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 성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 성종은 쩐 왕조의 제2대 황제이다. 1240년에 태어나 1258년에 즉위하여 원나라의 침략에 맞서 항전했다. 1278년 아들 쩐 인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으며, 1290년에 사망했다. 그는 원나라의 복속 요구를 거부하고, 원나라와의 전쟁을 지휘하여 승리하는 등 강력한 지도력을 보였다. 재위 기간 동안 쩐 왕조의 기틀을 다졌으며, 레 왕조의 역사가 응오 시 리엔은 그를 쩐 왕조 최고의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90년 사망 - 알 만수르 칼라운
알 만수르 칼라운은 킵차크 초원 출신의 맘루크 왕조 술탄으로, 일 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십자군에 대응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을 다스려 맘루크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1290년 사망 - 라슬로 4세
라슬로 4세는 1262년에 태어나 1272년 헝가리 국왕이 되었으며, 쿠만족과의 갈등 끝에 1290년 암살당했다. - 1240년 출생 - 치마부에
치마부에는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비잔틴 미술의 영향을 받아 서양 회화의 중세에서 르네상스 시기 전환에 기여했고, 조토 디 본도네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 1240년 출생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베트남의 태상황제 - 레 희종
레 희종은 후 레 왕조의 황제로, 찐딱의 섭정 하에 꼭두각시 군주로 지냈으나, 그의 치세는 정화지치라 불리며 평화와 질서를 가져왔다. - 베트남의 태상황제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쩐 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쩐 성종 (Trần Thánh Tông/陳聖宗) |
휘 | 쩐 호앙 (Trần Hoảng/陳晃), 쩐 녓후옌 (Trần Nhật Huyên/陳日烜) |
묘호 | 성종 (Thánh Tông/聖宗) |
시호 | 현공성덕인명문무선효황제 (Huyền Công Thịnh Đức Nhân Minh Văn Vũ Tuyên Hiếu Hoàng Đế/玄功盛德仁明文武宣孝皇帝) |
존호 | 광요자효태상황제 (Quang Nghiêu Từ Hiếu Thái Thượng Hoàng Đế/光堯慈孝太上皇帝) |
출생 | 1240년 10월 12일 |
사망 | 1290년 7월 3일 |
매장지 | 유릉 (Dụ Lăng/裕陵) |
통치 정보 | |
국가 | 대월 |
왕조 | 쩐 왕조 |
즉위 | 1258년 3월 30일 |
퇴위 | 1278년 11월 8일 |
선대 군주 | 쩐 태종 |
후대 군주 | 쩐 인종 |
재위 기간 | 1258년 3월 30일 ~ 1278년 11월 8일 (황제) |
칭호 | 태상황 (Thái thượng hoàng) |
태상황 재위 기간 | 1279년 11월 8일 ~ 1290년 10월 12일 |
연호 | thiệu롱 (Thiệu Long/紹隆) (1258년 ~ 1272년), 바오푸 (Bảo Phù/寶符) (1273년 ~ 1278년) |
절 | 불교 |
가족 관계 | |
부친 | 쩐 태종 |
모친 | 투언티엔 황후 |
배우자 | 티엔깜 황후 쩐 티 ieu (Empress Thiên Cảm Trần Thị Thiều) |
자녀 | 쩐 카음 (Crown Prince Trần Khâm) 짜티엔 공주 쩐 득비엡 (Prince Tá Thiên Trần Đức Việp) 티엔투이 공주 (Princess Thiên Thụy) |
2. 생애
1258년 2월 24일(3월 30일), 아버지 태종이 양위하여 성종이 황제에 즉위하였다.[8] 그러나 실권은 태상황이 된 아버지가 장악하고 있었다.[1] 즉위 후, 연호를 찌에우 롱(; 1258–1272)으로 변경했고, 이후 바오 푸(; 1273–1278)라는 연호를 사용했다.[8]
성종은 즉위 후, 아버지와 함께 몽골 침략과 리 왕조 말기의 혼란으로 훼손된 국가 경제와 행정 시스템을 재건하기 시작했다. 1261년 6월에는 행정 시스템 관리를 위한 시험을 실시했고,[9] 1266년 3월에는 첫 번째 과거 시험을 실시하여 50명 이상의 학자들을 선발했다.[38] 또한, 형제 쩐 익 뚁이 자신의 궁궐에 사립 학교를 세우는 것을 허락하여 막 딘 찌나 부이 퐁을 포함한 여러 저명한 관료들을 양성하도록 하였다.[6][12] 이와 더불어, 징병을 통해 군대를 강화하고 재편성하여 효율성을 높였다.[6][12]
쩐 왕조는 원나라의 쿠빌라이 칸으로부터 복속 요구를 받았지만, 성종은 이를 거절하고 항전하는 자세를 보였다.[41] 1268년 원나라 사신을 접견하는 과정에서 성종은 원나라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1277년 아버지 태종이 사망하면서, 쩐 성종은 비로소 대월의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13] 1278년 10월 22일(11월 8일), 아들인 인종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이 되었다.[14]
1282년 원나라의 침공이 시작되자, 태상황이었던 성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쟁을 지휘하였다. 1285년에는 수도 탕롱을 넘겨주고 피난하는 상황도 있었지만, 곧 반격하여 원나라 군대를 격퇴하였다. 1287년 원나라가 다시 침공하였을 때도, 베트남군은 원나라 군대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백당강에서 매복 공격을 통해 대승을 거두었다.
1290년 5월 25일(7월 3일), 태상황 쩐 성종은 인수궁(仁壽宮)에서 51세(만 4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2]
2. 1. 즉위 전
1240년 10월 12일(음력 9월 25일), 쩐 태종과 현자황후(顯慈皇后) 사이에서 쩐 호앙(베트남어: Trần Hoảng / 陳晃 진황)이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바로 태자로 책봉되었다.[1] 투언 티엔 황후 소생의 둘째 아들이었지만, 적자였기 때문에 태종의 후계자로 선택되었다.[2] 이복 형제로는 틴 꿕 공(Tĩnh Quốc đại vương) 쩐 꿕 칸이 있었고, 친 형제로는 찌에우 밍 공 쩐 꽝 카이, 찌에우 꿕 공 쩐 익 뚁, 찌에우 반 공 쩐 녓 유앗 등이 있었다.[3]1257년, 황태자 신분으로 몽골의 제1차 침입을 겪었다.[4] 초기에는 몽골군에게 여러 차례 패배하였고, 일부 고위 관리들은 송나라로 도망갈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5] 그러나 쩐 태종의 굳건한 믿음과 쩐 투 도, 쩐 꿕 뚜언 등의 활약으로 몽골의 침입을 격퇴하고 평화를 되찾을 수 있었다.[6][7]
2. 2. 황제 즉위 및 원나라와의 관계
1258년 2월 24일(3월 30일), 아버지 태종이 양위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다.[8] 그러나 실권은 태상황이 된 아버지가 장악하고 있었다.[1] 즉위 후, 연호를 찌에우 롱(; 1258–1272)으로 변경했고, 이후 바오 푸(; 1273–1278)라는 연호를 사용했다.[8]쩐 왕조는 원나라의 쿠빌라이 칸으로부터 복속 요구를 받았지만, 성종은 이를 거절하고 항전하는 자세를 보였다.[41]
1268년, 원나라 조정은 후룽하이야를 쩐 왕조의 수도로 보내 안남 감시관으로 임명하고, 그의 조수 장정진을 파견했다. 이듬해 장정진은 대사부 칭호를 받으며 후룽하이야를 대신하여 감시관이 되었다. 베트남 수도 탕롱에 도착한 장정진은 쿠빌라이 칸의 칙서를 전달했지만, 성종은 꿇어앉는 대신 서서 받았다. 장정진은 쩐 성종이 남중국의 남송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상양을 포위하고 있는 백만 명의 원나라 군대가 두 달 안에 "대월"에 도달할 수 있다는 위협을 가했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이로 인해 베트남 왕은 겁을 먹고 칙서에 꿇어앉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쩐 성종은 장정진과의 대화에서 더 많은 불만을 가졌고, 경비병들에게 칼을 뽑아 장정진을 에워싸 위협하도록 명령했다. 이를 본 장정진은 활과 칼을 풀고 전당 바닥에 내려놓으며 "나에게 무슨 짓을 할 수 있는지 보시오!"라고 말했다. 베트남 왕과 그의 경비병들은 장정진의 용기에 감탄했다.
1269년, 쩐 성종은 원나라 조정에 두 명의 무슬림 상인이 사망했으므로, 후룽하이야가 요구한 두 마리의 큰 코끼리를 적절한 조공 연도에 보낼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듬해, 원나라의 비서실은 베트남 왕에게 메시지를 보내 춘추의 구절을 인용하여 "황제의 칙서에 꿇어앉지 않은 것, 천자 (쿠빌라이)의 사신을 부적절하게 대우한 것, 맛없는 약을 보낸 것, 그리고 무슬림 상인 문제에 있어 부정직했던 것"에 대해 꾸짖었다. 쩐 성종은 이듬해(1271년) 쿠빌라이에게 보낸 고전 중국어로 작성된 서한에서 이러한 비난을 거부했다. 그 후 2년 동안 쿠빌라이는 새로운 감시관을 대월에 파견하고, 서기 43년 쯩 자매의 반란 진압 후 세워진 마원의 동주를 찾도록 요구했으며, 쩐 성종이 다시 한번 대도에 직접 출두할 것을 원했다. 그는 이를 거부했다.
1277년 4월 1일(음력) 아버지 태종이 사망하자, 쩐 성종은 대월의 단독 통치자로서 통치를 시작했다.[13]
2. 3. 양위와 태상황 시절
1278년 10월 22일(11월 8일), 아들인 인종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이 되었다.[41]1282년 10월, 원나라군이 베트남을 침공하자, 군대를 이끌고 전쟁을 지휘하였다. 1284년 참파 원정을 위해 진남왕 토간이 이끄는 원나라 군대가 파견되었지만, 베트남은 영내 통과를 거부했다. 참파와 협력하여, 원나라 군대에 응전했다. 1285년 정월, 만겁·보뢰산의 전투에서 패하여 홍하를 도하하게 되자, 성종은 국도 탕롱을 넘겨주고, 천장·장안의 땅으로 피난했다. 그러나 4월에는 공격으로 전환하여, 5월에 원나라 군대가 철병하자, 이를 추격했다(장양 전투). 6월 6일, 성종은 탕롱으로 귀환했다.
1287년 원나라가 다시 원정군을 파견하여, 수륙 양면으로 베트남을 침입했다. 12월, 원나라 군대가 홍하 동해안에 도달하자, 성종은 숙부를 사자로 보냈으나, 협상은 결렬되었다. 원나라 군대가 도하하자, 국도를 버리고 천장해구의 땅으로 피난했으며, 더 나아가 해상으로 피난했다. 그러나 베트남 군이 후방 연락을 차단하자, 원나라 군에게 식량 부족이 생겼으며, 더 나아가 역병이 발생했다. 1288년 2월 말에는 전군 철퇴가 결정되었다. 3월, 철퇴하는 원나라 수군을, 흥도왕 쩐 국준이 지휘하는 베트남 군이 백당강에서 매복 공격했고, 성종도 늦게 이에 참여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3월 27일(1288년 4월 28일)에 국도로 귀환했다.
2. 4. 최후
태상황으로서 인수궁(仁壽宮)에서 51세(만 4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5][42] 시호는 현공성덕인명문무선효황제(玄功盛德仁明文武宣孝皇帝)이다.[36]3. 호칭
의 재위 시 존호는 '''헌천체도대명광효황제'''(憲天體道大明光孝皇帝)이며, 시절 존호는 '''광요자효태상황제'''(光堯慈孝太上皇帝)이다.[1] 묘호는 성종(聖宗), 시호는 '''현공성덕인명문무선효황제'''(玄功盛德仁明文武宣孝皇帝), 능호는 '''유릉'''(裕陵)이다.[1]
4. 내정
1261년 6월, 성종은 문장과 계산 능력, 두 가지 능력으로 구성된 시험을 실시하여 행정 시스템 관리를 선발했다.[9] 1266년 3월에는 첫 과거 시험을 실시하여 50명 이상의 학자들을 대월 조정과 행정 시스템의 고위직에 선발했다.[38] 또한, 더 많은 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지적 능력을 가진 형제 쩐 익 탁에게 사립 학교 설립을 허락했다.[6] 이 학교에서는 막 딘 찌와 부이 퐁 등 훗날 저명한 조정 관료들이 훈련을 받았다.[12]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태조지효황제(Thái Tổ Chí Hiếu Hoàng Đế) |
조모 | 순자황후(Thuận Từ Hoàng Hậu) 레 티 지에우(Lê Thị Diệu) |
부친 | 태종원효황제(Thái Tông Nguyên Hiếu Hoàng Đế) 쩐까인 |
모친 | 현자황후(Hiển Từ Hoàng Hậu) 리 티 오아인(Lý Thị Oanh) |
배우자 | 원성천감황후(元聖天感皇后) Nguyên Thánh Thiên Cảm Hoàng Hậu|응우옌 타인 티엔 깜 호앙 허우중국어 쩐 티 티에우(陳氏韶)[1] |
장인 | 쩐 리에우[1] |
자녀 | 이름 |
아들 | 쩐캄(Trần Khâm)[1] |
아들 | 좌천대왕 쩐득비엡(Trần Đức Việp)[38] |
딸 | 티엔 투이 공주(Thiên Thụy công chúa)[39] |
5. 1. 부모
- 조부 : 태조지효황제(Thái Tổ Chí Hiếu Hoàng Đế) 쩐트어
- 조모 : 순자황후(Thuận Từ Hoàng Hậu) 레 티 지에우(Lê Thị Diệu)
- 부친 : 태종원효황제(Thái Tông Nguyên Hiếu Hoàng Đế) 쩐까인
- 모친 : 현자황후(Hiển Từ Hoàng Hậu) 리 티 오아인(Lý Thị Oanh)
5. 2. 배우자
쩐 성종은 원성천감황후(元聖天感皇后) Nguyên Thánh Thiên Cảm Hoàng Hậu|응우옌 타인 티엔 깜 호앙 허우중국어 쩐 티 티에우(陳氏韶)를 배우자로 두었다.[1] 그녀는 쩐 성종의 삼촌인 쩐 리에우의 다섯째 딸이었다.[1]5. 3. 자녀
6. 평가
레 왕조의 역사가 응오 시 리엔은 쩐 성종을 쩐 왕조의 가장 훌륭한 군주 중 한 명으로 칭송했다. 그는 성종이 정직한 통치자일 뿐만 아니라 책임감 강한 효자, 자상한 형제이자 아버지로서 왕족과 국가 전체의 안정을 가져온 인물로 평가했다.[1][40][36] 성종의 성공적인 통치는 이후 대월의 장기간의 번영과 평화의 기반이 되었다.[1][40][36]
쩐 성종은 형제 쩐 꽝 카이, 쩐 익 떽, 쩐 녓 주앗과 마찬가지로 유명한 학자였다. 성종은 자신의 시로 왕자들을 가르쳤고, ''디 후 룩''이라는 문학 작품도 남겼다.[37]
유교 역사가인 응오 시 리엔은 황제가 불교에 헌신하는 것에 대해 때때로 비판했는데, 이는 그와 같은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1]
7. 연호
(1258년 ~ 1272년)
(1273년 ~ 1278년)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서적
Khubilai Khan's Lost Fleet: In Search of a Legendary Armad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大越史記全書 本紀巻之五 陳紀 聖宗皇帝 宝符6年冬10月22日
[42]
서적
大越史記全書 本紀巻之五 陳紀 仁宗皇帝 重興6年5月25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