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가니 (소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가니'는 공지영 작가의 소설로, 광주인화학교 성폭력 사건을 모티브로 한다. 소설은 청각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사건을 다루며, 부패한 사회 구조 속에서 정의가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을 그린다. 이 소설은 영화로 제작되어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으며, 관련 법 개정(도가니법)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영화는 2011년에 개봉하여 466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으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켜 재수사 요구와 법 개정 운동으로 이어졌다. '도가니법'은 장애인과 13세 미만 아동 대상 성폭력 범죄의 처벌을 강화하고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1950년대 후반 권력에 굴종하는 학생 사회를 배경으로 급장 엄석대의 독재적인 권력과 그에 굴복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주인공 한병태의 시선을 통해 보여주며 권위주의 사회와 초기 민주주의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이문열의 소설이다.
  • 청각 장애를 소재로 한 작품 - 무녀도
    김동리의 단편 소설 무녀도는 경주를 배경으로 기독교와 무속의 갈등, 그리고 벙어리 딸의 시선을 통해 시대 변화 속에서 전통적 가치가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청각 장애를 소재로 한 작품 - 사랑한다고 말해줘
    사랑한다고 말해줘는 청각 장애를 가진 화가 차진우와 배우 지망생 정모은의 사랑을 그린 멜로 드라마로, 정우성과 신현빈이 주연을 맡아 소통의 어려움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 이야기를 담았다.
  • 대한민국 소설 - 태백산맥 (소설)
    조정래의 대하소설 《태백산맥》은 여순사건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의 이념 대립 속에서 다양한 인물들의 삶과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김범우와 염상진을 중심으로 농지 개혁, 좌우익 갈등, 한국 전쟁 등 당시 사회의 혼란과 비극을 묘사하며 영화, 만화, 뮤지컬 등으로 각색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 소설 - 칼의 노래
    《칼의 노래》는 이순신이 백의종군한 시기부터 노량해전에서 전사할 때까지의 2년을 1인칭 시점으로 다룬 역사소설로, 이순신의 고뇌와 시대적 상황을 묘사하며 인간적인 면모를 재조명하고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도가니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도가니
저자공지영
번역가연지훈
언어한국어
출판 정보
출판사
신초샤
출판일2009년 6월 30일
2012년 5월 29일
페이지 수286
ISBN978-4-10-505553-0
영어 제목
영어 제목Silenced (Do Gani)

2. 소설 "도가니"

공지영 작가의 소설 "도가니"는 광주인화학교 성폭력 사건을 모티브로 하여, 권력과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고통받는 청각 장애 아동들의 현실을 고발한다.

이 사건은 2005년 6월 22일 일부 교직원들이 장애인 성폭력 상담소에 최초 제보하면서 알려졌다. 이들은 광주광역시 교육청과 교육부에 탄원서를 보내는 등 사건을 알리려 노력했지만, 관계 기관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당시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인화학교 사건을 보며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 242일간 농성 등 온몸으로 항거할 때 교과부, 교육감이 사실상 아무런 조치를 안했다."고 지적했다. 인화학교 대책위원회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42일간 천막농성을 벌였지만, 오히려 업무방해, 집단행동 등의 이유로 파면, 해임 등 대량 징계를 당했다.[12]

이 사건으로 인해 일명 도가니법이 만들어졌다. "도가니"는 이 사건을 모티브로 쓴 공지영의 소설이며 영화화되었다.

2. 1. 소설의 모티브

작가 공지영광주인화학교 성폭력 사건의 마지막 선고가 있던 날, '집행유예로 석방되는 그들의 가벼운 형량이 수화로 통역되는 순간 법정은 청각장애인들이 내는 알 수 없는 울부짖음으로 가득 찼다'라는 내용의 기사를 보고 소설의 모티브를 얻었다.[10][11]

2. 2. 줄거리

서울 출신 미술 교사 강인호는 무진의 청각 장애 학교에 부임한다.[1] 그는 부임 첫날 어린 소년이 기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건을 목격하는데, 이는 최근 발생한 일련의 사고 중 하나였다. 또한, 최근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한 어린 소녀에 대한 소식도 듣게 된다.

강인호는 학교 내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직감하고, 학생들(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이 교장(지역 사회의 유력 인사), 행정실장, 그리고 기숙사 사감에게 학대당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강인호는 이 범죄를 알리려 하지만, 부패한 경찰, 의사, 사업가들은 이를 방해한다. 재판 과정에서 변호인들은 강인호의 과거 잘못, 특히 자살한 전 제자와의 불륜을 폭로하며 그를 깎아내리려 한다. 설상가상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피해 학생들의 부모들은 돈을 받고 사건에 대해 침묵하기로 한다.

결국, 세 명의 피고인은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학교로 복귀한다. 강인호는 자신의 개인적인 실패가 공개된 것에 굴욕감을 느끼고, 정의가 실현되지 못한 것에 좌절하여 무진을 떠나 서울에 있는 가족에게 돌아간다.[2]

2. 3. 주요 등장인물


  • 강인호: 아내를 잃고 천식을 앓는 딸을 어머니에게 맡긴 채 은사의 소개로 맹학교에 미술 교사로 부임한 교사이다. 학교의 기이한 참상을 목격하고 학생들과 서유진과 함께 학대 가해자들과 맞서 싸우려 한다.[1] 서울 출신으로, 허구의 도시 무진에 있는 청각 장애 학교에 미술 교사로 취직한다.[2]
  • 서유진: 지역 인권센터 간사로, 용감한 여성이다. 강인호의 부임 첫날 그의 차와 사고를 낸 것을 계기로 강인호와 친해져 함께 학교의 부정과 맞서 싸우게 된다.
  • 교장 형제: 안개가 자욱한 교외의 시골 마을 무진(霧津)의 유력자이다. 지역 경찰 및 법조 관계자를 매수하여 학대 사실을 은폐하고 있다.

3. 영화 "도가니"

2011년 공유, 정유미 주연, 황동혁 감독의 영화 〈도가니〉가 개봉되어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영화는 공지영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9] 일본에서는 원작 소설의 일본어 번역판과 같은 제목인 『도가니: 잊혀진 아이들의 고발』로 2012년에 개봉되었다.

3. 1. 영화 정보

2011년에 개봉된 영화 〈도가니〉공유가 강인호 역을, 정유미가 서유진 역을 맡았다.[9] 감독은 황동혁이며, 공지영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황동혁과 공지영이 각본을 썼다.[9]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9월 22일에 개봉했다.[7]

이 영화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광주광역시의 한 농아학교에서 교장과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성폭력을 저지른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7] 영화는 가해 교사들에 대한 가벼운 판결, 사회적 관심 부족, 실형을 면한 관계자들의 학교 복귀 등을 다루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7]

원작 소설을 읽은 배우 공유가 영화화를 제안하여 제작이 결정되었고, 개봉 후 466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5] 영화의 영향으로 가해자들에 대한 비난과 재수사 요구가 높아졌으며, 광주광역시 교육청은 해당 농아학교를 폐교하기로 결정했다.[7] 또한, 한국 정부는 장애 여성 학대 처벌 강화 및 장애인과 13세 미만 아동 학대 사건의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도가니법'을 제정했다.[6]

3. 2. 영화 줄거리

강인호는 서울 출신 교사로, 허구의 도시 무진에 있는 청각 장애 학교에 미술 교사로 취직한다.[1]

새 직장 첫날, 어린 소년이 기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강인호는 최근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한 어린 소녀에 대한 소식도 듣게 된다.

강인호는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의심하고, 학생들(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이 교장(지역 사회의 강력하고 존경받는 인물), 행정실장, 그리고 기숙사 사감에게 학대당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강인호가 이 범죄를 공론화하려는 노력은 부패한 경찰, 의사 및 다른 사업가들의 저항에 부딪힌다. 재판이 시작되자, 변호인들은 강인호의 과거 잘못, 특히 자살한 전 제자와의 불륜을 폭로하여 그를 더욱 깎아내리려 한다. 설상가상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피해 학생들의 부모들은 돈을 대가로 사건에 대해 침묵하기로 합의한다.

결국, 세 명의 피고인은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학교로 돌아간다.

강인호는 자신의 개인적인 실패가 공개된 것에 굴욕감을 느끼고, 정의가 실현되지 못한 것에 좌절하여 무진을 떠나 서울에 있는 가족에게 돌아간다.[2]

3. 3. 캐스트


  • 강인호 - 공유
  • 서유진 - 정유미
  • 김연두 - 김현수
  • 진유리 - 정인서
  • 전민수 - 백승환
  • 교장 형제 - 장광
  • 박보현 - 김민상
  • 영훈 - 임형준
  • 윤자애 - 김주령
  • 장 형사 - 엄효섭
  • 인호의 어머니 - 김지영

3. 4. 영화의 사회적 영향

영화 도가니는 개봉 이후 대한민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 광주광역시의 한 농아학교에서 교장과 교사들이 학생들을 성폭력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7] 영화는 가해 교사들에 대한 가벼운 판결, 사회적 관심 부족, 실형을 면한 관계자들의 학교 복귀 등을 다루었다.[7]

이 사건을 다룬 원작 소설을 읽은 배우 공유가 영화화를 제안하여 제작이 결정되었다. 영화는 개봉 후 관람객 466만 명을 돌파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고,[5] 가해자들에 대한 비난과 재수사, 유사 사건에 대한 엄벌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7] 사건 이후에도 학생을 계속 받던 해당 농아학교는 결국 광주광역시 교육청에 의해 폐교 결정되었다.[7]

영화의 영향으로 한국 정부는 장애 여성에 대한 학대 처벌을 강화하고, 장애인과 13세 미만에 대한 학대 사건의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도가니법'을 제정했다.[6]

4. 광주 인화학교 성폭력 사건

2000년부터 2005년까지 광주 인화학교에서 교직원들이 청각 장애 학생들을 상대로 지속적인 성폭력을 저지른 사건이다. 이 사건은 2005년 6월에 처음 세상에 알려졌으며, 이후 사건을 알리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계 기관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인화학교 대책위원회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42일간 천막농성을 벌였지만, 오히려 업무방해 등의 이유로 대량 징계를 당하기도 했다.[12] 이 사건으로 인해 일명 도가니법이 만들어졌다.

4. 1. 사건의 전개

2005년 6월 22일, 일부 교직원들이 장애인 성폭력 상담소에 광주인화학교 성폭력 사건을 최초로 제보했다.[10] 이들은 광주광역시 교육청과 교육부에 탄원서를 보내는 등 사건을 알리려 노력했지만, 관계 기관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12] 당시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인화학교 사건을 보며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 242일간 농성 등 온몸으로 항거할 때 교과부, 교육감이 사실상 아무런 조치를 안했다."고 비판했다.[12]

4. 2. 재판 과정과 결과

공지영 작가는 광주인화학교 성폭력 사건의 마지막 선고(en)가 있던 날 법정 풍경을 그린 젊은 인턴기자의 스케치 기사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기사에는 '집행유예로 석방되는 그들의 가벼운 형량이 수화로 통역되는 순간 법정은 청각장애인들이 내는 알 수 없는 울부짖음으로 가득 찼다'라는 내용이 담겨있다.[10][11]

소설에서 강인호는 범죄를 공론화하려 하지만, 부패한 경찰, 의사, 사업가들의 저항에 부딪힌다. 재판이 시작되자 변호인들은 강인호의 과거 잘못, 특히 자살한 전 제자와의 불륜을 폭로하며 그를 깎아내리려 한다. 또한, 경제적으로 어려운 피해 학생들의 부모들은 돈을 받고 사건에 대해 침묵하기로 합의한다.[2]

결국 세 명의 피고인은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학교로 돌아간다.[2]

5. 도가니법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영화 도가니 개봉 후, 장애인 성폭력 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공소시효를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다. 이에 2011년 11월 17일 관련 법률이 개정되었다.[6]

5. 1. 주요 개정 내용

영화의 영향으로 한국 정부는 장애인 여성에 대한 학대 처벌 강화 및 장애인과 13세 미만에 대한 학대 사건의 공소시효 폐지를 담은 『도가니법』을 제정했다.[6]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장애인 및 13세 미만 아동 대상 성폭력 범죄의 형량을 강화 (7년, 10년에서 무기징역까지)했다.
공소시효를 폐지했다.
피해자 진술의 증거 능력을 확대했다.
장애인 보호·교육 시설 직원에 의한 성폭력 범죄의 경우 법정형의 2분의 1까지 가중 처벌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rucible http://www.hanbooks.[...]
[2] 웹사이트 Gong's Novel Divulges Social Injustice https://www.koreatim[...] 2009-07-03
[3] 웹사이트 中央日報・年末特集 2011ホットイシュー【10月編】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11-12-29
[4] 웹사이트 性的暴行:「インファ学校」元事務室長、二審は懲役8年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3-04-26
[5] 뉴스 トガニ 幼き瞳の告白 https://cinema.pia.c[...] 2020-02-20
[6] 뉴스 "トガニ 幼き瞳の告発"実話に基づいた映画、加害者に懲役12年の実刑判決! https://www.crank-in[...] 2012-07-06
[7] 뉴스 Movie on sexual abuse of deaf students sparks uproar in South Korea http://aj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11-10-17
[8] 웹사이트 トガニ http://www.kmdb.or.k[...]
[9] 웹사이트 トガニ http://movie.naver.c[...]
[10] 뉴스 한 인턴기자 ‘분노의 글’이 도가니 만들었다 http://hani.co.kr/ar[...] 한겨레 2011년 9월
[11] 뉴스 '[인턴21] “괴물급 기사 찾아라” 21명 좌충우돌' http://hani.co.kr/ar[...] 한겨레 2006년 9월
[12] 뉴스 교과위 국감 '인화학교' 최대 이슈 http://ablenews.co.k[...] 에이블뉴스 2011년 9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