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광역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6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1985년 7월 12일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0년 12월 15일 6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3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6호선은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NC백화점 불광점, CGV 불광, 대조시장 등 다양한 편의 시설과 상업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구산역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이 위치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불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역명 | 불광역 |
한자 역명 | 佛光驛 |
로마자 표기 | Bulgwangn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 13-10, 통일로 지하 723-1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3 |
선로 | 3 |
3호선 정보 | |
노선 | 3호선 |
역 번호 | 322 |
개업일 | 1985년 7월 12일 |
이전 역 | 연신내 |
다음 역 | 녹번 |
6호선 정보 | |
노선 | 6호선 |
역 번호 | 612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이전 역 | 역촌 |
다음 역 | 독바위 |
승강장 구조 | |
3호선 | 2면 2선 (상대식) |
6호선 | 1면 1선 (단선) |
통계 정보 | |
승차 인원 (2015년) | 25,306명 |
승하차 인원 (2015년) | 52,053명 |
기타 정보 | |
3호선 단말기 코드 | 0312 |
6호선 단말기 코드 | 2613 |
3호선 영업 거리 (대화역 기점) | 24.1 km |
6호선 영업 거리 (응암역 기점) | 1.9 km |
3호선 이전 역 거리 | 1.3 km |
3호선 다음 역 거리 | 1.1 km |
6호선 이전 역 거리 | 0.8 km |
6호선 다음 역 거리 | 0.9 km |
비고 |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 3호선의 기점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의 기점이다. |
2. 역사
2005년 1월 1일 운영 주체인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이름을 바꾸었다.
2. 1. 3호선
1983년 9월 13일에 '''불광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5]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 ~ 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2. 2.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3. 역 구조
3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6호선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두 노선 모두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9개가 마련되어 있다.
3호선 승강장의 경우, 반대 방향으로 직접 횡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6호선 환승 통로를 거쳐야 한다. 6호선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거나, 3호선에서 독바위역 방향 6호선으로 환승할 때 불광역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3. 1. 3호선 승강장
3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지하 2층에 위치하며, 안전을 위해 풀스크린 타입의 홈도어 시스템이 적용되었다.[1][2]이 역의 3호선 승강장은 반대 방향으로의 직접적인 횡단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하려면 6호선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승강장 북쪽 끝에는 6호선으로 연결되는 환승 통로가 있어, 개찰구를 통과하지 않고도 환승이 가능하다.[2]
안내상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2]
3. 2. 6호선 승강장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하며, 열차 진행 방향 왼쪽 문이 열린다.승강장 동쪽(독바위역 방면)에는 3호선 상행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고, 서쪽(역촌역 방면)에는 3호선 하행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다. 이 통로들을 통해 개찰구를 거치지 않고 환승할 수 있으며, 지하 1층 대합실로도 이동할 수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4. 역 주변
불광역 주변은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이 혼재되어 다양한 편의 시설과 공공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역 인근에는 NC백화점 불광점과 CGV 불광이 위치하며, 길 건너편에는 대조시장이 있어 쇼핑과 문화생활을 즐기기에 편리하다. 또한 서울혁신파크, 서울기록원,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등 여러 기관이 들어서 있으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여 주거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4. 1. 주요 시설
- 국민건강보험공단 은평지사
- 국민연금공단 서대문은평지사
- 구기터널
- KT 은평지사
- 녹번동
- 녹번지구대
- 녹번초등학교
- NC백화점 불광점 (킴스클럽 포함)
- 대은초등학교
- 대조동
- 대조동우체국
- 대조시장
- 대조치안센터
- 독박골힐스테이트, 레미안 아파트
- 동명여자고등학교 /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 불광1동
- 불광1동주민센터
- 불광롯데캐슬아파트
- 불광사
- 불광시장
- 불광우체국
- 불광초등학교
- 서울기록원
-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 서울혁신파크
- 식품의약품안전처
- CJ CGV 불광
- 은평구청 방면
- 은평문화예술회관
- 은평여성인력개발센터
- 은평초등학교
- 한국관광공사 관광인력개발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전력공사 서대문은평지사
- 한국전력공사 은평변전소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한국행정연구원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현대힐스테이트아파트
5. 이용객 변동
6호선이 2000년 12월 15일에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개통 이후 3호선 이용객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6호선 이용객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19,975 | 17,498 | 17,438 | 17,322 | 17,889 | 18,130 | 17,964 | 18,277 | 18,262 | 18,667 | [6] |
하차 | 18,132 | 16,361 | 16,585 | 16,573 | 17,451 | 18,475 | 18,593 | 19,205 | 19,444 | 19,922 | ||
승하차 | 38,108 | 33,859 | 34,023 | 33,895 | 35,340 | 36,604 | 36,557 | 37,482 | 37,706 | 38,589 | ||
6호선 | 승차 | 2,402 | 2,298 | 2,591 | 2,805 | 2,918 | 3,451 | 3,633 | 3,984 | 4,251 | 4,521 | [7] |
하차 | 1,734 | 1,975 | 2,258 | 2,499 | 2,624 | 3,169 | 3,349 | 3,607 | 3,912 | 4,009 | ||
승하차 | 4,136 | 4,273 | 4,849 | 5,303 | 5,543 | 6,620 | 6,983 | 7,591 | 8,163 | 8,53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3호선 | 승차 | 18,802 | 18,791 | 18,640 | 19,228 | 19,726 | 19,532 | 19,982 | 19,607 | 19,276 | ||
하차 | 20,124 | 20,074 | 20,237 | 20,964 | 21,597 | 21,257 | 21,747 | 21,410 | 21,140 | |||
승하차 | 38,926 | 38,865 | 38,877 | 40,192 | 41,324 | 40,790 | 41,729 | 41,017 | 40,416 | |||
6호선 | 승차 | 4,830 | 4,950 | 5,224 | 5,454 | 5,743 | 5,774 | 5,856 | 5,724 | 5,635 | ||
하차 | 4,189 | 4,470 | 5,000 | 5,270 | 5,487 | 5,488 | 5,563 | 5,474 | 5,400 | |||
승하차 | 9,019 | 9,420 | 10,224 | 10,725 | 11,230 | 11,262 | 11,419 | 11,198 | 11,035 |
-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3호선은 대화 방면 연신내역과 오금 방면 녹번역 사이에 있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응암 순환 방면 역촌역과 신내 방면 독바위역 사이에 있다.
6. 1. 서울 지하철 3호선
(대화 방면)321
322
(오금 방면)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