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바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바위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2000년 12월 15일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1면 2선의 곡선 단선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이 들어선 부지가 협소하여 출입구는 하나이며, 승강장은 지하 6층에 위치한다. 독바위역은 6호선 열차가 신내차량사업소로 입고하기 전 주박하는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불광1동, 북한산국립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구산역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이 위치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독바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독바위역 |
한자 표기 | 독바위驛 |
로마자 표기 | Dokbawi-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로 지하 129-1 (불광동 13-33)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승강장 | 1 |
선로 | 1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구조 | 지하역 |
역사 | |
개통 | 개통 |
역 정보 | |
역 번호 | 613 |
이전 역 | 연신내역 |
다음 역 | 불광역 |
열차 노선 | |
노선 정보 | left1=Sinnae via Gusan|oneway-right1=yes |
기타 정보 |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2.8 km |
기점역 | 응암역 |
승차 인원 (2015년) | 2,951명 |
승강 인원 (2015년) | 6,176명 |
출입구 정보 | |
![]()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연혁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역 ~ 상월곡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당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소속이었다.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wikitext
층 | 구조 | 시설 | 비고 |
---|---|---|---|
지상 | 출입구 | 1개소 | |
B3 (지하 3층) | 대합실 | 고객안내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역무실 위치 |
B6 (지하 6층) | 승강장 | 6호선 신내 방면 (순환선 경유) | 단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모든 열차 연신내 방향으로 운행 |
3. 1. 특징
1면 2선의 곡선 단선 승강장 형태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응암순환선 역들과 달리 구내에 1개의 유치선이 있다. 이 선로는 막차 시간대에 운행하는 독바위행 열차가 주박하는 곳으로 사용된다. 주박하는 차량은 독바위역에 종착한 후 연신내역 방향으로 출발했다가 후진하여 이 주박선로로 들어온다. 이는 6호선 차량기지가 신내차량사업소 하나뿐이어서, 차량기지와 정반대 위치에 열차를 주박시켜 첫차와 막차 운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역이 들어선 부지가 매우 좁아 출입구는 하나뿐이며, 출입구에서 승강장까지 나선형으로 돌아서 내려가는 구조이다. 승강장은 지하 6층에 있으며, 역무실은 지하 3층에 위치한다.
독바위역 승강장은 곡선 구간으로 많이 휘어져 있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매우 넓으므로, 승하차 시 주의가 필요하다.

3. 2. 승강장
1면 1선의 곡선 단선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응암순환선의 다른 역들과 달리 구내에 유치선 1개가 있는데, 이 선로는 막차 시간대에 운행하는 독바위행 6호선 열차가 다음 날 첫차 운행을 위해 밤샘 주박하는 곳이다. 주박하는 열차는 독바위역에 종착한 후 연신내역 방향으로 잠시 이동했다가 후진하여 이 주박선으로 들어간다. 이는 6호선의 차량기지가 신내차량사업소 하나뿐이어서, 차량기지와 정반대 위치에 열차를 미리 배치하여 첫차와 막차를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한 조치이다.역이 들어선 부지가 매우 협소하여 출입구는 1개뿐이며, 출입구에서 승강장까지 나선형으로 내려가는 구조이다. 승강장은 지하 6층 깊이에 있으며, 역무실은 지하 3층에 위치한다.
승강장이 곡선 형태로 크게 휘어져 있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은 편이므로, 열차를 타고 내릴 때 발 빠짐에 주의해야 한다.
모든 열차는 응암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효창공원앞역, 신내역 방면으로 운행하며, 연신내역 방향으로만 진행한다. 반대 방향인 불광역으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없다.
층 | 구조 | 시설 |
---|---|---|
지상 | 출구 | |
B3 (지하 3층) | 대합실 | 역무실, 고객안내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B6 (지하 6층) | 승강장 | 6호선 신내 방면 (순환선 경유) |
4. 역 주변
'''1번 출구'''
- 불광1동
- 불광1치안센터
- 불광초등학교
- 불광중학교
-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 서쪽에 위치하며, 입장료를 지불하는 등산로 입구까지는 출입구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이다.
- 연천초등학교
- 수리초등학교
- 은혜초등학교
- 연신내우체국
-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불광점
- 북한산 힐스테이트 3차
- 팀비전센터
5. 이용객 변동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1,977 | 2,424 | 2,704 | 2,843 | 2,864 | 2,839 | 2,675 | 2,143 | 2,133 | 2,211 | [5] |
하차 | 2,052 | 2,463 | 2,823 | 3,081 | 3,209 | 3,236 | 2,970 | 2,518 | 2,501 | 2,601 | ||
승하차 | 4,029 | 4,887 | 5,527 | 5,924 | 6,073 | 6,075 | 5,645 | 4,662 | 4,634 | 4,812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2,339 | 2,882 | 2,884 | 2,946 | 2,963 | 2,951 | 2,967 | 2,969 | |||
하차 | 2,729 | 3,257 | 3,253 | 3,293 | 3,302 | 3,225 | 3,195 | 3,184 | ||||
승하차 | 5,068 | 6,139 | 6,137 | 6,240 | 6,266 | 6,176 | 6,162 | 6,153 |
6. 인접한 역
wikitext
서울 지하철 6호선 | ||
---|---|---|
응암 순환 방면 | 신내 방면 | |
불광역 | 독바위역 | 연신내역 |
612 | 613 | 614 |
참조
[1]
웹사이트
독바위역
https://terms.naver.[...]
Doopedia
2019-08-05
[2]
웹사이트
Search: Dokbawi
http://seoulmetro.co[...]
Seoul Metro
2019-08-05
[3]
웹사이트
독바위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19-08-05
[4]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