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뒤처진 퍼텐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처진 퍼텐셜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원천인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가 시간에 따라 변할 때, 소스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의 퍼텐셜이 과거의 전하 및 전류 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현상을 설명한다. 이는 정보 전달 속도가 빛의 속도로 제한된다는 상대성 이론의 영향을 반영한다.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거나, 움직이는 점전하가 있는 경우 로렌츠 게이지 조건 하에서 스칼라 및 벡터 퍼텐셜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퍼텐셜은 맥스웰 방정식을 사용하여 유도되며, 시간 의존적 또는 시간 독립적인 전자기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뒤처진 퍼텐셜은 휠러-파인만 흡수체 이론, 중력, 그리고 우주의 가속 팽창과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텐셜 - 전위
    전위는 전기장 내 단위 전하의 위치 에너지로, 정전기학에서는 기준점에 따라 정의되며 전위차만이 의미를 갖고, 전기장의 음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전기 공학에서는 회로 해석에 활용된다.
  • 퍼텐셜 - 리에나르-비헤르트 퍼텐셜
    리에나르-비헤르트 퍼텐셜은 운동하는 점전하가 속도와 가속도를 고려하여 생성하는 전자기 퍼텐셜을 기술하는 공식으로, 전자기 복사 효과를 포함하여 전자기장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고전 전자기학과 상대성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양자역학적 영역에서는 한계를 보인다.
  • 전자기학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전자기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뒤처진 퍼텐셜
일반 정보
이름뒤처진 퍼텐셜
영어 이름Retarded potential
일본어 이름遅延ポテンシャル (Chien Potensharu)
설명전자기파의 전파 지연을 고려한 전자기 퍼텐셜
정의
스칼라 퍼텐셜 (Φ)Φ(r, t) = 1 / (4πε₀) ∫ [ρ(r', tᵣ) / |r - r'|] d³r'
벡터 퍼텐셜 (A)A(r, t) = μ₀ / (4π) ∫ [J(r', tᵣ) / |r - r'|] d³r'
여기서r: 관측 위치 벡터
t: 관측 시간
r': 전하 또는 전류 요소의 위치 벡터
tᵣ: 뒤처진 시간 (retarded time), tᵣ = t - |r - r'| / c
c: 광속
ρ(r', tᵣ): 시간 tᵣ에서의 전하 밀도
J(r', tᵣ): 시간 tᵣ에서의 전류 밀도
ε₀: 진공 유전율
μ₀: 진공 투자율
물리적 의미
설명전자기장이 빛의 속도로 전파되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 전자기 퍼텐셜은 현재 시간이 아닌 과거 시간의 전하 및 전류 분포에 의해 결정됨.
뒤처진 퍼텐셜은 이러한 시간 지연 효과를 고려하여 계산된 퍼텐셜임.
활용
응용 분야안테나 이론
방사 전자기장 계산
전하의 가속 운동에 의한 전자기파 방사 분석
관련 개념
관련 개념리에나르-비헤르트 퍼텐셜
관련 개념예피멘코 방정식

2. 정의

전기장자기장이 생성되는 원천(source)인 전하 밀도전류 밀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소스에서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서 퍼텐셜은 그 순간의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에 따라 결정된다.[13] 이는 원천의 상태를 내포한 정보가 전달될 때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며, 상대성 이론에서 정보 전달의 속도가 빛의 속도로 유한하다는 원리를 반영한 것이다.[14]

전자기장은 빛의 속도로 전파되는데, 빛의 속도는 유한하므로 과거에 발생한 원인(전류, 전하 분포)과 그로 인해 미래에 일어날 결과(전자기파 관측)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2. 1. 연속적 분포의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의 뒤처진 퍼텐셜

전하 밀도전류 밀도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경우, 로렌츠 게이지 조건 아래에서 뒤처진 스칼라 퍼텐셜 V와 뒤처진 벡터 퍼텐셜 \mathbf A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

:V(\mathbf{r}, t) = \frac{1}{4 \pi \epsilon_0} \int \frac{\rho(\mathbf{r'},t_r)}

d^3\mathbf r'

:\mathbf{A}(\mathbf{r}, t) = \frac{\mu_0}{4 \pi} \int \frac{\mathbf{J}(\mathbf{r'},t_r)}

d^3\mathbf r'

:t_r = t -\frac

{c}

여기서 \mathbf{r'}은 원점과 원천 사이의 거리이고, t_r은 '''뒤처진 시간'''(retarded time영어)이다.

2. 2. 움직이는 점전하의 뒤처진 퍼텐셜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점전하가 움직이며 원천 역할을 하는 경우 로렌츠 게이지 조건 아래에서 뒤처진 스칼라 퍼텐셜V와 뒤처진 벡터 퍼텐셜\mathbf A는 다음과 같다.[46][47]

:V(\mathbf r,t) = \frac1{4\pi\epsilon_0}\frac{q}{|\mathbf{r-r'}| - (\mathbf{r-r'})\cdot \mathbf v/c}

:\mathbf A(\mathbf r,t) = \frac{\mu_0}{4\pi}\frac{q\mathbf v}

3. 로렌츠 게이지

전기장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하 밀도전류 밀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 멀리 떨어진 곳의 퍼텐셜은 과거의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상대성 이론에서 정보 전달 속도가 빛의 속도로 유한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계산에 사용된 위치 벡터 '''r''' 및 '''r′'''


로렌츠 게이지를 이용한 맥스웰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2]

: \Box \varphi = \dfrac{\rho}{\epsilon_0} \,,\quad \Box \mathbf{A} = \mu_0\mathbf{J}

여기서 φ('''r''', ''t'')는 전기 전위이고, '''A'''('''r''', ''t'')는 전하 밀도 ρ('''r''', ''t'') 및 전류 밀도 '''J'''('''r''', ''t'')에 대한 자기 벡터 전위이며, \Box달랑베르 연산자이다.

3. 1. 시간 의존적인 장

전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 뒤처진 퍼텐셜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3][4]

: \mathrm\varphi (\mathbf r , t) = \frac{1}{4\pi\epsilon_0}\int \frac{\rho (\mathbf r' , t_r)}

\, \mathrm{d}^3\mathbf r'

:\mathbf A (\mathbf r , t) = \frac{\mu_0}{4\pi}\int \frac{\mathbf J (\mathbf r' , t_r)}

\, \mathrm{d}^3\mathbf r'\,.

여기서 '''r'''은 공간상의 위치 벡터이고, ''t''는 시간이며,

:t_r = t-\frac

{c}

는 지연 시간이고, d3'''r''''는 '''r'''을 사용하는 적분 측도이다.

φ('''r''', t)와 '''A'''('''r''', ''t'')로부터, 장 '''E'''('''r''', ''t'')와 '''B'''('''r''', ''t'')는 퍼텐셜의 정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mathbf{E} = \nabla\varphi +\frac{\partial\mathbf{A}}{\partial t}\,,\quad \mathbf{B}=\nabla\times\mathbf A\,.

이것은 제피멘코 방정식으로 이어진다.

지연 퍼텐셜[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는 진공에서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r},t) =

\dfrac{\mu_0}{4\pi} \int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ret}})}

\cdot\mathrm{d} \boldsymbol{s}



:

\varphi_{\mathrm{ret}}(\boldsymbol{r},t) =

\dfrac{1}{4\pi \epsilon_0} \int \dfrac{\rho(\boldsymbol{s},{t}_{\mathrm{ret}})}

\mathrm{d} \boldsymbol{s}



여기서 d''s''는 미소 체적 요소를 나타낸다. tret는 지연 시간을 나타내며,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t_{\mathrm{ret}}:= t - \frac

{c}

전자기장은 빛의 속도

c

로 전파된다. 빛의 속도는 유한한 속도이므로, 과거에 발생한 원인 (전류, 전하 분포)과 그로 인해 미래에 일어날 결과 (전자기파 관측)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지연 시간은 이 시간 지연을 표현하고 있다.

지연 퍼텐셜에 대하여,

:\boldsymbol{B}=\operatorname{rot}\boldsymbol{A}

:\boldsymbol{E}=-\frac{\partial \boldsymbol{A}}{\partial t}-\operatorname{grad}[\phi]

를 통해 제피멘코 방정식[26][20][19][25]을 유도할 수 있다.

3. 2. 시간 독립적인 장



로렌츠 게이지를 사용한 맥스웰 방정식에서 시작한다.[2]

전자기장이 시간에 무관한 경우(정전기장과 정자장)에는 달랑베르 연산자 내 시간 미분은 0이 되며, 맥스웰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 \nabla^2 \varphi =-\dfrac{\rho}{\epsilon_0}\,,\quad \nabla^2 \mathbf{A} =- \mu_0 \mathbf{J}\,,

여기서 ∇2은 라플라시안이며, 네 성분(φ 하나와 '''A''' 세 개)에서 푸아송 방정식의 형태를 취하고, 해는 다음과 같다.

: \mathrm\varphi (\mathbf{r}) = \frac{1}{4\pi\epsilon_0}\int \frac{\rho (\mathbf r' )}

\, \mathrm{d}^3\mathbf r'

:\mathbf A (\mathbf{r}) = \frac{\mu_0}{4\pi}\int \frac{\mathbf J (\mathbf r' )}

\, \mathrm{d}^3\mathbf r'\,.

이들은 지연 퍼텐셜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된다.

4. 쿨롱 게이지

쿨롱 게이지에서, 맥스웰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5]

:\nabla^2 \varphi = -\dfrac{\rho}{\epsilon_0}

:\nabla^2 \mathbf{A} - \dfrac{1}{c^2}\dfrac{\partial^2 \mathbf{A}}{\partial t^2} = - \mu_0 \mathbf{J} +\dfrac{1}{c^2}\nabla\left(\dfrac{\partial \varphi}{\partial t}\right)

비록 해는 위와 대조적이지만, '''A'''는 뒤처진 퍼텐셜이고 φ는 다음과 같이 ''순식간에'' 변한다.

:\varphi(\mathbf{r}, t) = \dfrac{1}{4\pi\epsilon_0} \int \dfrac{\rho(\mathbf{r}', t)}

\mathrm{d}^3 \mathbf{r}'

:\mathbf{A}(\mathbf{r}, t) = \dfrac{1}{4\pi \varepsilon_0} \nabla \times \int \mathrm{d}^3 \mathbf{r'} \int_0^{|\mathbf{r} - \mathbf{r}'| / c} \mathrm{d} t_r \dfrac{t_r \mathbf{J}(\mathbf{r}', t - t_r)}{|\mathbf{r} - \mathbf{r}'|^3} \times (\mathbf{r} - \mathbf{r}')

이것은 쿨롱 게이지의 장점과 단점을 나타낸다. 즉, φ는 전하 분포 ρ로부터 쉽게 계산할 수 있지만, '''A'''는 전류 분포 '''j'''로부터 그렇게 쉽게 계산할 수 없다. 그러나, 전위가 무한대에서 사라진다고 요구한다면, 다음과 같이 장의 관점에서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다.

:\varphi(\mathbf{r}, t) = \dfrac{1}{4\pi} \int \dfrac{\nabla \cdot \mathbf{E}(\mathbf{r}', t)}

\mathrm{d}^3 \mathbf{r}'

:\mathbf{A}(\mathbf{r}, t) = \dfrac{1}{4\pi} \int \dfrac{\nabla \times \mathbf{B}(\mathbf{r}', t)}

\mathrm{d}^3 \mathbf{r}'

5. 선형화된 중력

선형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뒤처진 퍼텐셜은 전자기학의 경우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난다. 트레이스 반전 텐서 \tilde h_{\mu\nu} = h_{\mu\nu} - \frac 1 2 \eta_{\mu\nu} h는 4-벡터 퍼텐셜의 역할을 하며, 조화 게이지 \tilde h^{\mu\nu}{}_{,\mu} = 0는 전자기적 로렌츠 게이지를 대체하고, 장 방정식은 \Box \tilde h_{\mu\nu} = -16\pi G T_{\mu\nu}이며, 뒤처진 파동 해는 다음과 같다.[6]

:\tilde h_{\mu\nu}(\mathbf r, t) = 4 G \int \frac{T_{\mu\nu}(\mathbf r', t_r)}

\mathrm d^3 \mathbf r'.

SI 단위를 사용하면, 차원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이 식은 c^4로 나누어야 한다.

6. 발생 및 응용

휠러-파인만 흡수체 이론(휠러-파인만 시간 대칭 이론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은 뒤처진 퍼텐셜과 진보된 포텐셜의 평균을 사용한다.

중력에서 이 이론은 인공위성, 달, 행성 궤도 편차 계산에 응용된다.[7][8][9] 또한, 100개 이상의 나선 은하 회전 곡선 이상 현상(여러 유형의)을 설명하는데,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SPARC (Spitzer Photometry and Accurate Rotation Curves) 은하 컬렉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암흑 물질 가정이나 일반 상대성 이론 수정 없이 관측 결과가 설명 가능하다.[10] 더 큰 규모에서 지연 중력 포텐셜은 가속 팽창 같은 결과를 낳으며, 이는 질량 밀도가 증가된 암흑 물질 외곽 껍질과 멀리 떨어진 천문학적 물체의 강한 중력 적색 편이를 가진 등방성이지만 균질하지 않은 우주로 이어진다.[11]

7. 예시

전하가 직선 상에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 때의 전위는 최근 위치의 점에 대해 점 대칭을 이룬다. 전위는 운동 방향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12]

8. 맥스웰 방정식으로부터 지연 포텐셜 유도 (일본어판 보충)

retarded potential영어[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는 의 해 중 하나로,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r},t) =

\dfrac{\mu_0}{4\pi} \int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ret}})}

\cdot\mathrm{d} \boldsymbol{s}



:

\varphi_{\mathrm{ret}}(\boldsymbol{r},t) =

\dfrac{1}{4\pi \epsilon_0} \int \dfrac{\rho(\boldsymbol{s},{t}_{\mathrm{ret}})}

\mathrm{d} \boldsymbol{s}



여기서 d''s''는 미소 체적 요소이고, tret는 지연 시간으로, t_{\mathrm{ret}}:= t - \frac

{c}와 같이 주어진다. 전자기장은 유한한 속도인 빛의 속도c로 전파되므로, 과거의 전류 및 전하 분포(원인)와 그로 인한 미래의 전자기파 관측(결과)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지연 시간은 이러한 시간 지연을 나타낸다.

지연 퍼텐셜에 대해 다음 식을 적용하면,

:\boldsymbol{B}=\operatorname{rot}\boldsymbol{A}

:\boldsymbol{E}=-\frac{\partial \boldsymbol{A}}{\partial t}-\operatorname{grad}[\phi]

제피멘코 방정식[26][20][19][25]을 유도할 수 있다.

:\boldsymbol{B}(\boldsymbol{r}, t)

= \frac{\mu_0}{4\pi}

{\int}_{\boldsymbol{s}\in\mathbb{R}^{3}}

\left(

\frac{

\boldsymbol{i}(\boldsymbol{s}, {t}_{\mathrm{ret}})}{|\boldsymbol{r}-\boldsymbol{s}|^3}

+ \frac{1}{|\boldsymbol{r}-\boldsymbol{s}|^2 c}\frac{\partial

\boldsymbol{i}(\boldsymbol{s}, {t}_{\mathrm{ret}})}{\partial t}

\right) \times (\boldsymbol{r}-\boldsymbol{s}) \mathrm{d}^3 \boldsymbol{s}

:\boldsymbol{E}(\boldsymbol{r}, t) =

\frac{1}{4\pi \epsilon_0}

{\int}_{\boldsymbol{s}\in\mathbb{R}^{3}}

\left(

\left(

\frac{\rho(\boldsymbol{s}, {t}_{\mathrm{ret}})}{|\boldsymbol{r}-\boldsymbol{s}|^3}

+ \frac{1}{|\boldsymbol{r}-\boldsymbol{s}|^2 c}

\frac{\partial \rho(\boldsymbol{s}, {t}_{\mathrm{ret}})}{\partial t}

\right)

(\boldsymbol{r}-\boldsymbol{s})

\right)

  • \frac{1}{|\boldsymbol{r}-\boldsymbol{s}| c^2}\frac{\partial \boldsymbol{i}(\boldsymbol{s}, {t}_{\mathrm{ret}})}{\partial t}

\right)

\mathrm{d}^3 \boldsymbol{s}

이 방정식들은 일반적인 맥스웰 방정식의 해가 된다. 여기서 \mathbb{R}^{n}는 n차원 실수 수 벡터 공간을 의미한다.

자기 벡터 포텐셜에 대한 지연 퍼텐셜 유도는 다음 단계를 따른다.

  • '''STEP1''': 포텐셜 형식의 맥스웰 방정식을 푸리에 변환한다.
  • '''STEP2''': 그린 함수가 따르는 방정식을 유도한다.
  • '''STEP3''': STEP2에서 얻은 방정식의 공간 성분에 구면 좌표 변환을 적용하여 등방성(구칭성)을 고려한다.
  • '''STEP4''': 그린 함수를 구한다.
  • '''STEP5''': 해의 푸리에 역변환을 수행한다.
  • '''STEP6''': 해의 푸리에 역변환을 한번 더 수행한다.
  • '''STEP7''': 시공간 인과율에 맞지 않는 해(선행 포텐셜)를 기각한다.


전위 스칼라 포텐셜도 같은 방식으로 유도되지만, 여기서는 생략한다.[49]

이 유도 과정은 오펜하이머[13], 카와무라[14], 스나가와[15]의 논의와 대체로 일치한다.[49]

STEP6에서 얻은 일반해에서 시공간 인과율에 위배되는 선행 포텐셜은 기각한다.

선행 포텐셜 \hat{\boldsymbol{A}}_{\mathrm{adv}}은 위치 \boldsymbol{s}의 전류 미소 요소가 만드는 벡터 포텐셜을 모든 \boldsymbol{s}에 대해 적분한 것으로, 관측점보다 미래 시각의 전류 미소 요소가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 반면 지연 포텐셜 \hat{\boldsymbol{A}}_{\mathrm{ret}}은 관측점보다 이전 시각의 전류 미소 요소가 영향을 주며, 영향이 광속으로 전파될 때 시간 지연이 일관성 있게 발생하여 타당하다. 따라서 선행 포텐셜은 비현실적이며 시공간 인과율 관점에서도 부적합하므로 기각하고, 지연 포텐셜만 남겨야 한다.

8. 1. STEP1: 푸리에 변환

본 절에서는 포텐셜 형식의 맥스웰 방정식 양변의 '''A'''와 '''i''' 각각의 시간 성분에 대해 (일변수 함수의 의미로) 푸리에 변환[50]을 실시한다. 결론은 다음 보조정리 1에 요약되어 있다.



'''보조정리 1''' ('''포텐셜 형식의 맥스웰 방정식의 푸리에 변환''')


4변수(t,x,y,z)를 갖는 '''R'''3값 함수 '''A''' (t,x,y,z), '''i''' (t,x,y,z)가 포텐셜 형식의 맥스웰 방정식의 자기장 성분, 즉 다음 식 (2-1-1)의 해라고 한다.

:\Box \boldsymbol{A}= - {\mu_0} \boldsymbol{i}  (2-1-1)

이때, 4변수(x,y,z,ω)를 갖는 '''R'''3값 함수

\hat{\boldsymbol{A}}(x,y,z,\omega), \hat{\boldsymbol{i}}(x,y,z,\omega)

를, 각각

:\begin{align}&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frac{1}{\sqrt{2\pi}} \int_{t=-\infty}^{t=\infty} \boldsymbol{A}(t,\boldsymbol{r})\exp(-\mathrm{i}\omega t ) \ \mathrm{d}t \\

& \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 =

\frac{1}{\sqrt{2\pi}}\int_{t=-\infty}^{t=\infty} \boldsymbol{i}(t,\boldsymbol{r})\exp(-\mathrm{i}\omega t ) \ \mathrm{d}t\end{align}  (2-1-2)

라고 하면, 임의의 실수 ω에 대해, 다음 식 (2-1-3)이 성립한다.

:D\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 -\mu_0\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  (2-1-3)

단, D는, 다음 식 (2-1-4)로 정해지는 x-y-z 공간상의 미분 연산자이다.

:

D=\left\{\nabla^2 + \left (\frac{\omega^2}{c^2}\right )\right\}

  (2-1-4)



식 (2-1-2)의 \hat{\boldsymbol{A}}(x,y,z,\omega), \hat{\boldsymbol{i}}(x,y,z,\omega)는, {\boldsymbol{A}}(x,y,z,\omega), {\boldsymbol{i}}(x,y,z,\omega)의 시간 성분에 일변수 함수의 의미로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여 얻어진 것이다.[50][51][52]

따라서, \hat{\boldsymbol{A}}(x,y,z,\omega), \hat{\boldsymbol{i}}(x,y,z,\omega) 각각에 (일변수의 의미로 ω에 대해) 푸리에 역변환을 실시하면,

:\boldsymbol{A}(t,\boldsymbol{r}) = \frac{1}{\sqrt{2\pi}}\int_{\omega=-\infty}^{\omega=\infty}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2-1-5a)

:\boldsymbol{i}(t,\boldsymbol{r}) = \frac{1}{\sqrt{2\pi}}\int_{\omega=-\infty}^{\omega=\infty} \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2-1-5b)

를 얻는다. 식 (2-1-5)를 식 (2-1-1)에 대입하여, (달랑베르 연산자로부터) 시간 성분을 소거한다.

먼저, 식 (2-1-1)의 좌변에 대해 검토한다.

식 (2-1-5a)의 양변에, 식 (2-1-1)의 좌변, 즉 달랑베르 연산자

: \Box =-\frac{1}{c^2}\frac{\partial^2}{\partial t^2}+ \nabla^2   (2-1-6)

를 작용시키면,

:\Box \boldsymbol{A} =\frac{1}{\sqrt{2\pi}} \int_{-\infty}^{\infty} \left\{

\left (\frac{\omega^2}{c^2}\right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nabla^{2}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right\}\mathrm{d}\omega

   (2-1-7)

을 얻는다. 실제로,

:\begin{align} \Box \boldsymbol{A}

&= \frac{1}{\sqrt{2\pi}}\int_{-\infty}^{\infty}

  • \frac{1}{c^2}\frac{\partial^2}{\partial{t}^{2}}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

\frac{1}{\sqrt{2\pi}}\int_{-\infty}^{\infty}

\nabla^{2}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

&= \frac{1}{\sqrt{2\pi}}\int_{-\infty}^{\infty}

\left (\frac{\omega^2}{c^2}\right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

\frac{1}{\sqrt{2\pi}}\int_{-\infty}^{\infty}

\nabla^2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

&= \frac{1}{\sqrt{2\pi}}\int_{-\infty}^{\infty} \left\{

\left (\frac{\omega^2}{c^2}\right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nabla^2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right\}\mathrm{d}\omega

\end{align}   (2-1-8)

이다.

한편, 식 (2-1-1) 우변을, (2-1-5b)의 전류 밀도 "i"에 작용시키면,

:-{\mu}_{0} \boldsymbol{i}(\boldsymbol{r},\omega) = -\frac{1}{\sqrt{2\pi}}

\int_{-\infty}^{\infty} \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mathrm{d}\omega  (2-1-9)

을 얻는다.

식 (2-1-1), (2-1-7), (2-1-9)에서,

: \int_{-\infty}^{\infty} \left\{\left (\frac{\omega^2}{c^2}\right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nabla^2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right\} \mathrm{d}\omega

= -\mu_0 \int_{-\infty}^{\infty} \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2-1-11)

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헬름홀츠 방정식, 즉, 식 (2-1-3)이 임의의 실수 ω에 대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8. 2. STEP2: 그린 함수법

헬름홀츠 방정식의 임펄스 응답을 사용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을 그린 함수법이라고 하며, 이때 사용되는 임펄스 응답을 그린 함수라고 한다.



'''보조정리 2''' ('''그린 함수법''')


식 (2-1-3)의 헬름홀츠 방정식의 임펄스 응답, 즉

: D G (\boldsymbol{r},\omega)= -{\delta}^3 (\boldsymbol{r})  (2-2-1)

식(2-2-1)의 스칼라 값 함수 해를 G라고 할 때,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

  •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G(\boldsymbol{r}-\boldsymbol{s},\omega)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2-2-2)

는 식 (2-1-3)의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이다.



실제로, (2-2-2)의 양변에 미분 연산자 D를 작용시키면, "적분과 미분의 교환 가능성"과 "라이프니츠 규칙"에 의해,

:(D[\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left(

D[G(\boldsymbol{r}-\boldsymbol{s},\omega)] \hat{\boldsymbol{i}}(\boldsymbol{s},\omega) \ +

G(\boldsymbol{r}-\boldsymbol{s},\omega) D[\hat{\boldsymbol{i}}(\boldsymbol{s},\omega)]

\right)

\cdot \mathrm{d}\boldsymbol{s}

  (2-2-3)

이다. 여기서,

: '''r'''=(x,y,z)  (2-2-4)

이다.

먼저, 식(2-2-3)의 첫 번째 항에 대해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DG('''r'''-'''s''',ω) = δ3('''r'''-'''s''')  (2-2-5)

또한, 델타 함수와의 컨볼루션의 성질로부터,

:\int_{\boldsymbol{s}\in\mathbb{R}^{3}}

D[G(\boldsymbol{r}-\boldsymbol{s},\omega)]\hat{\boldsymbol{i}}(\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

  (2-2-6)

이다. 다음으로 식(2-2-3)의 첫 번째 항에 대해 검토하면, \hat{\boldsymbol{i}} (t,\boldsymbol{s})\boldsymbol{r}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 D[\hat{\boldsymbol{i}}(t,\boldsymbol{s})]=0  (2-2-7)

이다.

결과적으로, 식(2-2-2)의 \hat{\boldsymbol{A}}는,

:D\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mu_0\hat{\boldsymbol{i}}(\boldsymbol{r},\omega)

  (2-2-8)

를 만족한다. 즉, 식 (2-1-3)의 헬름홀츠 방정식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53][54]

8. 3. STEP3: 구면 좌표 변환

헬름홀츠 방정식의 임펄스 응답에 구면 좌표 변환을 적용하고, 공간의 구대칭성을 고려하여 상미분 방정식으로 만든다.

x-y-z 공간상의 스칼라 값 함수 G(x, y, z)가 식 (2-2-1)의 구대칭 해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G(x, y, z)가 다음 식 (2-3-1)을 만족하는 것이다.[40][41][42][43][44]

:

\frac{1}{r}\frac{\partial^{2}

[r G(\Phi(r,\theta,\rho),\omega)]}{\partial r^{2}}

+k^{2}G(\Phi(r,\theta,\rho),\omega)

={\delta}^{3}(\boldsymbol{r})  (2-3-1)

단, k는 다음 식 (2-3-2)로 정의되는 상수이다.

:k=\left (\frac{\omega}{c}\right )  (2-3-2)

라플라시안 (\Delta=\nabla^2)에 대해 구면 좌표 변환을 적용한 것을 ({\Phi}^{*}\Delta)라고 쓰면,

:

({\Phi}^{*}\Delta) =\frac{\partial^2}{\partial r^2}

+\frac{2}{r}\frac{\partial}{\partial r}

+\frac{1}{r^2}\frac{\partial^2}{\partial \theta^2}

+\frac{1}{r^2}\operatorname{cot}\theta \frac{\partial}{\partial \theta}

+\frac{1}{r^2\sin^2{\theta}}\frac{\partial^2}{\partial \rho^2}

  (2-3-3)

가 된다. 따라서, 식 (2-1-4)의 D에 대해 구면 좌표 변환을 적용한 것을 L이라고 쓰면,

:

L=

({\Phi}^{*}\Delta) + \left (\frac{\omega^2}{c^2}\right )

=\frac{\partial^2}{\partial r^2}

+\frac{2}{r}\frac{\partial}{\partial r}

+\frac{1}{r^2}\frac{\partial^2}{\partial \theta^2}

+\frac{1}{r^2}\operatorname{cot}\theta \frac{\partial}{\partial \theta}

+\frac{1}{r^2\sin^2{\theta}}\frac{\partial^2}{\partial \rho^2}

+\left (\frac{\omega^2}{c^2}\right )

  (2-3-4)

이다. 위의 미분 작용소 L은

G(\Phi(r,\theta,\rho),\omega)에 대해 미분 작용소의 구면 좌표 변환의 식 (S3-2-1)의 의미에서의 \Phi 관계, 즉,

:

L[G(\Phi(r,\theta,\rho),\omega)]=

(\Delta[G]) (\Phi(r,\theta,\rho),\omega)  (2-3-5)

를 만족하도록 작용하므로, 위의 헬름홀츠 방정식은,

:

(\Delta[G])(\Phi(r,\theta,\rho),\omega)

+{k}^{2}G(\Phi(r,\theta,\rho),\omega)

={\delta}^{3}(\boldsymbol{r})  (2-3-6)

로 변형된다.

한편, 위치 \boldsymbol{s}에서의 전류 소편의 영향은 구대칭성, 즉 시험 전하(시험 전류)의 위치 \boldsymbol{r}과 전류 소편과의 거리 |\boldsymbol{r}-\boldsymbol{s}|에만 의존하므로, G의 θ 방향, \rho 방향의 편미분은 모두 0이어야 한다. 따라서,

:

L[

G(\Phi(r,\theta,\rho),\omega)

]=

\frac{\partial^2 [

G(\Phi(r,\theta,\rho),\omega)

]}{\partial r^2}

+\frac{2}{r}\frac{\partial [

G(\Phi(r,\theta,\rho),\omega)

]}{\partial r}

  (2-3-7)

가 성립한다.

더욱이, 곱의 미분 공식을 고려하면,

:L[

G(\Phi(r,\theta,\rho),\omega)

]=

\frac{1}{r}\frac{\partial^{2}

[

r\cdot G(\Phi(r,\theta,\rho),\omega)

]}{\partial r^{2}}

  (2-3-8)

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cdot"는 스칼라 곱을 의미한다. 즉, r\cdot G(\Phi(r,\theta,\rho),\omega)는 스칼라 r에 의한 벡터 '''A'''의 스칼라 곱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대칭성을 고려한 경우''',

:

\frac{1}{r}\frac{\partial^{2}

[r\cdot (G(\Phi(r,\theta,\rho),\omega))]}{\partial r^{2}}

+{k}^{2}\cdot G(\Phi(r,\theta,\rho),\omega)

={\delta}^{3}(\boldsymbol{r})  (2-3-9)

을 얻을 수 있다.

8. 4. STEP4: 구대칭 그린 함수

앞 절에서 유도한 상미분 방정식 (2-3-9)을 풀어 구대칭 그린 함수를 구한다.

x-y-z 공간 상의 스칼라 값 함수 G(x, y, z)가 식 (2-3-1)의 해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G가 다음 식 (2-4-2)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다.

:G=aG_{\mathrm{adv}}+bG_{\mathrm{ret}}  (2-4-2)

단, a, b는

:a+b=1   (2-4-3)

을 만족하는 실수 상수이며, Gadv, Gret는 다음 식 (2-4-4), (2-4-5)[53]

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G}_{\mathrm{adv}}(x,y,z,\omega):=\frac{\exp(ikr)}{-4\pi r} (2-4-4)

:{G}_{\mathrm{ret}}(x,y,z,\omega):=\frac{\exp(-ikr)}{-4\pi r} (2-4-5)

또한 k는 식 (2-3-2)로 주어지며, r은 식 (2-4-6)으로 정해진다.

:r(x,y,z)=\sqrt{x^2 + y^2 + z^2} (2-4-6)

(1) 상미분 방정식 부분


먼저 r≠0에서 식 (2-3-1)을 푼다.

:u(r):=r G(\Phi(r,0,0),\omega)  (2-4-7)

로 놓고, (2-3-1)식에 대입하면 r≠0에서

:\frac{d^{2}u}{dr^{2}}(r)=-{k}^{2}u(r)   (2-4-8)

을 얻는다. 이 상미분 방정식은 변수 분리형이므로, 상수(스칼라) a, b를 사용하여

:u(r)= a\frac{\exp(ikr)}{-4\pi}+ b\frac{\exp(-ikr)}{-4\pi}   (2-4-9)

로 나타낼 수 있다. u(r)의 정의로부터,

:G(\Phi(r,0,0),\omega)=a\frac{\exp(ikr)}{-4\pi r}+b\frac{\exp(-ikr)}{-4\pi r}   (2-4-10)

이지만, G는 구대칭성을 가지므로, θ, ρ에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임의의 r, θ, ρ, ω에 대해

:G(\Phi(r,\theta,\rho),\omega)

= a\frac{\exp(ikr)}{-4\pi r}+

b\frac{\exp(-ikr)}{ -4\pi r}

  (2-4-11)

이 r≠0에서 구대칭성을 고려한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임을 알 수 있다.

(2) 그린 함수 부분


다음으로, 식 (2-4-11)이 r=0에서 식 (2-3-1)의 해가 되는 조건을 식 (2-4-3)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인다.

먼저, G_{\mathrm{adv}}에 대해 생각한다.



Gadv의 양변에 라플라시안을 작용시키는 것을 고려한다.

:\frac{\partial[{G}_{\mathrm{adv}}]}{\partial x}=

\frac{-1}{4\pi r}\left(\frac{\partial[\exp(ikr)]}{\partial x }\right)+

\exp(ikr)\frac{\partial}{\partial x} \left[ \frac{-1}{4\pi r}\right]

:

=\frac{-ikx\exp(ikr)}{4\pi {r}^{2}}+

\exp(ikr)\frac{\partial}{\partial x} \left[\frac{-1}{4\pi r}\right]

  (2-4-12)

따라서,

:

\frac}

\right]+

\frac{\partial}{\partial x}\left[

\exp(ikr)\frac{\partial}{\partial x}\left[

\frac{1}{-4\pi r}

\right]\right]



:=

\frac{-{i}^{2}{k}^{2}{x}^{2}\exp(ikr)}{4\pi {r}^{3}}+

\frac{ik\exp(ikr) }{4\pi {r}^{2}}+

\frac{-ik{x}^{2}\exp(ikr)}{-4\pi {r}^{3}}+

\frac{2ik{x}^{2}\exp(ikr)}{-4\pi {r}^{4}}+

\exp(ikr)\frac{\partial{ x}^{2}} \left[\frac{-1}{4\pi r}\right]



:=

\frac+

\exp(ikr)\frac{\partial{x}^{2}}\left[\frac{1}{4\pi r}\right]

  • \frac{ ik\exp(ikr) }{4\pi {r}^{2}}

+\frac{3ik{x}^{2}\exp(ikr) }{4\pi {r}^{3}}

  (2-4-13)

마찬가지로,

:

\frac}\left[\frac{-1}{4\pi r}\right]

  • \frac{ ik\exp(ikr) }{4\pi {r}^{2}}

+\frac{3ik{y}^{2}\exp(ikr) }{4\pi {r}^{3}}

  (2-4-14)

:

\frac}\left[\frac{-1}{4\pi r}\right]

  • \frac{ ik\exp(ikr) }{4\pi {r}^{2}}

+\frac{3ik{z}^{2}\exp(ikr) }{4\pi {r}^{3}}

  (2-4-15)

이상으로부터,

:

\Delta [{G}_{\mathrm{adv}}]=

{k}^{2}

\exp(ikr) \frac{({x}^{2}+{y}^{2}+{z}^{2})}{4\pi {r}^{3}}+

\frac{1}{4\pi }\exp(ikr) \Delta [ \frac{1}{r}]+

:

\frac{-1}{4\pi }3ik\exp(ikr) \frac{1}

+3ik\exp(ikr) \frac



:

=-{k}^{2}\exp(ikr) \frac{-1}{4\pi r}+

\exp(ikr) \Delta [ \frac{-1}{4\pi r }]

=-{k}^{2}{G}_{\mathrm{adv}}+\Delta [ \frac{-1}{4\pi r }]

  (2-4-16)



이상으로부터,

:D[{G}_{\mathrm{adv}}]=\exp(ikr) \Delta [ \frac{-1}{4\pi r }]   (2-4-17a)

마찬가지로,

:D[{G}_{\mathrm{ret}}]=\exp(-ikr) \Delta [ \frac{-1}{4\pi r }]   (2-4-17b)

가 된다.

여기서, 디랙 델타의 체적 적분(보충 참조)에서,

:\Delta\left[\frac{-1}{4\pi r }\right]=\delta(r)  (2-4-18)

이며, 또한

: \exp(ikr)\delta(r) =

\begin{cases}

0\exp(ikr) & \text{if } r\neq 0\\

\infty \exp(ik0) & \text{if } r = 0 .

\end{cases}= \begin{cases}

0 & \text{if } r\neq 0\\

\infty & \text{if } r = 0 .

\end{cases}

=\delta(r)

  (2-4-19a)

:\exp(-ikr)\delta(r)=\delta(r)  (2-4-19b)

이다. 따라서 식 (2-4-2)의 좌변에 D를 작용시키면,

:DG_{\mathrm{adv}}=\delta^3(\boldsymbol{r})   (2-4-20a)

:DG_{\mathrm{ret}}=\delta^3(\boldsymbol{r})  (2-4-20b)

:D[G]=aD[G_{\mathrm{adv}}]+bD[G_{\mathrm{ret}}]=(a+b)\delta^3(\boldsymbol{r}) (2-4-20c)

이므로 식 (2-4-3)의 계수 조건이 충족되면 식 (2-4-2)의 Gr=0에서도 구대칭성을 고려한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임을 알 수 있었다.

충분성에 대해서는, 상미분 방정식의 해의 유일성으로부터 자명하다.

8. 5. STEP5: 해의 표현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는 STEP4에서 구한 그린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49]

'''보조 정리 5'''

식 (2-4-4), 식 (2-4-5)의 {G}_{\mathrm{adv}},{G}_{\mathrm{ret}}에 대해, \hat{\boldsymbol{A}}_{\mathrm{adv}}, \hat{\boldsymbol{A}}_{\mathrm{ret}}를 각각 식 (2-5-1), 식 (2-5-2)와 같이 정의한다.

:

\hat{\boldsymbol{A}}_{\mathrm{adv}}(\boldsymbol{s},\omega)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G}_{\mathrm{adv}}

(\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2-5-1)

:

\hat{\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s},\omega)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G}_{\mathrm{ret}}

(\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2-5-2)

또한,

:\boldsymbol{A}_{\mathrm{adv}}(t,\boldsymbol{r})

:=\frac{1}{\sqrt{2\pi}}

\int_{\omega=-\infty}^{\omega=\infty}

\hat{\boldsymbol{A}}_{\mathrm{adv}}(\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2-5-3)

:\boldsymbol{A}_{\mathrm{ret}} (t,\boldsymbol{r})

:= \frac{1}{\sqrt{2\pi}}

\int_{\omega=-\infty}^{\omega=\infty}

\hat{\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r},\omega)\exp(\mathrm{i}\omega t ) \ \mathrm{d}\omega

  (2-5-4)

이 때, 다음 (1), (2)가 성립한다.

  • (1) a+b=1이면, 다음 식 (2-5-5)는 식 (2-1-3)의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이다.


::\hat{\boldsymbol{A}}:=a\hat{\boldsymbol{A}}_{\mathrm{adv}}+b\hat{\boldsymbol{A}}_{\mathrm{ret}} (2-5-5)

  • (2) a+b=1이면, 다음 식 (2-5-6)은 식 (2-1-1)의 방정식의 해이다.


::{\boldsymbol{A}}:=a{\boldsymbol{A}}_{\mathrm{adv}}+b{\boldsymbol{A}}_{\mathrm{ret}} (2-5-6)

: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G(\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2-5-7)

에, STEP4의 식 (2-4-2)에서 얻은 G를 대입하여 일반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hat{\boldsymbol{A}}(\boldsymbol{r},\omega) =

:

  •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left(a{G}_{\mathrm{adv}}

(\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

b{G}_{\mathrm{ret}}

(\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right)

\cdot \mathrm{d}\boldsymbol{s}



:

=-a\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G}_{\mathrm{adv}}

(\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b\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G}_{\mathrm{ret}}

(\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cdot \mathrm{d}\boldsymbol{s}



따라서, 식 (2-5-1), 식 (2-5-2)와 같이 \hat{\boldsymbol{A}}_{\mathrm{adv}},\hat{\boldsymbol{A}}_{\mathrm{ret}}를 정하면,

:

\hat{\boldsymbol{A}}(\boldsymbol{s},\omega)

=

a\hat{\boldsymbol{A}}_{\mathrm{adv}}(\boldsymbol{s},\omega)

+

b\hat{\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s},\omega)

(2-5-10)

임을 알 수 있다. 즉, 식 (2-5-5)가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가 된다.

또한, 식 (2-5-3), 식 (2-5-4)의 정의에 따라 {\boldsymbol{A}}_{\mathrm{adv}},{\boldsymbol{A}}_{\mathrm{ret}}\hat{\boldsymbol{A}}_{\mathrm{adv}},\hat{\boldsymbol{A}}_{\mathrm{ret}}에 푸리에 역변환을 적용하여 시간 영역으로 되돌린 것이므로, STEP1의 식 (2-1-3)의 역을 따라가면, 식 (2-5-6)을 얻는다. 즉, 식(2-5-6)은 일반적인 맥스웰 방정식의 해가 된다.

8. 6. STEP6: 푸리에 역변환

보조정리 6에 따르면, 식 (2-5-1)과 식 (2-5-2)의 '''A'''adv영어, '''A'''ret영어는 각각 다음을 만족한다.

:\boldsymbol{A}_{\mathrm{adv}}(\boldsymbol{r},t) =

\dfrac{\mu_0}{4\pi} \int_{\boldsymbol{s}\in\mathbb{R}^{3}}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adv}})}

\cdot\mathrm{d} \boldsymbol{s}  (2-6-1)

:\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r},t) =

\dfrac{\mu_0}{4\pi} \int_{\boldsymbol{s}\in\mathbb{R}^{3}}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ret}})}

\cdot \mathrm{d} \boldsymbol{s}  (2-6-2)

단,

:{t}_{\mathrm{adv}}=t+\frac

{c} (2-6-3)

:{t}_{\mathrm{ret}}=t-\frac

{c} (2-6-4)

를 의미한다.

식 (2-6-2)를 유도하기 위해, 식 (2-5-2)의 Gret영어에 식 (2-4-5)를 대입하면,

:

\hat{\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s},\omega)

= -{\mu}_{0}\int_{\boldsymbol{s}\in\mathbb{R}^{3}}

\frac{-\exp(-ik|\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4\pi|\boldsymbol{\boldsymbol{r}-\boldsymbol{s}}|}

\cdot \mathrm{d}\boldsymbol{s}

  (2-6-5)

이다. 식 (2-6-5)의 에 푸리에 역변환을 적용하면,

:

{\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t,\boldsymbol{r}}) =

\frac{1}{\sqrt{2\pi}}

\int_{\omega=-\infty}^{\omega=\infty}

\left(

\int_{\boldsymbol{s}\in\mathbb{R}^{3}}

\frac{\exp(- ik|\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4\pi |\boldsymbol{\boldsymbol{r}-\boldsymbol{s}}|}

\cdot \mathrm{d}\boldsymbol{s}\right)\exp(i\omega t)\ d\omega

  (2-6-6a)

:

=\frac{4\pi}

\int_{\boldsymbol{s}\in\mathbb{R}^{3}}

\frac{1}{ |\boldsymbol{\boldsymbol{r}-\boldsymbol{s}}|}

\left(\frac{1}{\sqrt{2\pi}}

\int_{\omega=-\infty}^{\omega=\infty}

\exp(i(\omega t - k|\boldsymbol{r}-\boldsymbol{s}|))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d\omega

\right)

\cdot \mathrm{d}\boldsymbol{s}

  (2-6-6b)

:

=\frac{4\pi}

\int_{\boldsymbol{s}\in\mathbb{R}^{3}}

\frac{1}



\left(\frac{1}{\sqrt{2\pi}}

\int_{\omega=-\infty}^{\omega=\infty}

\exp(i\omega \left(t -\frac

{c}\right))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d\omega

\right)

\cdot \mathrm{d}\boldsymbol{s}

  (2-6-6c)

:

=\frac

\int_{\boldsymbol{s}\in\mathbb{R}^{3}}

\frac{1}



\left(\frac{1}{\sqrt{2\pi}}

\int_{\omega=-\infty}^{\omega=\infty}

\exp(i\omega t_{\mathrm{ret}})

\hat{\boldsymbol{i}} (\boldsymbol{s},\omega)\ d\omega

\right)

\cdot \mathrm{d}\boldsymbol{s}

   (2-6-6d)

:=\dfrac{\mu_0}{4\pi} {\int}_{\boldsymbol{s}\in \mathbb{R}^{3}}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ret}})}

\cdot \mathrm{d} \boldsymbol{s}   (2-6-6e)

를 얻는다. 여기서, (2-6-6a)에서 (2-6-6b)로의 변환에서는 ω영어에 의존하지 않는 항을 "\int \ d\omega" 밖으로 묶어냈다. (2-6-6b)에서 (2-6-6c)로의 변환에서는 식 (2-3-4), 즉 k=\omega/c를 고려했다. 또한, (2-6-6d)에서 (2-6-6e)로의 변환은 (2-1-5b)에 tret영어를 대입한 것이다.

8. 7. STEP7: 인과율에 따른 해 선택

STEP6에서 얻은 일반해에서 시공간 인과율에 맞지 않는 해를 제거한다.

식 (2-6-1)의 선행 포텐셜 \hat{\boldsymbol{A}}_{\mathrm{adv}}은 위치 \boldsymbol{s}의 전류 미소 요소 {\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adv}})} \mathrm{d} \boldsymbol{s} (2-7-1)가 위치 \boldsymbol{r}에 만드는 벡터 포텐셜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adv}})}

\cdot \mathrm{d} \boldsymbol{s} (2-7-2)를 모든 \boldsymbol{s}에 대해 적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식 (2-6-2)의 지연 포텐셜 \hat{\boldsymbol{A}}_{\mathrm{ret}}{\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ret}})} \cdot\mathrm{d} \boldsymbol{s} (2-7-3)가 위치 '''r'''에 만드는 벡터 포텐셜 \dfrac{\boldsymbol{i}(\boldsymbol{s},{t}_{\mathrm{ret}})}

\cdot \mathrm{d} \boldsymbol{s} (2-7-4)를 모든 '''s'''에 대해 적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식 (2-7-2)와 (2-7-4) 모두 전류 미소 요소의 영향이 전류 미소 요소가 있는 위치 '''s'''와 관측점 '''s'''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구대칭으로 퍼져나가는 것은 타당하다.

지연 포텐셜은 식 (2-7-4)와 같이 관측점의 시각 t에서의 벡터 포텐셜에 영향을 주는 전류 미소 요소가 관측점의 시각보다 이전 시각의 것이고, 영향이 광속으로 전파된다고 할 때 시간 지연이 일관성 있게 발생하여 타당하다.

반면, 식 (2-7-2)는 관측점의 시각 t에서의 벡터 포텐셜에 영향을 주는 전류 미소 요소가 관측점의 시각보다 미래의 것이 되어 적절하지 않다.

선행 포텐셜의 영향이 있다면 관측점 '''r'''의 관측자는 미래의 정보를 예측이 아닌 관측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비현실적이며 시공간 인과율 관점에서도 부적합하므로, 선행 포텐셜은 기각해야 한다.

따라서 식 (2-6-2)의 '''A'''ret만 남아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9. 수학적 보충 (일본어판 보충)

본 절에서는 일변수 푸리에 변환, 벡터장의 대수 연산, 미분 연산자, 구면 좌표 변환, 분수 함수의 미분, 초함수(델타 함수) 등 뒤처진 퍼텐셜 유도에 필요한 수학적 내용을 보충 설명한다. 아래 내용은 오펜하이머[13](특히 7장 p33 이후), 카와무라[14](p151~), 스나가와[15](특히 P254 부근)의 내용을 참고했다.[49]
일변수 푸리에 변환[36]

변수 t에 대한 일변수 스칼라 값 함수 f(t)의 푸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at{f}(\omega)=\frac{1}{\sqrt{2\pi}}{\int}_{t=-\infty}^{t=\infty}\ f(t)\exp{(-i\omega t)} \ dt

이때, 푸리에 역변환은 다음과 같다.

:f(u)=\frac{1}{\sqrt{2\pi}}{\int}_{\omega=-\infty}^{\omega=\infty}\ \hat{f}(\omega)\exp{(i\omega u)} \ d\omega
벡터 해석 공식[37]

벡터장에 대수 연산을 적용하고 미분 연산자를 작용시켰을 때 성립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후지모토[37] P64 부근 참조)


  • 정의:
  • 벡터장 F=(f_1,f_2,f_3)에 대해,

:

\left\langle\ \boldsymbol{F}\ |\ \nabla \ \right\rangle :=

{f}_{1}{\partial \over \partial {x}_{1}} + {f}_{2}{\partial \over \partial {x}_{2}} + {f}_{3}{\partial \over \partial {x}_{3}}


  •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nabla := \boldsymbol{\hat{x}} {\partial \over \partial x} + \boldsymbol{\hat{y}} {\partial \over \partial y} + \boldsymbol{\hat{z}} {\partial \over \partial z}

  • 는 "F・∇"라고도 쓴다.

  • 벡터장 G에 를 작용시키면,

:\left\langle\ \boldsymbol{F}\ |\ \nabla \ \right\rangle \boldsymbol{G}=

{f}_{1}{\partial{g}_{1} \over \partial {x}_{1}} +

{f}_{2}{\partial{g}_{2} \over \partial {x}_{2}} +

{f}_{3}{\partial{g}_{3} \over \partial {x}_{3}}

=(J[\boldsymbol{G}])\cdot\boldsymbol{F}



가 성립한다. 여기서, J['''G''']는 G의 야코비 행렬을 의미한다.

  • F, G를 벡터장, *f*를 스칼라 값 함수라고 할 때, 다음 공식들이 성립한다.

  • :\operatorname{rot}[f\boldsymbol{F}]=\operatorname{grad}[f]\times\boldsymbol{F}+f\cdot \operatorname{rot}[\boldsymbol{F}]
  • :

\operatorname{rot}[\boldsymbol{F}\times\boldsymbol{G}]=

\left\langle\ \boldsymbol{G}\ |\ \nabla \ \right\rangle \boldsymbol{F}

  • \left\langle\ \boldsymbol{F}\ |\ \nabla \ \right\rangle \boldsymbol{G}

+\boldsymbol{F}\operatorname{div}[\boldsymbol{G}]

  • \boldsymbol{G}\operatorname{div}[\boldsymbol{F}]


  • :

\operatorname{div}

\left[

f\boldsymbol{F}

\right]

=\left\langle

\boldsymbol{F}|\operatorname{grad}[f]

\right\rangle+

f\operatorname{div}[\boldsymbol{F}]


라플라시안

  • 라플라시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elta={\nabla}^{2}

=\frac{\partial {x}^{2}}+

\frac{\partial {y}^{2}}+

\frac{\partial {z}^{2}}


  • 라플라시안은 스칼라장 뿐만 아니라 벡터장에도 작용할 수 있다.

  • 스칼라장 f에 대한 라플라시안:

:\Delta[f]=\operatorname{div}[\operatorname{grad}[f]]

  • 벡터장 X에 대한 라플라시안:

:\Delta[X]=\operatorname{grad}[\operatorname{div}[X]]-\operatorname{rot}[\operatorname{rot}[X]]

(위 식의 자세한 유도 과정은 VectorAnalysis 참조)

미분 연산자의 좌표 변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7], [40] [42] [43] [44]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Potentials https://archive.org/[...] 1993
[2] 서적 Classical Electromagnetism in a Nutshell 2012
[3] 서적 Electromagnetism Manchester Physics, John Wiley & Sons 2008
[4]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Pearson Education, Dorling Kindersley 2007
[5]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Pearson Education, Dorling Kindersley 2007
[6] 논문 Lecture Notes on General Relativity https://arxiv.org/ab[...]
[7] 학술지 Retarded gravitation theory https://pubs.aip.org[...] 2024-11-25
[8] 웹사이트 The speed of gravity: An observation on galaxy motions http://rgdoi.net/10.[...] 2024-11-25
[9] 간행물 PLANETARY MOTION IN A RETARDED NEWTONIAN POTENTIAL FIELD https://pnas.org/doi[...] 2024-11-25
[10] 학술지 Retarded Gravity in Disk Galaxies https://www.preprint[...] 2024-11-25
[11] 간행물 Retarded gravitational potentials on the scale of the universe https://rgdoi.net/10[...] 2024-11-25
[12] 웹사이트 Feynman, Lecture 26, Lorentz Transformations of the Fields https://feynmanlectu[...]
[13] 서적 電気力学 https://ci.nii.ac.jp[...] 吉岡書店, 丸善 1963-01-15
[14] 서적 電磁気学 (岩波基礎物理シリーズ (3)) 岩波書店 1994-05-12
[15] 서적 理論電磁気学 紀伊國屋書店 1999-09
[16] 서적 電磁気学現象理論 丸善出版 1949
[17] 서적 電磁気学 裳華房 2001-03
[18] 서적 ファインマン物理学〈3〉電磁気学 岩波書店 1986-01-08
[19] 서적 電磁気学〈2〉遅延ポテンシャル・物質との相互作用・量子光学 (基礎物理学シリーズ) 朝倉書店 2009-12
[20] 서적 電磁気学 (現代物理学―基礎シリーズ) 朝倉書店 2010-01
[21] 서적 偏微分方程式 (サイエンスライブラリ現代数学への入門) サイエンス社 2003-11
[22] 서적 McGraw Hill Encyclopaedia of Physics (2nd Edition) 1994
[23]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3rd Edition) Pearson Education, Dorling Kindersley 2007
[24] 서적 Electromagnetism (2nd Edition) Manchester Physics, John Wiley & Sons 2008
[25]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3rd Edition) Pearson Education, Dorling Kindersley 2007
[26] 웹사이트 http://kashalpha.fil[...]
[27] 강의노트 赤井久純 電磁気学Ⅰ講義ノート http://ann.phys.sci.[...] 大阪大学 物理学科
[28] 강의노트 光物性研究室 電磁気学4講義ノート http://www.hikari.sc[...] 京都大学
[29] 강의노트 『電磁気学第2』講義概要No.2【電磁波の発生】講義ノート http://www.g-munu.t.[...] 東京大学
[30] 웹사이트 http://akita-nct.jp/[...]
[31] 웹사이트 http://hyropom.web.f[...]
[32] 웹사이트 http://maverick.riko[...]
[33] 웹사이트 EMANの物理学 http://homepage2.nif[...]
[34] 웹사이트 株式会社フォトン(CAEのメーカー)の技術情報 http://www.photon-ca[...] 株式会社フォトン
[35] 웹사이트 http://kashalpha.fil[...]
[36] 서적 フーリエ級数とラプラス変換の基礎・基本 (理工系数学の基礎・基本) 牧野書店 2000-05
[37] 서적 ベクトル解析 (現代数学レクチャーズ C- 1) 培風館 1979-01
[38] 서적 アンペールの法則―電流と磁場の計算方法を学ぼう (物理学演習One Point) 共立出版 1997-09
[39] 서적 ベクトル解析 ―電磁気学を題材にして― (フロー式 物理演習シリーズ 1) 共立出版 2013-01-24
[40] 서적 新・演習電磁気学 (新・演習物理学ライブラリ (3)) サイエンス社
[41] 서적 単位が取れる橋元流物理数学ノート (単位が取れるシリーズ) 講談社 2006-05-11
[42] 서적 ベクトル解析 (理工系の数学入門コース 3) 岩波書店 1989-03-08
[43] 서적 ベクトル解析演習 岩波書店 1999-03-26
[44] 웹사이트 米子高専音響振動工学の講義ノート http://www.yonago-k.[...]
[45] 웹사이트 共変微分による極座標系ラプラシアンの導出 (物理のかぎしっぽ) http://hooktail.maxw[...]
[46] 서적 数値電磁気学のためのゲージ理論 森北出版 1996-04
[47] 서적 量子電子工学 オーム社 1994-11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