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는 1981년 3월 25일에 치러졌으며, 1979년 10·26 사건 이후 신군부가 권력을 장악한 상황에서 치러졌다. 선거 결과, 민주정의당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며 제1당이 되었고, 민주한국당과 한국국민당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했다. 선거 제도는 중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병립했으며, 총 투표율은 77.7%를 기록했다. 이 선거는 전두환 정권의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여러 군소 정당들이 의석을 확보하지 못해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3월 - 198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8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카타르와 함께 198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 1981년 3월 - 제53회 아카데미상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으로 하루 연기된 제53회 아카데미상은 조니 카슨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로버트 레드포드의 《보통 사람들》이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지만,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상 시상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고 언론으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조기선거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2017년 5월 9일에 치러진 조기 대선으로, 문재인 후보가 41.1%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진보 진영 후보의 최대 득표율 차이 및 역대 대선 최대 득표 차이를 기록하며 한국 정치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조기선거 - 2017년 영국 총선
    2017년 영국 총선은 브렉시트 국민투표 후 테리사 메이 총리의 조기 총선 결정으로 치러졌으며, 소선거구 다수대표제 방식으로 진행되어 보수당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 북아일랜드 민주연합당과 협력하여 소수 정부를 구성하고 브렉시트 협상 및 총리 리더십 논란, 젊은 유권자 투표율 변화 미반영, 러시아 선거 개입 의혹 등 여러 쟁점을 남겼다.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지도
1981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별 결과
1981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별 결과
선거 정보
국가대한민국
국기 연도1949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197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78년
다음 선거1985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85년
선거일1981년 3월 25일
선출 의석276석
과반 의석139석
투표율77.74% ( 0.66%p)
선거 결과
정당민주정의당
대표전두환
획득 의석151석
득표수5,776,624표
득표율35.64%
정당민주한국당
대표유치송
획득 의석81석
득표수3,495,829표
득표율21.57%
정당한국국민당
대표김종철
획득 의석25석
득표수2,147,293표
득표율13.25%
정당민권당
획득 의석2석
득표수1,088,847표
득표율6.72%
국회의장
선거 전국회 해산
선거 후정래혁
선거 후 정당민주정의당

2. 선거 배경

1979년 12월 12일의 12·12 군사반란(12·12 사태), 1980년 5월 17일의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거쳐 정치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상임위원장은 1980년 8월 16일 최규하가 대통령직에서 사퇴한 후, 통일주체국민회의(통체)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전두환 신임 대통령은 헌법 개정에 착수하여, 1980년 10월 22일 국민투표에서 개헌안이 통과됨에 따라 10월 27일 제5공화국 헌법을 공포·발효하였다. 이에 따라 제10대 국회가 해산되었고, 새로운 국회(대한민국 제11대 국회)가 소집될 때까지 국가보위입법회의(입법회의)가 그 권한을 대행하게 되었다. 1981년 2월 25일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전두환이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제11대 국회를 구성하는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1]

:''1980년에 실시된 헌법 개정 국민투표에 대해서는 1980년 대한민국 국민투표를 참조하십시오.''

:''1981년 2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 대해서는 1981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참조하십시오.''

2. 1. 정치적 상황

1979년 12월 12일의 12·12 군사반란과 1980년 5월 17일의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거쳐 정치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은 1980년 8월 16일 최규하가 대통령직에서 사퇴한 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전두환 신임 대통령은 헌법 개정에 착수하여, 1980년 10월 22일 국민투표에서 개헌안이 통과됨에 따라 10월 27일 제5공화국 헌법을 공포·발효하였다.[1] 이에 따라 제10대 국회가 해산되었고, 새로운 국회(대한민국 제11대 국회)가 소집될 때까지 국가보위입법회의가 그 권한을 대행하게 되었다.[1]

헌법 개정 직후, 새로운 군부 세력의 정권 유지를 위해 기존 정치인들의 정치 활동을 억제하고자 제5공화국 헌법 공포와 함께 발족한 입법회의에서 정치풍토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었다.[1] 전두환 정권 하에서 활동했던 여당 민주공화당김종필, 정일권, 구태회 등과 야당 신민당김영삼, 이철승, 고흥문, 이민우 등 567명의 정치인이 “정치 쇄신”이라는 명목으로 강제로 은퇴했고, 민주공화당과 신민당, 민주통일당 등 전두환 정권 하의 정당들도 모두 해산되었다.[1] 1981년 1월 10일 정치 활동이 해금된 후 여러 정당이 잇달아 결성되었지만, 유력 야당 정치인들이 대거 추방되었기에 “체제 내 야당” 성격이 강한 것들이 되었다.[1]

2. 2. 정당 구도

1980년 10월 27일 제5공화국 헌법 공포와 함께 발족한 입법회의에서 정치풍토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면서, 기존 정당들은 모두 해산되었다.[2] 전두환 정권 하에서 활동했던 여당 민주공화당의 김종필, 정일권, 구태회 등과 야당 신민당김영삼, 이철승, 고흥문, 이민우 등 567명의 정치인이 "정치 쇄신"이라는 명목으로 강제로 은퇴해야 했다.

1981년 1월 10일, 정치 활동이 허용되면서 새로운 정당들이 창당되기 시작했다.[2]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민권당, 신정당, 민주사회당, 민주농민당, 안민당 등 군소 정당들이 창당되었다.[4] 그러나 유력 야당 정치인들이 대거 정치 활동을 금지당했기 때문에, 이들 정당은 "체제 내 야당" 성격이 강했다.[2]

3. 선거 제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는 중선거구제비례대표제를 병립한 제도였다. 의원 정수는 276석으로, 지역구 184석과 전국구 92석으로 구성되었다.[5]

지역구는 2인 중선거구제로, 각 선거구에서 득표수가 많은 순서대로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전국구는 지역구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얻은 정당에게 전체 92석 중 3분의 2인 61석을 배분하였다. 나머지 31석은 지역구에서 5석 이상을 획득한 정당들에게 지역구 획득 의석 비율에 따라 헤어식 최대 잉여 방식으로 배분되었다.[6]

1981년 1월 24일, 새로운 국회의원 선거법이 입법회의에서 통과되어 1월 29일에 공포 및 시행되었다. 이 법에 따라 제4공화국 시대의 통합 선출 의원 제도는 폐지되고, 제3공화국 시대의 전국구가 부활하였다. 또한, 전국구 의석의 3분의 2가 지역구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한 정당에 자동 배분되는 점이 특징이었다. 지역구는 제4공화국 시대와 마찬가지로 정수 2명의 중선거구제가 유지되었다.[5]

총 유권자 21,094,468명 중 16,397,845명이 투표하여 77.7%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지역서울부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투표율71.1%68.8%76.1%88.0%86.7%80.3%80.9%81.0%81.5%83.4%85.3%


4.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의 총 투표자 수는 16,397,845명, 유효표 수는 16,207,325표, 투표율은 77.7%였다.[7]

여성 당선자 내역[8]
정당의석수지역구비례대표
민주정의당918



정당별 지역구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4. 1. 정당별 의석수 및 득표율

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전국구의석%
민주정의당5,776,62435.64%906115154.71%
민주한국당3,495,82921.57%57248129.35%
한국국민당2,147,29313.25%187259.06%
민권당1,088,8476.72%2020.72%
신정당676,9214.18%2020.72%
민주사회당524,3613.24%2020.72%
민주농민당227,7151.41%1010.36%
안민당144,0000.89%1010.36%
사회당122,7780.76%0000%
기독교민주당103,8930.64%0000%
통일민족당87,9770.54%0000%
원일민립당76,8630.47%0000%
무소속1,734,22410.70%110113.99%
합계16,207,325100%18492276100%



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의석 1위인 민주정의당에 전국구 의석수의 2/3인 61석이 배분되었고, 지역구 5석 이상을 획득한 민주한국당, 한국국민당에 지역구 의석수에 따라 각각 24석과 7석이 배분되었다.[7]

민주정의당은 35.6%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비례대표 보너스 의석에 힘입어 안정적인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며 제1당이 되었다. 민주한국당한국국민당은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확보했다.

민주정의당제주특별자치도전라남도 해남군·진도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구에서 승리했으며, 야당 세력이 강세를 보였던 도시 지역에서도 승리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사회당, 기독교민주당, 통일민족당, 원일민립당은 한 석도 얻지 못하고 유효 득표수의 2% 미만을 득표하여 정당법에 따라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4. 2. 지역별 투표율

전국 선거인 수 21,094,468명 중 16,397,845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77.7%를 기록하였다.[1]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서울부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투표율71.1%68.8%76.1%88.0%86.7%80.3%80.9%81.0%81.5%83.4%85.3%


4. 3. 지역별 당선자



상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별 당선자 목록 참고.

5. 평가 및 영향

민주정의당(민주정의당)은 35.6%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비례대표 의석 배분 방식에 따라 전체 의석의 54.7%에 해당하는 151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과반 의석을 확보하였다.[7] 이로써 민주정의당은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민주한국당(민주한국당)은 21.6%의 득표율로 81석(29.4%), 한국국민당은 13.3%의 득표율로 25석(9.1%)을 확보하여 원내교섭단체의 지위를 확보했다.[7]

이번 선거에서 민주정의당은 야당 세력이 강세를 보이던 도시 지역에서도 승리하였고, 제주특별자치도전라남도의 해남, 진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구에서 압승을 거두는 성과를 보였다.[7]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전두환 정권의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편, 민주사회당(민주사회당), 민권당(민권당), 신정당(신정당), 민주농민당(민주농민당), 안민당(안민당) 등은 2석에서 1석만을 얻는데 그쳐 군소정당으로 머물렀다. 특히, 2%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사회당, 한국기민당, 통일민족당, 원일민립당은 정당법에 따라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7]

민주한국당(민주한국당)과 한국국민당은 '관제 야당'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실질적인 야당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여성 의원은 총 9명(지역구 1명, 전국구 8명)이 당선되었다.[8]

여성 당선자 내역[8]
정당의석수지역구비례대표
민주정의당918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 서적 朝鮮韓国近現代史事典 日本評論社
[3] 서적 世界の議会9巻アジアⅡ ぎょうせい
[4] 서적 朝鮮韓国近現代史事典 日本評論社
[5] 텍스트
[6] 서적 各国の選挙-変遷と現状 木鐸社
[7] PDF 東亜日報1981年3月26日付1面 http://gonews.kinds.[...]
[8] 서적 現代韓国と女性 新幹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