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와 난카이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와 난카이 지진은 1946년 일본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이다. 이 지진은 필리핀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장주기 측지 데이터와 단주기 지진 데이터의 파열 구역 차이, 해저 지진계로 감지된 해산 등 지진학적 특징을 보였다. 지진으로 인해 서일본과 중부 지방에서 광범위한 진동이 감지되었으며, 최대 진도는 6, 규모는 일본 기상청 규모 8.0, 모멘트 규모 8.1~8.4로 추정된다. 쇼와 난카이 지진은 1,330명의 사망자와 113명의 실종자를 발생시켰으며, 11,591채의 건물 완전 붕괴, 23,487채의 반파, 2,602채의 소실 등 막대한 물적 피해를 입혔다. 또한, 해저 지형 융기로 인한 쓰나미가 발생하여 기이 수도 연안에 2~4m, 분고 수도 연안에 1~1.5m의 피해를 입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지진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년 알류샨 열도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8.6의 대지진은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켜 하와이 제도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미국 내 지진 해일 경보 시스템 구축의 계기가 되었으며, 쓰나미 용어가 국제 표준으로 자리 잡는 데 영향을 미쳤다.
  • 1946년 12월 - 윤명선 피습 사건
    윤명선 피습 사건은 1946년 홍성우 일당이 윤명선과 안익조를 습격하여 윤명선이 사망한 사건으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송진우 암살 사건의 암살범 검거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46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6년 일본 -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부터 1947년 5월 24일까지 존속한 일본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개혁 등 전후 일본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는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나,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1947년 총선에서 일본사회당에 제1당 지위를 내주면서 총사퇴하였다.
쇼와 난카이 지진
지도 정보
1946년 난카이 지진 진도 분포도
1946년 난카이 지진 진도 분포도
기본 정보
명칭쇼와 난카이 지진
다른 명칭1946년 난카이 지진
발생일1946년 12월 21일
발생 시간오전 4시 19분 4.1초 (일본 표준시)
위치기이반도 해역 (와카야마현 남쪽 해상)
좌표북위 33.00도 동경 135.60도
원인해구형지진, 역단층형 지진
관련 지진쇼와 도난카이 지진
지진 규모
규모 종류일본 기상청 규모 (Mj)
규모8.0
다른 규모표면파 규모(Ms) 8.2
모멘트 규모(Mw) 8.1-8.4
깊이24 km
진도6
진도 정보
최대 진도 지역사이다이지
고고
군게
쓰다
시모다카세
노네
오키노 섬
여진 정보
주요 여진1948년 4월 18일 규모 M7.0 최대 진도 4 지진
쓰나미 정보
최대 쓰나미 높이6.57m (구시모토 정)
피해 정보
사망자1,330명
실종자113명
부상자2,632명
이미지 정보
도쿠시마현 무기 정에서의 피해
도쿠시마현 무기 정에서의 피해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도쿠시마현 무기 정의 마을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도쿠시마현 무기 정의 마을

2. 지진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되는 수렴 경계로, 7세기부터 대규모 지진이 기록되었으며, 재발 주기는 100~200년이다.[3]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은 안세이 난카이 지진 이후 92년 만에 발생했다.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은 지진학적 관점에서 이례적이었는데, 장주기 측지 데이터를 통해 추정된 파열 구역이 단주기 지진 데이터에서 도출된 것보다 두 배 이상 컸다. 이 지진 파열 구역의 중심부에서 과학자들은 조밀하게 배치된 해저 지진계를 사용하여 깊이 10km에 위치한 두께 13km, 폭 50km의 섭입된 해산을 감지했다. 과학자들은 이 해산이 취성적인 지진 발생 파열을 억제하는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3]

1940년대 중반의 일본에서는 1943년의 돗토리 지진,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5년 미카와 지진과 같이 모두 사망자 1,000명 이상을 낸 큰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으며, 이러한 지진은 태평양 전쟁 종전 전후의 "'''4대 지진'''"으로 여겨진다.

이마무라 아키츠네는 쇼와 도난카이 지진 발생에 대해 "호에이 지진이나 안세이 도카이 · 난카이 지진은 도카이 · 난카이 양도에 걸쳐 발생했지만, 이번 지진은 도카이도 방면의 활동에 그쳤으며, 앞으로 난카이도 방면의 활동에도 주시해야 한다"라고 지적했지만, 당시 이에 귀 기울이는 사람은 없었다.[7][8]

2. 1. 지진동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 4 이상을 느낀 지역은 다음과 같다.[67]



고치 기상소에 기록된 진동 시간은 약 9분이었으나, 매우 심하게 흔들린 시간은 약 1~2분 정도였다. 하지만 실제 지진을 경험한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9분간 강하게 흔들렸다는 말이 나와 이는 지진에 대한 공포심으로 길게 느낀 것으로 추정한다.[77] 고치에서 느낀 초기 지진 미동은 18.2초이다.[78]

일본 중앙기상대가 관측한 최대 진동은 진도 5(강진)였으며, 시코쿠에서부터 기이반도, 도카이 지방, 호쿠리쿠 지방, 사카이미나토, 오이타 지방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강한 진동을 느꼈다. 홋카이도모리정에선 진도 1(미진)을, 우라카와정에선 진도 3(약진)을 기록했다. 또한 위탁관측소의 기록에선 시코쿠에서 아와지섬, 기이반도 일부에서 진도 6(열진)을 느꼈다고 보고했다.[79][80]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은 지진학적 관점에서 이례적이었는데, 장주기 측지 데이터를 통해 추정된 파열 구역이 단주기 지진 데이터에서 도출된 것보다 두 배 이상 컸다. 이 지진 파열 구역의 중심부에서 과학자들은 조밀하게 배치된 해저 지진계를 사용하여 깊이 10km에 위치한 두께 13km, 폭 50km의 섭입된 해산을 감지했다. 과학자들은 이 해산이 취성적인 지진 발생 파열을 억제하는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3]

2. 2. 규모

일본 기상청 규모(Mj)는 8.0을 기록하였다.[67] 약 20초 주기의 표면파 규모는 Ms8.2이며,[81][82] 모멘트 규모(Mw)는 8.1에서[82] 최대 8.4로 추정된다.[83][84] 쇼와 난카이 지진의 규모는 다른 시대의 난카이 지진과 비교했을 때 규모가 작은 편이다.[85]

지진 단층의 매개변수는 길이 L=120km, 폭 W=80km, 미끄럼량 D=3.1m[72] 또는 L=150km, W=70km, D=6.0m(도사만)과 L=150km, W=70km, D=3.0m(기이 수도) 2개로 나눠진다는 설[83]이 있다. 지진 모멘트 M0은 1.5×1021N·m[72]나 4.7×1021N·m,[83] 5.3×1021N·m[84]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진 모멘트 값이 추정치마다 최대 3배 정도 다르지만, 가나모리 히로오의 최소추정치[72]는 1944년 도난카이 지진과 같은 추정치로 지상에서 지각변동 측정 결과 30-50% 정도 큰 단층으로 추정된다고 밝혔고 마사타카 안도의 추정치[83]는 해구 진원역은 고각도의 단층이 생겨 주단층의 지진 모멘트가 30% 정도 적을 수 있다는 오차 범위가 큰 추정치라 밝혔다.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은 지진학적 관점에서 이례적이었는데, 장주기 측지 데이터를 통해 추정된 파열 구역이 단주기 지진 데이터에서 도출된 것보다 두 배 이상 컸다. 이 지진 파열 구역의 중심부에서 과학자들은 조밀하게 배치된 해저 지진계를 사용하여 깊이 10km에 위치한 두께 13km, 폭 50km의 섭입된 해산을 감지했다. 과학자들은 이 해산이 취성적인 지진 발생 파열을 억제하는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3]

2. 3. 진원기구 분석

쇼와 난카이 지진의 주요 단층 모델


쇼와 난카이 지진은 단순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분기단층이 미끄러져 일어난 복합지진으로, 판 경계 파괴는 기이반도 해역에서 시작하여 무로토곶 동쪽 해역에서 끝났으나 무로토곶 서쪽의 분기단층이 연속해서 미끄러졌다.[83] 무로토곶 해역에서 단층 파괴가 바뀐 지점에는 1999년 지질 조사를 통해 높이 약 3km, 폭 50km 정도로 침강한 해산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86]

지진 파형을 기반으로 한 추정에 따르면, 최초 시오노미사키곶 남쪽 50km 해역 지점에서 사건1(규모 M6 정도)이 일어난 후 북북서쪽으로 단층 파괴가 전달되며 16초 후 기이 수도 해역에서 판 경계간 미끄럼인 사건2(규모 M8.0 정도)가 일어나 서쪽으로 파괴가 전달되어 53초 후 도사만에 있는 분기단층이 미끄러지는 사건3(규모 M8.0 정도)가 일어났다.[87] 하지만 관측된 쓰나미를 바탕으로 추정한 파원역의 관측 정밀도가 낮아 정확한 진원을 찾기가 어렵고, 여진 분포를 통한 진원역 분석과는 차이가 꽤 난다는 비판도 있다.[88]

단층 파괴가 시작된 진원은 1944년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과 인접해 있으며, 이 진원에서 난카이 지진은 서쪽으로, 도난카이 지진은 동쪽으로 단층이 파괴되어 간 것으로 추정된다.[89]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은 지진학적 관점에서 이례적이었는데, 장주기 측지 데이터를 통해 추정된 파열 구역이 단주기 지진 데이터에서 도출된 것보다 두 배 이상 컸다. 이 지진 파열 구역의 중심부에서 과학자들은 조밀하게 배치된 해저 지진계를 사용하여 깊이 10km에 위치한 두께 13km, 폭 50km의 섭입된 해산을 감지했다. 과학자들은 이 해산이 취성적인 지진 파열을 억제하는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3]

2. 4. 여진

쇼와 난카이 지진의 최대 여진은 본진 약 1년 5개월 후인 1948년 4월 18일 와카야마현 남부 해역에서 일어난 규모 M7.0의 지진이다.[90] 효고현 스모토시, 와카야마현 구시모토정,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에서 최대 진도 4를 관측했다.[69]

같은 해 6월 15일 20시 44분에는 와카야마현 다나베시 부근에서 M 6.7의 지진이 발생하여, 다하라, 오와세시, 오사카시, 고베시, 스모토, 나라시, 와카야마, 시오노미사키, 무로토미사키에서 진도 4를 관측했다.[29] 이 지진으로 2명이 사망하고 33명이 부상했다.[30]

2. 5. 전조 현상

기무라 쇼조(木村昌三)는 1926년부터 1959년까지 지진 기록을 다시 조사하여 시코쿠, 와카야마현, 다바야마 지역에서 지진 활동이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시코쿠 서부 지역의 지진 활동 감소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시 체제 하에 관측 활동이 제한되거나 중단된 것이 원인이라고 보았다.[92]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전시 체제 하의 관측 활동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실제로 지진 활동이 줄어든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8]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전후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인근에서 실시한 수준 측량에서는 지진 발생 이틀 전부터 전조 지각변동 현상이 관측되었다. 쇼와 난카이 지진에서도 고치현 도사시미즈가 지진 발생 하루 전부터 융기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지만,[93] 종전 직후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인해 관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데이터가 부족하여 전조 지각변동 여부를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94]

본진 직전에는 고치현 스사키시 스사키만, 우사정 우사만 항구에 정박한 어선이 접안이 불가능할 정도로 해수면이 낮아졌다는 증언이 있다.[95][96] 1개월 전부터 지진 발생 전날까지 0.3m 정도 융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5] 모리미쓰 교수는 조수 높이 변화량을 3.5m로 추정하고 있지만,[96] 이 정도의 조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97] 한편, 지진 직전 우라도만에 개펄이 펼쳐져 있었다거나 지진 1주일 전부터 지하수 수위가 낮아지는 등 지각변동을 보여주는 기록도 있다.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으나 간노우라, 고치, 구레, 스쿠모 등 지진 피해 지역의 장기 수준 측량 결과 지진 전후 급격한 융기와 같은 지각변동을 보여주었다.[98][99] 반면 해수면 변동의 원인이 쓰나미 때문이라는 주장을 하는 연구자도 있다.[96]

일부 우물에서는 본진 발생 일주일 전부터 수위가 낮아졌다거나, 지진 당일에 우물에 안개가 끼어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96] 그러나 우물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는 증언도 있다.[96]

본진 약 2시간 전(12월 21일 2시 08분)에 시오노미사키 앞바다를 진원으로 하는 규모 M6 정도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어 쇼와 난카이 지진의 전진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기상청의 지진 조사 원부를 정밀 조사한 결과, 하루 뒤인 12월 22일 2시 08분의 지진이 12월 21일에도 중복 기재되어 있던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전진은 관측되지 않았다.

3. 지진 이후 지각변동

무로토곶기이반도 남쪽 지역은 융기하였는데, 시오노미사키곶은 0.7m, 무로토미사키곶은 1.27m, 아시즈리미사키곶은 0.6m 융기했다. 반면 스자키와 간노우라는 1m 침강하였다.[100] 고치 인근 평야 15km2는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물이 빠지기까지 보름이 걸렸다.[100] 야마구치현 미네시에서는 아키요시다이 산기슭의 고토천을 따라 저지대에 지름 1-11m, 깊이 1-5m의 돌리네가 150개 생겼다.[100]

지진 후 도고 온천은 38일간 물이 나오지 않았고, 난키시라하마 온천도 일시적으로 물이 나오지 않았다.[101]

우라도만은 입구가 좁고 안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인데, 입구 근처의 가쓰라하마 부근에서는 쓰나미 높이가 3m 정도였지만 만 안쪽에서는 0.5cm 정도로 감소했다. 그러나 침강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지진동으로 하천 제방이 약해져 여러 곳에서 제방이 붕괴되었고, 고치 시내는 물에 잠겼다.[43]

침수 피해를 입은 고치시에서는 새해가 되어도 물이 빠지지 않아 고치시 동부에서는 배를 교통 수단으로 이용했다. 반면 무로토곶 부근에서는 바다에 암초가 나타나 배가 입항할 수 없게 되는 등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났다. 처음에는 현과 시 관계자들이 해일이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지반 침하를 부정했지만, 해상보안청 수로부의 조사 결과 노네, 야스다, 시모다, 겟탄을 잇는 선보다 북쪽은 침하, 남쪽은 융기라는 지반 변동의 전모가 밝혀졌다.[44] 이 침하는 조위 기록으로도 확인되었으며, 지진 후 3년간 시코쿠 북부를 중심으로 20-30cm의 침하가 발생했고, 세토 내해 연안, 기이 수도, 분고 수도에서도 10cm 정도의 침하가 관측되었다.[44]

이 고치시 우라도의 침하는 난카이 해구 연안의 단층이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난카이 지진의 발생 원리를 밝혔고, 호에이 지진이나 안세이 난카이 지진에서도 비슷한 지반 변동이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45][46] 우라도에서는 지진 후 1.2m 침하했지만, 100일 후에는 0.4m 이상 회복되었다.[11]

4. 피해

쇼와 난카이 지진은 광범위한 지역에 피해를 일으켰다. 혼슈 남부에서만 36,000채의 가옥이 파괴되었고,[2] 5m에서 6m 높이의 거대한 쓰나미로 인해 2,100채의 가옥이 추가로 파괴되었다.[2]

1940년대 중반 일본에서는 돗토리 지진(1943년), 미카와 지진(1945년) 등 사망자가 1,000명 이상 발생한 큰 지진이 연이어 일어났으며, 이러한 지진들은 태평양 전쟁 종전 전후의 "'''4대 지진'''"으로 불린다.

사망자·행방불명자 수가 많은 메이지 시대 이후의 지진(일본·1885년 이후)[48][49]
순위명칭발생일사망자·행방불명자 수(명)규모(M)
1간토 지진1923년9월 1일105,3857.9
2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2011년3월 11일22,3129.0
3메이지 산리쿠 지진1896년6월 15일21,9598.2
4노비 지진1891년10월 28일7,2738.0
5효고현 남부 지진1995년1월 17일6,4377.3
6후쿠이 지진1948년6월 28일3,7697.1
7쇼와 산리쿠 지진1933년3월 3일3,0648.1
8기타단고 지진1927년3월 7일2,9127.3
9미카와 지진1945년1월 13일1,9616.8
10쇼와 난카이 지진1946년12월 21일1,4438.0



이 지역은 난카이 지진과 같이 반복적으로 대지진이 발생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쇼와 난카이 지진은 안세이 난카이 지진 이후 92년 만에 발생했다. 또한, 이 지진 발생 2년 전인 1944년 12월 7일에는 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오카야마현 남부 고지마만 및 가사오카 등 간척지에서는 지진동에 따른 액상화현상이 심해 다수의 가옥이 붕괴되었다.[106] 고지마만 주변 후지토와 오쿠군 등 간척지에서는 안세이 난카이 지진호에이 지진에서도 붕괴 가옥과 액상화 현상으로 인한 논밭 손상이 있었다.[107]

일본해 쪽에서도 붕괴 가옥이 발생했다. 돗토리현에서는 사카이항과 유미가하마 반도의 요코무라에서 피해가 컸고,[108] 시마네현에서는 이즈모타이샤 인근 키즈키 등 시마네 반도 연약 지반에서 피해가 컸다.[50] 이즈모 키즈키는 안세이 난카이 지진호에이 지진에서도 가옥 붕괴가 있었다.[59]

4. 1. 일본 내 피해

다른 시대에 일어난 난카이 지진과 비교했을 때 피해 규모는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02] 서일본과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피해가 일어났으며 고치현, 도쿠시마현, 와카야마현을 중심으로 사망자 1,330명, 실종자 113명의 인적 피해를 입었으며 건물 11,591채 완전 붕괴, 23,487채 반파, 1,451채가 유실, 2,598채가 화재로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또한 시즈오카현에서 규슈에 달하는 지역에 쓰나미가 덮쳤으며 고치현, 미에현, 도쿠시마현 연안엔 최대 4-6m의 쓰나미가 덮쳤다.

도도부현별 피해 상황[70]
도도부현사망자부상자실종자완전 붕괴반파유실침수소실주요 피해 지역
나가노현24
기후현13425477511오가키시
시즈오카현2296
아이치현10191751981이치노미야시
미에현7135136110231,435
시가현3182카타타
오사카부32462612175527,080시조나와테시, 기시와다시
효고현49596406027863아와지섬
나라현63620다와라모토정
와카야마현187846749642,42738611,8152,399신구시
돗토리현232213유미가하마
시마네현914139308이즈모키쓰키
오카야마현511871,0923,757고지마만 등 간척지
히로시마현349741후쿠야마시 등 간척지
야마구치현2
도쿠시마현181217191,3291,1385824,578고마쓰시마시
가가와현522736082,4091사카이데시, 다카마쓰시 매립지
에히메현2632586831330군주
고치현67083694,8659,0735665,608196고치시 게치, 나카무라시
후쿠오카현66
사가현55
나가사키현2
구마모토현2196
오이타현492516쓰루사키
미야자키현131,165
총 합1,3622,63210211,50621,9722,10933,0932,602
인적 피해/물적 피해의 수치는 문헌마다 다르다. 완전 붕괴와 반파된 건물은 지진 피해와 쓰나미의 피해를 구분하지 않았다.



고치시제2차 세계 대전의 공습 피해를 입고 막 복구하던 중에 다시 지진 피해를 입었다. 고치시 대부분의 건물이 붕괴되었으며 동부 게치 지역에서 지진 피해가 매우 컸다.[70] 고치현 스사키시는 사망자 및 실종자 61명, 건물 완전 붕괴 198채의 피해를 입었다. 이리노(현 구로시오정)은 가옥 붕괴율이 70%에 달한 곳도 있었다. 나카무라시시만토강을 지나는 철교 상판 9판 중 6판이 붕괴되었다. 나카무라시 시내에서 지진 피해가 가장 심한 곳은 가옥 붕괴율이 80%에 달했는데, 이곳은 안세이 난카이 지진호에이 지진 때에도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곳이었다.[103]

가가와현 다카마쓰시는 사망자 52명, 부상자 273명, 건물 완전 붕괴 608채, 반파 2,409채의 피해를 입었다.[104] 와카야마현에선 사망자 및 실종자 269명, 부상자 562명, 건물 완전 붕괴 969채, 유실 325채, 소실 2,399채의 피해를 입었다. 특히 신구시에선 지진 직후 화재가 일어나 16시간 동안 시내를 태우는 대형 화재로 진화하여 소실 2,398채, 완전 붕괴 600채, 반파 1,408채의 피해를 입었다.[105]

오사카부와 효고현에서도 붕괴한 가옥이 수 채 있었는데, 피해 거의 대부분은 내진 설계가 미흡한 노후 주택이었다.[70]

오카야마현에선 남부의 고지마만 및 가사오카 등의 간척지에서 지진 진동에 따른 액상화현상 피해가 컸고 건물 다수가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다.[106] 고지마만 인근 후지토와 오쿠군 등 간척지 지역은 안세이 난카이 지진호에이 지진 당시에도 가옥이 붕괴하거나 액상화 현상으로 논밭이 침수되는 피해가 있었다.[107]

도카이 지역에서도 붕괴한 주택이 있으며, 돗토리현에선 사카이미나토항, 유미가하라반도 지역의 마을 피해가 컸으며[108] 시마네현에서는 이즈모 대사 등 시마네반도 해역 연약 지반의 피해가 컸다.

4. 2. 쓰나미 피해

난카이 해곡을 따라 250km 길이로 해저 지형이 융기하여 지진 해일이 일어났으며, 기이 수도 연안에 2m에서 4m, 분고 수도 연안에 1m에서 1.5m의 쓰나미가 덮쳤다.[109] 1m 이상의 쓰나미가 덮친 곳은 보소반도에서 규슈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이었다. 또한 하와이와 미국 캘리포니아주, 페루 연안에도 쓰나미가 도달한 기록이 있다.[110] 구시모토정에선 최대 6.57m의 쓰나미가 덮쳤으며, 미에현 가타촌에선 3.59m, 도쿠시마현 아사카와촌에선 4.88m, 도사만에선 5.2m를 기록하였다. 구시모토정은 지진이 일어난 지 약 10분 후 2.5m에서 5.5m의 제1파가 덮쳤으며 미에현 가타만은 약 20분 후, 이즈반도 남부 지역과 도쿠시마현은 약 40분 후에 덮쳤다.

쓰나미의 높이는 안세이 난카이 지진호에이 지진때보단 낮았지만 큰 피해를 가져왔다. 지진 후 쓰나미 제1파는 안세이나 호에이 때보다 더 빨리 덮쳤다. 지진이 일어난지 채 10분도 되지 않아 해일이 내습하여 대피할 시간이 부족하였다.[78] 스사키시도사시 우사 등 연안 지역엔 쓰나미에 밀려온 배가 육지 위로 올라왔으며 오사카항은 지진 2시간 후에 80cm의 쓰나미가 도달하여 해수면이 상승하였다. 내륙 해안도시에도 쓰나미가 덮쳐, 사카이시 1.5m, 구레시, 가사오카시, 스모토시, 우베시에선 1m의 쓰나미를 관측하였다.[111] 기이 수도와 분고 수도 안으로 들어간 쓰나미는 약 3시간 후 히우치나다에서 모여 파고가 커졌다. 내륙 해안도시의 쓰나미는 급격한 해수면 변동이 없었으며 폭풍 해일과 같은 변화로 마을에 큰 홍수는 입지 않았으나 곳곳에서 급격한 조류를 관측하였다. 사카이시, 시모쓰시, 우와지마시에서의 험조소 관측 기록에선 쓰나미 초기 파형은 끌어당기는 파도였다.[109]

지진은 광범위한 피해를 일으켜 혼슈 남부에서만 36,000채의 가옥을 파괴했다.[2] 지진은 또한 5m 에서 6m 높이의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켜 2,100채의 가옥을 추가로 파괴했다.[2]

쓰나미가 시즈오카현에서 규슈에 이르는 해안에 내습하여, 고치현·미에현·도쿠시마현의 연안에서 4m 에서 6m에 달했다.

일본 도쿠시마현 무기정의 쇼와 난카이 지진 기념비(왼쪽)과 안세이 난카이 지진 기념비(오른쪽). 가운데에는 쇼와 난카이 지진 당시 최고 쓰나미 높이였던 를 표시한 막대가 있다.

5. 기타


  • 모리시게 히사야만주에서 귀국한 직후, 도쿠시마현카이요초의 여관에서 잠자던 중 지진을 겪었다. 숙박객을 돌보던 남성에게 "여기서 날이 밝을 때까지 움직이지 마시오"라는 엄명을 받고 쓰나미를 피했다. 그러나 모리시게에게 말을 건 남성은 쓰나미로 아내를 잃었다.[65]
  • 센슈 야마히사요시는 신 십량(相撲)을 결정한 직후 시코쿠 순업 중에 지진을 겪었다. 이때 숙박하던 여관 2층에서 떨어져 늑골이 골절되었다.
  • 야나세 타카시는 고치 신문 근무 중 고치시에서 지진을 겪었지만, 전쟁터에서의 폭격에 익숙해져 흔들림을 신경 쓰지 않고 아침에 피해의 심각성에 놀랐다고 한다.
  • 지진 다음 해인 1947년 6월 7일, 쇼와 천황이 와카야마현을 행차(쇼와 천황의 전후 순행)하여 다나베시에서 쓰나미로 가재를 잃은 주민들이 생활하는 기숙사(구 해병대 숙소를 전용) 등을 시찰했다. 쇼와 천황은 피해자들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고, 행차하지 못한 시정촌에 대해서도 수장을 불러 피해 및 복구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66]

참조

[1]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https://www.ngdc.no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4-03-21
[2] 웹사이트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6-29
[3] 논문 Subducted Seamount Imaged in the Rupture Zone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http://www.sciencema[...]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4] 웹사이트 防災対応のための南海トラフ沿いの異常な現象に関する評価基準検討部会とりまとめ(別冊) https://www.bousai.g[...] 2024-08-09
[5] 웹사이트 過去の地震・津波被害 https://www.data.jma[...] 気象庁
[6] 간행물 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中央気象台 1946-12
[7] 논문 遠州沖大地震所感 https://doi.org/10.1[...]
[8] 보고서 1944東南海地震・1945三河地震 https://www.bousai.g[...] 中央防災会議 2007
[9]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doi.org/10.1[...]
[10] 문서 間城(1995)
[11] 서적 南海大震災誌 高知県
[12] 웹사이트 震度データ検索結果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12-04
[13] 문서 2 歴史地震の震度分布 https://www.bousai.g[...] 内閣府
[14] 문서 間城(2011)
[15] 논문 The energy release of great earthquakes http://gps-prod-stor[...]
[16] 서적 世界の被害地震の表
[17] 논문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http://www.sciencedi[...]
[18] 논문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https://doi.org/10.1[...]
[19]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www.sciencedi[...]
[20] 문서 佐藤(1989)
[21] 논문 1946年南海地震に関係する四国における地震活動の特徴 https://doi.org/10.5[...]
[22] 보고서 なゐふる51号 http://zisin.jah.jp/[...] 日本地震学会
[23] 논문 地震記象から見た1946南海地震の震源過程 https://doi.org/10.5[...]
[24] 보고서 震度分布データから推定される歴史地震の震源過程:東海・南海地震を例に
[25] 논문 余震分布から推定される1946年南海地震の震源域 https://doi.org/10.4[...]
[26] 논문 [講演要旨] 東南海地震・南海地震の関東での揺れの再現 http://www.histeq.jp[...]
[27] 보고서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別表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3-05-24
[28] 문서 気象庁の震度データより
[29]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5-16
[30]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599-2012 東京大学出版会
[31] 논문 1946年南海地震の前震とされている地震について https://doi.org/10.4[...]
[32] 논문 1946年南海地震直前の南海地域における地震活動の低下 https://doi.org/10.4[...]
[33] 보고서 潮位記録から推定される1946年南海地震直前の地殻上下変動(気象研)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34] 논문 1946年南海地震直前の浦神の潮位変化 https://doi.org/10.1[...]
[35] 논문 1946年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曲線 https://doi.org/10.9[...]
[36] 서적 Nakamura (2009)
[37] 간행물 資料・証言にみる南海地震前の井水涸れ及び異常潮位 http://www.dpri.kyot[...] 京都大学防災研究所年報 第48号B 2005-04
[38] 간행물 1946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 https://cais.gsi.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地震予知連絡会会報 2010
[39] 간행물 1946年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 http://www.gsj.jp/da[...] 地質調査研究報告 2011
[40] 간행물 1946年南海地震前に四国太平洋沿岸部で目撃された井戸水及び海水位の変化 https://doi.org/10.9[...] 地質調査研究報告 2014
[41] 서적 秋吉台のカルスト地形 山口県教育委員会, 秋吉台学術調査報告書 1957
[42] 서적 Ishibashi (2014)
[43] 간행물 1946年昭和南海地震による高知県の河川堤防被害とその要因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歴史地震 2012
[44] 간행물 潮位記録から見た1946年南海地震後の広域地殻変動 https://doi.org/10.1[...] 測地学会誌 2004
[45] 서적 Sawamura (1967)
[46] 서적 Sawamura (1959)
[47] 간행물 津波災害の歴史から現代を見る-南海地震の津波災害- http://www.isad.or.j[...] 東京大学地震研究所, 消防化学総合センター
[48] 웹사이트 過去の地震津波災害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0-07-06
[49] 웹사이트 日本付近で発生した主な被害地震(平成8年以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0-07-06
[50] 간행물 南海道大地震調査概報 https://dl.ndl.go.jp[...] 中央気象台 1947
[51] 서적 中村(2009)
[52] 서적 宇津ほか(2001)
[53] 서적 都司(2012)
[54] 웹사이트 高松市:防災情報 http://www.city.taka[...]
[55] 간행물 1946年南海地震の被害追跡調査 : 和歌山県新宮市の延焼大火発生地区における人的被害と人間行動 https://hdl.handle.n[...] 地域安全学会論文報告集 1991
[56] 간행물 岡山県南部における南海地震の記録 https://www.pref.oka[...] 岡山県備前県民局 2007
[57] 서적 邑久郡誌 邑久郡教育会 1973
[58] 웹사이트 第81回県史だより http://www.pref.tott[...] 鳥取県 2012
[59] 서적 宇津ほか(2001)
[60] 간행물 瀬戸内海・豊後水道沿岸における宝永 (1707)・安政 (1854)・昭和 (1946) 南海道津波の挙動 https://doi.org/10.4[...] 地震 第2輯 1988
[61] 웹사이트 NOAA Tsunami Runup Search http://www.ngdc.noaa[...]
[62] 간행물 瀬戸内海の歴史南海地震津波について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歴史地震 2003
[63] 간행물 南海地震の前の井戸水の減少について(京大防)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会報
[64] 웹사이트 四国山脈 地震と伝承 https://web.archive.[...]
[65] 서적 先人の教えに学ぶ 四国防災八十八話 国土交通省四国地方整備局 2008
[66] 서적 昭和天皇実録第十 東京書籍 2017-03-30
[67]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0-01
[68] 웹사이트 日本付近の主な被害地震年代表 https://www.zisin.jp[...] 日本地震学会
[69]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0-01
[70] 웹인용 昭和二一年一二月二一日南海道大地震調査概報 http://dl.ndl.go.jp/[...] 中央気象台 2018-10-01
[71] 웹인용 過去の地震津波災害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09-29
[72] 저널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www.scienced[...] 2018-09-29
[73] 저널 南海トラフ地震の"新しい"地震像 http://www.gensai.na[...] 2018-10-01
[74] 저널 遠州沖大地震所感 https://www.jstage.j[...] 著者情報 2018-09-29
[75] 웹인용 1944 東南海地震・1945 三河地震 http://www.bousai.go[...] 일본 내각부 2018-09-29
[76] 웹인용 戦中戦後の歴史に埋もれた「昭和の4連続超巨大地震」 https://matome.naver[...] naver.jp 2018-10-01
[77] 서적 宝永大地震 -土佐最大の被害地震- あさひ謄写堂 1995-01-01
[78] 서적 南海大震災誌 http://tsunami-dl.jp[...] 高知県 2018-10-01
[79] 서적 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中央気象台 1944-12-01
[80] 웹인용 2 歴史地震の震度分布 http://www.bousai.go[...] 일본 내각부 2018-10-01
[81] 서적 世界の被害地震の表(古代から1989年まで) http://iss.ndl.go.jp[...] 2018-10-01
[82] 저널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http://gps-prod-stor[...] 2018-10-01
[83] 저널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https://www.scienced[...] 2018-10-01
[84] 저널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https://www.jstage.j[...] 2018-10-01
[85] 저널 1946年南海地震に関係する四国における地震活動の特徴 https://www.jstage.j[...] 2018-10-01
[86] 웹인용 日本地震学会広報誌第51号(2005年9月)PDF版なゐふる51号 http://zisin.jah.jp/[...] 日本地震学会 2018-10-01
[87] 저널 地震記象から見た1946年南海地震の震源過程 https://www.jstage.j[...] 2018-10-01
[88] 저널 余震分布から推定される1946年南海地震の震源域 https://www.jstage.j[...] 2018-10-01
[89] 저널 [講演要旨] 東南海地震・南海地震の関東での揺れの再現 http://www.histeq.jp[...] 2018-10-01
[90]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別表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8-10-01
[91] 저널 1946年南海地震の前震とされている地震について https://www.jstage.j[...] 2018-10-01
[92] 저널 1946年南海地震直前の南海地域における地震活動の低下 https://www.jstage.j[...] 2018-10-02
[93] 웹인용 潮位記録から推定される1946年南海地震直前の地殻上下変動(気象研) http://cais.gsi.go.j[...] 地震予知連絡会 2018-10-02
[94] 저널 1946年南海地震直前の浦神の潮位変化 https://www.jstage.j[...] 2018-10-02
[95] 저널 1946 年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曲線 https://www.jstage.j[...] 2018-10-02
[96] 저널 1946 年南海地震前に四国太平洋沿岸部で目撃された井戸水及び海水位の変化 https://www.jstage.j[...] 2018-10-02
[97] 저널 資料・証言にみる南海地震前の井水涸れ及び異常潮位 http://www.dpri.kyot[...] 2018-10-02
[98] 웹인용 9-9 1946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 http://cais.gsi.go.j[...]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8-10-02
[99] 저널 1946年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 https://www.gsj.jp/d[...] 2018-10-02
[100] 간행물 秋吉台のカルスト地形 山口県教育委員会 1957-01-01
[101]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1997-01-01
[102] 웹인용 3.津波災害の歴史から現代を見る-南海地震の津波災害- http://www.isad.or.j[...] 消防化学総合 2018-10-02
[103] 서적 歴史地震の話 ―語り継がれた南海地震 高知新聞企業 2012-01-01
[104] 웹인용 東南海・南海地震について http://www.city.taka[...] 다카마쓰시 시청 2018-10-02
[105] 저널 1. 1946年南海地震の被害追跡調査 : 和歌山県新宮市の延焼大火発生地区における人的被害と人間行動 https://ci.nii.ac.jp[...] 2018-10-02
[106] 웹인용 岡山県南部における南海地震の記録 http://www.pref.okay[...] 岡山県備前県民局 2018-10-02
[107] 서적 邑久郡誌 邑久郡教育会 1973-00-00
[108] 웹인용 第81回県史だより https://www.pref.tot[...] 돗토리 현청 2018-10-02
[109] 저널 瀬戸内海・豊後水道沿岸における宝永 (1707)・安政 (1854)・昭和 (1946) 南海道津波の挙動 https://www.jstage.j[...] 2018-10-02
[110] 웹인용 Tsunami Runup Search - sorted by Date, Country, Location name https://www.ngdc.noa[...] NOAA 2018-10-02
[111] 웹인용 瀬戸内海の歴史南海地震津波について http://sakuya.ed.shi[...] 歴史地震研究会 歴史地震 2018-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