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타르 즈보니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미타르 즈보니미르는 1075년부터 1089년까지 크로아티아를 통치한 국왕이다. 그는 초기 생애에 슬라보니아의 반(총독)을 지냈으며, 헝가리 왕 벨라 1세의 딸인 옐레나와 결혼하여 헝가리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즈보니미르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로부터 왕의 칭호를 받았고, 교황청의 봉신이 되었으며, 그레고리 개혁을 시행하고 노예 제도를 폐지하려 했다. 그는 크로아티아의 마지막 토착 왕으로, 1089년 크닌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으며, 그의 죽음과 관련된 여러 전설이 존재한다. 그의 사후 크로아티아는 헝가리와의 연합으로 이어졌고, 그는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89년 사망 - 흠자황후
흠자황후는 북송 신종의 총애를 받아 휘종을 낳았으며, 사후 휘종에 의해 황태후로 추존되었다. - 1089년 사망 - 베드로 이네우스
11세기 중반의 추기경 베드로 이네우스는 피렌체 귀족 출신 수도사로, '불의 심판'을 통해 '이네우스'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교황 사절로서 교회 개혁과 황제와의 갈등 중재에 힘썼고 교황 선거에도 참여했다. - 11세기 크로아티아 사람 -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는 11세기 크로아티아 왕국의 국왕으로, 로마 가톨릭과의 관계 강화, 달마티아 연안 도시 편입, 도시 건설 등 영토 확장과 국가 발전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노르만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사망했다. - 11세기 크로아티아 사람 - 크레시미르 3세
크레시미르 3세는 1000년부터 1030년경까지 크로아티아를 공동 통치한 국왕으로, 아버지의 사망 후 왕위 계승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 올랐으며, 베네치아와의 달마티아 지배권 분쟁 등 여러 외교적, 군사적 사건을 겪었다.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 크레시미르 1세
크레시미르 1세는 트르피미르 2세의 아들이자 935년경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콘스탄티누스 7세의 기록에 따르면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했으며 사후 왕위 계승 분쟁이 일어났다.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는 11세기 크로아티아 왕국의 국왕으로, 로마 가톨릭과의 관계 강화, 달마티아 연안 도시 편입, 도시 건설 등 영토 확장과 국가 발전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노르만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사망했다.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
로마자 표기 | D.mitar J.bonimir |
통치 정보 | |
작위 | 크로아트인과 달마티아인의 왕 |
재위 시작 | 1075년 |
재위 종료 | 1089년 |
대관식 | 1076년 10월 8일 |
전임자 |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
후임자 | 스체판 2세 |
작위2 | 크로아티아 총독 |
재위 시작2 | 1064년경 |
재위 종료2 | 1075년 |
전임자2 | 고이코 |
후임자2 | 스체판 |
생애 | |
출생 | 미상 |
사망일 | 1089년 |
사망 장소 | 크로아티아 왕국 크닌 |
매장지 | 크닌 성모교회 |
가문 | |
왕조 | 트르피미로비치조 |
가문2 | 스베토슬라비치가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헝가리 왕녀 일로나 |
종교 |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기타 | |
![]() |
2. 초기 생애와 배경
즈보니미르의 정확한 출신과 배경은 불확실하다.[3] 그는 트르피미로비치 왕조의 일원이거나, 다른 유력 귀족 가문 출신으로 추정된다. 헝가리 아르파드 왕조의 공주와 결혼한 것을 보면 특별한 가문 출신임은 분명하다.[3]
1070년 즈보니미르는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와 공동 통치를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이전에는 헝가리 왕국으로부터 슬라보니아 지방을 다스렸다고 추정된다. 그의 아내 옐레나가 헝가리 왕 벨러 1세의 딸이었기 때문에 즈보니미르는 아르파드 가문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1067년 이후, 즈보니미르는 헝가리 왕 살로몬 및 게저 공과 함께 달마티아 변방백령을 지배하던 울리히 2세를 추방하고 직접 지배했다. 1070년에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는 즈보니미르를 공동 지배자이자 후계자로 삼았다.
즈보니미르가 크로아티아 왕위 계승을 위해 기반을 다지는 동안, 노르만족이 아드리아 해 연안으로 진출했다. 1074년, 남이탈리아의 풀리아를 지배하던 노르만 공작 아미코는 크로아티아 원정을 감행하여 크로아티아 왕을 포로로 잡았는데, 이때 포로로 잡힌 왕은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라는 설이 유력하다.
2. 1. 가계와 혈통
즈보니미르의 정확한 출신과 혈통은 불확실하다.[3] 그는 트르피미로비치 왕조의 일원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스베토슬라브 수로냐의 아들 스테판 스베토슬라비치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4] 다른 이들은 그가 트르피미로비치 가문 출신이 아니며, 시드라가 주파니아 출신의 다른 저명한 크로아티아 귀족 가문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5][6] 그러나 헝가리의 아르파드 왕조 공주와 결혼한 것을 볼 때, 그는 어떤 특별한 가문 출신임이 분명하다.[3] 역사적 자료에는 그의 "스승"인 "세스타키"(Šestak)와 삼촌 "스트레자타"(Streza)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소르와 솔린에서 비야치까지 세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3] 1078년 시베니크에서 열린 재판 기록에 따르면 그의 삼촌의 이름은 스트레자이다.2. 2. 슬라보니아 총독 시절
1063년 헝가리의 벨러 1세 국왕의 딸인 옐레나와 결혼했다. 1064년부터 1074년까지 슬라보니아의 반(영주)을 역임했다.[7]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국왕의 통치 기간 동안, 즈보니미르는 슬라보니아 지역을 "반"이라는 칭호로 다스렸다고 추정된다.[7] 당시 "슬라보니아"(Sclavoniala)라는 용어는 오늘날의 슬라보니아와 북서 크로아티아를 모두 지칭했지만,[8] 이러한 주장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3]
1063년 이웃 신성 로마 제국은 헝가리를 침공했다. 당시 헝가리는 솔로몬의 삼촌 헝가리의 벨라 1세가 통치했으며, 그의 셋째 딸 크로아티아의 헬레나는 즈보니미르와 약혼했다.[9] 연대기에 따르면, 크로아티아는 또한 약 1063년에 카란타니아 군대의 공격을 받았다.[9][10] 즈보니미르는 당시 왕이었던 솔로몬에게 보호를 요청했다. 헝가리의 게자 1세와 솔로몬은 즈보니미르가 1064년부터 1067년 사이에 "달마티아의 변경"에서 권위를 회복하는 것을 도왔다.[9][11] 그들이 함께 크로아티아에서 카란타니아 군대를 격퇴한 후,[12] 즈보니미르는 솔로몬과 게자 1세에게 감사의 표시로 많은 금, 은, 기타 귀중품을 보냈다.[3] 그 직후인 1070년에 즈보니미르는 처음으로 크로아티아의 반으로 언급되었으며, 자다르에서 온 세 개의 헌장에서 고이초의 뒤를 이었다.[10][13][3] 당시 크로아티아 헌장은 페타르 크레시미르 국왕과 즈보니미르 반의 이름으로 발행되었다.[14]
즈보니미르가 크로아티아 왕위 계승을 위해 자신의 기반을 다지는 동안, 노르만족이 아드리아 해 연안으로 진출했다. 1074년, 남이탈리아의 풀리아를 지배하던 노르만 공작 아미코는 크로아티아 원정을 감행하여 크로아티아 왕을 포로로 잡았다고 한다. 왕의 이름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라는 설이 유력하다.
3. 크로아티아 국왕 즉위
1075년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의 뒤를 이어 즈보니미르는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와 동맹 관계를 맺고 그레고리오 개혁에 따른 여러 정책을 도입했으며, 노예제 폐지를 추진했다.
즈보니미르는 지역 귀족 대신 자신의 지지자와 교황과 가까운 고위 성직자로 대체하여 왕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 했다.[28] 1080년경에는 딸 클라우디아를 라프차니 가문의 귀족 브니하와 결혼시키고, 달마티아의 카린 주를 지참금으로 하사했다.[27]
1079년경,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헨리 4세의 신하인 공작 베첼린이 크로아티아를 공격하려 하자, 교황은 즈보니미르를 대신하여 베첼린에게 파문을 위협하며 왕과의 문제에 대해 직접 교황에게 호소하도록 촉구했다.[17][29] 즈보니미르는 비잔티움 제국에 대해 강경 노선을 취했으며, 1080년대 노르만의 비잔티움 침공을 지원하기 위해 해군 병력을 파견하기도 했다.[17][30]
3. 1. 대관식과 교황과의 관계
1075년 또는 1076년 10월, 즈보니미르는 솔린에 있는 성 베드로와 모세 바실리카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사절 게비존에게 왕관, 홀, 검, 깃발 등의 레갈리아를 받고 대관식을 치렀다.[16][17][18] 교황은 그에게 "크로아트인과 달마티아인의 왕"(Rex Chroatie atque Dalmatiela)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17] 즈보니미르의 크로아티아어 이름과 칭호는 바슈카 석판에서 "즈보니미르, 크로아티아 왕"(Zvonimir, Croatian king영어)으로, 글라골 문자로는 ''zvъnъmirъ, kralъ xrъvatъskъ''로 표기되었다.[17]


즈보니미르는 교황에게 "베드로의 헌금"을 약속하고 충성을 맹세하며 크로아티아에서 교회 개혁을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17][20] 그는 교회와 수도사, 가난한 자와 고아를 보호하고, 사촌 간의 불법적인 결혼을 기소하며, 반지와 사제의 축복으로 합법적인 결혼을 성립시키고, 그러한 결혼을 타락으로부터 보호하며, 인간 거래에 반대할 것을 약속했다.[17][21] 또한 베네딕토회의 자다르 주 브라나에 있는 성 그레고리 수도원에 두 개의 금관(보석이 박혀 있으며, 이전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받은 크로아티아 왕관일 가능성이 높다[22])을 교황청에 헌납했는데, 이는 충성의 표시이자 크로아티아를 방문하는 교황 사절을 위한 숙소로 사용되었다.[17][23] 이로써 즈보니미르의 크로아티아는 교황청의 봉신이 되었다.
즈보니미르의 대관식은 크로아티아가 비잔틴 제국과의 정치적, 종교적 관계를 최종적으로 종식시켰음을 의미했지만, 왕국이 사실상 교황청의 최고 소유가 되면서 완전한 독립이 끝났음을 의미했다.[24] 대관식 이후 교황 사절은 크로아티아 스플리트에서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전례에서 슬라브어 사용을 재확인하고, 1060년 회의에서 이단으로 낙인 찍었던 글라골 문자 또는 키릴 문자를 비난했다.[26] 즈보니미르 왕은 그레고리 개혁을 시행했으며, 노예 제도를 궁극적으로 폐지할 것을 약속했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6]
3. 2. 통치와 업적
즈보니미르는 1075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사절 게비존에 의해 솔린에 있는 성 베드로와 모세 바실리카에서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16][17][18] 그는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그레고리오 개혁을 시행할 것을 약속했으며, 노예제 폐지를 추진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7][21]즈보니미르는 달마티아 지역에 대한 권위를 유지했으며, 오소르까지 영향력을 미쳤다.[17][27] 그는 지역 귀족들을 자신의 지지자들과 고위 성직자들로 교체하여 왕권을 강화하려 했다.[28] 1080년경, 즈보니미르는 자신의 딸 클라우디아를 라프차니 가문의 귀족 브니하와 결혼시키고 달마티아의 카린 주를 지참금으로 하사했다.[27]
즈보니미르는 비잔티움 제국에 대해 강경한 정책을 펼쳤다. 그는 1080년대 노르만의 비잔티움 침공을 지원하기 위해 해군 병력을 파견하기도 했다.[17][30]
4. 죽음과 계승
즈보니미르는 헝가리의 라슬로 1세의 여동생인 옐레나와 결혼하여,[38] 헝가리뿐만 아니라 폴란드, 덴마크, 불가리아, 비잔티움 왕족과도 연결되었다. 즈보니미르와 옐레나 사이에는 아들 라도반[39]과 딸 클라우디아가 있었는데, 클라우디아는 보이보드 브니하 라프찬과 결혼했다.[37]
1089년 즈보니미르 사후 크로아티아는 혼란에 빠졌다. 1098년 협정으로 크로아티아 해안 지역은 헝가리에, 달마티아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할당되었지만,[59] 1105년 칼만이 달마티아 해안 도시들을 정복했다.[60][61]
4. 1. 의문의 죽음
1089년 4월 20일 크닌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는데, 그의 사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전설이 전해진다.[17] 그의 시신은 크닌에 위치한 성모 마리아 교회에 안치되었다. 즈보니미르의 사망 시기와 상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살아있을 때 마지막으로 확인된 문서는 1087년 10월 8일에 작성되었다.[17][31] 13세기 연대기 작가 토마스 대주교는 그의 저서 ''살로나 역사''에서, 그리고 1089년 9월 8일 스테판 2세가 발행한 칙령(즈보니미르 왕의 죽음 직후 발행된 것으로 추정)에서 모두 즈보니미르가 자연사했다고 명시한다.[17][32][33][34][35]16세기부터 대부분의 역사학계에서 이 견해를 받아들여졌지만, 페르도 시시치와 고고학자 스테판 군자차 같은 일부 역사학자들은 문서로 증명된 폭력적인 죽음을 지지했다.[2] 이후의 여러 자료들은 그의 사망 날짜를 4월 20일로 제시한다. 또한 코소보(오늘날 크닌 근처의 비스쿠피야)라는 마을의 "5개의 교회"와 페트로보/코소보 폴리에 있는 성 체칠리아 바실리카 근처를 사망 장소로 지목했다.[17] 이러한 자료들은 일반적으로 그의 암살 혐의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현재 중세 시대의 전설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36] 그의 묘소는 크닌 근처의 카피툴의 성 바르톨로메오 성당과 살로나 (오늘날의 솔린)에 있는 성 스테판 교회 사이를 옮겨 다녔으며, 이곳에는 크로아티아 왕의 영묘가 있었다고 한다.[37]
4. 2. 왕위 계승 분쟁
즈보니미르가 후계자를 남기지 않고 사망하자, 트르피미로비치 왕조의 마지막 왕인 스테판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40] 스테판 2세는 1091년에 사망할 때까지 짧게 통치했다.[40]이후 크로아티아는 10년간 왕위 계승자를 결정하지 못하고, 사회적 권위가 없는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41] 여러 세력과 귀족들이 왕국의 패권을 놓고 다투었다.[42]
즈보니미르의 미망인 옐레나는 오빠인 헝가리의 라슬로 1세에게 왕국을 점령해달라고 요청했다.[44][45][46] 옐레나는 어느 정도 권력을 장악하고 크로아티아 귀족의 소규모 세력(라프차니, 구시치, 쿠카리 등)의 지원을 받아 라슬로의 개입을 용이하게 했다.[47]
라슬로는 1091년 말에 "슬라보니아", 즉 크로아티아의 상당 부분을 정복하고 조카 알모스 공작을 "크로아티아 공작"으로 임명했다.[48] 하지만, 시메온 공작과[49] 스플리트 출신의 슬라바크가 왕의 칭호를 사용하며 저항했다.[50]
1095년 라슬로가 사망했을 때, 왕위는 크닌에서 통치했던 "왕" 페타르(페타르 스나치치로 확인됨)와 칼만 사이에 경합되었으며, 칼만은 그보즈드산 전투 (1097년)에서 승리했다.[56] 칼만은 '팍타 콘벤타'에 서명하고 1102년 비오그라드나모루에서 대관식을 올린 것으로 여겨진다.[56][57]
5. 유산과 평가
드미타르 즈보니미르는 현대 크로아티아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한 마지막 토착 왕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통치 이후 크로아티아는 헝가리와 연합하게 되었으며, 이 연합은 1918년까지 지속되었다.
바슈카 석비는 그의 사후에 새겨진 중요한 유물로, 그와 당시 귀족들에 대한 언급을 담고 있다. 이 석비는 크로아티아어로 크로아티아 왕의 칭호인 '크랄'을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다.[9][62] 그의 이름은 바슈카 섬의 같은 교회에서 발견된 11세기 또는 12세기의 유란드보르 파편[63][9]과 즈보니미르가 기증한 다양한 영지에 대한 12세기 6개의 문서에도 포함되어 있다.[64]
5. 1. 역사적 의의
드미타르 즈보니미르는 현대 크로아티아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한 마지막 토착 왕으로 여겨지며, 중세 시대의 국가적 영웅 중 한 명으로 존경받고 있다.[9] 그의 아들 라도반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스테판 2세의 짧은 통치는 크로아티아를 헝가리와의 연합으로 몰아넣었고, 이는 1918년까지 지속되었다.문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바슈카 석비는 그의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새겨졌으며, 그와 11세기의 여러 귀족들에 대한 언급을 담고 있다. 바슈카 석비는 크로아티아어로 크로아티아 왕의 칭호인 '크랄'(현대 크로아티아어로는 '크랄')을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다.[9][62] 그의 이름은 또한 바슈카 섬의 같은 교회에서 발견된 11세기 또는 12세기의 유란드보르 파편[63][9]과 즈보니미르가 기증한 다양한 영지에 대한 12세기 6개의 문서에도 포함되어 있다.[64]
5. 2. 문화적 유산
바슈카 석비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오래된 글라골 문자 기념물 중 하나로, 즈보니미르 왕이 베네딕토회의 크르크에 있는 성 루시아 교회에 토지를 기증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7] 이 석판에는 크로아티아어로 크로아티아 왕의 칭호인 '크랄'(현대 크로아티아어로는 '크랄')을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으며,[9][62] 그의 이름은 11세기 또는 12세기의 유란드보르 파편[63][9]과 즈보니미르가 기증한 다양한 영지에 대한 12세기 6개의 문서에도 포함되어 있다.[64]"즈보니미르"는 "소리, 울림"(즈보니)과 "평화, 위신"(미르)을 의미하는 전통적인 크로아티아 이름이며,[96] 즈보니미르 왕은 이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한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즈보니미르의 이름을 따서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고위 관리들에게 수여된 즈보니미르 왕관 훈장과 즈보니미르 왕관 메달이 있었으며, 1990년대 이후 크로아티아 공화국에서는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대훈장이 수여되었다.[97] 크로아티아 해군의 기함이자 가장 현대적인 함선인 ''끄랄 드미타르 즈보니미르''(RTOP-12)도 이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8] 크로아티아의 거리, 공원, 학교 등에도 그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99][100][101][102]

6. 즈보니미르의 죽음에 대한 전설
즈보니미르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데, 그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그가 십자군 원정을 거부한 크로아티아 귀족들에게 살해당했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전설들은 즈보니미르를 선하고 신앙심 깊은 왕으로 묘사하는 반면, 그의 죽음 이후 크로아티아가 외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는 "즈보니미르 왕의 저주" 설화를 포함하고 있다.[2][92] 하지만, 즈보니미르가 크로아티아인에게 살해당했다는 기록은 예수를 죽인 유대교의 죄를 연상시키며 역사적 사료에서 비교되기도 한다.[67]
14세기에 트로기르 시 주변에서만 사용된 방랑자의 스타일로 작성된 비문이 발견되었다.[90] 이 비문은 믈라덴 3세 슈비치 (1348년 사망)의 트로기르 대성당에 있는 무덤 비문과 매우 유사하며, 거의 동일한 저작권과 연대기를 보여준다.[90] 즈보니미르 왕을 언급하는 단편들이 브리비르의 성 마리아 교회와 인근 오스트로비차 요새의 성 안토니오 대제에서 발견되었는데, 두 곳 모두 슈비치 가문의 소유였다.[91][92][93] 파울 1세 (1312년 사망)와 조지 1세 (1302년 사망)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즈보니미르 왕 시대 이후 크로아티아는 교황청의 봉신 재산이었으므로 교황의 확인 없이는 아무도 크로아티아와 달마티아, 그리고 헝가리의 왕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91][92][93] 한 이론에 따르면, 전설은 슈비치 가문의 전통과 정치적 선전과 관련이 있으며, 새로운 왕조가 되려는 최종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한다.[94][92][93][95]
6. 1. 전설의 내용과 기원
13-14세기 ''폴란드-헝가리 연대기''는 즈보니미르가 살해되었다고 주장하는 가장 초기의 자료일 가능성이 있다.[75][76][77] 이 연대기에는 아틸라 왕이 카지미르(즈보니미르) 왕의 반역과 살인에 대한 복수를 명령받았다는 내용이 담겨있다.[75][76][77]두클랴의 사제 연대기의 크로아티아 개정판(14-15세기)에는 교황 우르바노 2세가 동서 분열을 치유하고자 즈보니미르에게 십자군 원정 참여를 요청했고, 즈보니미르는 크닌 근처 비스쿠피야의 "코소보의 다섯 교회"에서 사보르를 소집했으나 귀족들이 이를 거부하고 그를 살해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81][82] 이 기록에 따르면, 귀족들은 고국을 떠나기를 원치 않아 반란을 일으켜 즈보니미르를 살해하고 "즈보니미르 왕의 저주"를 남겼다.[81]
이반 토마시치의 ''크로아티아 왕국의 단편 연대기''(1561년경)는 암살범을 왕의 개인 비서인 타디야 슬로비나크로 지목하고 있다.[87] 이 연대기에 따르면, 타디야 슬로비나크는 페트로보 폴레의 성 세실리아 대성당 옆 왕의 텐트에 들어가 잠자는 즈보니미르를 살해했다.[87]
6. 2. 전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즈보니미르의 암살설은 역사적으로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는 중세 유럽에서 전례를 찾기 힘들고, 당시 십자군 원정에 대한 열풍과도 모순되기 때문이다.[68] 또한, 제1차 십자군은 즈보니미르 사후 몇 년 뒤에 시작되었으며, 교황이나 클레르몽 공의회 (1095) 이전에 다른 유럽 왕실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는 증거도 없다.[68] 즈보니미르가 자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청이나 다른 세력에서 그를 순교자나 성인으로 추대하려는 시도가 없었다는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69]이보 골드스타인은 즈보니미르 암살 전설이 후대에 만들어진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그는 제1차 십자군 시대와 더 가까운 시기에 살았던 스체판 2세나 페타르 스나치치와 같은 인물들의 행적이 즈보니미르에 대한 서술에 연결되면서, 즈보니미르가 마치 십자군 원정의 동시대 인물처럼 묘사되었다고 설명한다.[42][70] 특히 페타르 스나치치의 죽음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이 즈보니미르의 이야기와 결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통치자에 대한 칭송과 신앙과의 연관성, 그리고 유대인과의 비교는 보헤미아의 성 바츨라프에 대한 초기 슬라브 전설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전설은 글라골 문학에서 널리 알려져 있었다.[71] 14~15세기 헝가리의 중앙 집권화와 크로아티아 귀족들의 앙주 왕가 지지라는 정치적 상황 역시 전설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72][73]
즈보니미르의 전설과 숭배는 체틴의 1527년 선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헌장에는 "우리의 마지막 왕 즈보니미르가 죽은 후, 자유 의지로 우리는 헝가리 왕국의 거룩한 왕관에 합류했다"고 명시되어 있다.[74]
7. 가족 관계
Dmitar Zvonimirhr는 1063년 헝가리의 벨러 1세의 딸 옐레나(헝가리어로는 일로너(Ilona))와 결혼했다.[103]
7. 1. 자녀
즈보니미르는 헝가리의 벨러 1세의 딸인 헬레나와 1063년경 결혼하여 적어도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103]- 라도반[103] (1065년경 ~ 1083/1089년): 상속자로 지명되었으나 1089년 이전에 사망했다.[104]
- 클라우디아: 랍찬 가문의 보이보드인 브니하의 아내.[105][106] 그녀는 지참금으로 달마티아의 카린에서 토지를 받았다.
참조
[1]
학술지
Ritual deditio na reljefu hrvatskoga vladara
https://hrcak.srce.h[...]
2016
[2]
문서
Nemet, pp. 74–89
[3]
문서
Budak, p. 255
[4]
문서
Budak, pp. 31–33, 247
[5]
문서
Nemet, p. 73
[6]
문서
Budak, pp. 232, 248, 255
[7]
문서
Zekan, p. 7
[8]
서적
Hrvatski rani srednji vijek
https://books.google[...]
Novi Liber
[9]
문서
Zekan, pp. 9–15
[10]
문서
Nada Klaić, Povijest Hrvata u ranom srednjem vijeku, Zagreb 1975., pp. 377–379
[11]
문서
Budak, pp. 216, 220
[12]
문서
'SS rerum hungaricarum I, p. 364 "''Misit itaque rex Zolomerus Dalmacie, qui sororius Geyse erat, nuncios ad regem Salomonem et ducem Geysam, et rogavit eos, ut propria persona eorum contra adversarios suos, scilicet Carantanos ipsumadiuvarent, qui tunc marchiam Dalmacie occupaverant. Rex igitur et dux collecto exercitu iverunt in Dalmatiam, et ablatam sibi restituerunt integre.''"'
[13]
문서
Codex Diplomaticus Regni Croatiæ, Dalamatiæ et Slavoniæ, Vol I, pp. 115, 121, 129
[14]
문서
Fine, p. 279
[15]
문서
Budak, pp. 248, 284
[16]
문서
Dominik Mandić, ''Rasprave i prilozi iz stare hrvatske povijesti'', Institute of Croatian history, Rome, 1963, pp. 315, 438.
[17]
문서
Zekan, pp. 18–24
[18]
웹사이트
Demetrius, Duke of Croatia and Dalmatia
http://asv.vatican.v[...]
2006-02-12
[19]
문서
Budak, pp. 248, 251
[20]
서적
Hrvatsko srednjovjekovlje
Školska knjiga
[21]
문서
Budak, pp. 257–258
[22]
문서
Budak, p. 258
[23]
문서
Curta, p. 262
[24]
문서
Budak, p. 232
[25]
문서
Budak, pp. 258–259
[26]
문서
Curta, pp. 263–265
[27]
웹사이트
Zvonimir | Hrvatska enciklopedija
http://www.enciklope[...]
[28]
문서
Fine, p. 283
[29]
문서
Budak, pp. 217, 220
[30]
문서
Budak, pp. 219, 259
[31]
문서
Nemet pp. 75
[32]
문서
Nemet pp. 74–75
[33]
문서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ia Salonitana, 17, p. 93.
[34]
서적
Croatia – a nation forged in war
Yale University Press
[35]
문서
Kowalski, p. 290
[36]
문서
Nemet
[37]
문서
Zekan
[38]
서적
Povijest hrvatskoga naroda
Zagreb
1992
[39]
문서
Kowalski
[40]
문서
Ančić
[41]
문서
Ančić
[42]
문서
Goldstein
[43]
문서
Budak
[44]
문서
Zekan
[45]
문서
Nemet
[46]
학술지
Prikazi vladarskog dostojanstva: likovi vladara u dalmatinskoj umjetnosti 13. i 14. stoljeća
https://www.dlib.si/[...]
2000
[47]
문서
Budak
[48]
문서
Ančić
[49]
문서
Budak
[50]
문서
Ančić
[51]
문서
Budak
[52]
학술지
Miho Barada i mit o Neretvanima
https://hrcak.srce.h[...]
2011
[53]
문서
Budak
[54]
문서
Ančić
[55]
문서
Budak
[56]
문서
Ančić
[57]
문서
Budak
[58]
문서
Ančić
[59]
문서
Ančić
[60]
서적
Byzantium's Balkan Frontier: A Political Study of the Northern Balkans, 900–1204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문서
Budak
[62]
웹사이트
Baska tablet – Dr. sc. Mateo Zagar
http://www.svkri.hr/[...]
2015-12-18
[63]
간행물
Glagoljski natpisi
JAZU (now HAZU, Hrvatska akademija znanosti i umjetnosti), Zagreb
1982
[64]
문서
Nemet
[65]
문서
Nemet
[66]
문서
Goldstein
[67]
문서
Goldstein
[68]
문서
Goldstein
[69]
문서
Goldstein
[70]
문서
Kowalski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논문
Šubići i "dobri kralj Zvonimir". Prilog proučavanju upotrebe legendi u politici hrvatskih velikaških obitelji
https://www.academia[...]
2000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Zvonimir
http://www.behindthe[...]
[97]
백과사전
Odlikovanja
https://enciklopedij[...]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21
[98]
백과사전
Raketna topovnjača
https://tehnika.lzmk[...]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5-02-15
[99]
웹사이트
Kralj Zvonimir – hrvatski ban, herceg i kralj Hrvatske i Dalmacije
https://maksimir.hr/[...]
Magazin Maksimir
2010-11-05
[100]
웹사이트
Park Franje Josipa I. i Park kralja Zvonimira
https://www.pulainfo[...]
Turistička zajednica grada Pule
[101]
웹사이트
Osnovna škola Kralja Zvonimira Solin
http://os-kraljazvon[...]
[102]
웹사이트
Krenuli upisi u prvi razred Srednje škole Hrvatski kralj Zvonimir Krk. Koji se programi nude?
https://www.grad-krk[...]
Grad Krk
2023-07-04
[103]
간행물
Monumenta Historiam Slavorum Meridionalium
[104]
간행물
Codex Diplomaticus Croatiæ
[105]
간행물
Monumenta Historiam Slavorum Meridionalium
[106]
서적
Documenta historiae Chroaticae periodum antiquam illustrantia
https://books.google[...]
Sumptibus Academiae Scientiarum et Artium
[107]
서적
Hrvatski knezovi i kraljev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