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 대위(Lieutenant)는 해군에서 사용되는 계급으로, 1580년부터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함장의 부관이었으나, 시험 제도를 거쳐 선임 순위가 결정되었다. 19세기까지 영국 해군에서는 1등 해위, 2등 해위 등으로 불렸으며, 일등 항해사(First Lieutenant)는 부함장의 역할을 했다. 각국 해군에서 대위는 다양한 명칭과 계급장을 사용하며, 진급 방식도 상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위 (해군) | |
---|---|
기본 정보 | |
계급 | 위관 장교 |
군종 | 해군, 해병대, 해안 경비대 |
역할 | |
지휘 | 소규모 부대 지휘, 함정 당직 사관 |
해당 계급 | |
NATO 코드 | OF-2 |
미국 | Lieutenant (LT) |
영국, 캐나다 | Lieutenant |
오스트레일리아 | Lieutenant |
뉴질랜드 | Lieutenant |
대한민국 | 대위 |
일본 | 해위 |
중국 | 海军上尉 (Hǎijūn shàngwèi) |
러시아 | Капитан-лейтенант (Kapitan-leytenant) |
보수 | |
미국 (2023년) | $58,933.20 – $84,418.80 (복무 기간에 따라 다름) |
2. 역사
해군 대위(Lieutenant)는 1580년부터 사용된 용어이다.[3] 초기에는 함장(Captain) 바로 아래 계급으로, 함장의 임명을 받았다.[3] 1677년 사무엘 피프스가 해군성 재무 비서관으로 재직하면서 부관 시험 제도를 도입했고,[2] 시험 통과일을 기준으로 선임 순위가 결정되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영국 해군은 대형 범선을 1등급부터 4등급까지 분류했으며, 1등급 전함에는 최대 6명의 해군 대위가 승선했다. 이들은 1등 해군 대위, 2등 해군 대위 등으로 불렸다. 18세기 1등급 전함은 승무원 850명, 함포 100문을 갖춘 대형 함선이었다.
과거에는 어린 소년이 해군 대위로 임명되는 경우도 있었으나,[3] 현대에는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친다. 1741년 HMS ''웨이거''호가 손실되고 반란이 발생한 후, 영국 해군은 부관 시험 합격자에게 일반적인 임명장을 부여하는 것으로 정책을 변경했다.[3]
19세기 중반까지 해군 장교 계급은 배치와 연동되었다. 영국 해군은 제독, 준장, 칙임 함장, 해위 함장, 군함 지휘 해위, 해위 등으로 구분했다. 프랑스 해군이나 미국 해군 등은 해위 아래에 엔사인(Ensign)이라는 계급을 두기도 했다. 군함에는 함장은 1명뿐이지만, 해위는 여러 명인 것이 일반적이었다. 선임순에 따라 1등 해위, 2등 해위 등으로 불렸으며, 1등 해위는 부장이라고도 불리며 함장 부재시 임무를 대행했다. 오늘날에도 영국 해군 부장은 "넘버 원(Number One)"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1766년 제임스 쿡은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을 위해 남태평양으로 파견되었을 때, 항해장에서 커맨딩 레프테넌트로 임명되어 엔데버호 지휘관이 되었다. 귀환 후 공적을 인정받아 해위 함장으로 승진했다.
2. 1. 명칭
영어로는 Lieutenant라고 한다. 육군에서는 중위를 의미하는 단어이지만 해군에서는 대위를 의미한다. 류테닛이라고 발음하며, 짧게는 LT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미국 육군 특수부대 델타포스의 류테닛은 중위, 미국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실의 류테닛은 대위다.[3]1580년부터 류테닛이라는 명칭이 존재했다.[3] 류테닛은 선장인 대령 캡틴 바로 아래 계급으로 1등 항해사를 맡는다. 영국에서는 배의 1등 항해사를 선장의 아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3]
해군 계급 초창기에는 일부 부관이 매우 하급자일 수 있었고, 다른 부관은 함장으로 진급하기 직전일 수 있었다. 이러한 부관들은 오늘날 육군의 소위부터 중령에 이르는 계급에 걸쳐 있었다. 해군 계급 구조가 안정되고, 정령, 부함장 및 소위(또는 미국 해군의 해군 중위) 계급이 도입되면서 해군 부관의 계급 범위가 줄어들었고 오늘날 육군의 대위에 해당한다.[3]
3. 진급
대한민국 해군에서 대위 진급은 능력과 경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미국 해군에서 대위 진급은 1980년 국방장교인사관리법(DOPMA)에서 파생된 미국 국방부 정책에 따라 관리된다. 미국 해안경비대도 대위 진급에 관해 동일한 정책을 따른다. DOPMA 지침에 따르면, 최소 2년 이상 하위 계급인 소위로 복무한 자의 95% 이상이 대위로 진급해야 한다.[4]
영국 해군에서 대위 진급은 선임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 장교는 통상 부위(OF-1)로 30개월 복무한 후 진급한다.[5] 그러나 후보자가 이전 해군 복무 경력이 있고 하사관 계급(상급 예비사관/선임 상급 예비사관)에서 임관한 경우 진급이 더 빠를 수 있다.[6]
4. 일등 항해사 (First Lieutenant)
'''일등 항해사''' (1st Lt 또는 1LT)는 영국 해군 및 기타 영연방 해군에서 계급이 아닌 직책 또는 보직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함선의 부관들은 선임 순위에 따라 순위가 매겨졌으며, 가장 선임인 부관을 일등 항해사라고 불렀고, 부함장 역할을 했다.[29] 부관들은 더 이상 선임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지지 않지만, "일등 항해사" 직책은 남아 있다.
소형 전투함, 구축함 및 프리깃함에서 일등 항해사(부관 또는 중령)는 부함장, 행정 장교(XO) 및 행정 부서의 책임자이다. 대형 함선에서는 작전 전문 분야의 지휘관이 행정 장교로 임명되는데, 일등 항해사(일반적으로 중령)가 그의 부관으로 임명된다. 육상 기지의 일등 항해사 직책은 주력함의 일등 항해사의 직책과 유사한 책임을 갖는다.
미국 해군 또는 미국 해안 경비대에서 일등 항해사 보직은 함선의 크기에 따라 갑판부 또는 부서를 담당하는 장교를 의미한다. 단일 갑판 부서만 있는 소형 함선에서는 통상적으로 소위가 이 보직을 맡고, 여러 개의 하위 부서로 구성된 갑판부가 있는 대형 함선에서는 중령이 이 보직을 맡을 수 있다. 잠수함 및 소형 해안 경비정에서 일등 항해사 보직은 수병이 맡을 수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해군 장교의 계급은 그 배치와 연동되어 있었다. 1등 해위는 함의 차석으로서 "넘버 원"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34]
5. 계급장
많은 해군, 특히 영국 해군의 대위 계급장은 남색 또는 검은색 바탕에 중간 굵기의 금색 줄 두 개(상단 줄에 고리 포함)로 구성된다.[7]
미국에서는 착용하는 군복의 종류에 따라 미국 해군, 미국 해안 경비대, USPHS 위생병단 및 NOAA 병단 대위는 미국 해병대 대위와 동일하고 미국 육군, 미국 공군, 또는 미국 우주군 대위와 유사한 금속 칼라, 어깨 또는 머리 장식 계급장, 혹은 천 어깨, 칼라, 탭 또는 머리 장식 계급장을 착용한다.
6. 번역어로서의 해위
"해위(海尉)"라는 번역어는 번역가 다카하시 야스쿠니가 범선 시대를 무대로 한 해양 모험 소설인 "호른블로워 시리즈"(세실 스콧 포레스터 저)를 일본어로 번역하면서 만들어낸 것이다. 당시 군대의 계급 제도가 현대와 크게 달라서 "대위", "중위" 등으로 부르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35]
그 후, 오브리-매튜린 시리즈 등 범선 시대 해양 모험 소설에서도 "칙임 함장(Post Captain)", "해위 함장(Commander)" 등과 함께 번역어로 정착되었다.
7. 각국의 해군 대위
19세기 중반까지 해군 장교의 계급은 배치와 연동되었다. 영국 해군의 경우 제독(Admiral): 함대 지휘관, 준장(Commodore): 전대(소함대) 지휘관, 포스트 캡틴(Post Captain): 대형 및 중형 군함 지휘관, 커맨더(Commander): 소형 군함 지휘관, 커맨딩 레프테넌트(Commanding Lieutenant): 함 지휘권을 일시적으로 부여받은 장교, 레프테넌트(Lieutenant, 해위): 함 지휘권이 없는 장교 등으로 구분되었다. 프랑스 해군이나 미국 해군 등은 레프테넌트 아래에 엔사인(Ensign)이라는 계급을 두기도 했다.
군함에는 함장은 1명뿐이지만, 장교(해위)는 여러 명인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서열은 선임순(레프테넌트로 임관하여 해군 장교 명부에 등록된 순)에 따랐으며, 상석부터 1등 해위(First Lieutenant), 2등 해위(Second Lieutenant) 등으로 불렸다. 1등 해위는 함의 차석으로서 함장 부재 시 임무를 대행하는 책임과 권한을 가졌다.
국가 | 계급장 | 설명 |
---|---|---|
앤티가 바부다 해안 경비대[8] | 소위 | |
호주 해군[9] | 소위 | |
바하마스 국방군[10] | 소위 | |
방글라데시 해군[11] | 소위 | |
바베이도스 해안 경비대 | 소위 | |
벨리즈 해안 경비대 | 소위 | |
브루나이 해군[12] | Leftenan|레프테난ms | |
캐나다 해군[13] | 소위 | |
피지 해군 | 소위 | |
감비아 해군 | 소위 | |
가나 해군 | 소위 | |
가이아나 해안 경비대 | 소위 | |
인도 해군[14] | 소위 | |
아일랜드 해군[15] | 소위 | |
자메이카 해안 경비대[16] | 소위 | |
라이베리아 국가 해안 경비대[17] | 소위 | |
말레이시아 해군[18] | Leftenan|레프테난ms | |
나미비아 해군[19] | 소위 | |
뉴질랜드 해군[20] | 소위 | |
나이지리아 해군[21] | 소위 | |
파키스탄 해군[22] | لیفٹیننٹ|Leftinentur | |
파푸아뉴기니 해상 부대 | 소위 | |
필리핀 해군 | -- | 소위 |
세인트키츠 네비스 해안 경비대 | 소위 | |
시에라리온 해군 | 소위 | |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군[23] | 소위 | |
스리랑카 해군[24] | 소위 | |
탄자니아 해군 사령부 | 소위 | |
통가 해군[25] | 소위 | |
트리니다드 토바고 해안 경비대[26] | 소위 | |
바누아투 해상 부대 | {{lang|bi|Lietne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