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면은 3차원 객체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표현으로, 크기는 KS F 1001에 따라 A0부터 A6까지 규격화되어 있으며, 토목 및 건축 설계에서는 주로 A1, A3 크기가 사용된다. 도면은 다양한 투영법을 사용하여 객체의 형태를 나타내며, 기계, 전기, 토목/건축,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작된다. 각 분야별 도면은 제작도, 조립도, 회로도, 배치도, 평면도 등 고유한 종류와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묘 - 크로키
크로키는 짧은 시간 안에 인물의 특징을 빠르게 포착하여 그리는 미술 기법으로, 모델에게 유리하며 곤충, 동물, 어린이 등 움직이는 대상을 그리는 데에도 유용하다. - 소묘 - 트레이싱 페이퍼
트레이싱 페이퍼는 낮은 불투명도로 빛이 통과하는 종이로, 이미지 복사에 사용되며, 건축 및 설계 분야에서 도면 제작에 활용되고, 섬유를 정제하여 반투명하게 만들며, 밀도, 습도, 투명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 제도 (설계) - 평면도
평면도는 건물의 바닥 면적을 위에서 내려다본 기본적인 건축 도면으로, 공간 배치와 벽, 창문, 문 등의 위치를 나타내며, 설계 의도 전달, 설계 장점 설명, 건축 정보 제공에 활용되고 1/100 또는 1/200의 척도를 사용한다. - 제도 (설계) - 삼각자
삼각자는 제도에 사용되는 도구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평행선이나 수선을 작도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 |
---|
2. 도면의 크기
도면의 크기는 효율적인 정보 전달과 보관을 위해 표준화되어 있다. 도면은 종종 "세트"로 준비되며, 세트에는 목적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고 불필요한 뷰나 투영은 제외될 수 있다. 도면 세트는 표준 사무실 크기 용지나 대형 시트에 인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테이플, 접거나 말 수 있다. 또한 DWG와 같은 독점 형식이나 DXF, PDF와 같은 교환 파일 형식의 디지털 파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과거에는 도면을 "청사진" 또는 "블루라인"이라고 불렀으나, 현대에는 흰색 용지에 검은색 또는 여러 색상의 선을 생성하는 복제 과정이나 정보의 전자적 표현으로 대체되면서 이러한 용어는 시대착오적인 표현이 되고 있다.
설계 도면은 설계 기술자와 의뢰자·발주자, 또는 시공자·제조 부문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술 문서이자 설계 성과물의 하나이다. 최종 출력물인 종이 도면의 가치는 기록된 내용에 있으며, 종이 자체에 있는 것은 아니다. 구조물이나 제품 인도 시 제본하여 첨부되는 경우도 많으며, 제품, 반제품, 부품에 첨부되는 것을 특히 납품 사양서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 청사진이 일반 복사 용지나 플로터 출력으로, 더 나아가 PDF나 SXF 형식의 전자 납품으로 바뀌었지만, 도면은 여전히 필요하다.[4]
2. 1. 한국산업표준(KS)
KS F 1001에 따르면 도면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다. 토목 및 건축 설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도면 크기는 A1, A3이다.[4]종류 | A0 | A1 | A2 | A3 | A4 | A5 | A6 |
---|---|---|---|---|---|---|---|
치수(mm×mm) | 1189×841 | 841×594 | 594×420 | 420×297 | 297×210 | 210×148 | 148×105 |
2. 2. 국제 표준
JIS Z8314 (ISO 5455에 대응)는 다음 값을 권장 척도로 한다.[1]구분 | 권장 척도 |
---|---|
배척 | 50 : 1, 20 : 1, 10 : 1, 5 : 1, 2 : 1 |
현척 | 1 : 1 |
축척 | 1 : 2, 1 : 5, 1 : 10, 1 : 20, 1 : 50, 1 : 100, 1 : 200, 1 : 500, 1 : 1000, 1 : 2000, 1 : 5000, 1 : 10000 |
3차원 객체를 2차원 평면에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투상법이 사용된다. 투영 도면은 3차원 객체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낼 때 사용하며, 도면의 가독성을 위해 투영법 또는 도법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도법은 위치, 공간이나 객체를 기반으로 투영 기법을 선택할 때, 시점을 가정함으로써 도출된다.
미터법에서는 1:5, 1:10, 1:20, 1:50, 1:100, 1:200, 1:500, 1:1000, 1:2000, 1:5000 등의 축척이 사용된다.[2]
3. 도면의 투상법
투상면의 종류와 투영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투상면의 종류
바라보는 시각에 따른 투상면의 도면 종류는 다음과 같다.[5]
도면 종류 | 설명 |
---|---|
단면도(section plane) | 특정 절단 평면에서의 내부 모습 |
배면도(back vertical plane, rear vertical plane) | |
저면도(bottom horizontal plane) | |
정면도(입면도, front vertical plane) | |
측면도(profile plane) | |
평면도(top horizontal plane) |
도면은 3차원 객체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내기 때문에, 투영의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
투영 유형은 다음과 같다.
- 평행 투영
- * 직교 투영
- ** 다중 뷰 투영: 평면도, 입면도, 단면
- ** 축측 투영: 등각 투영, 이등각 투영, 삼등각 투영
- * 사각 투영
- 원근 투영: 일점 투시, 이점 투시, 삼점 투시
3. 2. 투영 방식
도면의 투영 형식에는 중심 투영과 평행 투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나뉜다.
; 평행 투영
:* 직교 투영
:** 정투영 - 평면도 등 일반도, 외장의 일반 측면도, 단면 투영(특정 절단면에서의 내부 모습 등)
:** 축측 투영 - 일반적인 입체를 나타낸 그림, 시도 등
:*** 등각 투영
:*** 이등각 투영
:*** 삼등각 투영
:** 사각 투영
:* 사투영
:* 표고 투영 - 지형도, 조성용 평면도, 날씨 지도 등
; 중심 투영
:* 원근 투영(원근법) - 조감도, 완성 예상도 등
4. 도면의 종류 및 특징
도면은 기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며, 건축, 공학,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도면은 부지, 건물, 제품, 구성 요소의 기하학적 특징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나타낸다. 또한 프레젠테이션이나 방향 제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기술 도면은 도면을 제작하는 과정과 기술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작업 도면은 기술 도면의 한 유형으로, 공학 제품 또는 건축물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문서이다. 건축 분야에서는 토목 도면, 건축 도면, 구조 도면, 기계 도면, 전기 도면, 배관 도면 등이 사용된다. 공학 분야에서는 치수와 각도 등 객체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도면에 표시된다.
설계 도면은 설계 기술자와 의뢰자, 발주자, 시공자, 제조 부문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술 문서이며, 설계 성과물의 하나이다. 과거에는 청사진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일반 복사 용지나 플로터로 출력된 도면, PDF나 SXF 형식의 전자 도면이 사용된다.
4. 1. 기계 설계 분야
제작도는 소재를 가공하여 부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시 사항을 담고 있다.[1] 조립도는 부품을 조립하여 기계 장치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1] 일본공업규격에서는 기계 제도법을 규정하고 표준화했다.[1]4. 2. 전기 설계 분야
- 회로도: 전기 회로나 전자 회로를 회로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전기 회로(수변전 설비, 플랜트 등의 제어 설비)에서는 용도에 따라 단선 결선도, 삼선 결선도, 전개 결선도 등이 있다.
- 계통도: 장치나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 단위의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블록 다이어그램이라고도 한다.
- 기타: 디지털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인쇄 회로 기판의 부품 배치나 배선 패턴을 나타내는 패턴도(아트워크도라고도 불림),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용 도면 등이 있다.
4. 3. 토목/건축 분야
토목 및 건축 분야에서는 구조물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도면을 그릴 때 작은 축척과 큰 용지 크기를 사용한다. 이는 대규모 구조물의 세부 사항까지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함이다.[2] 미터법에서는 1:5, 1:10, 1:20, 1:50, 1:100, 1:200, 1:500, 1:1000, 1:2000, 1:5000과 같은 비율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4. 3. 1. 도면의 종류 (토목/건축 공통)
- 변경 설계도: 당초 설계 도서에 의해 도급 잔금이나 공사 경과 등으로 원 설계와 현장 간의 부적합이 생겼을 경우에 시정하여 작성된 도면이다. 당초 설계도에 그려 넣는 경우가 많다.[2]
- 준공도: 공사 완성 시의 완성도이다. 제작된 설계도를 이용하여 작성되며, 준공 검사나 공사 준공액(정산)의 산정 등의 기초가 된다. 제출 시 제본되어 납품되기도 한다. 구조물이 완성되어, 장래의 보수 등을 위해 완성 상태를 나타낸다.[2]
- 가설도: 공사에서 가설을 하는 데 필요한 도면이다. 평면도, 단면도, 상세도 등으로 해당 공사에서 필요에 따라 가설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제작된다. 공공 공사에서 설계 도서에 해당 공사의 가설이 수법을 지정하지 않는 임의 가설의 경우, 도급자의 입찰 견적 작성을 신속하게 할 목적으로 "참고 자료"로 첨부하기도 한다.[2]
- 토공도/토공 도면: 토공 구분표, 토공 구분도, 토공 정규도 등, 또는 단면도로 표시되기 때문에 토공 구분 횡단도, 토공 횡단도, 토공 단면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절토(굴착, 바닥 파기), 성토, 되메우기 및 법면 길이 등 적산 자료와 적산 기준에 기초한 그것들의 구분을 나타내고, 토량 계산/토공 수량 산출을 위해 제작되는 도면이다. 동시에 토공의 흐름, 절토, 성토의 이동을 알 수 있도록 토공 플로우도(토량 배분도) 등도 제작된다.[2]
- 완성형 관리도: 공사에서 기준 및 규격치에 기초하여 시공된 구조물이 발주자의 의도하는 규격 기준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시공되었는지, 그 시공 기술의 정도를 관리(완성형 관리)하기 위한 도면이다. 해당 공사 설계도를 이용하거나 전개도, 관리 도표 형식으로 제작된다.[2]
4. 3. 2. 건축 분야 도면
건축 도면은 설계자의 의도와 디자인 컨셉을 담고 있으며, 법규 준수를 증명하는 수단이 된다.[2] 건축 도면은 크게 기본 설계도와 실시 설계도로 나뉜다.기본 설계도는 건축 허가 신청에 필요한 도면으로, 다음과 같은 도면들이 있다.
도면 종류 | 설명 |
---|---|
주변 부근 조감도 | 건축 예정지가 어디인지 나타내는 도면. 부지 안내도로서 가까운 역이나 눈에 띄는 시설에서 길 안내를 포함하기도 한다. |
배치도 | 대상 부지에 건물을 어디에 지을 것인지를 나타낸 도면. 건물의 위치를 결정하는 도면으로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설정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
평면도 | 각 층별 실내 배치도. 현관, 방 배치, 출입구, 창 위치, 기둥, 가새 위치 등이 표시된다. |
입면도 | 건물을 동서남북 면에서 본 모습도.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법규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을 기입하기도 한다. |
단면도 | 건물을 절단했을 때 절단면의 모습도. 지반면과 각 층의 바닥 및 천장 높이, 처마 및 차양, 건축물 각 부분의 높이를 기입한다. |
구조 상세도(단면 상세도) | 단면도의 상세 버전. 벽, 기초, 바닥, 천장 등 구성 부재의 재질과 치수 등을 표현한다. |
구적도 | 부지, 건축 면적, 바닥 면적에 관한 구적을 나타낸 도면 |
구조도 | 지하 실이나 특수한 기초를 계획하는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건축 허가 신청에 필요하다. |
실시 설계도는 시공을 위한 상세 도면으로, 다음과 같은 도면들이 있다.
도면 종류 | 설명 |
---|---|
표지 | 공사 명칭, 도면 작성 연월일, 제작 회사명을 기입한 것. |
특기 시방서 | 도면으로 표현할 수 없는 공사에 관한 사항을 문서화한 것. 소재의 기본적인 성능이나 사양, 마감재 등에 대해 자세히 표현한다. |
마감표(내부 마감표) | 건물의 각 부분 마감재 종류, 두께, 내외부 바닥, 벽, 천장 등 마감을 표로 나타낸다. |
각 층 평면도(심선도)와 평면 상세도 | 평면도를 확대하여 세부적인 부분의 치수나 형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 |
보 부복도(기초 부복도, 바닥 부복도, 지붕 부복도/다락 부복도, 천장 부복도) | 바닥 밑이나 천장 뒤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구성이나 구조 부재를 표현한 것. |
축조도 | 시공할 건물의 각 통로 중심마다 절단하여 본 모습으로 골조를 나타낸 도면. |
창호 표 | 창호의 형태, 치수, 모습도, 마감재 등이 나타난 것. 실내에 설치되는 모든 창호를 일람표로 만든다. |
실내 전개도 | 각 방의 벽면을 그린 도면. 방 한가운데에 서서 사방의 벽을 본 상태를 표현한다. |
전기 설비도 | 전기 설비 계통, 조명, 콘센트, 스위치 등 위치를 나타낸 도면. |
공조 환기 설비도 | 공조나 환기 계통, 에어컨 등 실내기나 실외기, 환풍기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
급배수 설비도 | 화장실, 세면소, 욕실 등 급탕, 급수, 배수 급배수 계통이나 위생 설비 기기 설치 위치 등을 나타낸 도면. |
가스 설비도 | 가스 밸브 등 위치, 온수기나 가스 조리 기기, 가스 배관 계통이나 가스 관련 기기 설치 위치 등을 나타낸 도면. |
외부 구획도 | 건물의 외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문, 담, 카포트, 식재, 현관 포치나 테라스 등 위치나 형태, 재질과 높이 관계 등을 나타낸다. |
시공도 | 실제 시공 시 상세한 마무리를 고려하여 그린 도면. 골조도, 평면 상세도, 배관도, 플롯도, 할당도 등. |
배근도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내부 철근 배치를 나타낸 도면. |
4. 3. 3. 토목 분야 도면
토목 도면은 시공 중 변경을 최소화하고, 준공도에 변경 사항을 반영한다.[2]- 위치도: 구조물이 시공되는 위치를 지도에 나타낸 도면이다. 큰 구조물에서는 1/10,000 이하의 축척을 사용하기도 한다.
- 일반도: 구조물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기본 도면으로, 평면도, 측면도, 입면도(단면도)로 구성된다. 설계 조건도 함께 기입된다.
- 선형도: 도로, 철도, 하천 등 긴 구조물의 선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평면 선형도 외에 종횡 축척을 달리한 종단도도 작성된다.
- 배근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내부 철근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철근 가공 형상을 나타낸 가공도, 철근 재료 집계표도 함께 작성된다.
4. 4. 조경 분야
조경 분야에서는 조경 계획,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등에 필요한 도면을 제작한다.[2]사용되는 축척과 그에 따른 도면의 종류는 아래 표와 같다.
축척 | 용도 | 도면 종류 |
---|---|---|
1/50000 | 토지 이용 계획 등 | 지형도 등 |
1/25000 | 공원녹지 배치 계획 등 | |
1/10000 | 지역 랜드스케이프 계획 등 | |
1/3000 | 300헥타르 이상 조원, 대규모 공원이나 레크리에이션 에어리어의 기본 계획 등 | |
1/1000 | 100헥타르 정도의 조경 공간 (예: 주택 단지 등의 기본 계획도, 조성 계획 평면도 등) | |
l/500 | 30헥타르 이하의 조경 공간 (예: 도시 기강 공원의 기본 설계, 기본 계획 등) | |
l/200 | 공원의 실시 설계 계획 등 | |
1/100 | 소공원이나 도시 광장의 실시 설계 등 | |
1/50 | 정원이나 녹도 등의 실시 설계 | |
1/20 | 조경 시설의 상세도 등 | |
1/10, 1/5 | 부분 상세도 등 | |
1/1 | 원본 도 (소규모 시설 등의 검토용) |
- 더 작은 규모의 경우, 확대한 도면을 제작하기도 한다.
조경 설계에서는 기본 계획, 기본 설계, 실시 설계 단계에서 모두 평면도가 같기 때문에, 조경 계획 도면 단계에서는 마스터 플랜을 표현하는 도면 외에 "개념도"를 그린다. 개념도는 구역 설정이나 동선 계획 등을 포함하여, 형태를 만들기 전의 개념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조경 설계 도면은 아이디어와 완성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용 도면과 조경 공사 실시용 시공 도면으로 나뉜다. 프레젠테이션용 도면은 주로 설계 콩쿠르(설계 경기)나 클라이언트(시공주)에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형 기호보다 그림 표현에 가깝다. 시공 도면은 시공에 필요한 정확한 치수와 사양을 나타낸다.
조감도(Birdseye View) 등의 완성 예상도를 제작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시점의 위치를 높게 설정한 투시도의 일종으로 정원 설계에 많이 사용된다.
설계도 외에 시방서, 특기, 메이커 리스트 등도 도면 형식으로 작성하여 같은 책자에 묶어 제출하기도 하지만, 대규모 사업의 경우에는 공통 시방서를 따르기도 한다.
4. 4. 1. 도면의 종류 (조경)
조경 분야에서 사용되는 도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현황도
: 대상지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지형, 식생, 시설 등을 포함한다.
; 구상도 (에스키스)
: 설계자의 초기 아이디어를 스케치한 도면이다.
; 계획 평면도
: 설계 의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늘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표현한다.
; 위치도와 안내도
: 위치도는 대상지의 위치를, 안내도는 주변 교통망과 랜드마크를 포함하여 대상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 구적도
: 부지 면적을 계산하기 위한 도면으로, 삼각 분할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 지할도와 시설 배치도
: 지할도는 부지를 용도별로 나누는 도면이고, 시설 배치도는 시설의 위치, 형태, 규모를 나타낸다.
; 할부 평면도 (할부도)
: 돌이나 2차 제품 등의 배치, 시설 배치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
; 조성 평면도·조성 단면도
: 지반 조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절토, 성토 등을 나타낸다.
; 입단면도
: 입면도와 단면도를 결합하여 지형, 단차, 벽, 수관 등의 높이 관계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 종단도
: 가늘고 긴 부지에서 법선 등에 따른 종단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다.
; 식재도
: 식재 계획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식재 종류, 배치, 규모 등을 표시한다.
; 상세도 (detail: 디테일)
: 시설 등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 시설 구조도
: 시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평면도, 입면도, 측면도, 단면도 등을 포함한다.
; 전기 설비도·급배수 설비도 등
: 조명, 방송, 동력, 급수, 배수 등 설비 관련 도면이다.
; 외곽도
: 건축물의 외부 공간 설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식재 계획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 원도
: 정밀한 조형물 제작을 위해 설계도를 확대한 실제 크기의 도면이다.
; 변경 도면
: 설계 변경 사항을 반영하는 도면이다.
; 준공도
: 원래 설계도에 실제 시공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참조
[1]
웹사이트
Plans or Drawings Definition
https://www.lawinsid[...]
2024-11-21
[2]
PDF
公共事業での図面の種類は、建築では例えば
http://www.city.suit[...]
[3]
서적
建築家のためのランドスケープ設計資料集
鹿島出版会
1997
[4]
서적
토목 CAD
동화기술
2005
[5]
웹사이트
투상면(planes)과 투상도(views)
http://mechapi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