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난카이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난카이 지진은 난카이 해곡의 기이반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으로, 과거 여러 차례 도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과 연동하여 발생했다.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은 규모 M7.9로, 아이치현을 중심으로 큰 피해를 입혔다.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도난카이 지진의 30년 내 발생 확률을 2001년 50%에서 2011년 70%로 평가했으며, 2021년에는 난카이 해곡 전체에 대해 70~80%로 평가했다. 이 지역은 주기적으로 지진이 발생하며, 21세기 전반에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이반도 - 기이 산지
기이 산지는 필리핀해판의 유라시아판 침강으로 융기되어 형성된 곡륭산지로, 요시노구마노 국립공원을 포함하며 구마노 산잔과 고야산 등의 사찰과 순례길 네트워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적, 종교적, 자연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 기이반도 - 난키
난키는 일본 난카이도의 기이국에 해당하며 현재 기이반도 남부, 특히 와카야마현 남부 지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기난이라고도 불리며 고대부터 기이국 전체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1498년 휴가나다 지진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은 오이타현 사이키시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0~7.5의 지진으로,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발생했으며 난카이 해곡 지진일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기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2009년 스루가만 지진
2009년 8월 11일 시즈오카현 스루가만에서 발생한 규모 6.5의 슬래브 내 지진인 2009년 스루가만 지진은 넓은 지역에 진도 6약의 흔들림을 일으키고, 교통망 차질, 원자력 발전소 자동 정지,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야기했다. - 일본의 지진 - 간토 대지진
1923년 9월 1일 간토 지방 남부에서 발생한 간토 대지진은 대규모 지진과 그로 인한 화재, 여진, 쓰나미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간토 대학살과 같은 비극을 낳고 일본의 재해 예방 및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준 일본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 일본의 지진 - 일본 해구
일본 해구는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의 수렴경계에 위치한 깊고 활발한 지진 활동을 보이는 해구로, 잦은 지진과 쓰나미 위험을 야기하며 지질학적 및 해양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도난카이 지진 | |
---|---|
개요 | |
명칭 | 도난카이 지진 (東南海地震) |
발생 위치 | 일본 난카이 해곡 주변 해역 |
발생 시기 | 20세기 중반 |
관련 지역 | 혼슈 중부, 시코쿠, 규슈 일부 |
특징 |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하는 해구형 지진 |
발생 연도 및 규모 | |
1944년 도난카이 지진 | 발생일: 1944년 12월 7일 규모: M 7.9 |
1944년 지진의 영향 | 쇼와 도난카이 지진 발생 |
지진학적 특징 | |
지진 유형 | 판 경계 지진 |
관련 해구 | 난카이 해곡 |
역사적 기록 및 연구 | |
과거 지진 기록 | 시즈오카현, 해일, 육상 퇴적물 등에서 과거 지진 기록 확인 |
연구 | 난카이-도카이 섭입대 위험 연구 |
향후 예측 및 대비 | |
재해 모델링 | 재해 위험 모델링에 활용 |
2. 난카이 해곡의 진원역
난카이 해곡의 진원역은 5개의 세그먼트로 나뉘며, 각 세그먼트마다 애스페리티(응력 집중 지역)가 존재한다. 5개의 세그먼트는 각각 A(도사만 해역), B(기이 수도 해역), C(구마노나다 해역), D(엔슈나다 해역), E(스루가만 해역)이다. 기이반도를 기준으로 서쪽은 난카이 지진 진원역(A, B), 동쪽은 도난카이 지진 진원역(C, D)과 도카이 지진 진원역(E)로 구분된다. 난카이 해곡의 E 부분은 스루가 해곡이라고도 부른다.[27]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2013년 이전에는 도난카이 지진을 포함한 개별 지진 발생 확률을 평가했으나, 이후에는 난카이 해곡 전체를 대상으로 M8-9급 지진 발생 확률을 평가하고 있다. 2001년 1월 1일에는 30년 내 발생 확률이 50% 정도였으나, 2011년 1월 1일에는 70% 정도로 높아졌다.[31][32]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에서만 단독으로 발생한 것이 확실한 지진은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뿐이다.[28][43] 에도 시대에 일어난 지진은 모두 도카이 지진이나 난카이 지진과 연동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이전의 지진은 연동 여부가 불확실하다.[4][8]
역사적으로 도카이 지진(E)만 단독으로 일어난 적은 없었으며, 현재까지 기록상 도카이 지진으로 알려진 것은 모두 도난카이 지진과 연동되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28] 따라서 도난카이와 도카이를 구분하는 것(도카이를 E 단독으로 구분하는 경우)은 모호한 면이 있다. 판 경계와 함께 움직이는 분기단층은 지진마다 다르기 때문에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자체는 주기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특성은 각 지진마다 전부 다르다.[29]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2011년 12월 발표된 일본 중앙방재회의의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모델 검토회' 중간보고에서는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규모 지진을 Mw9.0으로 상향 조정했다.[30]
3. 지진 발생 확률
구역 양상 규모(M) 평가 시점에서 30년 내 발생 확률 2001년 1월 1일[31] 2011년 1월 1일[32] 도난카이 지진 판 경계간 지진 M8.1 정도 50% 정도 70% 정도
2013년부터는 도난카이 지진 단독 평가는 하지 않고, 난카이 해곡의 M8-9급 판 경계간 지진으로 전체를 평가한다.[33] 2021년 1월 1일 기준, 난카이 해곡에서 30년 내 M8-9급 지진 발생 확률은 70-80%로 평가된다.[34]
4.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4년 12월 7일 오후 1시 36분 일본 기이반도 동부 구마노나다, 미에현 오와세시 해역 약 20km 지점에서 규모 M7.9의 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발생했다.[35] 사망자 및 실종자는 1,223명이다.[36]
이 지진은 1945년 패전 전후 4년간 1,0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낸 4대 지진(돗토리 지진, 미카와 지진, 쇼와 난카이 지진) 중 하나이다.[37] 당시 일본 군부의 정보 통제로 피해 상황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많은 1차 기록도 소멸되거나 파괴되어 피해 전체상을 파악하기 어렵다.[38][39]
현존하는 기록에 따르면, 미에현 쓰시,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시, 나가노현 스와시(당시 일본은 전시 상태로 군부가 정보를 통제하여 '스와 지진'으로 불렀다)에서 진도 6을, 긴키 지방부터 주부 지방까지 넓은 범위에서 진도 5를 관측했다.[35] 일부 관측소에서는 지진 강도가 측정 범위를 넘어 강도를 모두 기록하지 못하기도 했다. 해외에서도 지진계 등을 통해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음을 인지했다.[40]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진원지는 아이치현 미카와만 남쪽 연안에서 와카야마현 쿠시모토쵸 남동쪽 연안에 이르는 난카이 트러프와 평행한 광범위한 지역으로 추정된다.[41][42]
5. 역사적 도난카이 지진
1944년 지진 이전에는 '도난카이'라는 지역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난카이(南海道) 및 도카이(東海道)는 일본의 역사적 명칭 및 구분이었으나, 1944년 지진 이후 이들 사이에 별개의 단층이 존재하며 독립적으로 파열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면서 도난카이라는 범주가 만들어졌다.
과거 지진 기록은 율리우스력 또는 그레고리력으로 기록되었으며, 지진 규모는 우사미(宇佐美, 2003)의 추정치를 인용했다.[44] 그러나 고대 지진은 단편적인 기록만 남아있어 정확성이 낮고, 모멘트 규모도 측정할 수 없다.
5. 1. 주요 역사 지진
발생일 | 이름 | 규모 | 비고 |
---|---|---|---|
684년 11월 26일 | 하쿠호 지진 | M8.25 |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일본서기 기록에는 산사태나 쓰나미 관련 내용으로 난카이도에 지진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영주급 집, 사원, 신사가 다수 붕괴되었다는 기록과 지질 조사 결과를 통해 도카이와 도난카이에도 연동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치현 이치노미야시의 타도 유적에서 7세기 후반 모래층 흔적이 남아있어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는 증거로 추정된다. |
887년 8월 22일 | 닌나 지진 | M8.0-8.5 |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일본삼대실록에는 기나이의 막대한 피해 기록을 통해 난카이 지역에 지진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오기칠도에서 모두 지진을 경험했다는 기록과 지질 기록을 합쳐 도카이 및 도난카이에도 연동형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치현 이나자와시의 지조게 유적에서 헤이안 시대 전기 모래층 흔적이 발굴되어 도난카이 지진의 증거로 추정된다. |
1096년 12월 11일 | 에이초 지진 | M8.0-8.5 | 도카이 도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기나이, 비와호, 이비강 유역에 강한 진동이 있었으며, 스루가만에 막대한 해일 피해가 있었다는 기록을 통해 도카이와 도난카이에 연동형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45] 에이초 지진 2년 2개월 후 코와 지진이라는 이름의 난카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나, 그 존재에 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46] |
1361년 7월 26일 | 쇼헤이 지진 | M8.25-8.5 | 도난카이 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태평기 등의 기록에는 1361년 난카이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고학 조사 및 이세 신궁의 신궁문서 기록을 통해 도난카이 지진 진원역에서도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47][48] |
1498년 9월 11일 | 메이오 지진 | M8.0-8.5 | 도카이 도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기이국에서 보소반도와 가이국까지 지진의 진동을 느껴 도카이-도난카이 연동형 지진으로 추정된다. 지질 조사에서는 거의 같은 시기 난카이 해역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1707년 10월 28일 | 호에이 지진 | M8.6 |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이 동시에 발생했으며, 규모는 M8.4-8.6으로 추정된다. 호에이 지진 49일 후 후지산이 분화하여 호에이산 분화구가 만들어졌다. (호에이 대분화 참조) 사망자는 2만여 명이고 가옥 붕괴는 6만 채 이상이었으며, 도사를 중심으로 큰 해일이 덮쳤다. |
1854년 12월 23일 | 안세이 도난카이 지진 | M8.4 | 도카이 도난카이 연동[44] 진원역에 스루가만 안쪽 육지도 포함된 것으로 추정되며, 강진을 느낀 영역이 광범위하고 후지강 하구 부근에 지진산이라 부르는 큰 단층이 만들어졌다.[49] 안세이 도난카이 지진 32시간 후 안세이 난카이 지진이 발생했다. |
1944년 12월 7일 | 쇼와 도난카이 지진 | M7.9 (Mw8.2) | 도난카이 단독 지진[44] 진원역은 시마반도 남남동쪽 해역 20km 해저이다. 아이치현을 중심으로 기이반도에 걸친 연안 지역에 대규모 피해를 입혔으나, 태평양 전쟁 당시 보도 통제로 상세한 보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쇼와 도난카이 지진에서는 스루가만 지역의 단층이 파괴되지 않았다.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을 중심으로 사망자 및 실종자 1,223명, 가옥 붕괴 17,599채, 주택 유실 2,129채의 피해를 입었다. 도난카이 지진 2년 후인 1946년 12월 21일 쇼와 난카이 지진이 발생했다. |
기원전 1500년 경 | (불명) | (불명) | 도쿄 대학, 고치 대학,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의 지구심해탐사선 지구를 이용한 해저 지층 시추 공동 조사 결과,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쓰나미 흔적과 함께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기원전 1500년경 쓰나미 흔적이 발견되었다.[53] |
13세기 전반 무렵 | (불명) | (불명) | 역사 기록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나, 와카야마현 나치카쓰우라정 가와세키 유적의 자갈층과 미노시마 후지나미 유적에서 발견되는 토양 액상화 흔적을 통해 도난카이 지진을 포함한 난카이 해곡 거대 지진이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1605년 2월 3일 | 게이초 지진 | M7.9 |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연동으로 추정[44] 이누보곶에서 규슈까지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가 강타하여 하치조섬에서 57명이 사망하고, 기이반도 서안 히로무라에서 주택 700여 채가 유실되었다. 아와시시쿠이에서 1,500명이 사망하고, 도사고노우라에서 350명이 사망하고, 무로토미사키곶 부근에서 400명 이상이 사망했다. 하지만 고문서에 도카이 지방에서 강진이 있었다는 확실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아, 최소한 게이초 도카이 지진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54] |
5. 2. 지질학적 조사로 추정된 지진
- 기원전 1500년경: 도쿄 대학, 고치 대학, 해양 연구 개발 기구 등의 조사팀이 지큐를 사용하여 해저 지층을 굴착 조사한 결과, 1944년(쇼와 19년)의 흔적과 함께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기원전 1500년경의 지진 활동 흔적이 발견되었다.[18]
- 13세기 전반경: 역사 기록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와카야마현 나치카쓰우라정 카와세키 유적의 사력층이나, 미시마 후지나미 유적의 액상화 흔적이 도난카이 지진을 포함한 난카이 트로프 거대지진의 흔적으로 여겨진다.[4]
- 1605년 2월 3일(게이초 9년12월 16일) 게이초 지진 ''M''7.9 - 쓰나미 지진. 난카이 지진도 연동되었으며, 더 나아가 보소 앞바다 지진이 동시 발생했다는 설도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지진 조사 연구 추진 본부의 2001년(헤이세이 13년) 장기 평가에서는 난카이 트로프의 지진으로 평가되었지만,[14] 원거리 쓰나미를 부정할 수 없다는 견해[15][16]와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연안을 진원역으로 한다는 견해도 있다.[17]
6. 향후 발생 가능성
도난카이 지역을 진원으로 하는 지진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21세기 전반에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정부의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 1월 1일 기준 발생 확률은 30년 내 60-70%, 50년 이내 90%로 추정하고 있으며, 2018년 1월 1일 기준 발생 확률은 30년 이내에 70 - 80 %, 50년 이내에 90 % 이상으로 추정된다.[19]
내각부 중앙방재회의의 '도난카이, 난카이지진 등에 관한 전문조사회'에서는 지진과 함께 거대 쓰나미의 발생규모 예측과 대응에 대해 조사를 하고 있다. 도난카이, 난카이 지진 등이 함께 언급되는 것은 과거 난카이 지진의 발생 시기가 도난카이 지진과 거의 비슷하며 양 지진(그리고 도카이 지진)이 연동하여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되기 때문이다.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 참조)
이들 지진은 후지산 분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되는 사례(호에이 대분화)가 있다.
7. 21세기 이후 도난카이 진원역의 주요 지진
2004년 9월 5일과 7일 사이 기이반도 동남쪽 해역 지진(M7.1, M7.5, M6.3)이 3차례 일어났으나, 이 지진은 해구형지진이 아니며 해양판인 필리핀해판 내에서 일어난 역단층형 판 내부 지진이다.
2016년 4월 1일, 미에현 동남쪽 해역 깊이 29km 판 경계 지점에서 규모 M6.1, 최대진도 4의 지진이 일어났다.[55][56][57]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에서 규모 M6 이상의 판 경계형 지진이 일어난 것은 쇼와 도난카이 지진의 여진 이후 처음이었다.[58] 일본 기상청은 2016년 지진 이후 지진 활동을 주시하고 있으나,[58] 기상청에서 공식적으로 특별 경보를 발령하거나 기자 회견을 열진 않았다. 도카이 지진의 전조 현상을 관측할 때 도카이 지진 관련 정보를 발표하나,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은 감시 및 발표 대상이 아니라 당시엔 도난카이 지진에 대한 경계를 발령할 방법도 없었다.[58]
8. 관측 체제
일본 기상청, 방재과학기술연구소(고감도 지진 관측망), 산업기술종합연구소(지하수 종합 관측 네트워크) 등에서 관측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20]
DONET (Dense Oceanfloor Network system for Earthquakes and Tsunamis)은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지진과 쓰나미를 상시 관측하고 감시한다. 육상 관측점보다 10여 초 빨리 지진을 감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경보를 발령한다.
참조
[1]
논문
Nankai-Tokai subduction hazard for catastrophe risk modeling
[2]
논문
Historical Nankai-Suruga megathrust earthquakes recorded by tsunami and terrestrial mass movement deposits on the Shirasuka coastal lowlands, Shizuoka Prefecture, Japan
2018
[3]
웹사이트
過去の地震・津波被害
https://www.data.jma[...]
気象庁
[4]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5]
PDF
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報告書(1944東南海地震 1945三河地震) -第1章 東南海地震の災害の概要-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6]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第7回)
http://www.bousai.go[...]
内閣府
[7]
문서
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中央気象台
[8]
서적
実録 安政大地震 その日静岡県は
静岡新聞社
[9]
서적
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
東京大学出版会
[10]
문서
フィリピン海スラブ沈み込みの境界条件としての東海・南海巨大地震-史料地震学による概要-
京都大学防災研究所
[11]
PDF
奥野真行、奥野香里「伊勢神宮外宮の被害と1361年康安地震」
http://www2.jpgu.org[...]
[12]
논문
1361年正平南海地震に対応する東海地震の推定
http://historical.se[...]
[13]
논문
明応(1498)南海地震の存在とその日付について
[14]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2001)
[15]
문서
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第30回歴史地震研究会(秋田大会)
[16]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17]
문서
1605(慶長九)年伊豆-小笠原海溝巨大地震と1614(慶長十九)年南海トラフ地震という作業仮説
日本地震学会2013年秋季大会講演予稿集
[18]
웹사이트
東南海地震(1944年)の津波断層を特定する物的証拠の発見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の成果〜
https://www.jamstec.[...]
(独)海洋研究開発機構
[19]
뉴스
南海トラフで発生する地震
https://www.jishin.g[...]
2021-07-10
[20]
웹사이트
地震地下水研究チーム
http://unit.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1]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気象庁
[22]
PDF
2016年4月の地震活動の評価
http://www.static.ji[...]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6-05-13
[23]
뉴스
4月の三重県沖地震は「プレート境界地震だった」地震調査委 南海トラフ地震への懸念も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16-05-14
[24]
뉴스
警告する大地(1)三重南東沖M6.5で緊迫
http://www.at-s.com/[...]
静岡新聞
2016-06-11
[25]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599-2012
東京大学出版会
[26]
웹인용
過去の地震津波災害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0-18
[27]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s://www.jishin.g[...]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10-20
[28]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1997-01
[29]
웹인용
第1章 東南海地震の災害の概要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2018-10-20
[30]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第7回)
http://www.bousai.go[...]
일본 중앙방재위원회
2018-10-20
[31]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www.jishin.go[...]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10-12
[32]
웹인용
過去の長期評価結果一覧
http://www.jishin.go[...]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18-10-12
[33]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https://www.jishin.g[...]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10-12
[34]
웹인용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http://www.static.ji[...]
地震調査委員会
2021-01-27
[35]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0-07
[36]
웹인용
“NHK歴史証言アーカイブス[証言記録 市民たちの戦争]封印された大震災〜愛知・半田〜
http://www.nhk.or.jp[...]
NHK
2018-10-06
[37]
웹인용
戦中戦後の歴史に埋もれた「昭和の4連続超巨大地震」
https://matome.naver[...]
naver.jp
2018-10-01
[38]
서적
恐怖のM8 東南海、三河大地震の真相
中日新聞本社
1983
[39]
뉴스
特集まるごと「“隠された地震”掘り起こす」
http://www9.nhk.or.j[...]
NHK
2018-10-09
[40]
저널
米軍空中写真を用いた尾鷲市南部の1944年東南海地震による津波痕跡の判読
https://www.jstage.j[...]
2018-10-09
[41]
저널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www.scienced[...]
2018-10-07
[42]
웹인용
第151回地震予知連絡会資料
http://www.seis.nago[...]
2018-10-19
[43]
서적
実録安政大地震 : その日静岡県は
http://iss.ndl.go.jp[...]
静岡新聞社
2018-10-21
[44]
서적
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
http://www.utp.or.jp[...]
東京大学出版会
2018-10-21
[45]
저널
フィリピン海スラブ沈み込みの境界条件としての東海・南海巨大地震--史料地震学による概要--
https://gbank.gsj.jp[...]
京都大学防災研究所
2018-10-14
[46]
저널
1099年承徳(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嘉保(永長)地震が「南海トラフ全域破壊型」だった可能性
http://sakuya.ed.shi[...]
2018-10-14
[47]
저널
伊勢神宮外宮の被害と1361年康安地震
http://www2.jpgu.org[...]
2018-10-14
[48]
저널
総合報告: 古地震研究によるプレート境界巨大地震の長期予測の問題点 -日本付近のプレート沈み込み帯を中心として-
https://www.jstage.j[...]
2018-10-14
[49]
서적
実録安政大地震 : その日静岡県は
http://iss.ndl.go.jp[...]
静岡新聞社
2018-10-14
[50]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s://www.jishin.g[...]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10-14
[51]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https://www.jishin.g[...]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10-14
[52]
저널
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http://www.histeq.jp[...]
2018-10-14
[53]
웹인용
東南海地震(1944年)の津波断層を特定する物的証拠の発見~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の成果~
http://www.jamstec.g[...]
JAMSTEC
2018-10-21
[54]
뉴스
【温故地震】大震災編 都司嘉宣 慶長東海地震はなかった
산케이 신문
2012-06-18
[55]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0-21
[56]
웹인용
2016年4月の地震活動の評価
https://www.static.j[...]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10-21
[57]
뉴스
4月の三重県沖地震は「プレート境界地震だった」地震調査委 南海トラフ地震への懸念も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2018-10-21
[58]
뉴스
警告する大地(1)三重南東沖M6.5で緊迫
http://www.at-s.com/[...]
시즈오카 신문
2018-10-21
[59]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60]
문서
소멸된 판
[61]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