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조국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조국전쟁은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1812년 러시아 원정, 제1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그리고 특히 1941년 나치 독일의 침공 이후 소련이 치른 전쟁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소비에트 국민의 대조국전쟁'으로 명명되며 공식화되었고, 소련의 승리를 기념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조국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전체를 포괄하지 않으며, 소련과 독일 간의 전쟁만을 의미한다. 전쟁에서 활약한 주요 인물로는 게오르기 주코프, 이반 코네프 등 소련군 원수들과 다양한 계급의 군인들이 있다. 전후 소련과 일부 구소련 국가에서는 대조국전쟁을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기념하지만, 우크라이나 등 일부 국가에서는 탈공산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 용어를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대체했다. 한국에서는 독소전쟁이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역사

"조국전쟁"이라는 용어는 본래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에 대한 러시아의 저항을 가리키는 말이었다.[15]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 전선에서도 사용되었다.[16] 1941년 나치 독일소련 침공(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대조국전쟁'이라는 용어가 다시 등장하여 소련 국민들의 애국심과 항전 의지를 고취하는 데 사용되었다.

2. 1. 용어의 기원과 변화

러시아어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ru는 원래 자신의 영토 내에서 벌어지는 전쟁을 의미했다.[15][3]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조국을 위한 방어 전쟁'이라는 의미로 확대되었다.[15][3]

1812년 러시아 원정은 '1812년 조국전쟁' 또는 '대조국전쟁'(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벨리카야 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ru)으로 불리기도 했다.[4][5] 이 표현은 1844년에 처음 등장했고, 1812년 조국전쟁 100주년을 앞두고 널리 쓰이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2차 조국전쟁', '대세계 조국전쟁'(Великая всемирн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벨리카야 프세미르나야 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ru)이라는 표현도 사용되었다.[16][6] 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잡지 「극장과 삶(Театр и жизнь)」의 특별 부록 이름이었으며, 동부 전선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1941년 6월 23일,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하루 후, 소련 관영지 '프라우다'는 나치 독일과의 전쟁을 '소비에트 국민의 대조국전쟁'(Velikaya Otechestvennaya Voyna Sovetskogo Naroda|벨리카야 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 소베츠코보 나로다ru)으로 명명했다.[16][6] 이 표현은 1812년 조국전쟁의 승리를 상기시켜 국민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자 한 것이었다. 소련 시대 역사가들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맞춰 역사를 왜곡하여, 미하일 쿠투조프표트르 바그라티온을 농민 장군으로 묘사하고, 알렉산더 1세는 무시하거나 비난했으며, 전쟁은 러시아 국민이 정부의 개입 없이 벌인 대규모 "인민 전쟁"으로 묘사했다.

1942년 5월 20일, 영웅적인 업적을 세운 이들에게 조국전쟁 훈장이 수여되면서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ru'(애국 전쟁 또는 조국 전쟁)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2. 2. 공식화 및 상징

"조국전쟁"이라는 용어는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 제1제국러시아 제국을 침공했던 러시아 원정 당시 러시아군의 저항을 일컫는 말이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 때에는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맞선 동부 전선을 가리키는 말이었고,[16] 러시아 제국에서는 제2차 대조국전쟁(Великая всемирн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벨리카야 프세미르나야 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ru)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었다.[16]

대조국전쟁이라는 표현은 바르바로사 작전이 개시된 지 하루가 지난 1941년 6월 23일, 소비에트 신문지인 프라우다에서 다시 등장했다. 이 신문에는 예메리안 야로슬라브스키가 쓴 "소련 인민의 대조국전쟁"(Velikaya Otechestvennaya Voyna Sovetskogo Naroda|벨리카야 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 소베츠코고 나로다ru)이라는 기사가 실렸다.[16] 이후 소련은 1942년 5월 20일 영웅적인 업적을 세운 이들에게 조국전쟁 훈장이라는 상을 수여하면서 대조국전쟁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오테체스트벤나야 보이나ru (애국 전쟁 또는 조국 전쟁)이라는 용어는 1942년 5월 20일 영웅적인 행위에 대해 수여되는 조국전쟁 훈장의 제정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소련 시대 사전학에서는 "대조국전쟁"이란 소비에트의 공산주의와 독일의 나치즘(파시즘)이라는 두 이데올로기 간의 투쟁이며, 궁극적으로 소비에트의 공산주의 체제가 파시즘을 극복하고 그 우월성을 보여주었다고 여겨진다.[13]

3. 범위

독소 불가침조약 체결 이후인 1939년부터 1940년까지 독일과 소련이 점령했거나 점령을 시도한 폴란드, 핀란드, 발트 3국, 몰도바와의 전쟁에서는 "대조국전쟁"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다.[14][17] 또한 대조국전쟁은 바르바로사 작전이 개시된 이후인 소련-일본 전쟁을 가리키지도 않는다.[14]

전 소련 연방 이외 지역에서는 이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가장 가까운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1941~1945년)이다. 두 용어 모두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동유럽에서의 상황을 포괄하지 않는데, 당시 소련은 독일과 불가침 조약을 맺고 폴란드 동부(1939년), 발트 3국(1940년),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1940년), 핀란드(1939~1940년)를 침공했기 때문이다.[2][7] 또한 이 용어는 소련-일본 전쟁(1945년)을 포함하지 않는다.[2]

“대조국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은 지칭하는 범위가 다르다. “대조국전쟁”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 추축국 군대와 소비에트 연방 사이의 전쟁을 의미하며, 소비에트 연방과 일본(만주 작전)과의 전투나, 독일과 서유럽·영미 제국과의 전투(서부전선)는 포함되지 않는다.

4. 주요 인물

대조국전쟁에는 수많은 소련 군인, 정치인, 민간인들이 참여했다.

계급이름비고
원수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소좌표도르 트루힌
공군 소좌
공군 소좌
소령안드레이 즈다노프
소령콘스탄틴 쿠자코프
소령
소령
소령
국가안보 소령
소령발렌티나 그리조두보바
공군 소령바실리 스타린
해군 소령
근위 소령
해군 근위 소령
소령
소령
소령
공군 소령아메트칸 술탄
공군 소령니콜라이 블라소프
공군 소령
공군 소령
근위 소좌
소좌류드밀라 파블리첸코
공군 소좌니콜라이 구라예프
공군 소좌이반 코제두프
해군 소좌체사르 쿠니코프
근위 대위콘스탄틴 사모힌
근위 대위
해군 근위 대위
대위 겸 파르티잔
대위
대위
대위알렉산드르 후반
대위
대위오타카르 야로시
대위 겸 종군기자
해군 대위바실리 자이체프
공군 대위
해군 대위
근위 상급 중위드미트리 라브리넨코
근위 상급 중위알렉산드르 코스모데먄스키
공군 근위 상급 중위
공군 근위 상급 중위
상급 중위그리골리 추흐라이
상급 중위
상급 중위
해군 상급 중위
공군 상급 중위
공군 상급 중위
근위 중위
해군 근위 중위
해군 근위 중위
중위야코프 주가시빌리
중위모안잉
중위
중위블라디미르 겔판트
중위알렉산드르 페체르스키
중위
중위요제프 부르시크
중위
중위
중위
중위 겸 파르티잔
근위 소위
근위 소위
소위드미트리 야조프
상사
상사
상사
상사
니넬 쿨라기나
상급 중사
해군 상급 중사
상급 중사
공군 상급 중사
근위 중사인노켄티 스모크투놉스키
근위 중사
중사
중사표도르 아흘랍코프
중사조세프 베일
중사
중사
중사
하급 중사
근위 하사
상급 수병
근위 해군 수병
조야 코스모데먄스카야
적군 병사알렉산드르 마트로소프
적군 병사
적군 병사
적군 병사존 데미야뉴크
적군 병사
적군 병사
적군 병사
적군 병사
적군 병사
해군 수병 겸 파르티잔
해군 수병
인민 민병
인민 민병
인민 민병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파르티잔
노동자알렉세이 스타하노프


4. 1. 소련군 원수

4. 2. 해군 원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는 해군 원수이자 해군 인민위원을 겸임하였다.[13] 이반 이사코프도 해군 원수였다.[14]

4. 3. 상급 대장 및 대장

4. 4. 그 외 장성급

계급이름비고
소장미하일 키르포노스
소장레프 메흘리스
소장블라디미르 자이모프스파이
소장이반 치스차코프
소장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
소장마르키안 포포프
소령게오르기 말렌코프
소령안드레이 블라소프소련군 장성이었으나, 나치 독일로 전향하여 러시아 해방군을 이끌었음. 이는 소련에 대한 명백한 배신 행위로 간주됨.
소령알렉세이 쿠즈네초프
소령니키타 흐루시초프정치위원
소좌레오니드 브레즈네프정치위원
소좌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작곡가


5. 전후 사용 및 영향

소련 시대 사전학에서는 "대조국전쟁"을 소비에트의 공산주의와 독일 나치즘(파시즘)이라는 두 이데올로기 간의 투쟁으로 보았으며, 궁극적으로 소비에트 공산주의 체제가 파시즘을 극복하고 그 우월성을 보여주었다고 여겼다.[13]

러시아와 일부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들은 이 용어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받아들인다. 우즈베키스탄은 2014년까지 독립 국가 연합(CIS)에서 유일하게 이 용어를 인정하지 않고, 국가 공휴일인 추모와 명예의 날에 제2차 세계 대전이라고 언급했다.[8]

2021년 모스크바 승전절 퍼레이드. 러시아 전역에서 5월 9일 기념 행사에서 군사 퍼레이드와 소련 군사 상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돈바스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탈공산화 정책의 일환으로 '대조국전쟁(1941~1945년)'(''Velyka vitchyzniana viina'')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년)(''Druha svitova viina'')으로 대체했다.[9] 2015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즘에 대한 승리 기념일'을 제정하여 소련-러시아의 승전절(5월 9일) 대신 5월 8일에 기념하고 있다.[10][11]

5. 1. 소련 및 구소련 국가

소련 시대 사전학에서는 "대조국전쟁"이란 소비에트의 공산주의와 독일의 나치즘(파시즘)이라는 두 이데올로기 간의 투쟁이며, 궁극적으로 소비에트의 공산주의 체제가 파시즘을 극복하고 그 우월성을 보여주었다고 여겨진다.[13]

러시아와 일부 다른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에서는 이 용어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우즈베키스탄은 2014년까지 독립 국가 연합(CIS)에서 이 용어를 인정하지 않고, 국가 공휴일인 추모와 명예의 날에 제2차 세계 대전이라고 언급한 유일한 국가였다.[8] 2014년 이슬람 카리모프는 우즈베키스탄 참전 용사들에게 소련의 복장을 착용하지 말 것을 명령하고 해당 기념일의 규모를 축소했지만,[19] 2016년 이슬람 카리모프의 사망 이후 규모는 회복되었다.

5. 2. 우크라이나의 탈소련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돈바스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탈공산화 정책의 일환으로 '대조국전쟁(1941~1945년)'(''Velyka vitchyzniana viina'')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년)(''Druha svitova viina'')으로 대체했다.[9] 2015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즘에 대한 승리 기념일'을 제정하여 소련-러시아의 승전절(5월 9일) 대신 5월 8일에 기념하고 있다.[10][11]

참조

[1] 웹사이트 Рада ухвалила "декомунізаційний пакет" https://www.bbc.com/[...] 2015-04-09
[2] 법률 О ветеранах 1995-01-12
[3] 서적 Letters of a Russian Officer on Poland, the Austrian Domains, Prussia and France;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ussian campaign against the French in 1805 and 1806, and also the Fatherland and foreign war from 1812 to 1815...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815-1816
[4] 에세이 Russian literature in 1843 1844
[5] 서적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1911-1912
[6] 서적 The dictionary of modern citations and catch phrases https://books.google[...] 2006
[7] 서적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Macmillan
[8] 뉴스 World War II – 60 Years After: For Some Central Asians, 'Great Patriotic War' is More Controversial Than Ever https://www.rferl.or[...] 2008-04-08
[9] 뉴스 Ukraine Purges Symbols of Its Communist Past http://www.newsweek.[...] 2015-04-10
[10] 웹사이트 Про увічнення Перемоги у Великій Вітчизняній війні 1941–1945 років https://zakon.rada.g[...] 2021-02-01
[11] 뉴스 Zelenskyy signs law recognising 8 May as Day of Remembrance and Victory over Nazism https://www.pravda.c[...] 2023-06-12
[11] 뉴스 Victory Day Celebration On May 9 Canceled In Ukraine https://ukranews.com[...] 2023-05-30
[11] 뉴스 Rada sets Day of Remembrance and Victory over Nazism on May 8 https://www.ukrinfor[...] 2023-05-30
[12] 서적 The dictionary of modern citations and catch phrases https://books.google[...] 2006
[13] 뉴스 Genocide's Ghosts http://www.time.com/[...] 2008-01-16
[14] 법률 О ветеранах 1995-01-12
[15] 서적 Letters of a Russian Officer on Poland, the Austrian Domains, Prussia and France;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ussian campaign against the French in 1805 and 1806, and also the Fatherland and foreign war from 1812 to 1815...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815-1816
[16] 서적 The dictionary of modern citations and catch phrases https://books.google[...] 2006
[17] 서적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https://archive.org/[...] Macmillan
[18] 웹사이트 World War II -- 60 Years After: For Some Central Asians, 'Great Patriotic War' is More Controversial Than Ever https://www.rferl.or[...] 2008-04-08
[19] 뉴스 World War II – 60 Years After: For Some Central Asians, 'Great Patriotic War' Is More Controversial Than Ever https://www.rferl.or[...] 2008-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