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이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이반도는 일본 혼슈 남부에 위치한 반도로, 와카야마현 대부분과 오사카부, 나라현, 미에현 일부를 포함한다. 지리적으로는 태평양과 세토 내해에 접하며, 복잡한 해안선과 산악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기이반도는 다양한 기후를 보이며, 특히 남동부는 강수량이 많고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 지질학적으로는 중앙구조선과 불상구조선이 지나가며, 다양한 지질 구조를 보인다. 풍부한 생물상을 자랑하며, 고유종과 고유아종이 많다. 역사적으로는 고대부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기이 산지의 영산과 순례길을 비롯해 이세 신궁, 구마노 신사, 고야산 등 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그러나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침체 등의 사회 문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현의 지형 - 곤고산지
곤고 산지는 간사이 지방에 남북으로 뻗은 해발고도 400m~1100m의 산맥으로, 다양한 산봉우리와 등산로,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지만 자연 보존과 개발 사이의 갈등으로 환경 파괴 논란이 있다. - 나라현의 지형 - 나라 분지
나라 분지는 일본 나라현 북서부에 위치한 마름모꼴 분지로, 평평하고 비옥한 충적토로 이루어져 나라현 인구의 대부분이 거주하며, 과거 일본의 정치·문화 중심지였고 현재는 대도시의 베드타운으로 개발되고 있는 내륙성 기후 지역이다. - 와카야마현의 지형 - 오사카만
오사카만은 일본 혼슈 서부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교통과 무역의 요충지였고, 현재는 여러 항만과 공항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자 공업 지대가 발달해 있지만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와카야마현의 지형 - 나치 폭포
나치 폭포는 와카야마현 나치산에 있는 "나치 사십팔폭포"의 첫 번째 폭포로, 자연숭배 대상이자 수행 장소이며, 신불분리령으로 잊혀졌다가 재발견되었고, 세 갈래 폭포라는 별칭과 비룡신사의 신체 숭배, 종교 미술 작품 등장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미에현의 지형 - 시마반도
시마반도는 일본 이세만에 위치한 반도로,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하여 수산업이 활발하고 이세시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미에현의 지형 - 우에노 분지
우에노 분지는 신생대 호수의 이동으로 형성되어 기즈 강, 핫토리 강, 츠게 강이 합류하는 내륙성 분지이며, 큰 기온 변화와 잦은 안개, 그리고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고비와호층이 특징이다.
기이반도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기이 반도 |
로마자 표기법 | Kii Hantō |
위치 | 간사이 지방: 와카야마현, 미에현, 오사카부, 나라현 |
좌표 | 34°18′10″N 135°57′18″E |
지리 | |
유형 | 반도 |
강 | 기노카와 강, 구시다 강 |
2. 지리
와카야마현이 기이반도의 대부분, 특히 남쪽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와카야마현 북서쪽에는 오사카부가 있으며, 오사카부 남쪽 일부도 기이반도에 속한다. 오사카부 동쪽에는 내륙에 위치한 나라현이 있고, 그 동쪽에는 미에현이 있다.
세토 내해는 기이반도 서쪽에 위치한다. 남쪽과 동쪽은 태평양이며, 북쪽은 기소 삼강과 이세만의 계곡이다.
반도 범위에 명확한 경계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안선이 남북 방향에서 동서 방향으로 바뀌고, 동서 기저에 위치한 대도시인 나고야와 오사카를 기하학적으로 직선으로 연결한 경우(대략 쇼나이가와 하구와 요도가와 하구를 잇는 선에 해당)에는 아이치현 서부(나고야시 남서부·토시마촌·야토미시·카니에정)·미에현(이나베시 북부와 쿠와나시 북부 제외)·나라현·와카야마현·오사카부 중부 이남(오사카시·히가시오사카시 이남) 일대가 된다. 시가현 남부나 교토부 남부 일부를 포함하는 설도 있다.
하지만 대략 기노가와와 쿠시다가와를 잇는 중앙구조선 이북은 각각 중경대도시권·게이한신 대도시권의 일부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고, 교통망도 발달하여 광대한 평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의 특징이 부족하여 기이반도라고 부르는 경우는 적다. 반도진흥법에서는 중앙구조선 이남의 미에현 마쓰사카시 이남의 남세·시마·동기슈 지역·나라현의 고죠·요시노 지역·와카야마현 전역(와카야마시를 제외함)이 “기이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기이반도 3현 지사회는 미에현·나라현·와카야마현 3개 현의 지사로 구성되어 있다.
태평양에 면하고 있으며, 서쪽은 오사카만·기이 수도(세토나이카이)를 사이에 두고 아와지섬과 시코쿠에 면하며, 동쪽에는 구마노나다·이세만(태평양(필리핀해))이 펼쳐져 있다. 북서부에는 오사카 평야, 이코마 산지, 북부에는 나라 분지, 우에노 분지, 카사기 산지, 북동부에는 이세 평야, 노우비 평야의 일부, 누이비키 산지, 서부에는 와카야마 평야, 이즈미 산맥, 콩고 산지를 가지고 있으며, 동부에는 시마 반도가 부속되어 있다. 중부 이남의 대부분은 기이 산지에 속하는 외대 산지로, 오다이가하라, 오오미네 산 등 최고봉은 나라현에 있지만, 와카야마현, 미에현 쪽에도 험준한 산이 많고, 해안에는 거의 평야가 없다.
식생은 상록활엽수림이 많고, 임업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야 류진 국정공원, 요시노 구마노 국립공원 등이 있다. 복잡한 해안선은 리아스식 해안이라고 불리며, 천연의 좋은 항구를 가지고 있다.
2. 1. 기이반도의 범위
기이반도는 와카야마현의 대부분, 특히 남쪽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와카야마현 북서쪽에는 오사카부가 있으며, 오사카부 남쪽 일부도 기이반도에 속한다. 오사카부 동쪽에는 내륙에 위치한 나라현이 있고, 그 동쪽에는 미에현이 있다.세토 내해는 기이반도 서쪽에 위치한다. 남쪽과 동쪽은 태평양이며, 북쪽은 기소 삼강과 이세만의 계곡이다.
반도 범위에 명확한 경계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안선이 남북 방향에서 동서 방향으로 바뀌고, 동서 기저에 위치한 대도시인 나고야와 오사카를 기하학적으로 직선으로 연결한 경우(대략 쇼나이가와 하구와 요도가와 하구를 잇는 선에 해당)에는 아이치현 서부(나고야시 남서부·토시마촌·야토미시·카니에정)·미에현(이나베시 북부와 쿠와나시 북부 제외)·나라현·와카야마현·오사카부 중부 이남(오사카시·히가시오사카시 이남) 일대가 된다. 시가현 남부나 교토부 남부 일부를 포함하는 설도 있다.
하지만 대략 기노가와와 쿠시다가와를 잇는 중앙구조선 이북은 각각 중경대도시권·게이한신 대도시권의 일부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고, 교통망도 발달하여 광대한 평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의 특징이 부족하여 기이반도라고 부르는 경우는 적다. 반도진흥법에서는 중앙구조선 이남의 미에현 마쓰사카시 이남의 남세·시마·동기슈 지역·나라현의 고죠·요시노 지역·와카야마현 전역(와카야마시를 제외함)이 “기이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기이반도 3현 지사회는 미에현·나라현·와카야마현 3개 현의 지사로 구성되어 있다.
2. 2. 지형
태평양에 면하고 있으며, 서쪽은 오사카만·기이 수도(세토나이카이)를 사이에 두고 아와지섬과 시코쿠에 면하며, 동쪽에는 구마노나다·이세만(태평양(필리핀해))이 펼쳐져 있다. 북서부에는 오사카 평야, 이코마 산지, 북부에는 나라 분지, 우에노 분지, 카사기 산지, 북동부에는 이세 평야, 노우비 평야의 일부, 누이비키 산지, 서부에는 와카야마 평야, 이즈미 산맥, 콩고 산지를 가지고 있으며, 동부에는 시마 반도가 부속되어 있다. 중부 이남의 대부분은 기이 산지에 속하는 외대 산지로, 오다이가하라, 오오미네 산 등 최고봉은 나라현에 있지만, 와카야마현, 미에현 쪽에도 험준한 산이 많고, 해안에는 거의 평야가 없다.
식생은 상록활엽수림이 많고, 임업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야 류진 국정공원, 요시노 구마노 국립공원 등이 있다. 복잡한 해안선은 리아스식 해안이라고 불리며, 천연의 좋은 항구를 가지고 있다.
3. 기후
기이반도는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 특성을 보인다. 중남부 연안은 겨울이 온화한 남해형 태평양 연안 기후, 북서부 연안은 일 년 내내 강수량이 적은 세토나이식 기후, 북동부 연안은 겨울이 그다지 춥지 않고 비나 눈이 적은 도카이·관토형 태평양 연안 기후를 나타낸다. 내륙부·산간부는 일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를 보이며, 고야산 등 중부 산지는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 특히 남동부의 쿠마노나다(熊野灘)에 인접한 지역은 일본에서 연간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많은 태풍이 상륙하여 일본에서 손꼽히는 태풍의 길(台風銀座)으로 유명하며, 이세만 태풍이나 2011년 태풍 제12호는 큰 피해를 입혔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오와세 특별지역 기상관측소(오와세시 난요정, 해발 15m)의 연 평균 기온은 16.4℃, 연 강수량은 3969.6mm이다.(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38년-현재)[10][11]
3. 1. 기후 특성
기이반도는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 특성을 보인다. 중남부 연안은 겨울이 온화한 남해형 태평양 연안 기후, 북서부 연안은 일 년 내내 강수량이 적은 세토나이식 기후, 북동부 연안은 겨울이 그다지 춥지 않고 비나 눈이 적은 도카이·관토형 태평양 연안 기후를 나타낸다.[10][11] 내륙부·산간부는 일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를 보이며, 고야산 등 중부 산지는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10][11] 특히 남동부의 쿠마노나다(熊野灘)에 인접한 지역은 일본에서 연간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10][11]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많은 태풍이 상륙하여 일본에서 손꼽히는 태풍의 길(台風銀座)으로 유명하며, 이세만 태풍(伊勢湾台風)이나 2011년 태풍 제12호(平成23年台風第12号)는 큰 피해를 입혔다.[10][11]
오와세 특별지역 기상관측소(오와세시 난요정, 해발 15m)의 기상 관측 자료에 따르면 연 평균 기온은 16.4℃, 연 강수량은 3969.6mm이다.[10][11]
3. 2. 강수량 및 태풍
기이반도 중남부 연안은 태평양 연안 기후로 겨울이 온화하며, 특히 남동부의 쿠마노나다에 인접한 지역은 일본에서 연간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남부 산악 지대는 연간 강수량이 5m에 달하며, 오와세 남동부의 평균 강수량은 3.85m이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오와세 특별지역 기상관측소(오와세시 난요정, 해발 15m)의 연 강수량은 3969.6mm이다.(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38년-현재)[10][11]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많은 태풍이 상륙하여 일본에서 손꼽히는 태풍의 길로 유명한 지역이다. 태풍이 일본을 강타할 때 기이반도는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지역 중 하나이며, 이세만 태풍과 2011년 태풍 탈라스는 큰 피해와 사상자를 냈다.
4. 지질
기노카와(紀ノ川) 북쪽 기슭을 따라 중앙구조선(中央構造線)이 지나가고, 그 남쪽을 따라 불상구조선(仏像構造線)이 지나간다.[12][13][14] 지질학적으로 중앙구조선 이북은 령가대(領家帯), 불상구조선 이북은 삼파가와대(三波川帯), 치치부대(秩父帯), 구로세가와대(黒瀬川帯)로 구성된다. 불상구조선 이남은 시마나토대(四万十帯)이며, 부가체(付加体)로서 북부가 남부보다 오래되었다. 북부는 중생층, 남부는 제3기(第三紀)층에 속한다.[12][13][14] 미에현(三重県)마쓰사카시(松阪市) 이이다카정 츠키데의 츠키데의 중앙구조선(月出の中央構造線)은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대규모 중앙구조선의 노두(露頭)이다.[12][13][14] 와카야마현(和歌山県) 시라사키해안(白崎海岸)에는 고생대 후기의 석회암층이 있지만, 이는 중생층에 포함된 것이다.
이 지역에는 화산(火山) 요소가 거의 없으며, 실제로 화산은 존재하지 않지만, 오래된 온천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15]
4. 1. 지질 구조
기노카와(紀ノ川) 북쪽 기슭을 따라 중앙구조선(中央構造線)이 지나가고, 그 남쪽을 따라 불상구조선(仏像構造線)이 지나간다.[12][13][14] 지질학적으로 중앙구조선 이북은 령가대(領家帯), 불상구조선 이북은 삼파가와대(三波川帯), 치치부대(秩父帯), 구로세가와대(黒瀬川帯)로 구성된다. 불상구조선 이남은 시마나토대(四万十帯)이며, 부가체(付加体)로서 북부가 남부보다 오래되었다. 북부는 중생층, 남부는 제3기(第三紀)층에 속한다.[12][13][14] 미에현(三重県)마쓰사카시(松阪市) 이이다카정 츠키데의 츠키데의 중앙구조선(月出の中央構造線)은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대규모 중앙구조선의 노두(露頭)이다.[12][13][14] 와카야마현(和歌山県) 시라사키해안(白崎海岸)에는 고생대 후기의 석회암층이 있지만, 이는 중생층에 포함된 것이다.이 지역에는 화산(火山) 요소가 거의 없으며, 실제로 화산은 존재하지 않지만, 오래된 온천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15]
4. 2. 특이 지형
기노카와(紀ノ川) 북쪽 기슭을 따라 중앙구조선(中央構造線)이 지나가고, 중앙구조선 남쪽을 따라 불상구조선(仏像構造線)이 지나간다.[12][13][14] 지질학적으로, 중앙구조선 이북은 령가대(領家帯), 불상구조선 이북은 삼파가와대(三波川帯), 치치부대(秩父帯), 구로세가와대(黒瀬川帯), 불상구조선 이남은 시마나토대(四万十帯)로 구성된다. 시마나토대는 중앙구조선 이남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부가체(付加体)로서 북부가 남부보다 오래되었고, 북부는 중생대(中生代)층, 남부는 제3기(第三紀)층에 속한다. 미에현(三重県)마쓰사카시(松阪市) 이이다카정 츠키데의 츠키데의 중앙구조선(月出の中央構造線)은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대규모 중앙구조선의 노두(露頭)이다.[12][13][14] 와카야마현(和歌山県) 시라사키해안(白崎海岸)에는 고생대 후기의 석회암층이 있지만, 이는 중생층에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이 지역의 지질에는 화산(火山) 요소가 거의 없으며, 실제로 화산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오래된 온천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15]
5. 생태
본주 최남단을 포함하는 이 지역은 전체적으로 남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본주에서 특히 온난한 지역이지만, 동시에 산이 많고 지형이 복잡하며 강수량도 많아 매우 풍부한 생물상을 지닌다. 이 지역을 분포의 북방한계로 하는 것, 또는 남방한계로 하는 것도 많지만, 주요 분포역에서 떨어져 이 지역에 격리 분포하는 것도 많다. 또한 고유종이나, 소위 소하야키 요소라고 불리는, 이 지역과 시코쿠, 규슈에만 분포하는 유형도 볼 수 있다.
기이반도는 난대 지역으로, 저지는 대부분 상록활엽수림이다. 해안에서 내륙으로 들어가면 스다지이(참나무과), 코지이(참나무과), 아라카시(참나무과) 등이 주로 나타나는 삼림이 보이지만, 이들의 극상은 타브림(タブノキ 숲)이라고도 한다. 내륙 지역에서는 참나무류가 주를 이루는 삼림이 나타나는데, 북부에는 시라카시(참나무과), 남부에는 우라지로가시(참나무과), 츠쿠바네가시(참나무과) 등이 분포한다. 임상과 계곡에는 다양한 종류의 양치식물이 자라고 있다. 이러한 삼림은 해발 1000m 정도까지 뻗어 있으며, 그 위로는 아카가시(참나무과)가 많아진다. 또한 모미(전나무), 츠가(솔송나무)가 섞이는 경우도 많고, 일부 지역에서는 토가사와라(삼나무과)가 섞이기도 한다.
해발 1000m 정도부터는 부나(참나무과), 미즈나라(참나무과)가 나타나 낙엽수림이 된다. 특히 와카야마현 오오타라산(大塔山) 정상 부근의 너도밤나무 숲은 본주 최남단의 너도밤나무 숲이라고 한다.
와카야마시(和歌山市) 출신으로, 후에 다나베정(田辺町)(현재의 다나베시(田辺市))에 약 40년간 거주한 미나미카타 쿠마쿠스(南方熊楠)는 점균류를 비롯한 이 지역의 풍부한 식생에 주목하여 방대한 수집 표본을 남겼으며, 이는 현재에도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기이반도는 고유종과 고유아종이 많으며, 종종 기슈(紀州), 기이(紀伊), 기노쿠니(紀の国), 구마노(熊野) 등의 지명을 포함한 이름이 붙여져 있다. 유명한 채집지로는 고야산(高野山), 나치 폭포(那智滝) 주변, 오다이가하라(大台ヶ原)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명을 이름에 가진 종도 많다.
키이센닌소(キイセンニンソウ)・기노쿠니스즈카케(キノクニスズカケ)・키이시모츠케(キイシモツケ)・구마노미즈키(クマノミズキ)・키이하나네코노메(キイハナネコノメ)・키슈우기쿠(キシュウギク)(호소바노기쿠(ホソバノギク)의 다른 이름)・기노쿠니시오기쿠(キノクニシオギク)・구마노기쿠(クマノギク)・키슈우나키리스게(キシュウナキリスゲ)・기노쿠니스게(キノクニスゲ)・키슈우스즈메노히에(キシュウスズメノヒエ)・키이이토락쿄(キイイトラッキョウ)・키이죠우로우호토토기스(キイジョウロウホトトギス)・키이무요우란(キイムヨウラン)・키슈우치도리(キシュウチドリ)(히나치도리(ヒナチドリ)의 다른 이름)・구마노자쿠라(クマノザクラ)등이 기이반도의 이름을 가진 종이다.
기슈견도 기이반도가 원산지인 견종이다.
일본늑대는 멸종된 것으로 보이지만, 기이반도는 일본늑대가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지역 중 하나이다. 매우 특이한 것으로 와카야마밭쥐가 있는데, 이 종류는 일본에 3종(아종이라고도 함)이 있지만, 모두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두 종은 아한대에 속하고, 빙하기의 잔존종으로 여겨진다. 와카야마밭쥐만이 크게 떨어진 곳, 게다가 그렇게 고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 서식하는데, 이는 기이반도에 나타나는 특이한 분포의 전형적인 예이다.
5. 1. 식생
기이반도는 난대 지역으로, 저지는 대부분 상록활엽수림이다. 해안에서 내륙으로 들어가면 스다지이(참나무과), 코지이(참나무과), 아라카시(참나무과) 등이 주로 나타나는 삼림이 보이지만, 이들의 극상은 타브림(タブノキ 숲)이라고도 한다. 내륙 지역에서는 참나무류가 주를 이루는 삼림이 나타나는데, 북부에는 시라카시(참나무과), 남부에는 우라지로가시(참나무과), 츠쿠바네가시(참나무과) 등이 분포한다. 임상과 계곡에는 다양한 종류의 양치식물이 자라고 있다. 이러한 삼림은 해발 1000m 정도까지 뻗어 있으며, 그 위로는 아카가시(참나무과)가 많아진다. 또한 모미(전나무), 츠가(솔송나무)가 섞이는 경우도 많고, 일부 지역에서는 토가사와라(삼나무과)가 섞이기도 한다.해발 1000m 정도부터는 부나(참나무과), 미즈나라(참나무과)가 나타나 낙엽수림이 된다. 특히 와카야마현 오오타라산(大塔山) 정상 부근의 너도밤나무 숲은 본주 최남단의 너도밤나무 숲이라고 한다.
와카야마시(和歌山市) 출신으로, 후에 다나베정(田辺町)(현재의 다나베시(田辺市))에 약 40년간 거주한 미나미카타 쿠마쿠스(南方熊楠)는 점균류를 비롯한 이 지역의 풍부한 식생에 주목하여 방대한 수집 표본을 남겼으며, 이는 현재에도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5. 2. 동식물상
기이반도는 고유종과 고유아종이 많으며, 종종 기슈(紀州), 기이(紀伊), 기노쿠니(紀の国), 구마노(熊野) 등의 지명을 포함한 이름이 붙여져 있다. 유명한 채집지로는 고야산(高野山), 나치 폭포(那智滝) 주변, 오다이가하라(大台ヶ原)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명을 이름에 가진 종도 많다.키이센닌소(キイセンニンソウ)・기노쿠니스즈카케(キノクニスズカケ)・키이시모츠케(キイシモツケ)・구마노미즈키(クマノミズキ)・키이하나네코노메(キイハナネコノメ)・키슈우기쿠(キシュウギク)(호소바노기쿠(ホソバノギク)의 다른 이름)・기노쿠니시오기쿠(キノクニシオギク)・구마노기쿠(クマノギク)・키슈우나키리스게(キシュウナキリスゲ)・기노쿠니스게(キノクニスゲ)・키슈우스즈메노히에(キシュウスズメノヒエ)・키이이토락쿄(キイイトラッキョウ)・키이죠우로우호토토기스(キイジョウロウホトトギス)・키이무요우란(キイムヨウラン)・키슈우치도리(キシュウチドリ)(히나치도리(ヒナチドリ)의 다른 이름)・구마노자쿠라(クマノザクラ)등이 기이반도의 이름을 가진 종이다.
기슈견도 기이반도가 원산지인 견종이다.
일본늑대는 멸종된 것으로 보이지만, 기이반도는 일본늑대가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지역 중 하나이다. 매우 특이한 것으로 와카야마밭쥐가 있는데, 이 종류는 일본에 3종(아종이라고도 함)이 있지만, 모두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두 종은 아한대에 속하고, 빙하기의 잔존종으로 여겨진다. 와카야마밭쥐만이 크게 떨어진 곳, 게다가 그렇게 고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 서식하는데, 이는 기이반도에 나타나는 특이한 분포의 전형적인 예이다.
6. 역사
6. 1. 고대
6. 2. 중세-근세
6. 3. 근현대
7. 교통
기세이 본선(Kisei Main Line)은 와카야마현과 미에현을 연결하며 반도 해안선을 따라 운행한다. 지형적으로 험준한 산악 지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교통이 불편하다. 기이 남부 지역에 영험한 곳으로 유명한 熊野本宮大社(구마노혼구타이샤)가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도보와 선박이 발달했으나, 그것들이 이용되지 않은 후에 이를 대체할 교통 기관이 부족하다. 소위 熊野古道(구마노코도)는 산간부 尾根(능선)을 종주하고 있지만, 현재의 교통 수단으로는 이용하기 어렵다.
현재 주요 간선은 해안선을 따라 통과하는 것으로, 산간 지역에서는 교통로의 발달이 나쁘다. 내륙으로 들어가는 길은 각 하천을 따라 들어가는 것이 많다. 중부 지역에서는 중앙 구조선을 따라 교통로가 발달하고, 그 북쪽에서는 산이 다소 적기 때문에 노선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와카야마현 시라하마(Shirahama, Wakayama)의 나키시라하마 공항(Nanki-Shirahama Airport)은 기이반도 남부를 운항한다.[18]
==== 철도 ====
기이반도는 기세 본선이 해안선을 따라 운행되며, 신궁역(신궁시)을 경계로 서쪽은 JR서일본, 동쪽은 JR도카이가 관할한다.[16] 나고야역(나고야시)에서 JR난바역(오사카시)까지의 내륙부에서는 간사이 본선이, 간사이 본선에 연결되는 가메야마역에서 와카야마시역(와카야마시)까지의 해안부에서는 기세 본선이 운행된다.[16] 이에 연결되는 노선으로는 산구선, 한와선, 오사카환상선, 오사카동선, 간사이공항선, 사쿠라이선, 와카야마선, 메이쇼선 및 제3섹터 방식의 이세 철도 이세선 등이 있다.
오사카와 나고야 근교 구간은 보통·쾌속 열차가 비교적 고빈도로 운행된다.[16] 기세 본선 신궁 이서에서는 직류 전철화가 이루어져 오사카 방면으로 특급 "쿠로시오"(한와선 경유)가 운행된다.[16] 기이카쓰우라역(나치카쓰우라정) 이동에서는 비전철 구간을 경유하여 나고야 방면으로 특급 "와이드뷰 난키" (이세 철도·간사이 본선 경유)가 운행된다.[16]
중앙구조선 이남은 일부 해안 지역을 제외하고 인구가 희박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철도망이 발달하지 않았다.[16] 특히 토츠카와 촌 등 나라현 남부는 광대한 철도 백지대이다.[16]
과거 국철 고신선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1970년 고도경제성장기 이후 자동차 중심 사회의 진행 및 국철 재정 악화로 중단되었다.[16] 고조 - 조토(구 니시요시노촌, 현재는 고조시) 간 노반 건설은 완료되었으나, 인구 및 수송량 부족으로 버스가 대신 운행하게 되었다.[16] 간사이 본선은 가메야마-가모(교토부 기즈가와시) 구간이 비전철화 상태이지만, 중앙 신칸센 건설 계획이 진행 중이며, 2045년 나고야-오사카 간 개통 예정이다.[16]
중앙구조선 이북에서는 긴테쓰, 난카이 전철 등 대형민철 회사가 노선망을 확장하여 근교 및 관광 수송을 담당한다.[16] 긴테쓰는 나고야-오사카 간 도시 간 수송에도 활용된다.[16]
==== 도로 ====
기이반도 연안 지역의 고속도로망은 https://www.kkr.mlit.go.jp/road/kinki_road/kaitsuyotei_highway.html 전 구간 개통되지 않은 상황이다.[17] 주요 고속도로로는 한와 자동차도, 긴키 자동차도, 이세 자동차도 등이 있다. 미에현 북부와 나라현 북부를 경유하여 나고야와 오사카를 잇는 고속도로는 이미 완공되어 공장 유치 등 산업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미에현과 와카야마현을 종단하는 해안선을 따라 건설되는 노선은 아직도 공사가 계속되고 있으며[17] 일부 구간에는 신직할 방식 도입도 결정되었다. 전 구간 완공을 위해 https://www.kkr.mlit.go.jp/road/kinki_road/qgl8vl00000055qm-att/2004_minami.pdf 사업이 계속되고 있다.
그 외, 신메이신 고속도로, 기세 자동차도, 이세만 간 고속도로, 도메이한신 자동차도, 메이한 국도,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사카이센보쿠 도로, 한신 고속도로의 환상선·만간선·요도가와 사간선·사카이선·마쓰바라선·오사카항선·히가시오사카선·니시오사카선·야마토가와선, 제2한나 도로, 간사이 공항 자동차도, 남한나 도로, 교나와 자동차도, 나고야 고속도로의 환상선·만바선 등이 있다.
==== 항공 ====
간사이 국제공항이 오사카 만 북서부 해상에 위치하여 일본 국내외 항공편을 운항하며, 서일본의 관문 역할을 한다. 와카야마현 시라하마에는 나키시라하마 공항이 있어 기이반도 남부 지역을 운항한다. 나키시라하마 공항은 일본항공의 정기편을 통해 매일 하네다 공항과 연결된다.[18]
1960년대에는 수상비행기를 이용한 항공 노선도 있었다. 니토 항공은 나고야-시마-구시모토-시라하마-오사카를 잇는 “기이반도 일주 노선”을 운항했고, 주니폰 항공은 나고야-시마-구시모토 노선을 운항했다. 이 노선들은 1964년까지 폐지되었다.[18]
==== 항만 ====
기이반도는 이세만과 오사카만에 주요 항만이 정비되어 있다. 한신항(오사카항, 사카이센보쿠항 등), 와카야마항, 와카야마시모츠항과 미에현의 요카이치항, 나고야항은 특정 중요항만으로 지정되어 한신공업지대, 요카이치 콤비나트 등 화학공업 지역의 기반이 되고 있다. 도바항에서는 이세만 건너편에 있는 아쓰미반도로, 와카야마항에서는 기이스이도 건너편에 있는 도쿠시마항으로 페리가 운항되고 있다. 반면, 해안선을 따라 각 지역을 순회하는 항로는 기세이 본선의 연장으로 인해 폐지되었고, 현재는 시마반도 연안의 섬들과의 사이에서 소규모의 도선이 남아 있을 정도이다.
7. 1. 철도
기이반도는 기세 본선이 해안선을 따라 운행되며, 신궁역(신궁시)을 경계로 서쪽은 JR서일본, 동쪽은 JR도카이가 관할한다.[16] 나고야역(나고야시)에서 JR난바역(오사카시)까지의 내륙부에서는 간사이 본선이, 간사이 본선에 연결되는 가메야마역에서 와카야마시역(와카야마시)까지의 해안부에서는 기세 본선이 운행된다.[16] 이에 연결되는 노선으로는 산구선, 한와선, 오사카환상선, 오사카동선, 간사이공항선, 사쿠라이선, 와카야마선, 메이쇼선 및 제3섹터 방식의 이세 철도 이세선 등이 있다.오사카와 나고야 근교 구간은 보통·쾌속 열차가 비교적 고빈도로 운행된다.[16] 기세 본선 신궁 이서에서는 직류 전철화가 이루어져 오사카 방면으로 특급 "쿠로시오"(한와선 경유)가 운행된다.[16] 기이카쓰우라역(나치카쓰우라정) 이동에서는 비전철 구간을 경유하여 나고야 방면으로 특급 "와이드뷰 난키" (이세 철도·간사이 본선 경유)가 운행된다.[16]
중앙구조선 이남은 일부 해안 지역을 제외하고 인구가 희박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철도망이 발달하지 않았다.[16] 특히 토츠카와 촌 등 나라현 남부는 광대한 철도 백지대이다.[16]
과거 국철 고신선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1970년 고도경제성장기 이후 자동차 중심 사회의 진행 및 국철 재정 악화로 중단되었다.[16] 고조 - 조토(구 니시요시노촌, 현재는 고조시) 간 노반 건설은 완료되었으나, 인구 및 수송량 부족으로 버스가 대신 운행하게 되었다.[16] 간사이 본선은 가메야마-가모(교토부 기즈가와시) 구간이 비전철화 상태이지만, 중앙 신칸센 건설 계획이 진행 중이며, 2045년 나고야-오사카 간 개통 예정이다.[16]
중앙구조선 이북에서는 긴테쓰, 난카이 전철 등 대형민철 회사가 노선망을 확장하여 근교 및 관광 수송을 담당한다.[16] 긴테쓰는 나고야-오사카 간 도시 간 수송에도 활용된다.[16]
7. 2. 도로
기이반도 연안 지역의 고속도로망은 https://www.kkr.mlit.go.jp/road/kinki_road/kaitsuyotei_highway.html 전 구간 개통되지 않은 상황이다.[17] 주요 고속도로로는 한와 자동차도, 긴키 자동차도, 이세 자동차도 등이 있다. 미에현 북부와 나라현 북부를 경유하여 나고야와 오사카를 잇는 고속도로는 이미 완공되어 공장 유치 등 산업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미에현과 와카야마현을 종단하는 해안선을 따라 건설되는 노선은 아직도 공사가 계속되고 있으며[17] 일부 구간에는 신직할 방식 도입도 결정되었다. 전 구간 완공을 위해 https://www.kkr.mlit.go.jp/road/kinki_road/qgl8vl00000055qm-att/2004_minami.pdf 사업이 계속되고 있다.그 외, 신메이신 고속도로, 기세 자동차도, 이세만 간 고속도로, 도메이한신 자동차도, 메이한 국도,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사카이센보쿠 도로, 한신 고속도로의 환상선·만간선·요도가와 사간선·사카이선·마쓰바라선·오사카항선·히가시오사카선·니시오사카선·야마토가와선, 제2한나 도로, 간사이 공항 자동차도, 남한나 도로, 교나와 자동차도, 나고야 고속도로의 환상선·만바선 등이 있다.
7. 3. 항공
간사이 국제공항이 오사카 만 북서부 해상에 위치하여 일본 국내외 항공편을 운항하며, 서일본의 관문 역할을 한다. 와카야마현 시라하마에는 나키시라하마 공항이 있어 기이반도 남부 지역을 운항한다. 나키시라하마 공항은 일본항공의 정기편을 통해 매일 하네다 공항과 연결된다.[18]1960년대에는 수상비행기를 이용한 항공 노선도 있었다. 니토 항공은 나고야-시마-구시모토-시라하마-오사카를 잇는 “기이반도 일주 노선”을 운항했고, 주니폰 항공은 나고야-시마-구시모토 노선을 운항했다. 이 노선들은 1964년까지 폐지되었다.[18]
7. 4. 항만
기이반도는 이세만과 오사카만에 주요 항만이 정비되어 있다. 한신항(오사카항, 사카이센보쿠항 등), 와카야마항, 와카야마시모츠항과 미에현의 요카이치항, 나고야항은 특정 중요항만으로 지정되어 한신공업지대, 요카이치 콤비나트 등 화학공업 지역의 기반이 되고 있다. 도바항에서는 이세만 건너편에 있는 아쓰미반도로, 와카야마항에서는 기이스이도 건너편에 있는 도쿠시마항으로 페리가 운항되고 있다. 반면, 해안선을 따라 각 지역을 순회하는 항로는 기세이 본선의 연장으로 인해 폐지되었고, 현재는 시마반도 연안의 섬들과의 사이에서 소규모의 도선이 남아 있을 정도이다.8. 관광
기이반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기이 산지의 영산과 순례길이 있다.[7] 2004년, 유네스코는 기이반도의 요시노와 오미네산, 구마노 신사, 고야산을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7] 고대 야마토 왕권이 기이반도 북부 중앙을 근거지로 삼았기 때문에, 야마토 왕권과 관련된 신사나 일본의 건국 신화와 관련된 인물을 모시는 신사가 집중되어 있다.[7]
주요 신사로는 이세 신궁( 삼종신기)[7], 이자쿠미 신궁, 니이가타 신궁・쿠니카케 신궁( 일상경・일모경)[7], 고야산, 아와시마 신사, 기슈 도쇼구, 기미이지, 구마노 산잔(야타가라스(八咫烏), 신무 천황)[7], 꽃굴신사(花の窟神社), 다키하라궁(滝原宮), 타마키신사(玉置神社), 토우케이신사(闘鶏神社) 등이 있다.[7]
이세시는 이세 신궁이 있는 곳이자 진주 생산의 중심지이다.[7] 구마노 지역에는 구마노 신사들, 세계유산인 구마노 고도 순례길, 나치 폭포가 있다.[7] 구시모토는 혼슈 최남단이다.[7] 고야산은 진언종의 본산이다.[7] 마쓰자카는 쇠고기 생산 지역의 중심지이자, 과거 이세 상인의 중심지였다.[7] 나라는 일본의 옛 수도이다.[7] 시라하마는 해변 온천으로 유명한 휴양 도시이다.[7] 다이지는 일본 전통 포경의 발상지이다. 이는 한국의 고래잡이 역사와 비교해 볼 때, 일제 강점기의 아픈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민감한 문제이다. 와카야마는 기이 도쿠가와 씨족의 옛 거주지이며, 히노쿠마 신사는 이세 신궁과 관련이 있다.[7] 요시노군은 울창한 숲이 우거진 산악 지역으로, 남북조 시대 남조 황궁이 있던 곳이다.[7]
오래전부터 구마노 고도 등과 깊은 관련이 있는 여러 온천이 있으며, 시라하마정(白浜町)은 신혼여행 명소이기도 했다.[7] 이세시마(伊勢志摩) 지방은 이세 신궁(伊勢神宮)과 관련하여 중요한 관광지이며, 현재도 많은 관광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7] 미에현에는 하마지마 온천・후루사토 온천・유노구치 온천 등이, 나라현에는 도가와 온천・토츠가와 온천 등이, 와카야마현에는 카타 다마시마 온천・시라하마 온천・류진 온천・유노미네 온천・가와유 온천・난키 카츠우라 온천 등이 있다.[7]
다른 명소로는 부부암(夫婦岩)(이세시(伊勢市))[7], 에이고만(英虞湾)(시마시(志摩市))[7], 오다이가하라(大台ヶ原)(오다이정(大台町)·가미키타야마무라(上北山村))[7], 우오토비계(魚飛渓)(키호쿠정(紀北町))[7], 타테가사키(楯ヶ崎)·오니가죠(鬼ヶ城)·사자암(獅子岩)(쿠마노시(熊野市))[7], 히키사쿠의 큰 녹나무(引作の大クス)(미하마정(御浜町))[7], 마루야마 센마이타(丸山千枚田)(쿠마노시(熊野市))[7], 도로쿄(瀞峡)(쿠마노시(熊野市)·신구시(新宮市)·토츠카와무라(十津川村))[7], 우키시마노모리(浮島の森)(신구시(新宮市))[7], 나치폭포(那智滝)(나치카츠우라정(那智勝浦町))[7], 하시구이이와(橋杭岩)(쿠시모토정(串本町))[7], 시오미사키(潮岬)(쿠시모토정(串本町), 혼슈 최남단)[7], 미단가키(三段壁)·센죠지키(千畳敷)·엔게쓰지마(円月島)(시라하마정(白浜町))[7], 히노미사키(日の岬)(히다카정(日高町))[7], 시라사키 해양공원(白崎海洋公園)(유라정(由良町))[7] 등이 있다.
기이반도에는 오자하마 해수욕장(시마시), 시라하마 해수욕장(시라하마정) 등 여러 해수욕장이 있어 여름철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그 외에도 니시무카이가하마(다이키정), 와구노하마 해수욕장(키호쿠정), 미키사토 해수욕장(오와세시), 신시카 해수욕장(쿠마노시), 나치노하마 해수욕장(나치카츠우라정), 하시구이 해수욕장(쿠시모토정), 스사미 해수욕장(스사미정), 니시히로 해수욕장(히로가와정), 카타오나미 해수욕장(와카야마시) 등이 있다.
8. 1. 주요 명소
기이반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기이 산지의 영산과 순례길이 있다.[7] 2004년, 유네스코는 기이반도의 요시노와 오미네산, 구마노 신사, 고야산을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7] 고대 야마토 왕권이 기이반도 북부 중앙을 근거지로 삼았기 때문에, 야마토 왕권과 관련된 신사나 일본의 건국 신화와 관련된 인물을 모시는 신사가 집중되어 있다.[7]주요 신사로는 이세 신궁( 삼종신기)[7], 이자쿠미 신궁, 니이가타 신궁・쿠니카케 신궁( 일상경・일모경)[7], 고야산, 아와시마 신사, 기슈 도쇼구, 기미이지, 구마노 산잔(야타가라스(八咫烏), 신무 천황)[7], 꽃굴신사(花の窟神社), 다키하라궁(滝原宮), 타마키신사(玉置神社), 토우케이신사(闘鶏神社) 등이 있다.[7]
이세시는 이세 신궁이 있는 곳이자 진주 생산의 중심지이다.[7] 구마노 지역에는 구마노 신사들, 세계유산인 구마노 고도 순례길, 나치 폭포가 있다.[7] 구시모토는 혼슈 최남단이다.[7] 고야산은 진언종의 본산이다.[7] 마쓰자카는 쇠고기 생산 지역의 중심지이자, 과거 이세 상인의 중심지였다.[7] 나라는 일본의 옛 수도이다.[7] 시라하마는 해변 온천으로 유명한 휴양 도시이다.[7] 다이지는 일본 전통 포경의 발상지이다.[7] 와카야마는 기이 도쿠가와 씨족의 옛 거주지이며, 히노쿠마 신사는 이세 신궁과 관련이 있다.[7] 요시노군은 울창한 숲이 우거진 산악 지역으로, 남북조 시대 남조 황궁이 있던 곳이다.[7]
오래전부터 구마노 고도 등과 깊은 관련이 있는 여러 온천이 있으며, 시라하마정(白浜町)은 신혼여행 명소이기도 했다.[7] 이세시마(伊勢志摩) 지방은 이세 신궁(伊勢神宮)과 관련하여 중요한 관광지이며, 현재도 많은 관광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7] 미에현에는 하마지마 온천・후루사토 온천・유노구치 온천 등이, 나라현에는 도가와 온천・토츠가와 온천 등이, 와카야마현에는 카타 다마시마 온천・시라하마 온천・류진 온천・유노미네 온천・가와유 온천・난키 카츠우라 온천 등이 있다.[7]
다른 명소로는 부부암(夫婦岩)(이세시(伊勢市))[7], 에이고만(英虞湾)(시마시(志摩市))[7], 오다이가하라(大台ヶ原)(오다이정(大台町)·가미키타야마무라(上北山村))[7], 우오토비계(魚飛渓)(키호쿠정(紀北町))[7], 타테가사키(楯ヶ崎)·오니가죠(鬼ヶ城)·사자암(獅子岩)(쿠마노시(熊野市))[7], 히키사쿠의 큰 녹나무(引作の大クス)(미하마정(御浜町))[7], 마루야마 센마이타(丸山千枚田)(쿠마노시(熊野市))[7], 도로쿄(瀞峡)(쿠마노시(熊野市)·신구시(新宮市)·토츠카와무라(十津川村))[7], 우키시마노모리(浮島の森)(신구시(新宮市))[7], 나치폭포(那智滝)(나치카츠우라정(那智勝浦町))[7], 하시구이이와(橋杭岩)(쿠시모토정(串本町))[7], 시오미사키(潮岬)(쿠시모토정(串本町), 혼슈 최남단)[7], 미단가키(三段壁)·센죠지키(千畳敷)·엔게쓰지마(円月島)(시라하마정(白浜町))[7], 히노미사키(日の岬)(히다카정(日高町))[7], 시라사키 해양공원(白崎海洋公園)(유라정(由良町))[7] 등이 있다.
8. 2. 해수욕장
기이반도에는 오자하마 해수욕장(시마시), 시라하마 해수욕장(시라하마정) 등 여러 해수욕장이 있어 여름철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그 외에도 니시무카이가하마(다이키정), 와구노하마 해수욕장(키호쿠정), 미키사토 해수욕장(오와세시), 신시카 해수욕장(쿠마노시), 나치노하마 해수욕장(나치카츠우라정), 하시구이 해수욕장(쿠시모토정), 스사미 해수욕장(스사미정), 니시히로 해수욕장(히로가와정), 카타오나미 해수욕장(와카야마시) 등이 있다.9. 사회 문제와 과제
9. 1. 인구 감소와 고령화
9. 2. 경제 침체
9. 3. 사회 자유주의적 관점에서의 해결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Kii Peninsula
http://www.coremoc.g[...]
2011-11-25
[2]
서적
Coral Reefs of Jap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3]
웹사이트
Coral Reefs of Canada: Pacific Coast Rocky Reefs Earth Rangers: Where kids go to save animals!
https://www.earthran[...]
2014-04-11
[4]
논문
Projecting Coral Reef Futures Under Global Warming and Ocean Acidification
https://www.science.[...]
2011-07-22
[5]
웹사이트
Typhoon in the Kii Peninsula, Japan, September 2011 GSI HOME PAGE
https://www.gsi.go.j[...]
2023-04-26
[6]
서적
Forestry and the Forest Industry in Japan
[7]
웹사이트
The List
https://whc.unesco.o[...]
[8]
간행물
지명의 영어 표기 및 외국인에게 알기 쉬운 지도 기호에 대해
https://www.gsi.go.j[...]
국토지리원
2016-01-06
[9]
뉴스
천황 폐하의 말씀 전문 와카야마에서 개최된 국문제·예문제
https://www.sankei.c[...]
산케이 뉴스
2021-10-30
[10]
웹사이트
평년값 다운로드
https://www.data.jma[...]
기상청
2021-06
[11]
웹사이트
관측 사상 1~10위의 값(연간을 통한 값)
https://www.data.jma[...]
기상청
2021-06
[12]
논문
紀伊半島中部,中央構造線の大露頭:月出露頭(三重県飯南郡飯高町月出ワサビ谷)
[13]
웹사이트
이세만 태풍으로 일부 노출―쓰키데의 중앙 구조선 노두지
http://www.bunka.pre[...]
미에현 환경생활부 문화진흥과 현사편찬반
2016-04-18
[14]
웹사이트
쓰키데의 중앙 구조선
http://www.bunka.pre[...]
미에현 교육위원회 사무국 사회교육·문화재보호과
2016-04-18
[15]
웹사이트
남기쿠마노 지오파크 남기쿠마노 지오파크를 배우다 온천
https://nankikumanog[...]
남기쿠마노 지오파크
2023-02-14
[16]
문서
기세 본선의 다기역~고보역간 (283.8km)는 JR이나 다른 철도 사업자의 철도 노선에 접속하는 환승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일본에 있어서는 최장이다.
[17]
문서
2012년 3월 현재, 서쪽(와카야마현)에서는 남기타나베 인터체인지(타나베시), 동쪽에서는 기이 나가시마 인터체인지(기호쿠정) 이북이 완성되어, 오사카나 나고야와 연결되어 있다.
[18]
서적
일본의 에어포트04 도카이 3공항
이카로스 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