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월사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월사기는 쩐 왕조 시대 레반휴가 편찬한 베트남 최초의 종합적인 역사 기록이다. 이 책은 쩐 태종의 명으로 1272년 완성되었으나, 명나라에 의해 소실되었고, 이후 판푸티엔과 응오시리엔에 의해 내용이 수집, 재구성되어 대월사기전서로 편찬되었다. 대월사기는 기원전 207년 조도가 세운 남월을 베트남 역사의 시작으로 보고, 쯩 자매의 한나라 반란, 딘티엔황의 황제 즉위 등 베트남의 자주성과 독립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레반휴는 유교적 관점과 베트남의 독립을 중시하며, 중국에 저항한 인물들을 높이 평가하고, 통치자들의 통치 능력에 대한 평가를 담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쩐 왕조 - 박당강 전투 (1288년)
박당강 전투는 1288년 쩐흥다오 장군이 이끄는 대월군이 박당강에서 응오꾸옌의 전술을 활용하여 원나라 함대를 격파, 몽골 제국의 침략을 격퇴하고 동남아시아 몽골 세력 확장을 저지한 중요한 전투이다. - 베트남의 역사책 -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로, 응오시리엔이 이전의 역사서를 바탕으로 1479년에 15권으로 완성했으며, 이후 수정 및 증보를 거쳐 1697년 레히가 간행한 25권의 정화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 베트남의 역사책 - 월사략
월사략은 14세기경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베트남 역사서로, 조타의 치세부터 리 왕조 멸망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쩐 왕조 황제의 연호 목록이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베트남 역사 연대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대월사기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저자 | 레반흐우 |
국가 | 대월 |
언어 | 한문 |
주제 | 베트남의 역사 |
장르 | 역사학 |
출판사 | 쩐 왕조 |
출판일 | 1272년 |
이전 작품 | 없음 |
다음 작품 | 대월사기전서 |
2. 편찬 배경
쩐 왕조의 쩐 태종은 레 ヴァン 휴에게 왕조의 공식 역사서인 『대월사기』 편찬을 명하였다.[3] 당시 쩐 왕조는 제2차와 제3차 몽골의 침략에 맞서 싸우고 있었다.[46] 북쪽 국경의 지속적인 위협 속에서, 쩐 태종과 쩐 성종은 레반휴에게 역사 편찬을 의뢰하여 쩐 왕조가 과거의 경험을 통해 통치를 강화하고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47]
쩐 왕조 시대의 저명한 학자이자 궁중 관리였던 레반휴(Lê Văn Hưu)는 쩐 태종(Trần Thái Tông)의 명으로 쩐포(Trần Phổ)가 저술한 『월지』(Việt chí, 越志)를 수정하여 『대월사기』(Đại Việt sử ký)를 편찬했다.[6][7] 1272년 1월, 30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쩐 성종(Trần Thánh Tông)에게 바쳐졌으며, 쩐 성종은 그 질을 높이 평가했다.[1][4][5]
『대월사기』는 기원전 207년 조다(Triệu Đà)의 남월(Nam Việt) 건국부터 1225년 리찌에우호앙(Lý Chiêu Hoàng)의 퇴위까지를 다룬다.[11][12] 레반휴(Lê Văn Hưu)는 베트남 역사의 다양한 사건에 대해 30개의 주석을 남겼다.[13]
3. 편찬 과정
제4차 중국 지배 기간 동안, 『대월사기』를 포함한 많은 귀중한 대월(Đại Việt) 서적이 명나라에 의해 약탈당하여 소실되었다.[6][8][9][10] 1455년, 역사가 판푸티엔(Phan Phu Tiên)은 레 인종(Lê Nhân Tông)의 명으로 『대월사기』의 내용과 레반휴의 역사 사건 논평을 수집하여 레 왕조의 첫 번째 공식 연대기를 저술했다.[11] 판푸티엔의 10권짜리 저서 『대월사기속편』(Đại Việt sử ký tục biên, 大越史記續編序) 또는 『국사편록』(Quốc sử biên lục)은 1223년 쩐 태종 즉위부터 1427년 레 로이(Lê Lợi)의 승리 이후 명나라 퇴각까지의 시기를 보충했다.[11] 이후, 1479년 역사가 응오시리엔(Ngô Sĩ Liên)은 레반휴와 판푸티엔의 저서를 바탕으로 6권으로 구성된 『대월사기전서』(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를 완성했다.[11]
4. 주요 내용
레반휴는 사마광의 『자치통감』 형식을 따라 『대월사기』를 편찬했다.[45] 그는 쩐 왕조 시기, 몽골 침략에 저항하는 전쟁을 목격하면서, 북방의 위협 속에서 태종과 성종의 명을 받아 역사서를 편찬했다.[46][47] 이를 통해 쩐 왕조는 대월의 과거 경험을 통해 통치를 강화하고 중국으로부터의 국가 독립을 확고히 하고자 했다.
레반휴는 베트남의 독립을 중시하여, 남월의 재상 려가(Lữ Gia)[15]나 리남제(Lý Nam Đế)[20]처럼 국가 자치권 상실에 책임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물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52] 량나라에 대한 반란으로 칭송받던 리남제에 대해서도, 결국 패배하여 베트남이 다시 독립을 잃었기 때문에 그의 능력을 비판했다.[20][53] 반면, 석협(Sĩ Nhiếp)과 같이 국가 안정에 기여한 중국 통치자들에게는 호의적인 평가를 내렸다.[18][54]
레반휴는 유교적 관점에서 베트남 통치자들의 통치 능력을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1129년 리신종(Lý Thần Tông)이 숭현후(Sùng Hiền Hầu)를 상황(Thái thượng hoàngvi)으로 즉위시킨 것을 왕실의 유교적 위계 질서 부족으로 비판했다.[38][55] 그러나 레반휴는 응오시리엔(Ngô Sĩ Liên)보다 유교적 관점을 덜 강조했는데, 이는 그의 주요 관심사가 항상 중국으로부터의 독립과 평등이었기 때문이다.[56]
레반휴의 『대월사기』는 베트남의 자주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57]시기 사건 시대 참고 기원전 137년 조우왕(Triệu Vũ vương) 사망 첫 번째 중국 지배 [14] 기원전 111년 남월 멸망 첫 번째 중국 지배 [15] 42년 정자매의 한나라 반란 두 번째 중국 지배 [16] 186년 한나라 지배 종식 두 번째 중국 지배 [17] 210년 석협 통치 종식 두 번째 중국 지배 [18] 432년 림압 왕국의 베트남 침공 두 번째 중국 지배 [19] 548년 리남제 사망 초기 리 왕조 [20] 866년 고비엔에 의한 대라 건설 세 번째 중국 지배 [21] 944년 응오꾸옌 사망 응오 왕조 [22] 950년 양탐카로부터 응오샹반에 의한 왕위 쟁탈 응오 왕조 [23] 965년 응오샹반 사망 응오 왕조 [24] 981년 레다이한 즉위 초기 레 왕조 [26] 1005년 레다이한 사망 초기 레 왕조 [27] 1005년 그의 형제 레롱딩에 의한 레롱비엣으로부터의 왕위 찬탈 초기 레 왕조 [28] 1009년 리타이토 즉위 리 왕조 [29] 1010년 리타이토에 의한 수도 화르에서 탕롱으로의 변경 리 왕조 [30] 1028년 리타이통 계승 리 왕조 [31] 1028년 리타이토 매장 리 왕조 [32] 1034년 리타이통에 의한 리 왕조 왕실 호칭 규칙 개혁 리 왕조 [33] 1039년 리타이통의 황제 칭호 변경 리 왕조 [34] 1043년 능지고의 반란 리 왕조 [35] 1128년 리인종 사망 리 왕조 [36] 1128년 참파 왕국에 대한 리인종의 승리 리 왕조 [37] 1129년 리신종의 명령에 따라 숭현후를 상황제(Thái thượng hoàngvi)로 즉위시킴 리 왕조 [38] 1129년 군사 사령관(Khu mật sứ)직에 리자 khắc 임명 리 왕조 [39] 1130년 리신종의 황후 간택 강요 리 왕조 [40] 1150년 도안우의 리 왕조 왕실 내에서의 부상 리 왕조 [41] 1154년 리안종과 참파 왕의 딸 사이의 결혼 리 왕조 [42]
4. 1. 주요 사건 및 인물
5. 역사적 관점
레 반 휴는 사마광의 ''자치통감''의 형식을 따라 『대월사기』를 편찬했다.[45] 그는 몽골 침략에 저항하는 전쟁이라는 쩐 왕조의 주요 사건을 목격했다.[46] 북쪽 국경의 위협 속에서, 태종과 성종은 레 반 휴에게 역사 서술을 의뢰하여 쩐 씨족이 대월의 과거 경험을 통해 통치를 강화하고 중국으로부터의 국가 독립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47]
레 반 휴는 기원전 207년 조다에 의한 남월 건국을 베트남 역사의 출발점으로 보았다. 이는 18세기 응오 티 시[48]부터 현대 역사가들에 이르기까지 여러 베트남 역사가들에 의해 도전받았는데, 남월의 왕들이 중국계였기 때문이다.[49][50] 레 반 휴는 한나라로부터 남월의 독립을 바탕으로 그 창시자 조다를 국가 독립을 중시한 베트남 통치자의 최초이자 훌륭한 본보기로 여겼다.[14][51] 그는 딘티엔황을 베트남 정체성을 되찾은 조다의 계승자로 여겼지만, 실제로는 응오꾸옌이 938년 박덩강 전투에서 승리하여 베트남에서 북방의 지배를 종식시켰다.[25][52] 응오꾸옌은 왕(Vương)의 지위에 만족했던 반면, 딘티엔황은 스스로 황제(Hoàng đế)라 칭하며 송나라 황제와 동등해졌기 때문에, 중국으로부터의 독립 지위를 재확립하는 데 있어 딘티엔황이 더 큰 공헌을 했다고 보았다.[52]
레 반 휴는 베트남의 독립을 매우 소중히 여겨, 남월의 재상 려가[15]나 리남제[20]와 같이 북쪽 국가에 대한 국가 자치권 상실에 책임이 있다고 여긴 인물들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52] 당시 여론은 량나라에 대한 반란으로 리남제를 국가 영웅으로 칭찬했지만, 레 반 휴는 결국 패배하여 베트남이 다시 한번 독립을 잃었기 때문에 리남제의 능력을 비판했다.[20][53] 그러나 한나라에 대한 저항 운동을 이끌었으나 마원의 군대에 의해 진압된 정자매에게 최고의 찬사를 보냈다. 그는 베트남의 남자들은 북방 사람들에게 항복한 것에 대해 부끄러워해야 하지만, 여성이었던 정자매는 나라를 위해 격렬하게 싸웠다고 평가했다.[16] 베트남의 중국 통치자들에 대해서는 국가의 안정에 기여한 사람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사 Nhiếp을 오랫동안 오나라의 직접적인 통치로부터 베트남의 자치 지위를 유지한 사왕(사 왕)으로 존경했다.[18][54]
레 반 휴는 응오꾸옌에서 리안통에 이르기까지 베트남 통치자들의 통치 능력에 유교적 관점에서 평가를 내렸다.[54] 그는 리타이토가 국가와 백성을 위한 자원을 절약하는 대신 많은 불교 사찰을 건립한 것을 비판했다.[30][54] 리신통에 의해 1129년 리 왕조의 상황황제(Thái thượng hoàngvi)로 숭현후의 즉위는 레 반 휴에 의해 왕실의 유교적 위계 질서 부족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신통은 그의 전임자 리인종이 아닌 그의 친부에게 그 칭호를 수여했어야 했기 때문이다.[38][55] 레 반 휴의 주요 관심사는 항상 베트남의 중국으로부터의 독립과 평등이었기 때문에 그의 유교 강조는 응오 시 리엔보다 훨씬 적었다.[56] 따라서 레 반 휴의 ''대월사기''는 베트남의 자주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필수적인 작품으로 여겨졌다.[57]
6. 의의 및 영향
大越史記vi는 베트남 최초의 역사서로서, 베트남 역사학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레반흐우는 이 책을 통해 베트남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베트남의 자주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大越史記vi는 이후 베트남에서 역사서를 편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응오시리엔의 大越史記續編vi과 大越史記全書vi 등은 모두 大越史記vi를 바탕으로 편찬되었다.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Lê Văn Hưu
http://dictionary.ba[...]
2009-12-18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An Nam chí lược
University of Hue
[8]
서적
[9]
서적
[10]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 Asia Center
[11]
웹사이트
Đại Việt sử ký
http://dictionary.ba[...]
2009-12-18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Dragons Entangled: Indochina and the China-Vietnam War
M.E. Sharpe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Việt sử tiêu án
History & Literature Publishing House
[49]
백과사전
Nam Việt
http://dictionary.ba[...]
2009-12-18
[50]
백과사전
Triệu Đà
http://dictionary.ba[...]
2009-12-18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China and Vietnam: the politics of asymme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