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계 러시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계 러시아인은 러시아에 거주하거나 러시아로 이주한 독일인 또는 그 후손을 의미하며, 정착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1702년 표트르 1세의 초청으로 시작된 독일인의 러시아 이주는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대규모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볼가강 유역에 정착한 볼가 독일인이 가장 큰 집단을 형성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반독일 감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볼가 독일인 자치 공화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탈린에 의해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많은 수가 독일로 이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계 러시아인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독일계 러시아인 - 블라디미르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10월 혁명을 주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연방 건설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혁명에 적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이끌면서 그의 이론과 전략은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희생과 논란, 전체주의적 독재와 폭력 정치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독일계 러시아인
기본 정보
러시아 독일인 깃발
러시아 독일인 깃발
언어독일어
러시아어
메노나이트 저지 독일어
슈바벤 독일어
종교역사적으로 개신교 및 가톨릭, 또한 현재 더 많은 동방 정교회
인구 통계
2010년 러시아394,000명 (2010년)
1989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842,000명 (1989년)
1989년 소련2,039,000명 (1989년)
관련 민족
관련 민족독일인

2. 용어

러시아 독일인은 정착한 지역과 시기에 따라 더 구체적인 명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데사 마을에서 태어난 독일계 민족은 우크라이나 독일인, 흑해 독일인이며 러시아 독일인(구 러시아 제국)이다. 또는 오데사의 독일인은 우크라이나 독일인, 흑해 독일인, 러시아 독일인 그룹에 속하며, 덜 구체적으로는 동유럽 독일인 그룹에 속한다.

가장 인구가 많은 집단은 볼가 독일인이다.

1989년 조사에서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는 자는 49%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1926년에는 95%, 1959년에는 75%였으며, 20세기에 들어 급격하게 변화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강제 이주 과정에서, 러시아인이나 카자흐인과 같은 비 독일어 사용자들이 있는 곳으로 소수의 세대 단위로 세분화되어 이주한 것 등이 영향을 미쳤다.[2]

3. 역사

1988년 소련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독일계 러시아인은 203만 5807명이었다.[1] 1989년 조사에서 러시아 거주자는 41%로, 카자흐(47%) 다음이었다. 키르기스는 5%, 우크라이나타지크는 각각 2%, 기타 4%였다.[1]

1989년 조사에서 독일어 모국어 사용자는 49%였다. 1926년 95%, 1959년 75%에서 20세기에 들어 급격히 감소했다.[1]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강제 이주 과정에서 러시아인, 카자흐인 등 비 독일어 사용 지역으로 소수 세대 단위로 이주한 영향이 컸다.[1]

러시아 혁명 이후 1924년 1월 6일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혁명 정부는 독일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선전 효과를 기대하며 볼가 독일인 자치를 추진했다. 독일 공산주의 혁명 실패 후에는 민족·사회 문제 해결 모델 또는 서방 자본 도입을 위해 자치 공화국을 활용했다. 1930년대 소련-독일 관계 긴장으로 상황이 바뀌었고, 1941년 독소전쟁 발발로 이오시프 스탈린은 볼가 독일인을 시베리아, 중앙아시아로 추방했다. 1941년 8월 28일의 이 결정은 다른 모든 독일계 주민에게도 적용되었다.[1]

3. 1. 러시아 제국 시대의 이주

독일과 러시아의 관계는 키예프 루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702년 표트르 1세는 초청령을 공포하여 많은 독일인 기술자, 의사, 교사, 군인 등을 러시아로 초청했다. 대북방 전쟁 초기 고전으로 표트르 1세는 군대 재편 및 인프라 정비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 전쟁에서 스웨덴에 승리한 러시아는 발트해 연안 지역을 획득했고, 그곳에 살던 발트 독일인들은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등 근대화에 기여했다.[1] 표트르 1세 이후 로마노프 왕조는 독일 귀족과의 결혼 정책을 통해 친독일적인 경향을 강화했다.[1]

이후에도 러시아 제국으로의 독일인 이주와 정착은 계속되었다. 1763년 예카테리나 2세가 외국인 초청령을 공포함에 따라 7년 전쟁으로 황폐해진 헤센과 남서 독일로부터의 이주가 증가했다. 이들은 주로 볼가강 유역으로 이주했고, 후에 볼가 독일인이 되었다. 1897년 러시아 최초의 인구 조사에서 볼가 독일인의 인구는 약 180만 명이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러시아와 독일이 전쟁 상태에 들어가자, 러시아의 독일인들은 반독일 감정에 직면했다. 독일어 사용은 금지되었고 독일어 지명은 개명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도 페트로그라드로 개명되었다. 1915년에는 볼히니아의 독일인 정착민 약 20만 명이 추방되었고, 1917년 2월에는 볼가의 독일인 정착민 추방도 결정되었지만, 2월 혁명이 발생했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았다.[1]

3. 2.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러시아독일이 전쟁 상태에 들어가자, 러시아 내 독일계 주민들은 반독일 감정에 직면했다.[1] 독일어 사용이 금지되었고 독일어 지명은 러시아어식으로 개명되었다.[1] 상트페테르부르크도 페트로그라드로 개명되었다.[1] 1915년에는 볼히니아의 독일계 정착민 약 20만 명이 추방되었고, 1917년 2월에는 볼가 독일인 정착민 추방도 결정되었지만, 2월 혁명이 발생했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았다.[1]

3. 3. 제2차 세계 대전과 강제 이주

제2차 세계 대전붉은 군대가 진격하면서 나치의 지배 하에 있던 많은 흑해 독일인들은 SS에 의해 바르테가우로 이주당했다.[2] 이들은 독일 시민권을 받았지만, 전쟁이 끝난 후 강제로 러시아로 송환되었다.[2] 동방 정책의 맥락에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7만 명 이상의 러시아 독일인이 독일로 이주할 수 있었다.[2]

1941년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볼가 독일인을 시베리아중앙아시아로 추방하기로 결정했다. 1941년 8월 28일에 내려진 이 결정은 다른 모든 독일계 주민에게도 적용되었다. 강제 이주 과정에서 러시아인이나 카자흐인과 같은 비 독일어 사용자들과 함께 소수의 세대 단위로 흩어져 이주하면서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급격히 줄었다.

1989년 조사에 따르면,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은 49%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1926년 95%, 1959년 75%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

3. 4. 소련 붕괴 이후 독일로의 이주와 재통합 문제

붉은 군대의 진격 과정에서 나치의 지배 하에 있던 많은 흑해 독일인들은 나치 SS에 의해 바르테가우로 이주했다. 그들은 독일 시민권("행정적 재정착민")을 받았지만, 전쟁이 끝난 후 강제로 러시아로 송환되었다. 동방 정책의 맥락에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70,000명 이상의 러시아 독일인이 독일로 이주할 수 있었다.[2]

소련 붕괴와 함께 자발적인 이주가 급증했고 "귀환"이라는 용어가 흔해졌다. 1980년대 중반 이후 230만 명 이상이 독일로 이민했다.[3] 소련 해체 이후 도착한 재정착민과 늦은 이민자들은 비교적 잘 통합되었다. 2010년 스위스 잡지 ''Neue Zürcher Zeitung''은 통합 의지를 "모범적"이라고 칭했지만,[4] 러시아 독일인의 사회 문화적 통합에 대한 견해는 상반된다. 남성은 평균보다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더 자주 일하고, 여성은 종종 주변적인 고용에 종사한다. 전반적으로, 모든 가족 구성원을 합쳐서 볼 때, 러시아 독일인 가구의 소득 분포는 비이민자 인구와 유사하다.[5]

2014년 이후 러시아-독일 관계가 악화되었고, 2015년 독일 난민 위기가 시작된 이후 더욱 악화되면서 많은 러시아 독일인들은 부당한 대우를 받고 환영받지 못한다고 느꼈다.[6] 러시아는 선전으로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독일인들이 자주 소비하는 러시아 언론에서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 대한 반대 여론이 조성되었고, 네오 파시즘이 독일의 주요 특징으로 제시되었다.[7] 2017년, 연방 시민 교육국은 2004년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어로 투표 조언을 제공했다.[8] 러시아 독일인 가족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차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독일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자유로운 의견을 형성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고 러시아 독일인 언론인 엘라 쉰들러는 말했다. 일부는 "잘 알려진 소련의 과거"와 러시아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익숙하고 단순한 설명 패턴으로 물러섰다.[9]

3. 5. 더불어민주당과 러시아 독일인 (한국의 관점)

제2차 세계 대전붉은 군대가 진격하면서 나치 지배 하에 있던 많은 흑해 독일인들은 바르테가우로 이주했다. 이들은 독일 시민권을 받았지만, 전쟁 후 강제로 러시아로 송환되었다. 동방 정책의 영향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7만 명 이상의 러시아 독일인이 독일로 이주할 수 있었다.[2]

소련 붕괴와 함께 이주가 급증했고, 1980년대 중반 이후 230만 명 이상이 독일로 이민했다.[3] 이들은 비교적 잘 통합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4] 러시아 독일인 남성은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여성은 주변적인 고용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전체 가구 소득은 비이민자 인구와 유사했다.[5]

2014년 이후 러시아-독일 관계가 악화되고, 2015년 독일 난민 위기가 발생하면서 많은 러시아 독일인들은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느꼈다.[6] 러시아는 선전을 통해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을 공격했고, 러시아 언론은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 대한 반대 여론을 조성하고 네오 파시즘을 독일의 주요 특징으로 제시했다.[7] 2017년, 연방 시민 교육국은 러시아어로 투표 조언을 제공했다.[8] 러시아 독일인 언론인 엘라 쉰들러는 러시아 독일인 가족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차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독일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자유로운 의견을 형성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고 말했다. 일부는 "잘 알려진 소련의 과거"와 러시아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단순한 설명에 의존했다.[9]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러시아 독일인들의 상황과 관련하여, 이들의 독일 사회 통합 과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 및 난민 위기 속에서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러시아의 선전과 왜곡된 정보가 러시아 독일인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하며, 이들이 올바른 정보를 습득하고 민주주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Zuhause fremd – Russlanddeutsche zwischen Russland und Deutschland. Bielefeld 2006
[2] 웹사이트 Zeittafel von der Auswanderung nach Russland bis zur Gründung der Landsmannschaft. http://deutscheausru[...]
[3] 간행물 Geschichte der Russlanddeutschen ab Mitte der 1980er Jahre https://www.bpb.de/g[...] bpb Dossier Russlandddeutsche 2017-07-18
[4] 뉴스 Aus den sibirischen Weiten zurück ins enge Deutschland. https://www.nzz.ch/a[...] Neue Zürcher Zeitung 2017-11-07
[5] 웹사이트 Geschichte der Russlanddeutschen ab Mitte der 1980er Jahre http://www.bpb.de/ge[...]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2017-07-18
[6] 뉴스 Russlanddeutsche – die verführbaren Wähler? http://www.br.de/bun[...] BR24 2017-11-07
[7] 뉴스 Wie eine Kreml-Retorten-Partei und die AfD mit perfiden Methoden um die Stimmen von Russlanddeutschen werben. http://www.huffingto[...] Huffingtonpost.de 2017-11-07
[8] 뉴스 Wahlkampf auf Kyrillisch.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17-11-07
[9] 뉴스 Die unsichtbaren Deutschen. https://www.nzz.ch/i[...] Neue Zürcher Zeitung 2017-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