィチ̣リィニィキィキ̣ィギィチィチ̣ィジィシィヒィ
o·hオォポォポ̣ォボォモォトォト̣ォロォノォコォコ̣ォゴォソ̣ゾォソォホォ
ohポ̣ト̣コ̣ソ̣
uhウゥプゥプ̣ゥブゥムゥツ̣ルゥヌゥクゥク̣ゥグゥツゥツ̣ゥズゥスゥフゥ
auhアゥパゥパ̣ゥバゥマゥタゥタ̣ゥラゥナゥカゥカ̣ゥガゥサ̣ザゥサゥハゥ
iahイァピァピ̣ァビァミァチ̣リァニァキァキ̣ァギァチァチ̣ァジァシァヒァ
iauhイァゥピァゥピ̣ァゥビァゥミァゥァゥチ̣ァゥリァゥニァゥキァゥキ̣ァゥギァゥチァゥチ̣ァゥジァゥシァゥヒァゥ
iohイォピォピ̣ォビォミォチ̣リォニォキォキ̣ォギォチォチ̣ォジォシォヒォ
oahヲァポァポ̣ァボァモァトァト̣ァロァノァコァコ̣ァゴァソ̣ゾァソァホァ
oehヲェポェポ̣ェボェモェトェト̣ェロェノェコェコ̣ェゴェソ̣ゾェソェホェ
apパ̣タ̣カ̣サ̣
iapイァピァピ̣ァビァミァチ̣リァニァキァキ̣ァギァチァチ̣ァジァシァヒァ
ipピ̣チ̣キ̣チ̣
opポ̣ト̣コ̣ソ̣
atアッパッパ̣ッバッマッタッタ̣ッラッナッカッカ̣ッガッサ̣ザッサッハッ
itイッピッピ̣ッビッミッチ̣リッニッキッキ̣ッギッチッチ̣ッジッシッヒッ
iatイェッピェッピ̣ェッビェッミェッェッチ̣ェッリェッニェッキェッキ̣ェッギェッチェッチ̣ェッジェッシェッヒェッ
oatヲァッポァッポ̣ァッボァッモァットァット̣ァッロァッノァッコァッコ̣ァッゴァッァッソ̣ァッゾァッソァッホァッ
utウップップ̣ッブッムッツ̣ルッヌックック̣ッグッツッツ̣ッズッスッフッ
akパ̣タ̣カ̣サ̣
ekイェピェピ̣ェビェミェチ̣リェニェキェキ̣ェギェチェチ̣ェジェシェヒェ
iakイァピァピ̣ァビァミァチ̣リァニァキァキ̣ァギァチァチ̣ァジァシァヒァ
iokイォピォピ̣ォビォミォチ̣リォニォキォキ̣ォギォチォチ̣ォジォシォヒォ
okポ̣ト̣コ̣ソ̣
oakヲァポァポ̣ァボァモァトァト̣ァロァノァコァコ̣ァゴァソ̣ゾァソァホァ


  • m,n,ng행은 반드시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인다. 이들 음성은 자음자체가 비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ガ행에 상음의 팔성부호를 사용하면 g행이 되며 ガ행에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이면 ng행이 된다.
  • 여기에 팔성부호를 붙여 완전한 표기를 이룬다. 다만 백화자에서 -h로 끝나는 음의 경우는 마지막 글자를 작게 쓴다.
  • 이 표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조합도 실려 있다.
  • ※ 표시는 불명확한 점이 있다.


{|

|valign=top|

{|class=wikitable

|+

!rowspan=2|모음!!rowspan=2|개방 음절!!colspan=3|비음!!colspan=4|경음

|-align=center

!!!!!!!!!!!!!

|-align=center

!

|||||||||

4. 2. 음절표

없음pphbmtthlnkkhg/ngchchhjsh
aアアパアパ̣アバアマアタアタ̣アラアナアカアカ̣アガアサ̣ザアサアハア
eエエペエペ̣エベエメエテエテ̣エレエネエケエケ̣エゲエセ̣ゼエセエヘエ
iイイピイピ̣イビイミイチ̣リイニイキイキ̣イギイチイチ̣イジイシイヒイ
オオポオポ̣オボオモオトオト̣オロオノオコオコ̣オゴオソ̣ゾオソオホオ
oヲヲポヲポ̣ヲボヲモヲトヲト̣ヲロヲノヲコヲコ̣ヲゴヲソ̣ゾヲソヲホヲ
uウウプウプ̣ウブウムウツ̣ルウヌウクウク̣ウグウツウツ̣ウズウスウフウ
ngプンプ̣ンブンムンツ̣ルンヌンクンク̣ングンツンツ̣ンズンスンフン
mプムプ̣ムブムムムツ̣ルムヌムクムク̣ムグムツムツ̣ムズムスムフム
aiアイパイパ̣イバイマイタイタ̣イライナイカイカ̣イガイサ̣ザイサイハイ
auアウパウパ̣ウバウマウタウタ̣ウラウナウカウカ̣ウガウサ̣ザウサウハウ
iaイアピアピ̣アビアミアチ̣リアニアキアキ̣アギアチアチ̣アジアシアヒア
iauイァウピァウピ̣ァウビァウミァウァウチ̣ァウリァウニァウキァウキ̣ァウギァウチァウチ̣ァウジァウシァウヒァウ
ioイヲピヲピ̣ヲビヲミヲチ̣リヲニヲキヲキ̣ヲギヲチヲチ̣ヲジヲシヲヒヲ
iuイウピウピ̣ウビウミウチ̣リウニウキウキ̣ウギウチウチ̣ウジウシウヒウ
oaヲアポアポ̣アボアモアトアト̣アロアノアコアコ̣アゴアソ̣ゾアソアホア
oaiヲァイポァイポ̣ァイボァイモァイトァイト̣ァイロァイノァイコァイコ̣ァイゴァイァイソ̣ァイゾァイソァイホァイ
oeヲエポエポ̣エボエモエトエト̣エロエノエコエコ̣エゴエソ̣ゾエソエホエ
uiウイプイプ̣イブイムイツ̣ルイヌイクイク̣イグイツイツ̣イズイスイフイ
amアムパムパ̣ムバムマムタムタ̣ムラムナムカムカ̣ムガムサ̣ザムサムハム
imイムピムピ̣ムビムミムチ̣リムニムキムキ̣ムギムチムチ̣ムジムシムヒム
iamイァムピァムピ̣ァムビァムミァムァムチ̣ァムリァムニァムキァムキ̣ァムギァムチァムチ̣ァムジァムシァムヒァム
omオムポムポ̣ムボムモムトムト̣ムロムノムコムコ̣ムゴムソ̣ゾムソムホム
anアヌパヌパ̣ヌバヌマヌタヌタ̣ヌラヌナヌカヌカ̣ヌガヌサ̣ザヌサヌハヌ
inイヌピヌピ̣ヌビヌミヌチ̣リヌニヌキヌキ̣ヌギヌチヌチ̣ヌジヌシヌヒヌ
ianイェヌピェヌピ̣ェヌビェヌミェヌェヌチ̣ェヌリェヌニェヌキェヌキ̣ェヌギェヌチェヌチ̣ェヌジェヌシェヌヒェヌ
oanヲァヌポァヌポ̣ァヌボァヌモァヌトァヌト̣ァヌロァヌノァヌコァヌコ̣ァヌゴァヌァヌソ̣ァヌゾァヌソァヌホァヌ
unウヌプヌプ̣ヌブヌムヌツ̣ルヌヌヌクヌク̣ヌグヌツヌツ̣ヌズヌスヌフヌ
angアンパンパ̣ンバンマンタンタ̣ンランナンカンカ̣ンガンサ̣ザンサンハン
engイェンピェンピ̣ェンビェンミェンェンチ̣ェンリェンニェンキェンキ̣ェンギェンチェンチ̣ェンジェンシェンヒェン
iangイァンピァンピ̣ァンビァンミァンァンチ̣ァンリァンニァンキァンキ̣ァンギァンチァンチ̣ァンジァンシァンヒァン
iongイォンピォンピ̣ォンビォンミォンォンチ̣ォンリォンニォンキォンキ̣ォンギォンチォンチ̣ォンジォンシォンヒォン
ongオンポンポ̣ンボンモントント̣ンロンノンコンコ̣ンゴンソ̣ゾンソンホン
oangヲアンポァンポ̣ァンボァンモァントァント̣ァンロァンノァンコァンコ̣ァンゴァンァンソ̣ァンゾァンソァンホァン
ahアァパァパ̣ァバァマァタァタ̣ァラァナァカァカ̣ァガァサ̣ザァサァハァ
ehエェペェペ̣ェベェメェテェテ̣ェレェネェケェケ̣ェゲェセ̣ゼェセェヘェ
ihイィピィピ̣ィビィミィチ̣リィニィキィキ̣ィギィチィチ̣ィジィシィヒィ
o·hオォポォポ̣ォボォモォトォト̣ォロォノォコォコ̣ォゴォソ̣ゾォソォホォ
ohポ̣ト̣コ̣ソ̣
uhウゥプゥプ̣ゥブゥムゥツ̣ルゥヌゥクゥク̣ゥグゥツゥツ̣ゥズゥスゥフゥ
auhアゥパゥパ̣ゥバゥマゥタゥタ̣ゥラゥナゥカゥカ̣ゥガゥサ̣ザゥサゥハゥ
iahイァピァピ̣ァビァミァチ̣リァニァキァキ̣ァギァチァチ̣ァジァシァヒァ
iauhイァゥピァゥピ̣ァゥビァゥミァゥァゥチ̣ァゥリァゥニァゥキァゥキ̣ァゥギァゥチァゥチ̣ァゥジァゥシァゥヒァゥ
iohイォピォピ̣ォビォミォチ̣リォニォキォキ̣ォギォチォチ̣ォジォシォヒォ
oahヲァポァポ̣ァボァモァトァト̣ァロァノァコァコ̣ァゴァソ̣ゾァソァホァ
oehヲェポェポ̣ェボェモェトェト̣ェロェ노ェ코ェ코̣ェ고ェソ̣ゾェ소ェ호ェ
apパ̣タ̣カ̣サ̣
iapイァピァピ̣ァビァミァチ̣リァニァキァキ̣ァギァチァチ̣ァジァシァヒァ
ipピ̣チ̣キ̣チ̣
opポ̣ト̣コ̣ソ̣
atアッパッパ̣ッバッマッタッタ̣ッラッナッカッカ̣ッガッサ̣ザッサッハッ
itイッピッピ̣ッビッミッチ̣リッニッキッキ̣ッギッチッチ̣ッジッシッヒッ
iatイェッピェッピ̣ェッビェッミェッェッチ̣ェッリェッニェッキェッキ̣ェッギェッチェッチ̣ェッジェッシェッヒェッ
oatヲァッポァッポ̣ァッボァッ모ァットァット̣ァッロァッノァッ코ァッ코̣ァッ고ァッァッソ̣ァッゾァッ소ァッ호ァッ
utウップップ̣ッブッムッツ̣ルッヌックック̣ッグッツッツ̣ッズッスッフッ
akパ̣タ̣カ̣サ̣
ekイェピェピ̣ェビェミェチ̣リェニェキェキ̣ェギェチェチ̣ェジェシェヒェ
iakイァピァピ̣ァビァミァチ̣リァニァキァキ̣ァギァチァチ̣ァジァシァヒァ
iokイォピォピ̣ォビォミォチ̣リォニォキォキ̣ォギォチォチ̣ォジォシォヒォ
okポ̣ト̣コ̣ソ̣
oakヲァポァポ̣ァボァモァトァト̣ァロァノァコァコ̣ァゴァソ̣ゾァソァホァ


  • m,n,ng행은 반드시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인다. 이들 음성은 자음자체가 비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가행에 상음의 팔성부호를 사용하면 g행이 되며 가행에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이면 ng행이 된다.
  • 여기에 팔성부호를 붙여 완전한 표기를 이룬다. 다만 백화자에서 -h로 끝나는 음의 경우는 마지막 글자를 작게 쓴다.
  • 이 표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조합도 실려 있다.
  • ※ 표시는 불명확한 점이 있다.

{| class="wikitable"

|-align=center bgcolor=#F0F0F0

| || 없음 || p || pʰ || b || m || t || tʰ || l || n || ts/tɕ || tsʰ/tɕʰ || s/ɕ || dz/dʑ || k || kʰ || ɡ/ŋ || h

|-

|bgcolor=#F0F0F0|a||아아||파아||파̣아||바아||마아

|타아||타̣아||라아||나아

|

|사̣아||사아||

|카아||카̣아||가아||하아

|-

|bgcolor=#F0F0F0|aʔ||아ァ||파ァ||파̣ァ||바ァ||

|타ァ||타̣ァ||라ァ||나ァ

|

|사̣ァ||사ァ||

|카ァ||카̣ァ|| ||하ァ

|-

|bgcolor=#F0F0F0|ai||아이||파이||파̣이||바이||마이

|타이||타̣이||라이||나이

|

|사̣이||사이||

|카이||카̣이||가이||하이

5. 사용 예시

셰누 시이 콘、하ㇰ 셰ン ァム ァム 치̣ア。

;백화자(:en:POJ)

: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타이완 주음부호

:ㄒㄧㄢ ㄒㆪ ㄍㆲˋ, ㄏㄚㄍ̇ ㄒㄧㄥ ㄉㄧㆰ˫ ㄉㄧㆰ˫ ㄊㄧㆩ

;한자

:先生講、學生恬恬聽。

;한국어 번역

:선생님이 책을 읽습니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습니다.

음성 파일:
대만어 가나:셰누 시이 콘、하ㇰ 셰ン ァム ァム 치̣ア。
IPA:/ ɕiɪn˧ ɕĩ˥ kɔŋ˥˩ hak̚˧ ɕiɪŋ˥ tiam˧ tiam˧ tʰiã˥ /
Pe̍h-ōe-jī: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Tâi-lô:Sian-sinn kóng, ha̍k-sing tiām-tiām thiann.
정체자:先生講、學生恬恬聽。
번역:선생님이 말씀하신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다.



'''셰누 시이 콘、하ㇰ 셰ン 치̣아。'''(발음 듣기)

대만어 가나:셰누 시이 콘、하ㇰ 셰ン 치̣아。
국제 음성 기호:/ ɕɪɛn˧ ɕĩ˥ kɔŋ˥˩ hak̚˧ ɕiəŋ˥ tɪam˧ tɪam˧ tʰĩã˥ /
백화자: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대만 민간어 로마자 표기:Sian-sinn kóng, ha̍k-sing tiām-tiām thiann.
민남 방언 병음:Siānsnī gǒng, háksīng diâmdiâm thiā.
대만 민남어 추천 용자:先生講,學生恬恬聽。
일본어 번역:선생님이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학생은 조용히 듣고 있습니다.
중국어:老師在說,學生靜靜地聽。
영어:A teacher is lecturing. Students are quietly listening.



※ 대만 총독부 《대만 교과서 국민 독본 1》제7과에서

6. 유니코드 지원

대만어 가나의 유니코드 지원은 다음과 같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인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인 모지쿄는 대만어 가나를 완벽하게 지원한다.

유니코드는 작은 ku(ㇰnan-Kana-TW) 및 작은 pu(ㇷ゚nan-Kana-TW)를 가타카나 음성 확장을 통해 유니코드 3.2부터, 작은 가타카나 wo (𛅦nan-Kana-TW)를 작은 가나 확장을 통해 유니코드 12.0부터 지원한다. 또한 성조 기호를 가나 확장 B를 통해 유니코드 14.0 (2021)부터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오버라인이 그어진 가나와 밑줄이 그어진 가나를 표현하기 위해 오버라인과 결합 밑점을 사용해야 한다(예: チ̅nan-Kana-TW, ツ̣nan-Kana-TW). 이러한 작은 가나와 흔하지 않은 결합 시퀀스의 적절한 렌더링에 대한 글꼴 지원은 실제로는 제한적이다.

0123456789ABCDEF
U+1AFFx𚿰𚿱𚿲𚿳style="background-color:#c8ccd1;" |𚿵𚿶𚿷𚿸𚿹𚿺𚿻style="background-color:#c8ccd1;" |𚿽𚿾style="background-color:#c8ccd1;" |
참고
유니코드 버전 16.0 기준, 회색 영역은 할당되지 않은 코드 포인트이다.



컴퓨터에서 대만어 가나를 표현하려면, 일반적인 가타카나 외에도 선이나 점으로 수식한 가타카나, 작은 글자 가타카나, 팔성 부호(고유한 성조 기호)가 존재하기 때문에 텍스트 데이터만으로는 표현이 어려웠다. 과거에는 문자 수식 기능을 사용하거나, 문자 크기를 변경하거나, 이미지를 삽입하는 등의 특별한 처리가 필요했다. 하지만 최근 유니코드의 지원 범위가 확대되면서 적절한 폰트를 사용하면 텍스트 데이터만으로도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2019년 3월 5일에 공개된 유니코드 12.0에 작은 글자 ヲ가 추가되었다. 해당 문자는 지원되지 않는 폰트가 많으므로 문자 크기를 작게 표시했다.

2021년 9월 15일에 공개된 유니코드 14.0에 팔성 부호가 추가되었다.[2] 하지만, 이 또한 지원되지 않는 폰트가 많으므로 이미지 삽입으로 표현했다.

0123456789ABCDEF
U+1AFFx𚿰𚿱𚿲𚿳style="background-color:#CCCCCC;" |𚿵𚿶𚿷𚿸𚿹𚿺𚿻style="background-color:#CCCCCC;" |𚿽𚿾style="background-color:#CCCCCC;" |
비고
유니코드 버전 14.0 기준, 회색 영역은 코드 포인트가 할당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유니코드에 추가되기 이전에는 코사쓰지겐에 팔성 부호와 일부 특수한 가타카나가 수록되어 있었다.

7. 현대적 활용

일부 대만어 교재에서는 발음의 가나 표기에 대만어 가나를 응용한 표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만어 가나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 등으로 간략화되기도 한다.[1]

:シェヌ シイ コン、ハㇰ シェン チァム チァム チ̣ア。


  • 백화자(:en:POJ): 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 타이완 주음부호: ㄒㄧㄢ ㄒㆪ ㄍㆲˋ, ㄏㄚㄍ̇ ㄒㄧㄥ ㄉㄧㆰ˫ ㄉㄧㆰ˫ ㄊㄧㆩ
  • 한자: 先生講、學生恬恬聽。
  • 한국어 번역: 선생님이 책을 읽습니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습니다.

8. 같이 보기



:シェヌ シイ コン、ハㇰ シェン 챠ム 챠ム チ̣ア。

;백화자(:en:POJ)

: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타이완 주음부호

:ㄒㄧㄢ ㄒㆪ ㄍㆲˋ, ㄏㄚㄍ̇ ㄒㄧㄥ ㄉㄧㆰ˫ ㄉㄧㆰ˫ ㄊㄧㆩ

;한자

:先生講、學生恬恬聽。

;한국어 번역

:선생님이 책을 읽습니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ニューエクスプレス 台湾語(CD付) 白水社 2009-02-20
[2] 웹사이트 Kana Extended-B https://www.unico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