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코비 행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비 행렬은 열린 집합 U ⊆ Rn에 정의된 함수 f: U → Rm의 각 성분의 편도함수를 요소로 가지는 행렬로, 함수가 미분 가능할 때 전미분을 나타낸다. n=m일 경우 야코비 행렬의 행렬식을 야코비 행렬식이라고 하며, 함수 f의 동작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야코비 행렬은 동역학 시스템, 뉴턴 방법, 회귀 분석 및 최소 제곱법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의 일반화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의 일반화 - 미분 (주요 부분)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수학적 개념으로, 독립 변수의 변화에 따른 종속 변수의 순간적인 변화를 선형 함수로 나타내며, 선형 근사, 오차 추정, 미분 방정식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행렬식 - 부피 형식
    부피 형식은 다양체의 방향 결정, 측도 정의, 벡터장 발산 계산에 사용되는 미분 형식의 일종으로, 유향 다양체에서는 밀도와 관련되며, 리 군, 심플렉틱 다양체, 준-리만 다양체 등에서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 행렬식 - 가역행렬
    가역 행렬은 정사각 행렬 A에 대해 AB = BA = I를 만족하는 역행렬 B가 존재하며, 행렬식은 0이 아니고, 기본 행렬의 곱으로 표현 가능하며, 선형 방정식 시스템 풀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다변수 미적분학 - 음함수와 양함수
    음함수와 양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양함수, 관계식이 한 식 안에 포함된 경우를 음함수라 하며, 음함수는 양함수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음함수 미분법, 음함수 정리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변수 미적분학 - 편평도
    편평도는 아직 내용이 없어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위키백과 페이지이다.
야코비 행렬
정의
설명벡터 값 함수의 모든 1차 편도함수를 담은 행렬
분야미적분학, 선형대수학
명명 유래카를 구스타프 야코프 야코비
행렬식
설명야코비 행렬의 행렬식
기호|J|
용도변수 변환 시 사용

2. 정의

열린집합 U\subseteq\mathbb R^n에 정의된 함수 \mathbf f\colon U\to\mathbb R^m가 점 \mathbf a\in U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이 경우 \mathbf f\mathbf a에서의 '''야코비 행렬''' J(\mathbf f)(\mathbf a)은 다음과 같다.

:J(\mathbf f)(\mathbf a)=

\begin{pmatrix}

(\partial f_1/\partial x_1)(\mathbf a) & (\partial f_1/\partial x_2)(\mathbf a) & \cdots & (\partial f_1/\partial x_n)(\mathbf a) \\

(\partial f_2/\partial x_1)(\mathbf a) & (\partial f_2/\partial x_2)(\mathbf a) & \cdots & (\partial f_2/\partial x_n)(\mathbf a) \\

\vdots & \vdots & & \vdots \\

(\partial f_m/\partial x_1)(\mathbf a) & (\partial f_m/\partial x_2)(\mathbf a) & \cdots & (\partial f_m/\partial x_n)(\mathbf a)

\end{pmatrix}=

\begin{pmatrix}

\nabla f_1(\mathbf a) \\

\nabla f_2(\mathbf a) \\

\vdots \\

\nabla f_m(\mathbf a)

\end{pmatrix}=

\begin{pmatrix}

(\partial\mathbf f/\partial x_1)(\mathbf a) & (\partial\mathbf f/\partial x_2)(\mathbf a) & \cdots & (\partial\mathbf f/\partial x_n)(\mathbf a)

\end{pmatrix}\in\operatorname{Mat}(m,n;\mathbb R)



즉, 각 J(\mathbf f)(\mathbf a)_{ij}=(\partial f_i/\partial x_j)(\mathbf a)\mathbf fi번째 성분의 j번째 변수에 대한 편도함수이다.

만약 n=m일 경우, 야코비 행렬은 정사각행렬이므로, 그 행렬식 \det J(\mathbf f)(\mathbf a)을 취할 수 있다. 이를 \mathbf f\mathbf a에서의 '''야코비 행렬식'''이라고 한다.

특히, 열린집합 U\subseteq\mathbb R^n에 정의된 미분 가능 함수 \mathbf f\colon U\to\mathbb R^m의 야코비 행렬 J(\mathbf f)은 다음과 같다.

:J(\mathbf f)\colon U\to\operatorname{Mat}(m,n;\mathbb R)

:J(\mathbf f)\colon\mathbf x\mapsto J(\mathbf f)(\mathbf x)\qquad\forall\mathbf x\in U

2. 1. 표기법

야코비 행렬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8][9]

  • J영어(f)
  • f
  • Df
  • \frac{\partial(f_1,\dotsc,f_m)}{\partial(x_1,\dotsc,x_n)}


마지막 표기(\frac{\partial(f_1,\dotsc,f_m)}{\partial(x_1,\dotsc,x_n)})는 일부 문헌에서 야코비 행렬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3. 성질

열린집합 U\subseteq\mathbb R^n에 정의된 함수 \mathbf f\colon U\to\mathbb R^m가 점 \mathbf a\in U에서 미분 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bf f(\mathbf a+\Delta x)-\mathbf f(\mathbf a)=J(\mathbf f)(\mathbf a)\Delta\mathbf x+\mathbf o(\Vert\Delta\mathbf x\Vert)

\qquad(\Delta\mathbf x\to\mathbf 0)

즉, J(\mathbf f)(\mathbf a)\mathbf f\mathbf a에서의 프레셰 도함수이다.

함수 \mathbf{f} : \mathbf{R}^n \to \mathbf{R}^m가 1차 편도함수가 모두 \mathbf{R}^n에서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 함수는 점 \mathbf{x} \in \mathbf{R}^n를 입력으로 받아 벡터 \mathbf{f}(\mathbf{x}) \in \mathbf{R}^m를 출력한다. 그러면, 야코비 행렬 \mathbf{J_f} \in \mathbf{R}^{m \times n}는 그 (i, j)번째 요소가 \frac{\partial f_i}{\partial x_j}가 되도록 정의된다.

야코비 행렬은 \mathbf{f}가 미분 가능한 모든 점에서 \mathbf{f}전미분을 나타낸다. \mathbf{h}가 열 행렬로 표현되는 변위 벡터인 경우, 행렬 곱 \mathbf{J}(\mathbf{x}) \cdot \mathbf{h}는 또 다른 변위 벡터이며, \mathbf{f}(\mathbf{x})\mathbf{x}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인 경우, \mathbf{x}의 근방에서 \mathbf{f}의 변화에 대한 최적의 선형 근사이다. 즉, \mathbf{y}\mathbf{f}(\mathbf{x}) + \mathbf{J}(\mathbf{x}) \cdot (\mathbf{y} – \mathbf{x})에 매핑하는 함수는 \mathbf{x}에 가까운 모든 점 \mathbf{y}에 대해 \mathbf{f}(\mathbf{y})의 최적의 선형 근사이다. 선형 맵 \mathbf{h} \to \mathbf{J}(\mathbf{x}) \cdot \mathbf{h}\mathbf{x}에서 \mathbf{f}의 "도함수" 또는 전미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만약 \mathbf{f}\mathbf{R}^n의 점 \mathbf{p}에서 미분 가능하다면, 그 미분은 \mathbf{J}_\mathbf{f}(\mathbf{p})로 표현된다. 이 경우, \mathbf{J}_\mathbf{f}(\mathbf{p})로 표현되는 선형 변환은 점 \mathbf{p} 근처에서 \mathbf{f}의 최적 선형 근사이며,

:\mathbf f(\mathbf x) - \mathbf f(\mathbf p) = \mathbf J_{\mathbf f}(\mathbf p)(\mathbf x - \mathbf p) + o(\|\mathbf x - \mathbf p\|) \quad (\text{as } \mathbf{x} \to \mathbf{p}),

여기서 o(\|\mathbf x - \mathbf p\|)\mathbf{x}\mathbf{p}에 접근할 때 \mathbf{x}\mathbf{p}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보다 훨씬 빠르게 0에 접근하는 양이다.

합성 가능한 미분 가능 함수 \mathbf{f} : \mathbf{R}^n \to \mathbf{R}^m\mathbf{g} : \mathbf{R}^m \to \mathbf{R}^k는 연쇄 법칙을 만족하며, 즉 \mathbf{R}^n\mathbf{x}에 대해 \mathbf{J}_{\mathbf{g} \circ \mathbf{f}}(\mathbf{x}) = \mathbf{J}_{\mathbf{g}}(\mathbf{f}(\mathbf{x})) \mathbf{J}_{\mathbf{f}}(\mathbf{x}) 이다.

\mathbf{f}가 점 \mathbf{p}에서 임의의 편미분을 갖는다면, \mathbf{p}에서 야코비 행렬이 존재한다. 그러나, \mathbf{f}의 편미분 가능성만으로는 \mathbf{f}미분 가능성을 말할 수 없으므로, 야코비 행렬이 존재하더라도 \mathbf{f}\mathbf{p}에서 반드시 전미분 가능하지 않다.

\mathbf{f}D상의 점 \mathbf{p}에서 미분 가능할 때,

:\lim_{x\to p}\dfrac{\|f(x)-f(p)-\mathit{df}(x-p)\|}{\|x- p\|} =0

인 선형 사상 \mathit{df}가 존재한다. 이때 이 선형 사상 \mathit{df}의 표준 기저에 관한 표현 행렬은 \mathbf{f}\mathbf{p}에서의 야코비 행렬 \mathbf{J_f}(\mathbf{p})에 의해 주어진다.

\mathbf{f}가 점 \mathbf{p}에서 미분 가능할 때, 점 \mathbf{p}에서의 야코비 행렬 \mathbf{J_f}(\mathbf{p})\mathbf{x}\mathbf{p}에 충분히 가까울 때

:f(x)=f(p)+J_f(p)(x-p)+o(\|x-p\|)

인 관계를 만족한다.

4. 야코비 행렬식

야코비 행렬식(Jacobian determinant영어)은 함수의 국소적 성질(확대, 축소, 방향 보존/반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중 적분에서 변수 변환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5][6][7]

m=n이면, f\mathbb{R}^n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함수가 되고 야코비 행렬은 정사각 행렬이 된다. 이때 이 행렬의 행렬식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야코비 행렬식'''이라고 하며, 때로는 단순히 "야코비"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어진 점에서 야코비 행렬식은 해당 점 근처에서 f의 동작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야코비 행렬식이 p에서 0이 아니면, f는 점 p 근처에서 역함수를 갖는다. 또한 p에서 야코비 행렬식이 양수이면, fp 근처에서 방향을 보존하고, 음수이면 방향을 반전시킨다. p에서 야코비 행렬식의 절댓값은 함수 fp 근처에서 부피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것이 일반적인 치환 적분에 야코비 행렬식이 나타나는 이유이다.

비선형 매핑 f \colon \mathbb{R}^{2} \to \mathbb{R}^{2}는 작은 사각형(왼쪽, 빨간색)을 왜곡된 평행사변형(오른쪽, 빨간색)으로 보낸다. 어떤 점에서의 야코비 행렬은 해당 점 근처에서 왜곡된 평행사변형의 최적의 선형 근사치를 제공하며(오른쪽, 반투명 흰색), 야코비 행렬식은 근사 평행사변형의 면적과 원래 사각형의 면적 비율을 제공한다.


야코비 행렬식은 이중 적분을 평가할 때 변수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좌표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야코비 행렬식의 크기는 적분 내에서 곱해지는 인수로 나타난다. 이는 n차원 dV 요소가 새로운 좌표계에서 일반적으로 평행육면체가 되고, 평행육면체의 n-부피는 모서리 벡터들의 행렬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야코비 행렬은 행렬 미분 방정식의 평형점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4. 1. 역함수 정리

연속 미분 가능 함수는 야코비 행렬식이 0이 아닌 경우 특정 점 근처에서 역함수를 갖는다. 이것이 역함수 정리이다. 만약 야코비 행렬이 어떤 점 p에서 연속이고 비특이적이라면, 함수 fp의 근방으로 제한될 때 가역적이다. 다시 말해, 만약 야코비 행렬식이 한 점에서 0이 아니라면, 그 함수는 이 점 근처에서 ''국소적으로 가역적''이다.[1]

m=n일 때, fp에서의 야코비 행렬은 정사각 행렬이며, 야코비 행렬이 정칙 행렬일 경우, f는 국소적으로 전단사가 되며, 그 역함수는 C^k급이다. 이때, f(p)에서의 야코비 행렬은 J_f(p)의 역행렬이 된다.[2] 즉, p를 포함하는 어떤 영역 D'에 대해, fD'로의 제한

:h := f|_{D'}\colon D' \to f(D')

C^k급 전단사이고,

:J_{h^{-1}}(h(p)) = (J_h(p))^{-1}

가 성립한다.[3]

역함수 정리에 따르면, 야코비 행렬 \mathbf{f} : \mathbf{R}^n \to \mathbf{R}^n의 가역 함수의 행렬 역행렬은 역함수의 야코비 행렬이다. 즉, 점 \mathbf{p}에서의 역함수의 야코비 행렬은 다음과 같다.[4]

\mathbf J_{\mathbf{f}^{-1}}(\mathbf{p}) = {\mathbf J^{-1}_{\mathbf{f}}(\mathbf{f}^{-1}(\mathbf{p}))},

그리고 야코비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5]

\det(\mathbf{J}_{\mathbf{f}^{-1}}(\mathbf{p})) = \frac{1}{\det(\mathbf{J}_{\mathbf{f}}(\mathbf{f}^{-1}(\mathbf{p})))}.

(증명되지 않은) 야코비 추측은 다항 함수, 즉 ''n''개의 변수에 있는 ''n''개의 다항식으로 정의된 함수의 경우에 전역 가역성과 관련이 있다. 야코비 행렬식이 0이 아닌 상수(또는 이에 상응하여 복소 영점을 갖지 않는 경우)이면, 그 함수는 가역적이고 그 역함수는 다항 함수라고 주장한다.[6]

4. 2. 임계점

미분가능 함수 의 ''임계점''은 야코비 행렬의 계수가 최대가 아닌 점이다. 이는 임계점에서의 계수가 어떤 인접점에서의 계수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를 의 이미지에 포함된 열린 공의 최대 차원이라고 할 때, 모든 계수의 소행렬식이 0이면 그 점은 임계점이다.

인 경우, 야코비 행렬식이 0이면 그 점은 임계점이다.

5. 응용

야코비 행렬은 동역학 시스템에서 정지점 근처의 시스템 안정성을 분석하고, 뉴턴 방법을 통해 제곱 연립 비선형 방정식을 푸는 데 사용된다. 또한 통계적 회귀 분석 및 곡선 맞춤에서 선형화된 설계 행렬 역할을 하며, 비선형 최소 제곱법에 활용된다.[11][12][13][14]

5. 1. 동역학 시스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동역학 시스템을 고려해 볼 수 있다. \dot{\mathbf{x}} = F(\mathbf{x}). 여기서 \dot{\mathbf{x}}는 진화 매개변수 t(시간)에 대한 \mathbf{x}의 (성분별) 도함수이고, F \colon \mathbb{R}^{n} \to \mathbb{R}^{n}는 미분 가능하다. 만약 F(\mathbf{x}_{0}) = 0이면, \mathbf{x}_{0}는 정지점(정상 상태)이다. 하트만-그로브만 정리에 따르면, 정지점 근처의 시스템 거동은 정지점에서 F의 야코비 행렬인 \mathbf{J}_{F} \left( \mathbf{x}_{0} \right)의 고유값과 관련이 있다.[11] 구체적으로, 고유값의 실수부가 모두 음수이면 시스템은 정지점 근처에서 안정적이다. 만약 고유값 중 실수부가 양수인 것이 있다면, 그 점은 불안정하다. 고유값의 가장 큰 실수부가 0이면, 야코비 행렬은 안정성을 평가할 수 없다.[12]

5. 2. 뉴턴 방법

제곱 연립 비선형 방정식은 뉴턴 방법을 통해 반복적으로 풀 수 있다. 이 방법은 방정식 시스템의 야코비 행렬을 사용한다.[1]

5. 3. 회귀 분석 및 최소 제곱법

야코비 행렬은 통계적 회귀 분석 및 곡선 맞춤에서 선형화된 설계 행렬 역할을 한다. 비선형 최소 제곱법을 참조하라. 야코비 행렬은 또한 임의 행렬, 모멘트, 국부 민감도 및 통계적 진단에도 사용된다.[13][14]

6. 예시

야코비 행렬은 새로운 좌표 공간에서 단위 면적이 어떻게 변환되는지 보여주며, 적분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xy 좌표 공간에 매핑될 때 그 변화를 조사하여 이해할 수 있다.[5][6][7] 이 과정은 새로운 좌표에 대한 편미분을 수행하고 행렬식을 적용하여 야코비 행렬을 얻는 것을 포함한다.

아래는 함수 의 야코비 행렬식 예시이다.

\begin{align}

y_1 &= 5x_2 \\

y_2 &= 4x_1^2 - 2 \sin (x_2 x_3) \\

y_3 &= x_2 x_3

\end{align}

이 함수의 야코비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begin{vmatrix}

0 & 5 & 0 \\

8 x_1 & -2 x_3 \cos(x_2 x_3) & -2 x_2 \cos (x_2 x_3) \\

0 & x_3 & x_2

\end{vmatrix} = -8 x_1 \begin{vmatrix}

5 & 0 \\

x_3 & x_2

\end{vmatrix} = -40 x_1 x_2.

이 결과에서 는 과 가 같은 부호를 가지는 점 근처에서 방향을 반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함수는 또는 인 점 근처를 제외하고는 모든 곳에서 국소적으로 가역적이다. 예를 들어, 점 (1, 2, 3) 주변의 작은 물체에 를 적용하면, 그 물체의 부피는 원래 부피의 약 80배 (40 × 1 × 2)가 되고, 방향은 반전된다.

6. 1. 예제 1

다음과 같은 함수 \mathbf{f} \colon \mathbb{R}^2 \to \mathbb{R}^2를 생각하자.

:\mathbf{f}(x, y) = (xy, \sin xy) \qquad \forall x, y \in \mathbb{R}

모든 편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rac{\partial f_1}{\partial x} = y, \; \frac{\partial f_1}{\partial y} = x, \; \frac{\partial f_2}{\partial x} = y \cos xy, \; \frac{\partial f_2}{\partial y} = x \cos xy \qquad \forall x, y \in \mathbb{R}

따라서, \mathbf{f}의 야코비 행렬은 다음과 같다.

:J(\mathbf{f})(\mathbf{x}) = \begin{pmatrix} y & x \\ y \cos xy & x \cos xy \end{pmatrix} \qquad \forall x, y \in \mathbb{R}

또한, \mathbf{f}의 야코비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det J(\mathbf{f})(\mathbf{x}) = 0 \qquad \forall x, y \in \mathbb{R}

6. 2. 예제 2: 극좌표-직교좌표 변환

극좌표계 (''r'', ''φ'')영어에서 직교 좌표계 (''x'', ''y'')로의 변환은 다음과 같은 성분을 가진 함수 '''F''': '''R'''+ × [0, 2로 주어진다.

\begin{align}

x &= r \cos \varphi ; \\

y &= r \sin \varphi .

\end{align}

\mathbf J_{\mathbf F}(r, \varphi)

= \begin{bmatrix}

\frac{\partial x}{\partial r} & \frac{\partial x}{\partial\varphi}\\[0.5ex]

\frac{\partial y}{\partial r} & \frac{\partial y}{\partial\varphi}

\end{bmatrix}

= \begin{bmatrix}

\cos\varphi & - r\sin \varphi \\

\sin\varphi & r\cos \varphi

\end{bmatrix}

야코비 행렬식은 ''r''과 같다. 이를 사용하여 두 좌표계 간의 적분을 변환할 수 있다.[5][6][7]

\iint_{\mathbf F(A)} f(x, y) \,dx \,dy = \iint_A f(r \cos \varphi, r \sin \varphi) \, r \, dr \, d\varphi .

6. 3. 예제 3: 구면좌표-직교좌표 변환

구면 좌표계에서 직교 좌표계로의 좌표 변환 ''f'' (''r'', θ, φ) = (''r'' sinθcosφ, ''r'' sinθsinφ, ''r'' cosθ)에 대한 야코비 행렬은 다음과 같다.

:|J_f| =\begin{vmatrix}

\sin\theta\cos\phi & r\cos\theta\cos\phi & -r\sin\theta\sin\phi \\

\sin\theta\sin\phi & r\cos\theta\sin\phi & r\sin\theta\cos\phi \\

\cos\theta & -r\sin\theta & 0

\end{vmatrix}= r^2 \sin\theta

따라서 특이점은 ''r'' = 0 또는 sin θ = 0인 점, 즉 (0, θ, φ)와 (''r'', 0, φ), (''r'', π, φ)이다. 이것은 직교 좌표에서 (0, 0, 0), (0, 0, ''r''), (0, 0, -''r'') 즉, z축을 나타낸다.

6. 4. 추가 예제

다음은 함수 '''F''' : '''R'''3 → '''R'''4의 야코비 행렬이다.

:\begin{align}

y_1 &= x_1 \\

y_2 &= 5 x_3 \\

y_3 &= 4 x_2^2 - 2 x_3 \\

y_4 &= x_3 \sin x_1

\end{align}

:\mathbf J_{\mathbf F}(x_1, x_2, x_3) = \begin{bmatrix}

\dfrac{\partial y_1}{\partial x_1} & \dfrac{\partial y_1}{\partial x_2} & \dfrac{\partial y_1}{\partial x_3} \\[1em]

\dfrac{\partial y_2}{\partial x_1} & \dfrac{\partial y_2}{\partial x_2} & \dfrac{\partial y_2}{\partial x_3} \\[1em]

\dfrac{\partial y_3}{\partial x_1} & \dfrac{\partial y_3}{\partial x_2} & \dfrac{\partial y_3}{\partial x_3} \\[1em]

\dfrac{\partial y_4}{\partial x_1} & \dfrac{\partial y_4}{\partial x_2} & \dfrac{\partial y_4}{\partial x_3}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0 & 0 & 5 \\

0 & 8 x_2 & -2 \\

x_3\cos x_1 & 0 & \sin x_1 \end{bmatrix}.

이 예는 야코비 행렬이 정사각행렬일 필요가 없음을 보여준다.

7. 다양체론에서의 야코비 행렬

다양체 간 사상의 야코비 행렬에 대해 설명한다.

을 각각 차원, 차원의 다양체로, 를 그 사이의 급 사상이라고 한다. 이때, 의 점 에서의 미분 는, 점 에서의 의 접벡터 공간 과, 점 에서의 의 접벡터 공간 사이의 선형 사상이 된다. 주위의 의 국소 좌표 } 및 주위의 의 국소 좌표 }를 정하면, 각각의 접벡터 공간에서의 기저가 정해진다. 이 기저에 관한 의 표현 행렬을 의 에서의 야코비 행렬이라고 부른다.

사상의 미분은 국소 좌표에 의존하지 않지만, 야코비 행렬은 국소 좌표의 선택에 의존한다. 단, 같은 사상의, 국소 좌표의 선택 방식을 바꾼 야코비 행렬끼리는 서로 켤레이다.

이 정의는, 앞서 정의한 것의 확장이다. 을 (의 열린 집합), 을 으로 하여, 각각에 자명한 국소 좌표를 선택함으로써, 앞서 정의한 것과 일치한다[16].

참조

[1] 웹사이트 Jacobian - Definition of Jacobian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8-05-02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jacobian http://www.dictionar[...] 2018-05-02
[3] 웹사이트 Jacobian pronunciation: How to pronounce Jacobian in English https://forvo.com/wo[...] 2018-05-02
[4] 웹사이트 Jacobian http://mathworld.wol[...] 2018-05-02
[5] AV media Jacobian motivation, intuition, derivation/proof https://www.youtube.[...] 2024-10-20
[6] 서적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 functions Cengage Learning 2017
[7] 서적 Calculus Cengage
[8] 서적 An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science Springer 2019
[9] 서적 Differential Geometry of Manifold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9-12-16
[10] 서적 Thomas'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14e Pearson
[11] 서적 Dynamical Systems: Differential Equations, Maps, and Chaotic Behaviour Chapman & Hall
[12] 서적 Differential Equations, Dynamical Systems and Linear Algebra
[13] 간행물 Matrix differential calculus with applications in the multivariate linear model and its diagnostics 2022-03
[14] 간행물 Professor Heinz Neudecker and matrix differential calculus 2023
[15] MathWorld Jacobian
[16] 문서 ただし、冒頭の定義とは {{mvar|m}} と {{mvar|n}} の役割が逆になっ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